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051B1 -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051B1
KR100427051B1 KR10-2002-0025122A KR20020025122A KR100427051B1 KR 100427051 B1 KR100427051 B1 KR 100427051B1 KR 20020025122 A KR20020025122 A KR 20020025122A KR 100427051 B1 KR100427051 B1 KR 10042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king
connector
fixing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167A (ko
Inventor
배해성
임근택
최용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051B1/ko
Priority to CNB031407544A priority patent/CN1333496C/zh
Publication of KR2003008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단자가 1차로 고정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캡(cap)과 플러그(flug)로 구성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캡과 플러그를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에 각각 구비된 이중록킹부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각 단자의 이중고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그 구성을 설명하면, 내측으로 제2단자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2단자고정부가 구비된 플러그와, 이에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2단자와 대응하는 제1단자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1단자고정부가 구비된 캡으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측에 장착되고 전후로 왕복하며 상기 제1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1단자고정구를 포함한 전후이중록킹부와, 상기 플러그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하로 왕복하며 상기 제2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2단자고정구를 포함한 상하이중록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자고정구의 입구 하측에는 상기 캡과 플러그의 결합시 상기 제2단자고정구의 밑단과 접촉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작업자가 이를 잊고 캡과 플러그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내부가 파손되거나 단자의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Double locking construction for terminal of connector}
본 발명은 내부에 단자가 1차로 고정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캡(cap)과 플러그(flug)로 구성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캡과 플러그를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에 각각 구비된 이중록킹부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각 단자의 이중고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를 사용하는 각종 장치에 구비되며, 그 장치를 구성하는 각 기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전자부품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되는 캡과 플러그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캡과 플러그의 내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암,숫단자가 고정되는데, 상기 숫단자는 통상적으로 상기 캡에 2개 또는 3개가 구비되며, 상기 암단자는 상기 플러그에 이와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커넥터는 그 사용과정에서 캡과 플러그를 반복하여 분리 및 결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자들이 그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접속불량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왔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1차로 고정된 단자를한번더 고정시켜주는 이중록킹수단이 구비된 제품이 출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중록킹수단이 구비된 종래의 커넥터는 캡과 플러그를 결합하기에 앞서, 각각에 구비된 이중록킹수단를 이용하여 단자를 2차고정하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으므로 그 작업과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이를 잊고 캡과 플러그를 결합하는 경우 내부가 파손되어 커넥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단자의 접속불량이 발생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캡과 플러그를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에 각각 구비된 이중록킹부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각 단자의 이중고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단자고정구를 제1단자고정부에 1차로 고정하는 고정구록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단자고정구가 제1단자고정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단자고정구가 이동하여 제1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였을 때, 상기 제1단자고정구를 제1단자고정부에 2차로 고정해주는 2차고정편을 구비하여, 캡과 플러그를 분리하여도 그 이중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단자고정구가 상하로 이동하여 제2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였을 때, 상기 제2단자고정구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해주는 걸림턱과 지지턱을 형성하여, 캡과 플러그를 분리하여도 그 이중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단자고정구를 반복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걸림턱 및 지지턱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단자고정구를 제2단자고정부에 고정하는 고정구록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단자고정구가 제2단자고정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과 플러그의 결합시 제1,2단자고정구의 접촉부분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으로 제2단자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2단자고정부가 구비된 플러그와, 이에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2단자와 대응하는 제1단자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1단자고정부가 구비된 캡으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측에 장착되고 전후로 왕복하며 상기 제1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1단자고정구를 포함한 전후이중록킹부와, 상기 플러그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하로 왕복하며 상기 제2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2단자고정구를 포함한 상하이중록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자고정구의 입구 하측에는 상기 캡과 플러그의 결합시 상기 제2단자고정구의 밑단과 접촉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후이중록킹부는, 상기 제1단자고정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 상면에는 상기 제1단자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대응되는 저지턱이 형성된 단자고정편과, 내부에 상기 제2단자고정구가 삽입되는 수납공간부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후진시 상기 단자고정편의 밑단과 접촉하며 이를 들어올리는 지지편이 형성된 제1단자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고정구의 후방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그 끝단에 돌출턱이 형성된 제1차고정편과, 상기 제1단자고정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장공으로 구성되는 고정구록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고정구가 이동하여 상기 제1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였을 때, 그 끝단에 형성된 돌출턱이 장공으로 삽입되게 형성된 제2차고정편이 하나 이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하이중록킹부는, 상기 제2단자고정부의 하면으로 상기 제2단자의 하측에 구비된 걸림부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개부와, 내부에 상기 제2단자고정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부가 구비되며 내측 하면에 상기 절개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후단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 제2단자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자고정구의 내부 양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단자고정구의 양 측판에 형성된 홈부상에 구비되며, 상하 양단이 상기 홈부의 대응면에 고정된 탄력지지대의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자고정구의 수납공간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중간부분에 후방측이 개방된 홈부가 형성된 중앙분리대와, 상기 홈부상에 구비되며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으로 돌출턱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제2단자고정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이 삽입 및 고정되는 걸림공으로 구성되는 고정구록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고정구의 단턱부에는 상기 제2단자단자고정구의 밑단과 접촉하는 모서리에 만곡된 안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b,c는 도 1에 따른 캡과 제1단자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제1단자고정구의 1차록킹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2b는 제1단자고정구의 2차록킹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2c는 제1단자의 이중록킹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a,b,c는 도 1에 따른 플러그와 제2단자고정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2단자고정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작동관계를 보인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제2단자의 이중록킹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3c는 고정구록킹부를 보인 일부절개 분해 사시도.
도 4a,b는 도 1에 따른 캡과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제1단자고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4b는 제2단자고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캡
10 : 제1단자 11 : 걸림턱
20 : 제1단자고정부
30 : 전후이중록킹부
31 : 제1단자고정구
310 : 수납공간부 311 : 단턱부
311a : 안내면 312 : 지지편
32 : 단자고정편 320 : 저지턱
40 : 고정구록킹부
41 : 제1차고정편 42 : 제2차고정편
43 : 장공 410,420 : 돌출턱
P : 플러그
50 : 제2단자 51 : 걸림부
60 : 제2단자고정부 61 : 지지턱
70 : 상하이중록킹부
71 : 절개부
72 : 제2단자고정구
720 : 수납공간부 721 : 돌기
722 : 홈부 723 : 탄력지지대
723a : 걸림턱
80 : 고정구록킹부
81 : 중앙분리대 810 : 홈부
82 : 고정편 820 : 돌출턱
83 : 걸림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측으로 제2단자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2단자고정부(60)가 구비된 플러그(P)와, 이에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2단자와 대응하는 제1단자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1단자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된 캡(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2단자는 숫단자와 암단자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숫단자는 캡(C)에 구비되고 암단자는 플러그(P)에 구비되는데 그 위치는 제품에 따라 가변적이다.
또한, 캡(C)의 내측에는 전후로 왕복하며 상기 캡(C)에 고정된 제1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1단자고정구(31)가 장착되고, 플러그(P)의 내측에는 상하로 왕복하며 상기 플러그(P)의 제2단자고정부(60)에 고정된 제2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2단자고정구(72)가 장착되며, 상기 제1단자고정구(31)의 입구 하측에는 상기 캡(C)과 플러그(P)의 결합시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밑단과 접촉하는 단턱부(3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단자고정구(31)(72)의 상호 연동작용 및 단턱부(311)의 기능은, 먼저 상기 제1,2단자고정구(31)(72) 각각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후술하는 도 4a,b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b,c는 도 1에 따른 캡과 제1단자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제1단자고정구의 1차록킹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고정구(31)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며, 그 끝단에 돌출턱(410)이 형성된 제1차고정편(41)과, 캡(C)에 구비되는 제1단자고정부(2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410)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장공(43)으로 구성되는 고정구록킹부(4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자고정구(31)는 캡(C)의 내측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그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제1차고정편(41)의 돌출턱(410)이 장공(43)으로 삽입되어, 상기 캡(C)의 내측에 1차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차고정편(41)의 돌출턱(410)은 제1단자고정구(31)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모서리를 만곡되게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2b는 제1단자고정구의 2차록킹상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고정구(31)의 중간부분에는 그 끝단에 돌출턱(420)이 형성된 제2차고정편(42)이 구비되고, 제1단자고정부(20)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턱(420)이 삽입되는 장공(43)이 형성된다.
이는 도 2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단자고정구(31)가 1차고정된 상태에서, 이를 캡(C)의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넣어 고정을 완료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2차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제2차고정편(42)은 그 길이가 제1차고정편(41)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단자고정구(31)가 캡(C)의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넣어져 고정이 완료되면, 제1단자고정부(20)에 고정된 제1단자(미도시)가 이중으로 고정되며, 이때 상기 제1단자고정구(31)의 위치를 제2차고정편(42)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단자의 이중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단자가 이중으로 고정되는 과정은 후술하는 도 2c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c는 제1단자의 이중록킹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써, 도 2b에서 보인 제1단자고정부(20)에 고정된 제1단자(10)가 제1단자고정구(31)의 이동에 따라 이중으로 록킹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자고정부(20)에는 하면에 걸림턱(11)이 구비된 제1단자(10)가 고정되는데, 상기 제1단자고정부(20)의 내측에는 일측 상면에 상기 제1단자(10)의 걸림턱(11)과 대응되는 저지턱(320)이 형성된 단자고정편(32)이 구비되고, 캡(C)의 내측에는 후방에 상기 단자고정편(32)의 밑단과 접촉하며 이를 들어올리는 지지편(312)이 형성된 제1단자고정구(31)가 구비되어 전후이중록킹부(30)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자고정구(31)를 캡(C)의 내측으로 밀어넣는 과정에서 지지편(312)이 단자고정편(32)의 밑단과 접촉하며 이를 들어올리게 되며, 상기 단자고정편(32)의 상면에 형성된 저지턱(320)은 제1단자(10)의 걸림턱(11)후방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단자(10)를 이중으로 록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편(312)은 단자고정편(32)의 밑단과 접촉하는 모서리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간섭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b,c는 도 1에 따른 플러그와 제2단자고정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2단자고정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작동관계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자고정구(72)의 내측에는 제2단자고정부(60)가 삽입되도록 수납공간부(7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내부 양측에는 걸림턱(7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고정부(60)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턱(723a)과 대응되는 지지턱(6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723a)과 지지턱(61)은 그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부(720)는 제2단자고정구(72)가 제2단자고정부(6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소정의 여유공간을 갖는다.
이에 따라, 처음에는 걸림턱(723a)이 지지턱(61)의 하측에 위치하지만, 제2단자고정구(72)를 상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걸림턱(723a)이 지지턱(61)을 타고 넘어가며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723a)은,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양 측판에 형성된 홈부(722)상에 구비되며, 상하 양단이 상기 홈부(722)의 대응면에 고정된 탄력지지대(723)의 내측면에 형성되므로, 걸림턱(723a)이 지지턱(61)을 타고 넘어가는 과정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진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제2단자의 이중록킹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자고정부(60)의 내측에 구비된 제2단자(50)는 상하 양측에 걸림부(51)가 구비되며, 상측은 고정과정에서 상기 제2단자고정구(60)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단자고정부(60)의 하면으로 상기 제2단자(50)의 하측에 구비된 걸림부(51)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개부(71)와, 내측 하면에 상기 절개부(71)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걸리는 돌기(721)가 형성된 제2단자고정구(72)로 구성되는 상하이중록킹부(7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단자고정구(72)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돌기(721)가 상승하며 제2단자(50)의 걸림부(51)후방을 지지하여 이를 이중으로 록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c는 고정구록킹부를 보인 일부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자고정구(72)의 수납공간부(720)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중간부분에 후방측이 개방된 홈부(810)가 형성된 중앙분리대(81)와, 상기 홈부(810)상에 구비되며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으로 돌출턱(820)이 형성된 고정편(82)과, 상기 제2단자고정부(6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820)이 삽입 및 고정되는 걸림공(83)으로 구성되는 고정구록킹부(8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단자고정구(72)를 플러그(P)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갖는 고정편(82)의 돌출턱(820)이 제2단자고정부(60)의 걸림공(8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단자고정구(72)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도 4a,b는 도 1에 따른 캡과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제1단자고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4b는 제2단자고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자고정구(72)는 캡(C)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밑단이 제1단자고정구(31)의 단턱부(311)에 접촉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단자고정구(31)를 캡(C)의 내측으로 압박함으로써, 도 2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단자고정구(31)가 캡(C)의 내측에 완전히 고정된 후에는, 제2단자고정구(72)가 단턱부(311)를 타고 상승하며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311)에는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밑단과 접촉하는 모서리에 만곡된 안내면(311a)이 형성되어 간섭현상을 최소화시켜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과 플러그를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에 각각 구비된 이중록킹부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각 단자의 이중고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작업자가 이를 잊고 캡과 플러그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내부가 파손되거나 단자의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단자고정구를 제1단자고정부에 1차로 고정하는 고정구록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단자고정구가 캡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를 분실할 염려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단자고정구가 이동하여 제1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였을 때, 상기 제1단자고정구를 제1단자고정부에 2차로 고정해주는 2차고정편을 구비하여, 캡과 플러그를 분리하여도 그 이중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캡과 플러그를 다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보다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2단자고정구가 상하로 이동하여 제2단자를 이중으로 고정하였을 때, 상기 제2단자고정구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해주는 걸림턱과 지지턱을 형성하여, 캡과 플러그를 분리하여도 그 이중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캡과 플러그를 다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보다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걸림턱을 탄력지지대상에 형성하여, 제2단자고정구를 반복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걸림턱 및 지지턱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2단자고정구를 제2단자고정부에 고정하는 고정구록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2단자고정구가 제2단자고정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를 분실할 염려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단자고정구의 단턱부에 만곡된 안내면을 형성하여, 캡과 플러그의 결합시 제1,2단자고정구의 접촉부분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한 결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내측으로 제2단자(50)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2단자고정부(60)가 구비된 플러그(P)와, 이에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2단자(50)와 대응하는 제1단자(10)가 고정되는 다수의 제1단자고정부(20)가 구비된 캡(C)으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캡(C)의 내측에 장착되고, 전후로 왕복하며 상기 제1단자(10)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1단자고정구(31)를 포함한 전후이중록킹부(30)와;
    상기 플러그(P)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하로 왕복하며 상기 제2단자(50)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제2단자고정구(72)를 포함한 상하이중록킹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자고정구(31)의 입구 하측에는 상기 캡(C)과 플러그(P)의 결합시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밑단과 접촉하는 단턱부(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중록킹부(30)는,
    상기 제1단자고정부(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 상면에는 상기 제1단자(1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11)과 대응되는 저지턱(320)이 형성된 단자고정편(32)과;
    내부에 상기 제2단자고정구(72)가 삽입되는 수납공간부(31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후진시 상기 단자고정편(32)의 밑단과 접촉하며 이를 들어올리는 지지편(312)이 형성된 제1단자고정구(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고정구(31)의 후방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그 끝단에 돌출턱(410)이 형성된 제1차고정편(41)과;
    상기 제1단자고정부(2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410)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장공(43);으로 구성되는 고정구록킹부(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고정구(31)가 이동하여 상기 제1단자(10)를 이중으로 고정하였을 때, 그 끝단에 형성된 돌출턱(420)이 장공(43)으로 삽입되게 형성된 제2차고정편(42)이 하나 이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중록킹부(70)는,
    상기 제2단자고정부(60)의 하면으로, 상기 제2단자(50)의 하측에 구비된 걸림부(51)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개부(71)와;
    내부에 상기 제2단자고정부(6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부(720)가 구비되며, 내측 하면에 상기 절개부(71)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1)의 후단에 걸리는돌기(721)가 형성된 제2단자고정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내부 양측으로 걸림턱(7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고정부(60)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턱(723a)과 대응되는 지지턱(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723a)은,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양 측판에 형성된 홈부(722)상에 구비되며, 상하 양단이 상기 홈부(722)의 대응면에 고정된 탄력지지대(723)의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수납공간부(720)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중간부분에 후방측이 개방된 홈부(810)가 형성된 중앙분리대(81)와;
    상기 홈부(810)상에 구비되며,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으로 돌출턱(820)이 형성된 고정편(82)과;
    상기 제2단자고정부(6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820)이 삽입 및 고정되는 걸림공(83);으로 구성되는 고정구록킹부(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9.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고정구(31)의 단턱부(311)에는,
    상기 제2단자고정구(72)의 밑단과 접촉하는 모서리에 만곡된 안내면(3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KR10-2002-0025122A 2002-05-07 2002-05-07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KR10042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122A KR100427051B1 (ko) 2002-05-07 2002-05-07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CNB031407544A CN1333496C (zh) 2002-05-07 2003-05-07 用于接插件接线端的双锁定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122A KR100427051B1 (ko) 2002-05-07 2002-05-07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167A KR20030087167A (ko) 2003-11-13
KR100427051B1 true KR100427051B1 (ko) 2004-04-13

Family

ID=2977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122A KR100427051B1 (ko) 2002-05-07 2002-05-07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27051B1 (ko)
CN (1) CN133349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28B1 (ko) * 2006-07-28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록킹구조
KR100898212B1 (ko) * 2007-12-10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N103515774B (zh) * 2013-08-01 2015-11-18 苏州智绿环保科技有限公司 高连接安全性的连接器
CN110854620A (zh) * 2019-12-30 2020-02-28 东莞市林积为实业投资有限公司 车载以太网连接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30U (ko) * 1988-08-26 1990-03-09 스미도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KR19990018726U (ko) * 1997-11-13 1999-06-05 정진택 컨넥터와 컨넥터 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183163Y1 (ko) * 1999-12-14 2000-05-15 한국몰렉스주식회사 이중 록킹 전기접속용 커넥터 결합체
JP2002008764A (ja) * 2000-06-27 2002-01-11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030000542A (ko) * 2001-06-26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장치의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736Y2 (ja) * 1993-11-15 1999-06-02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ダブルロック型電気コネクタ
JP3303774B2 (ja) * 1998-04-27 2002-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83947B2 (ja) * 1999-12-27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30U (ko) * 1988-08-26 1990-03-09 스미도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KR19990018726U (ko) * 1997-11-13 1999-06-05 정진택 컨넥터와 컨넥터 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183163Y1 (ko) * 1999-12-14 2000-05-15 한국몰렉스주식회사 이중 록킹 전기접속용 커넥터 결합체
JP2002008764A (ja) * 2000-06-27 2002-01-11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030000542A (ko) * 2001-06-26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장치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167A (ko) 2003-11-13
CN1462091A (zh) 2003-12-17
CN1333496C (zh)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992B2 (en) Lever-type connector
US5071369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P1152494B1 (en) Connector
US6863568B2 (en) Connector
EP0632536B1 (en) Vibration proof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JP416221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0618646B1 (en) Lever-operated connector
US20040023564A1 (en) Connector
US20010007801A1 (en) Connector
KR100427051B1 (ko)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US20080153339A1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JPH09270276A (ja)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KR100615894B1 (ko)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JP2879853B2 (ja) ダブルロック型電気コネクタ
US612648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lded latch stop
US6332812B1 (en) Connector assembly
JP2748190B2 (ja) 電気コネクタ
US11502443B2 (en) Terminal holder and connector
JP7144293B2 (ja) コネクタ
US6116928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connectors
KR100615348B1 (ko) 플러그 및 소켓 메이팅 슬라이더를 가진 플러그 및 소켓커넥터 조립체
US6533602B2 (en) Divided connector
JP346741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327804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2210747B1 (ko)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