KR20000017090A - 커넥터의 하우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하우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90A
KR20000017090A KR1019990032020A KR19990032020A KR20000017090A KR 20000017090 A KR20000017090 A KR 20000017090A KR 1019990032020 A KR1019990032020 A KR 1019990032020A KR 19990032020 A KR19990032020 A KR 19990032020A KR 20000017090 A KR20000017090 A KR 2000001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tainer
terminal
connector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5894B1 (ko
Inventor
나가미네아키라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0001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하우징(H)의 하우징본체(10)에는, 수용실(11)을 가로지르고 외벽이 열리는 공동부(空洞部)(15)가 형성되고, 공동부(15)에 리테이너(20)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끼워맞추고, 리테이너(20)에는, 공동부(15)에 의해 앞뒤로 분단되는 수용실(11)을 연결하는 연결부(21)를 형성하고,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있을 때 연결부는 리테이너(20)가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이러한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20)가 단자(T)에 이차적으로 고정되며, 리테이너(20)를 힌지 (hinge)(30)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10)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의 하우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A HOUSING FOR A CONNECTOR AND A CONNECTOR PRODUCED THEREWITH}
본 발명은, 하우징의 수용실에 단자를 삽입하고, 단자를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커넥터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에,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 7-65924호에는, 도7a에 나타내는 것처럼, 하우징본체(81)에 있어서 위아래 2단에 설치한 수용실(82)에 단자(도 생략)를 수납하고, 이 단자를 수용실(82)의 내벽면에 설치한 랜스(lance)(도 생략)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과 동시에, 하우징본체(81)의 윗면측 및 아랫면측에 리테이너(83)를 배치하고, 이것을 띠형상인 힌지(84)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81)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이러한 리테이너(83)에 의해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83)는, 그 좌우측면의 끝부분에 있는 슬릿 (85)을 하우징본체(81)의 좌우 양측벽에 돌출되게 설치된 임시고정부돌출부(86)에 끼움으로써 하우징본체(81)에 임시 고정시키고, 또한, 리테이너(83)를 그 위치로부터 전방에 슬라이드시켜 슬릿(85)을 하우징본체(81)의 좌우 양측벽에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돌출부(87)에 끼워 고정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리테이너(83)의 다른 면에는 위아래 각각의 수용실(82)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나란히 세워, 리테이너(83)가 고정위치에 장착될 때 상기 돌출부가 수용실(82)의 내벽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88)을 통해 수용실(82) 내로 돌출하며, 랜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단자의 윗부분에 끼워져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를 하우징에 이중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단자가 랜스에 의해서 고정되는 정규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리테이너(83)가 단자 윗부분에 끼워질 수 없으므로, 이것으로서 단자의 불완전 장착을 검지할 수 있다. 더욱, 리테이너(83)를 힌지(84)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리테이너(83)가 하우징본체(8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성형물(molds) 수의 절감 및 관리를 위한 인시(人時)의 절감등에 의해 저비용화가 실현된다. 또한 하우징의 조립은, 힌지(84)를 강제적으로 U자모양으로 구부리고 리테이너(83)를 임시고정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고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실시되지만 , 그 사이, 도 7b서 나타내는 평판형 리테이너장착지그(89)에 의해, 그 노치(90)에 있어서의 U자상의 가장 안쪽 부분을 힌지(84)의 구부러진 부분에 밀어붙여 리테이너(83)를 밀어넣음으로써, 힌지(84)를 소성(塑性)변형시켜 탄성복원력이 상실되고, 이것에 의해서 리테이너(83)가 힌지(84)의 반발력을 받아 하우징본체 (81)로부터 빠지게 되는 문제를 방지 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는, 리테이너(83)를 하우징본체(81)의 윗면 및 아랫면에 배치하기 때문에, 수용실(82)은 상하 2단으로만 설치될 수 있고,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쌓을 수가 없다. 또한, 하우징의 조립은 힌지(84)를 강제적으로 U자 모양으로 구부리면서 리테이너(83)를 임시고정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 고정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가고, 작업성이 떨어진다. 게다가, 힌지(84)의 탄성복원력을 상실 시키기 위해서는 리테이너장착지그(89)를 사용하여 리테이너 (83)를 밀어넣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런 면에 있어서도 작업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실시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리테이너를 사용하여 이중고정 및 불완전 장착검지를 실시하고, 이 리테이너를 하우징본체에 일체화하여 리테이너의 탈락방지 및 저비용화를 실현시키고, 하우징본체에 하우징본체의 수용실을 관통하도록 리테이너를 끼우고, 이것을 이동시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며, 수용실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쌓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힌지를 많이 구부리지 않아도 되도록하고, 하우징조립의 시간을 삭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본 발명은, 단자를 고정하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수용실을 갖고, 상기 수용실을 가로지르고 적어도 하나의 외벽이 열리는 공동부를 갖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기 공동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공동부에 의해 전후로 분단된 상기 수용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단자가 상기 수용실의 정규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지고 또한 이 이동에 의해 상기 단자에 이차적으로 고정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하우징본체에 일체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에 있어서, 수용실에 단자를 삽입하면, 단자가 하우징에 고정된다. 더욱 리테이너를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경우, 단자가 수용실의 정규위치에 없으면 리테이너는 이동할 수 없고, 불완전 장착이 검지된다. 한편, 단자가 수용실의 정규위치에 있으면 리테이너는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가 단자에 이차적으로 고정된다. 그 경우, 리테이너는 힌지를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에 일체화 되기 때문에, 리테이너는 하우징본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고 동시에 저비용화가 실현된다. 또한 하우징본체에, 리테이너의 슬라이드방향으로 수용실을 3단 이상 형성하더라도, 리테이너에는 각 수용실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그 때에도 이차적인 고정 및 불완전 장착검지가 가능하다. 더욱, 리테이너는 슬라이드방향으로 거의 직선상에서 약간만 움직이므로, 힌지가 많이 구부러지지 않게 되고, 힌지에 큰 탄성복원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더구나, 특수한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리테이너를 이동시키고 원터치로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조립의 시간이 삭감되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1a 및 도1b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원근투시도이고, 도1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1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리는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2a 및 도2b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데, 도2a는 평면도, 도2b는 정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도2b를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확대한 도이고, 도3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3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려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4a 및 도4b는, 도2b를 B-B선을 따라 단면하여 확대한 도이고, 도4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4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려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5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수용실 부근을 일부 단면하고 확대하여, 저면측에서 본 도이다.
도6a 및 도6b는, 제2실시예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원근투시도이고, 도6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6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려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시킨 다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7a및 도7b, 종래 하우징을 나타내며, 도7a 커넥터의 하우징의 원근투시도, 도7b 리테이너장착지그(retainer fitting jig)의 노치(notch)의 가장 안쪽 부분을 힌지의 굴곡부에 밀어붙여 리테이너를 밀어넣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1a ~ 도2b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하우징(H)을 나타내고, 도3a ~ 도5는, 상기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단자(T)를 삽입한 커낵터(C)를 나타낸다.
도1a ~ 도2b에서, (10)은 하우징본체이고, 이 하우징본체(10)에는, 하우징 본체(1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실(11)이 형성되어 있다(이하, 하우징본체 (10)의 전후방향은 단순히 전후방향이라 언급됨). 이 수용실(11)에는 하우징본체 (10)의 높이방향(이하, 단순히 높이방향이라 언급됨)에 여러 단이, 그리고 하우징본체(10)의 폭방향(이하, 단순히 폭방향이라 언급됨)에 여러 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용실(11)에는 단자(T)가 각각 삽입되고, 고정되어 있다.
도3a ~ 도5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상기 단자(T)는 하우징본체(10)의 수용실 (11)에 삽입가능한 형상, 예를 들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T)의 전단에는,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갖는 안정장치(4)가 높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T) 전단에는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1)가 열려있고, 후부에는 전선(W)이 접속되는 접속부(2)가 설치되어 있는데, 전선(W)의 심선(芯線)은 압착 또는 납땜등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단자(T)의 전반부(前半部)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높이 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구부러진 판용수철(도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될 때에, 판용수철은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0)는, 각 수용실(11)로부터 높이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전후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단자(T)의 안정장치(4)가 끼워지는 홈(12)과, 상기 홈 내에는 수용실(11)의 폭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그것의 앞부분에 의해 안정장치(4)가 고정될 수 있는 랜스(13)와, 랜스(13) 앞부분의 홈(12)을 전방에 개방하는 실험용창문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정장치(4)는, 단자(T)를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삽입하고 상기 홈(12)에 끼워넣고 전진하여, 홈 내에 형성된 랜스(13)를 넘어서 상기 랜스(13)의 앞부분에 들어가서, 이것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0)에는, 모든 수용실(11)을 높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상하의 외벽이 열림으로써 공동부(15)가 형성되고, 이 공동부(15)에 리테이너(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리테이너(20)에는, 상기 공동부(15)에 의해 앞 부분 수용실(11a)과 뒷 부분 수용실(11b)로 분단되어 수용실(11)을 연결하는 연결부(21)가, 전체 수용실(11)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T)의 전후방향의 중도부에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이 실시에 있어서는 높이방향)으로 노치된 고정부(3)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T)를 수용실(11)의 정규위치까지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3) 전단(3a)이 하우징(H)의 앞 부분 수용실(11a)의 후단(11'a)에 일치하고,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21)의 주변의 벽(22)이 상기 고정부(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a 및 도3b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리테이너(20)는, 힌지(30)를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1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힌지(3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윗면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떨어진 두 곳에 설치되어 있다. 각 힌지(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리테이너(20)와 하우징본체(10)에 걸쳐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이들 하우징본체(10), 힌지(30), 및 리테이너(20)는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상기 힌지(30)는, 리테이너(20)가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본체 위에서 그들의 테두리 주변의 작은 각도 내에서 스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자(T)의 접속부(2)에 전선(W)을 부착하고, 단자(T)를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삽입할 때, 안정장치(4)는 하우징(H)의 홈(12)에 끼워져 전진하고, 하우징(H)의 랜스(13)을 넘어 상기한 랜스(13)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것이 단자(T)가 하우징(H)에 일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도1a, 도 3a 및 도4a의 상태). 또한 리테이너(20)를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없으면 고정부(3)의 전단(3a)이 하우징 (H)의 앞 부분 수용실(11a)의 후단(11'a)보다 후방으로 나와 있으므로, 리테이너 (20)를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고정부(3)의 전단(3a)에 닿아 이동할 수 없고, 따라서 불완전 장착이 검지된다. 반면에,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있으면 고정부(3) 전단(3a)이 하우징(H)의 앞 부분 수용실(11a)의 후단(11'a)에 일치하여, 리테이너(20)의 연결부(21)의 주변 벽(22)이 상기 고정부(3)에 끼워져 리테이너(20)가 이동할 수 있고, 이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20)가 단자(T)에 이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도1b, 도3b, 도4b의 상태). 그리고, 이 커넥터(C)를 상대측 커넥터에 끼우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각각 단자(T)에 삽입되고, 판용수철등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 간의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이 다 이루어 진다. 이 경우, 리테이너(20)는 힌지(30)를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10)에 일체되고, 리테이너(20)가 하우징본체(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성형물(molds) 수의 절감 및 관리를 위한 인시(人時)의 절감등에 의해 저비용화가 실현된다. 또한 하우징본체(10)에,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으로 수용실(11)을 3단 이상 설치하더라도, 리테이너(20)에 각 수용실(11)을 연결하는 연결부(2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각 단자의 이차고정 및 불완전 장착검지가 가능하다. 더구나, 폭 또는 높이를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단자(T), 혹은 폭방향 또는 높이방향의 간격(pitch)이 다른 단자(T)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리테이너(20)는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거의 직선상에서 약간의 거리만 움직일 뿐이므로, 힌지(30)는 예를 들어 U자 모양으로 많이 구부려지지 않고, 힌지(30)에 큰 탄성복원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리테이너(20)가 하우징본체(10)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더구나,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리테이너장착지그와 같은 특수한 지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손이나 머니퓨레이터(manipulator)등에 의해 리테이너(20)를 이동시키고 원터치로 실시하므로, 하우징조립의 시간이 삭감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정장치(4)가 단자외측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안정장치(4)를 단자 (T)의 선단에 설치할 때에는, 단자(T)가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대해 예를 들면 상하 거꾸로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삽입 초기의 단계에서 수용실(11)의 입구에 걸리기 때문에, 확실히 단자(T)의 역삽입이 방지되고, 작업자의 오조작 등에 의한 하우징(H)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은 하우징(H)의 전면에 있는 수용실(11)만을 열었을 때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그와 같은 실시예로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C)의 도통실험을, 종래와 같이 단자(T)의 삽입구(1)에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 또는 이것과 같은 형상의 실험용지그를 삽입하여 실시하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등이 반복하여 사용됨에 의해 변형되고, 그것을 삽입하면 커넥터(C)의 단자(T)의 판용수철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하우징(H)의 전면에 안정장치 (4)를 관통하는 실험용창문부(14)를 열 때에는,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등을 단자(T)의 삽입구(1)가 아닌 실험용창문부(14)에 삽입하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등은 안정장치(4)에 접촉하는데, 따라서 단자(T)의 판용수철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도통실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안정장치(4)는, 홈(12)에 끼워넣어 전진할 수 있도록 하고 폭방향이나 높이방향에 향하는 면을 갖도록 형성되면 효율적이고, 이것에 따라 홈(12)은 각 수용실(11)로부터 높이방향이나 폭방향에 형성되고, 또한 랜스(13)는 폭방향이나 높이방향에서 구부러져 형성되는데,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안정장치(4)를 폭방향으로 구부려 형성할 때에는, 하우징(H)의 랜스(13)가 안정장치(4)에 따라 폭방향으로 구부러질 것이고, 따라서 하우징(H) 설치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한 공간이 필요가 없어, 하우징(H)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커넥터(C)가 높이방향으로 가능한한 조밀하게 된다. 특히, 수용실(11)을 높이방향으로 여러 단을 배열한 커넥터(C)에서는, 높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단자(T)가 연속해 있어, 수용실(11) 사이의 벽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각각의 단자(T)의 높이가 낮아지고 또한 수용실(11) 사이의 벽이 얇아지므로 커넥터(C)를 높이방향으로 대폭 조밀화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것 때문에, 이 커넥터(C)는 예를 들면 공간 유용성이 상당히 요구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넥터로 적합하다.
도6a 및 도6b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전의 제1실시예에 비해 힌지(30)의 주변 구성만 다르다. 따라서, 제1실시예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에는 동일하게 표시함과 동시에, 제1실시예에서 힌지(30)의 구성에 대한 부분 이외의 설명은 그대로 제2실시예에도 인용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힌지(30)에 관한 설명을 하면, 도6a 및 도6b에서 나타내듯이, 리테이너(20)는, 힌지 (30)를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1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경우, 힌지 (3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본체(10)의 윗면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힌지(30)는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리테이너(20)와 하우징본체(10)에 가로질러 설치되어서,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하우징본체(10), 힌지(30), 및 리테이너(20)는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상기 힌지(30)는,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본체 위에서 그들의 테두리 주변의 적은 각도의 범위 내에서 스윙하도록 배열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T)에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으로 노치된 고정부 (3)를 형성하고, 단자(T)를 수용실(11)의 정규위치까지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3)의 전단(3a)이 하우징(H)의 앞부분 수용실(11a)의 후단(11'a)에 일치하고, 리테이너 (20)의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연결부(21)의 주변 벽(22)이 상기 고정부 (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이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20)가 단자(T)에 이차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단자(T)에,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으로 노치된 고정부(3)를 형성함과 동시에, 리테이너(20)에, 상기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까지 삽입될 때에 상기 고정부(3)와 전후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여 끼워질수 있게 돌기등의 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서는, 랜스(13)에 의해 수용실(11)에 삽입된 단자(T)를 일차적으로 고정되게 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방법의 일차적 고정수단을 사용한 커넥터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사용한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힌지의 형상은 띠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적이며, 예를 들면 막대형상이라도 좋다. 더욱 본 발명은, 공동부 (15)가 하우징본체(10)의 한면의 외벽에서만 열리는 실시예, 힌지(30)가 하나, 셋 혹은 그 이상이 설치된 실시예, 힌지(30)가 공동부(15)의 내부에 형성된 실시예, 이러한 실시예를 조합한 실시예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하면, 리테이너에 의해 이중고정하여 단자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단자의 불완전 장착을 검지하여 잘못된 조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를 힌지 사이에 세워 하우징본체에 일체화되었기 때문에,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 하우징본체에 그 수용실을 가로지르는 리테이너를 끼우고, 리테이너가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용실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쌓을 수가 있음과 동시에, 힌지를 많이 구부리지 않아도 되므로, 하우징조립 시간이 삭감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단자(T)를 고정하는, 커넥터(C)의 하우징(H)에 있어서, 상기 단자(T)가 삽입되는 수용실(11)을 갖고, 상기 수용실(11)을 가로지르면서 외벽에서 열리게 되는 공동부(15)를 갖는 하우징본체(10)와,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상기 공동부(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공동부(15)에 의해 전후 분단된 상기 수용실 (11)을 연결하는 연결부(21)을 갖고, 상기 단자(T)가 상기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이동에 의해 상기 단자(T)에 이차적으로 고정되는 리테이너(20)와, 상기 리테이너(20)를 상기 하우징본체(10)에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힌지(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C)의 하우징(H).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상기 하우징본체 (10)의 윗면에서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두 위치에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리테이너(20)와 상기 하우징본체(10)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본체(10), 힌지(30) 및 리테이너(20)는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C)의 하우징(H).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상기 하우징본체 (10)의 윗면에서 폭방향의 양쪽 단부에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리테이너(20)와 상기 하우징본체(10)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본체(10), 힌지(30) 및 리테이너(20)가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C)의 하우징(H).
  4. 제1항 내지 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H)의 상기 수용실(11)에 단자(T)가 삽입된 커넥터(C)에 있어서, 상기 단자(T)에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슬라이드방향으로 고정부(3)가 노치(notch)되고, 상기 단자(T)를 상기 수용실(11)의 정규위치까지 삽입했을 때, 상기 고정부(3) 전단이 상기 하우징본체(10)의 앞부분 수용실 (11a)의 후단에 일치하고, 리테이너(20)가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 (21)의 주변 벽(22)이 상기 고정부(3)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C)의 하우징(H).
KR1019990032020A 1998-08-20 1999-08-04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KR100615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88498A JP3247344B2 (ja) 1998-08-20 1998-08-20 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98-251884 1998-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90A true KR20000017090A (ko) 2000-03-25
KR100615894B1 KR100615894B1 (ko) 2006-08-25

Family

ID=1722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20A KR100615894B1 (ko) 1998-08-20 1999-08-04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6531B1 (ko)
EP (1) EP0981184B1 (ko)
JP (1) JP3247344B2 (ko)
KR (1) KR100615894B1 (ko)
DE (1) DE6990510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4786B2 (en) 2018-05-31 2021-09-07 Lg Chem, Ltd. PCB direct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954A (ja) * 2000-07-24 2002-02-08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DE10227334B4 (de) * 2001-06-22 2009-02-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
JP3755467B2 (ja) * 2002-01-31 2006-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85759A (ja) * 2004-12-28 2006-07-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3187126A (ja) * 2012-03-09 2013-09-19 Yazaki Corp コネクタ
US9484660B2 (en) * 2014-11-13 2016-11-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10673168B2 (en) 2016-01-14 2020-06-02 J.S.T. Corporation MSL connector series
US10109955B2 (en) * 2016-01-14 2018-10-23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male housing and a female housing with ribs
US10622746B2 (en) 2016-01-15 2020-04-14 J.S.T.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and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JP2019091560A (ja) * 2017-11-13 2019-06-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治具、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23169543A (ja) * 2022-05-17 2023-11-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成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2577A (ja) * 1985-04-08 1986-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DE69215134T2 (de) * 1991-04-30 1997-03-06 Yazaki Corp Steckverbinder
JP2581476Y2 (ja) * 1993-04-13 1998-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65924A (ja) 1993-08-30 1995-03-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付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923519B2 (ja) * 1994-05-30 1999-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H07326418A (ja) * 1994-05-31 1995-1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8106944A (ja) * 1994-10-03 1996-04-23 Tokai Rika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同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3093948B2 (ja) * 1995-02-22 2000-10-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98934B2 (ja) * 1995-06-06 2000-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106286B2 (ja) * 1995-06-30 2000-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ヤホルダー付きコネクタ
JP3454985B2 (ja) 1995-09-21 2003-10-0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123437B2 (ja) * 1996-07-31 2001-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121077A (ja) * 1997-10-17 1999-04-30 Amp Japan Ltd 2次係止部材付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4786B2 (en) 2018-05-31 2021-09-07 Lg Chem, Ltd. PCB direc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5104D1 (de) 2003-03-06
JP2000067982A (ja) 2000-03-03
EP0981184B1 (en) 2003-01-29
US6296531B1 (en) 2001-10-02
JP3247344B2 (ja) 2002-01-15
EP0981184A1 (en) 2000-02-23
KR100615894B1 (ko) 2006-08-25
DE69905104T2 (de)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638B1 (ko) 커넥터
KR910003908Y1 (ko) 전기 접속기
US20020187666A1 (en)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onto which the contact is mounted
US6716069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retainer held securely on the housing
US54744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ubly securing a terminal within a connector
JP3301329B2 (ja) コネクタ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232373A (en) Connector
EP1073153B1 (en) Connector
EP0758806A1 (en) Connector
US2002003986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econdary terminal lock
KR20000017090A (ko) 커넥터의 하우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EP0982808A1 (en)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connect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US6589080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JP3405425B2 (ja) 基板用コネクタ
EP2051335B1 (en) A connector
JP4732996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6682366B2 (en) Connector
AU2003204259B2 (en) Connector
US20050176289A1 (en) Battery connector
US5810619A (en) Double lock connector with flexible lance on spacer
JP2002124341A (ja) コネクタ
JP3567753B2 (ja) コネクタ
JP2553821Y2 (ja) コネクタ
US6939170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