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199A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199A
KR20170106199A KR1020170024749A KR20170024749A KR20170106199A KR 20170106199 A KR20170106199 A KR 20170106199A KR 1020170024749 A KR1020170024749 A KR 1020170024749A KR 20170024749 A KR20170024749 A KR 20170024749A KR 20170106199 A KR20170106199 A KR 2017010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wall portion
end wall
reinforc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보강 금구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측벽부(14)와 단벽부(15)로 주벽부(12)를 형성하고, 주벽부(12)의 안쪽에 상대 커넥터의 수용부(12A)를 형성하는 하우징(10)에 보강 금구(30)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보강 금구(30)는, 금속판제이고, 상기 단벽부(15)의 위치에서 당해 단벽부(15)의 벽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31)와, 상기 측벽부(15)의 위치에서 당해 측벽부(14)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판부(32)와, 상기 기부(31)와 상기 측판부(14)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고 있고, 적어도 연결부(33)의 일부가 모퉁이부(16)에 매설되어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보강, 회로 기판으로의 고정, 상대 커넥터의 안내나 상대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도통 등의 여러 가지 목적으로 금속판 부재가 하우징에 지지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상대 커넥터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금구(金具)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서 하우징에 지지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하우징의 측벽부(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 그리고 단벽부(端壁部)(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벽부)의 각각에, 상기 가이드 금구의 부착을 위한 부착홈이 각 벽부의 외면으로부터 함몰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금구는, 각 부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판두께 방향에서 역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피(被)부착부를 갖고 있고, 각 피부착부가 각각 대응하는 부착홈에 상방으로부터 압입되어 각 벽부를 걸치도록 부착됨으로써,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회로 기판으로의 고정을 위한 고정 금구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서 하우징에 지지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2에서는, 고정 금구는, 하우징의 단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와, 당해 기부의 양단에서 굴곡되어 하우징의 측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기부의 하연(下緣)에서 굴곡되어 하우징의 저벽부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는 저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상연(上緣)에서 역 U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면으로부터 측벽부의 내측면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클로우부(claw portion)를 갖고 있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하우징의 양단 위치에서 일체 성형에 의해 당해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당해 고정 금구가 하우징에 지지된 상태에서, 당해 고정 금구의 판면은 당해 고정 금구의 거의 전역에 걸쳐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노정(露呈)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23900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065541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상기 금속판 부재는, 하우징의 표면을 보호함과 함께 하우징을 보강한다는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에 확실히 지지되어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가이드 금구는 그 판면이 당해 가이드 금구의 거의 전역에 걸쳐 하우징의 벽면으로부터 노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 노정한 판면에 뜻하지 않은 외력이 직접 작용했을 때에,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금구는, 압입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압입 부착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 즉 상방으로의 외력을 받았을 때에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고정 금구는 일체 성형에 의해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기는 하지만, 당해 고정 금구의 판면이 당해 고정 금구의 거의 전역에 걸쳐 하우징으로부터 노정하고 있는 점에서는 특허문헌 1과 동일하고, 따라서, 상기 판면에 외력을 받아 상기 고정 금구가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고정 금구는,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거나 혹은 분리해 버리면, 하우징의 표면의 보호는 할 수 있어도 하우징의 보강이라고 하는 기능이 반감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금속판제의 보강 금구 그리고 단자가 뜻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운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다음의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과 같이 구성된다.
<제1 발명>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커넥터 삽발(揷拔) 방향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지지되는 단자 및 보강 금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주벽부(周壁部)를 갖고, 당해 주벽부는,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벽부와, 당해 주벽부의 4모퉁이의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단벽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모퉁이부를 갖고,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금구는, 금속판제이고, 상기 단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단벽부의 벽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측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측벽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기부와 상기 측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적어도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모퉁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이러한 구성의 제1 발명에 있어서는, 보강 금구는, 기부와 측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되어 있다. 당해 연결부는 기부와 측판부의 양쪽에 직접 접속된 부분이기 때문에, 당해 연결부가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됨으로써, 하우징의 단벽부로부터의 기부의 벗어남 그리고 하우징의 측벽부로부터의 측판부의 벗어남의 양쪽이 동시에 방지된다. 그 결과, 하우징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하우징을 보강하여, 그 보강이 확실히 얻어진다. 또한, 보강 금구 자체에 착안하면, 기부와 측판부가 연결부에서 연결됨으로써, 기부 자체 그리고 측판부 자체의 강도가 향상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금구의 연결부는,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기부로부터 이행(移行)하는 이행부를 갖고 있고, 당해 이행부도 포함시킨 부분이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의 이행부가 굴곡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보강 금구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강도의 향상을 도모한 연결부가 이 이행부도 포함시켜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됨으로써, 당해 이행부가, 예를 들면 상대 커넥터와의 충돌 등에 기인하는 뜻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 변형하는 일이 없어져, 보강 금구 자체의 강도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금구의 기부는, 단벽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판면의 적어도 일부가 당해 단벽부의 상면에서 노정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부의 판면의 적어도 일부를 단벽부의 상면에서 노정시킴으로써,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당해 상대 커넥터의 충돌 등에 기인하는 뜻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단벽부의 상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금구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판면의 적어도 일부가 당해 단벽부의 외측면에서 노정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부의 판면의 적어도 일부를 단벽부의 외측면에서 노정시킴으로써, 상대 커넥터와의 충돌 등에 기인하는 뜻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단벽부의 외측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부가, 단벽부의 외측면을 따르고 있고, 당해 기부의 판면이 커넥터 저벽의 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길이 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당해 저벽(底壁)을 만곡시키게 되는 굽힘에 대하여 하우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금구는, 측판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우징의 측벽부의 상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안내부를 갖고 있고, 당해 측방 안내부는, 커넥터 폭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과 함께 상기 측벽부의 상면으로부터 노정한 판면을,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를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한 측방 안내면으로서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방 안내부가 측벽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노정한 측방 안내면을 갖고 있고, 당해 측방 안내면이 커넥터 폭 방향 안쪽으로 향하고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를 당해 측방 안내면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수용부로 안내할 수 있음과 함께, 측벽부의 상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금구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단벽부의 상면을 따라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단(端) 안내부를 갖고 있고, 당해 단 안내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과 함께 상기 단벽부의 상면으로부터 노정한 판면을,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를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한 단 안내면으로서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 안내부가 단벽부의 상면으로부터 노정한 단 안내면을 갖고 있고, 당해 단 안내면이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를 당해 단 안내면에 의해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수용부로 안내할 수 있음과 함께, 또한, 단벽부의 상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금구는, 측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고, 당해 고정부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땜납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가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의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고정부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측벽부의 외측면의 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크게 연장 돌출시키는 일 없이, 땜납 고정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제2 발명>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주벽부를 갖고, 당해 주벽부는,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벽부와, 당해 주벽부의 4모퉁이의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단벽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모퉁이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금속판제이고, 상기 단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단벽부의 벽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측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측벽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측벽부의 하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실장면 상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기부와 상기 측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적어도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모퉁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제2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자에 보강 금구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2 발명에 있어서는, 단자는, 기부와 측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되어 있다. 당해 연결부는 기부와 측판부의 양쪽에 직접 접속된 부분이기 때문에, 당해 연결부가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됨으로써, 하우징의 단벽부로부터의 기부의 벗어남 그리고 하우징의 측벽부로부터의 측판부의 벗어남의 양쪽이 동시에 방지된다. 그 결과, 하우징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하우징을 보강하여, 그 보강이 확실히 얻어진다. 또한, 단자 자체에 착안하면, 기부와 측판부가 연결부에서 연결됨으로써, 기부 자체 그리고 측판부 자체의 강도가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강 금구 혹은 단자에 있어서 기부와 측판부의 양쪽에 직접 접속된 부분인 연결부가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되어 있어, 당해 하우징의 단벽부로부터의 상기 기부의 벗어남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로부터의 상기 측판부의 벗어남의 양쪽이 동시에 방지되기 때문에, 하우징으로부터의 보강 금구 혹은 단자의 벗어남이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 그 결과, 하우징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하우징을 보강하여, 그 보강이 확실히 얻어진다. 또한, 보강 금구 혹은 단자 자체에 착안하면, 기부와 측판부가 연결부에서 연결됨으로써, 보강 금구 혹은 단자의 기부 그리고 측판부의 강도가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receptacle)과 플러그(plug)의 사시도로서, (A)는 양 커넥터의 접속 전, (B)는 접속 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생략하고 단자와 보강 금구만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커넥터의 접속 전의 상태, (B)는 접속 후의 상태이다.
도 3은 플러그의 사시도로서, (A)는 도 1(A)의 플러그를 상하 반전한 자세로 나타내고, (B)는 하우징을 생략하고 단자와 보강 금구만을 나타낸다.
도 4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리셉터클의 단벽부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로서, (A)는 커넥터 접속 전, (B)는 접속 후를 나타낸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보강 금구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 전기 커넥터(이하 「리셉터클」이라고 함)와 이에 접속시키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전기 커넥터(이하 「플러그」라고 함)를 접속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접속 후의 사시도이고, 도 2(A), (B)는 도 1(A), (B)에 각각 대응하고 있지만, 하우징을 생략하고 단자와 보강 금구만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 도 3(A)는 도 1(A)에 있어서의 플러그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그 하우징을 생략하고 단자와 보강 금구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따라서, 도 3(A)는 도 1(A)에 나타나 있는 플러그만을 상하 반전하여 나타내고 있는 것이 된다. 도 4는, 커넥터 길이 방향(커넥터의 긴 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커넥터의 짧은 쪽 방향)에서의 리셉터클의 단벽부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으로서, 도 4(A)에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접속 전, 도 4(B)는 접속 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서, 부호 1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 당해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리셉터클이고, 그 상방에 나타나 있는 것은, 당해 리셉터클(1)로의 접속 전의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2)이다.
리셉터클(1)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개구하는 전기 절연재제의 바닥이 있는 하우징(10)과, 이것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단자(20) 및 보강 금구(30)를 갖고 있다.
하우징(10)은, 단자(20) 및 보강 금구(30)를 지지하도록 전기 절연 재료로 일체 성형으로 만들어져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저벽부(11)와, 당해 저벽부(11)의 주연으로부터 기립하고, 상방으로 개구하는 사각틀 형상의 주벽부(12)와, 당해 주벽부(12) 내에서 기립하고 섬 형상으로 위치하는 중앙 돌출벽부(13)를 갖고 있고, 이 주벽부(12)와 중앙 돌출벽부(13)의 사이에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2)를 끼워맞춤 수용하는 수용부(12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주벽부(12)는 커넥터 길이 방향(즉 하우징(10)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4)와,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부(15)와, 측벽부(14)의 단부와 단벽부(15)의 단부를 연결하고, 주벽부(12)의 4개의 모퉁이에 위치하는 모퉁이부(16)를 갖고 있다.
또한, 주벽부(12) 내에 형성된 중앙 돌출벽부(13)는, 상기 측벽부(14)와 평행하게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술의 단자(20)와 보강 금구(30)의 배열 범위를 포함한 길이로 되어 있다. 당해 중앙 돌출벽부(13)의 높이(저벽부(11)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의 치수)는, 주벽부(12)보다도 약간 낮게 되어 있지만, 주벽부(12)와 동일한 높이라도 좋다.
중앙 돌출벽부(13)에는, 그 외면에 후술의 단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주벽부(12)에는, 금속판제의 단자(20) 그리고 보강 금구가 일체 성형되어 지지되어 있지만, 일체 성형이 아니라 끼워붙임 부착시에는 이들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단자 지지홈이 주벽부(12) 그리고 중앙 돌출벽부(13)에 형성된다. 이하, 단자(20) 그리고 보강 금구(30)를 설명한다.
단자(2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당해 단자(20)는, 신호 단자(21)와 전원 단자(26)로 이루어져 있고 각 측벽부(14)에 대하여, 도시의 예에서는 신호 단자(21)는 3개, 전원 단자(26)는 신호 단자(21)의 배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 양 외측에서 인접하고 있고 2개 형성되고, 보강 금구(30)는 각 단벽부(5)에 대하여 하나 형성되어 있다. 신호 단자(21) 그리고 전원 단자(26)는, 서로 그 형상을 달리하고 있지만, 사용에 있어서, 어느 것을 신호 단자로서 이용해도 좋고, 전부를 신호 단자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단자(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지지되거나, 혹은, 하우징(10)의 지지부로의 부착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의 단자(20)가 배열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신호 단자(21) 또는 전원 단자(26)가 1개만 형성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라도 적용 가능하다.
신호 단자(21)는, 도 2(A),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22), 하우징(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접속부(23) 그리고, 주벽(12) 내에 위치하는 탄성 아암부(24)를 갖고, 피지지부(22)로부터 접속부(23) 그리고 탄성 아암부(2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신호 단자(21)의 피지지부(22)는, 측벽부(14)에서 지지되는 역 U자 형상의 측벽 피지지부(22A)와 당해 측벽 피지지부(22A)의 내단으로부터 저벽부(11)의 면을 따르는 저벽 피지지부(22B)를 갖고 있다. 상기 측벽 피지지부(22A)는, 측벽부(14)의 내외측면 그리고 상면을 따른 역 U자 띠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당해 측벽 피지지부(22A)는, 측벽부(14)의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부분의 내면(수용부(12A)로 향하여 노정하는 판면)에는, 사각형의 몰입부가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2)의 대응부에 걸어 고정하는 로크부(22A-1)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14)의 외측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부분은, 측벽부(14)의 두께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반부 전체가 측벽부(14) 내에 매설되어 있다.
측벽 피지지부(22A)로부터 연장되는 저벽 피지지부(22B)는, 저벽부(11)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고 평탄면을 형성하고, 앞쪽의 탄성 아암부(24)로 향하여 안쪽측이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측벽 피지지부(22A)와 저벽 피지지부(22B)를 갖는 피지지부(22)는, 하우징(10)의 측벽부(14)의 면과 저벽부(11)의 상면으로부터 피지지부의 판두께만큼 함몰하여 하우징(10)과의 일체 성형으로 지지되어 있고, 당해 피지지부(22)와 측벽부(14) 그리고 저벽부(11)는 동일 레벨의 면을 형성하고 있다.
접속부(23)는, 측벽 피지지부(22A)가 측벽부(14)의 외측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단에서 굴곡되어 하우징(10)의 저벽부(11)의 저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접속부(23)는, 저벽부(11)의 측벽부(14)의 하면에 위치하고, 회로 기판에 접면하여 당해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지지부(22)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안쪽으로 연장 돌출하는 탄성 아암부(24)는, 피지지부(22)의 측벽 피지지부(22A) 중 측벽부(14)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내측 부분 그리고 저벽 피지지부(22B)와 서로 작용하여 U자 형상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탄성 아암부(24)는, 상기 저벽 피지지부(22B)의 안쪽 단 위치로부터 기립하고, 상단을 향하여 끝이 가늘게 되어 있고, 상단의 자유단 근방에서 측벽부(14)를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 만곡한 접촉부(24A)를 갖고,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당해 탄성 아암부(24)는, 가로 방향, 즉 측벽부(14)에 대향하는 방향(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탄성을 갖고 있다. 탄성 아암부(24)는, 하우징(10)의 중앙 돌출벽부(13)의 측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단자 수용홈(18)에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탄성 변위를 하고 있지 않는 자유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부(24A)만이 당해 단자 수용홈(18)으로부터, 즉, 중앙 돌출벽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원 단자(26)는, 2종의 전원 단자(26'와 26")가 형성되어 있다. 제1종의 전원 단자(26')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의 신호 단자(21)와 동일 종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위는 단자 폭이 접촉부(29'A)를 제외한 측벽 피지지부(27'), 접속부(28'), 탄성 아암부(29')가 신호 단자(21)의 대응 부분보다 넓게 되어 있는 것이다.
제2종의 전원 단자(26")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1종의 전원 단자(26')를 지지하고 있는 측벽부(14)에 대향하는 다른 측벽부(14)에 지지되어 있고, 동 방향에서 상기 제1종의 전원 단자(26')에 대향하고 있다. 당해 제2 전원 단자(26")는, 제1종의 전원 단자(26')의 탄성 아암부(29')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제1종의 전원 단자(26')와 동일하다. 제2종의 전원 단자(26")는, 상기 탄성 아암부(29')를 대신하여, 보강부(29")를 갖고 있다. 당해 보강부(29")는, 저벽 피지지부의 내측단으로부터 기립하는 측부(29"A)와, 당해 측부(29"A)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커넥터 폭 방향으로 굴곡된 수평부(29"B)와, 나아가서는 당해 수평부(29"B)의 측단으로부터 수하(垂下)하도록 굴곡된 단부(29"C)를 갖고 있다. 상기 측부(29"A)는 하우징(10)의 중앙 돌출벽부(13)의 측면에, 수평부(29"B)는 중앙 돌출벽부(13)의 상면에, 그리고 단부(29"C)는 중앙 돌출벽부(13)의 단면에 밀착하고 있고, 모두, 중앙 돌출벽부(13)의 면에 당해 보강부(29")의 판두께만큼 함몰하여 하우징(10)과의 일체 성형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보강부(29")와 중앙 돌출벽부(13)는 동일 레벨의 면을 이루고 있어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전원 단자(26)는 제2종의 전원 단자(26")로 하우징(10)의 중앙 돌출벽부(13)를 보호하면서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단자(26)는, 제1종의 전원 단자(26')에 있어서는, 접촉부(29'A)와 측벽 피지지부(27')의 측벽부(14)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내측 부분의 사이에서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2)의 대응 전원 단자에 대하여 협압(挾壓) 접촉한다. 한편, 제2종의 전원 단자(26")에 있어서는, 측부(29"A)와 다른 한쪽의 측벽부(14)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피지지부(22")의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2)의 대응 전원 단자에 대하여 협압 접촉한다.
상기 단자(20)(신호 단자(21)와 전원 단자(26))의 배열 범위 외에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진 보강 금구(30)가 하우징(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보강 금구(30)는, 하우징(10)의 단벽부(15)의 벽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31)와, 측벽부(14)의 측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판부(32)와, 상기 기부(31)와 측판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고 있다. 연결부(3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판부(32)쪽 부분과 기부(31)쪽 부분에서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평탄 부분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기부(31)로부터 상기 평탄 부분으로 이행하는 이행부(33A)를 갖고 있다.
하우징(10)의 측벽부(14)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측판부(32)로부터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측판부(32)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굴곡되고 하우징(10)의 저면을 따라 위치하는 고정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고정부(34)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으로, 그 대부분이 하우징(10)의 저면의 범위 내에 있고, 도 1(A),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근소하게 하우징(10) 외로 돌출하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34)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10)의 바깥쪽으로 크게 연장 돌출시키는 일 없이, 땜납 고정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측판부(32)의 상단으로부터는,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굴곡되고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상승 구배(즉, 커넥터 폭 방향 안쪽을 향하여 하강 구배)의 측방 안내부(35)를 갖고, 당해 측방 안내부(3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하우징(10)의 측벽부(14)의 외면을 따르도록 굴곡된 외측 수하부(36)를 갖고 있다. 측방 안내부(35) 및 외측 수하부(36)는, 판두께만큼 함몰하여 측벽부(14)에 지지되어 있고, 측방 안내부(35) 및 외측 수하부(36)의 표면과 동일 레벨면을 이루고 있다. 측방 안내부(35)의 상면, 즉 커넥터 폭 방향 안쪽을 향하여 하강 구배를 이루고 측벽부(14)로부터 노정한 판면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 플러그(2)를 수용부(12A)로 향하여 안내하기 위한 측방 안내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측판부(32)에서 외측 수하부(36)까지 이르는 부분은, 하우징(10)의 측벽부(14)를 걸치도록 하여 당해 측벽부(14)에 지지되는 역 U자 형상의 피지지부(37)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기부(31)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는,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곡면(38A)을 갖고 하방으로 굴곡된 단 안내부(38)가 연장되어 있다. 당해 단 안내부(38)는 상기 곡면(38A)과 하방으로 직상(直狀)으로 연장되는 내측 수하부(38B)를 갖고 있다. 단 안내부(38)는, 판두께보다 약간 작은 치수 분(分) 만큼 함몰하여 단벽부(15)에 지지되어 있고, 단벽부(15)의 상면의 안쪽 영역(수용부(12A)측에 위치하는 경사면) 및 당해 단벽부(15)의 내측면(수용부(12A)측의 측면)보다 약간 돌출하고 있다. 단 안내부(38)는, 주로 상기 곡면(38A)이,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플러그(2)를 수용부(12A)로 향하여 안내하기 위한 단 안내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수하부(38B)는, 하우징(10)의 제2종의 전원 단자(26")의 단부(29"C)와 대면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강 금구(30)는, 기부(31), 연결부(33), 피지지부(37) 그리고 단 안내부(38)가 하우징(10)에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31)와 측판부(32)의 양쪽에 직접 접속된 부분인 연결부(33)가 하우징(10)의 모퉁이부(16)에 매설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단벽부(15)로부터의 기부(31)의 벗어남 그리고 하우징(10)의 측벽부(14)로부터의 측판부(32)의 벗어남의 양쪽을 동시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0)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당해 하우징(10)을 확실히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 금구(30) 자체에 착안하면, 기부(31)와 측판부(32)가 연결부(33)로 연결됨으로써, 기부(31) 자체 그리고 측판부(32) 자체의 강도가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33) 전체가 매설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충분한 강도로 지지되어 있으면, 당해 연결부(33)의 일부만이 하우징(10)에 매설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33)는, 이행부(33A)를 포함시킨 연결부(33) 전체가 상기 하우징(10)의 모퉁이부(16)에 매설 지지되어 있다. 이 연결부(33)의 이행부(33A)가 굴곡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보강 금구(30) 자체의 강도가 향상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강도의 향상을 도모한 연결부(33)가 이 이행부(33A)도 포함시켜 하우징(10)의 모퉁이부(16)에 매설 지지됨으로써, 하우징(10)에 의한 보강 금구(30)의 지지는 매우 강하게 된다. 또한, 이행부(33A)가, 예를 들면 플러그(2)와의 충돌 등에 기인하는 뜻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 변형하는 일이 없어져, 보강 금구(30) 자체의 강도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의 본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1)에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2)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플러그(2)는, 전기 절연재제의 하우징(40)과, 이것에 의해 지지되는 단자(50)와, 그리고 보강 금구(60)를 갖고 있다.
하우징(40)은, 도 1(A),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벽부(41)의 주연으로부터 기립하는 사각틀 형상의 주벽부(42)를 갖고, 이 주벽부(42)에 단자(50), 보강 금구(60)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0)은, 주벽부(42)의 외주면이 리셉터클(1)의 주벽부(12)의 내주면에, 그리고 주벽부(42)의 내주면이 리셉터클(1)의 중앙 돌출벽부(13)의 외주면에 각각 안내 그리고 끼워맞춤하여, 상기 리셉터클(1)의 수용부(12A) 내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벽부(42)는 측벽부(43)와, 측벽부(43)의 단부를 연결하는 단벽부(44)를 갖고 있다.
단자(50)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신호 단자로서 이용된다. 당해 단자(50)는, 도 3(A),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43)에 지지되는 역 U자 형상의 피지지부(51)와 접속부(52)를 갖고 있다. 당해 단자(5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리셉터클(1)의 신호 단자(21)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지지부(51)는, 상기 측벽부(43)의 상면에 위치하는 굽힘부(51A)와, 측벽부(43)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하부(51B)와, 측벽부(43)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내측 수하부(51C)를 갖고, 당해 내측 수하부(51C)의 하단으로부터 굴곡된 접속부(52)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40)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 돌출하고 있다. 당해 접속부(52)는, 도 1(A),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40)의 저면에 위치하고, 당해 하우징(40)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땜납 접속된다. 상기 굽힘부(51A)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단(段) 형상으로 그 폭을 좁히고 있다. 당해 굽힘부(51A)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외측 수하부(51B)는, 하단(자유단)측 부분이 판두께 방향으로 압궤되어 얄팍하게 되어 있고, 얄팍한 부분과 두툼한 부분(압궤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는 단부가 로크부(51B-1)를 이루고 있다.
보강 금구(60)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보강 금구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당해 보강 금구(60)는, 측벽부(43)에 의해 지지되는 측(側)금구부(61)와, 저벽부(41)를 따라 측금구부(61)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부(62)와, 단벽부(44)에 의해 지지되는 단(端)금구부(64)와, 당해 측금구부(61)와 단금구부(64)를 연결하는 연결부(63)를 갖고, 양자 모두 보강 그리고 전원 단자의 기능을 갖고 있다.
측금구부(61)는, 커넥터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50)에 인접되어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리셉터클(1)의 전원 단자(26)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측금구부(61)는, 전술의 단자(50)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폭 치수가 단자(50)보다 넓은 것에 있어서 단자(50)의 피지지부(51)와 상위하지만, 다른 것은 동일하다. 즉, 측금구부(61)는, 굽힘부(61A)와, 로크부(61B-1)가 형성된 외측 수하부(61B)와, 내측 수하부(61C)를 갖고 있다. 또한, 접속부(62)는, 내측 수하부(61C)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접속부(62)는 단자(50)의 접속부(52)보다 폭이 넓고, 또한, 짧아져 있다.
단금구부(64)는, 단자(50)나 상기 측금구부(61)와 동일하게, 굽힘부(65A), 외측 수하부(65B), 내측 수하부(65C)를 구비한 피지지부(65)와, 접속부(66)를 갖고 있다. 당해 단금구부(64)는 전체적으로 상기 측금구부(61)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단금구부(64)의 일부가 하우징(40)에 매설되어 있고 단벽(44)의 내면(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벽면)에 나타나지 있지 않고, 잔부가 외면으로 노출하고 있어 하우징(40)의 외면과 거의 동일 레벨을 이루고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사용 요령을 도 1 및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리셉터클(1)과 플러그(2)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리셉터클(1)의 보강 금구(30)의 피지지부(37)의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접속 전, (B)는 커넥터 끼워맞춤 접속 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2)를 리셉터클(1)의 상방에 위치시킨 후(도 4(A)도 참조),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플러그(2)를 그대로 강하시켜 리셉터클(1)로 끼워맞춤시킨다(도 4(B)도 참조). 이 끼워맞춤에 의해, 리셉터클(1)의 신호 단자(21) 그리고 전원 단자(26)는, 상대방인 플러그(2)의 대응하는 (신호)단자(50) 그리고 보강 금구(60)의 측금구부(61)와 각각 접촉하여, 빠짐 방지의 로크가 이루어진다. 그때, 플러그(2)의 보강 금구(60)는, 보강 금구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보강 금구(3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부재에 대해서, 전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와 대응하는 부분에, 전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전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금구(30)는, 기부(31)가 하우징(10)의 단벽부(15)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나는 보강 금구(30)는, 기부(31)가 상기 단벽부(15)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33)는, 상면 및 하면을 판두께면으로 한 자세에서 당해 연결부(33) 전체가 하우징(10)의 모퉁이부(16)에 의해 매설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우징(10)의 단벽부(15)로부터의 기부(31)의 벗어남 그리고 하우징(10)의 측벽부(14)로부터의 측판부(32)의 벗어남의 양쪽이 동시에 방지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당해 하우징(10)을 확실히 보강할 수 있다. 또한, 기부(31)와 측판부(32)가 연결부(33)로 연결됨으로써, 기부(31) 자체 그리고 측판부(32) 자체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기부(31)는 단벽부(15)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관계상, 회로 기판면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갖기 때문에, 커넥터 길이 방향을 축선으로서 이 축선주위에 리셉터클(1)이 만곡 휨(커브)을 발생시키게 되는 외력 혹은 응력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하게 되어, 변형의 방지로 이어진다. 또한, 기부(31)가 단벽부(15)의 외측면으로부터 노정하고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기부(31) 전체가 단벽부(15) 내에 매설되어 있어도 좋다.
나가아서는, 상기 기부(31)는 단벽부(15)의 외측면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당해 기부(31)로부터 단 안내부(38)가 단벽부(15)의 내측면으로 향하여 연장되게 되는 관계상, 당해 단 안내부(38)가 단벽부(15)의 상면을 덮게 된다. 따라서, 기부(31)가 단벽부(15)의 상면이 아니라 외측면에 위치하게 되어도, 당해 단벽부(15)의 상면은, 기부를 대신하여 상기 단 안내부(38)에 의해 보호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1)의 보강 금구(30)는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2)와의 로크를 위한 로크부를 갖고 있지 않지만, 이를 대신하여, 당해 보강 금구(30)는 당해 로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측판부(32)나 단 안내부(38)의 내측면(하우징(10)의 수용부(12A)를 향하여 노정하는 판면)에 상기 로크부로서 돌부, 오목부 혹은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플러그(2)에는, 상기 로크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당해 로크부와 걸어 고정하기 위한 피로크부로서, 예를 들면, 돌부(突部), 오목부 혹은 단부가 형성된다. 당해 피로크부는, 예를 들면, 하우징(40)이나 당해 하우징(40)에 지지되는 금구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1)의 보강 금구(30)는 단자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지만, 이를 대신하여, 당해 보강 금구(30)는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보강 금구(30)를 전원 단자로서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 단자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이때, 리셉터클(1)을 전원용 커넥터로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호 단자를 형성할 필요도 없어진다. 이 결과,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소형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수가 줄어드는 분만큼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보강 금구(30)를 단자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러그(1)에는 당해 보강 금구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대 단자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보강 금구(30)를 단자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상대 커넥터와의 로크를 위한 로크부를 당해 보강 금구(30)에 형성해도 좋다.
10 : 하우징
12 : 주벽부
12A : 수용부
14 : 측벽부
15 : 단벽부
16 : 모퉁이부
20 : 단자
30 : 보강 금구
31 : 기부
32 : 측판부
33 : 연결부
33A : 이행부
34 : 고정부
35 : 측방 안내부
38 : 단 안내부

Claims (8)

  1.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커넥터 삽발(揷拔) 방향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지지되는 단자 및 보강 금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주벽부(周壁部)를 갖고, 당해 주벽부는,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벽부(端壁部)와, 당해 주벽부의 4모퉁이의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단벽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모퉁이부를 갖고,
    상기 보강 금구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금구는, 금속판제이고, 상기 단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단벽부의 벽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측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측벽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기부와 상기 측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적어도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모퉁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 금구의 연결부는,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기부로부터 이행하는 이행부를 갖고 있고, 당해 이행부도 포함시킨 부분이 하우징의 모퉁이부에 매설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강 금구의 기부는, 단벽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판면의 적어도 일부가 당해 단벽부의 상면에서 노정(露呈)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강 금구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판면의 적어도 일부가 당해 단벽부의 외측면에서 노정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금구는, 측판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우징의 측벽부의 상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안내부를 갖고 있고, 당해 측방 안내부는, 커넥터 폭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과 함께 상기 측벽부의 상면으로부터 노정한 판면을,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를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한 측방 안내면으로서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금구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단벽부의 상면을 따라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단(端) 안내부를 갖고 있고, 당해 단 안내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과 함께 상기 단벽부의 상면으로부터 노정한 판면을,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를 수용부로 안내하기 위한 단 안내면으로서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금구는, 측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고, 당해 고정부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땜납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8.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주벽부를 갖고, 당해 주벽부는,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벽부와, 당해 주벽부의 4모퉁이의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단벽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모퉁이부를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금속판제이고, 상기 단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단벽부의 벽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측벽부의 위치에서 당해 측벽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내측 하단으로부터 측벽부의 하면을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실장면 상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기부와 상기 측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적어도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모퉁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70024749A 2016-03-11 2017-02-24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70106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8627 2016-03-11
JP2016048627A JP2017162774A (ja) 2016-03-11 2016-03-11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99A true KR20170106199A (ko) 2017-09-20

Family

ID=5982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749A KR20170106199A (ko) 2016-03-11 2017-02-24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162774A (ko)
KR (1) KR20170106199A (ko)
CN (1) CN1071810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81A (ko) * 2018-08-24 2020-03-0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20210025562A (ko) * 2018-12-27 2021-03-09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3337B2 (ja)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9038052B (zh) * 2018-08-25 2024-04-16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JP7309370B2 (ja) *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7188465B2 (ja) * 2019-02-07 2022-1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の検査方法
US11424565B2 (en) * 2019-11-05 2022-08-23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air
JP7388958B2 (ja) * 2019-11-05 2023-11-2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US11411333B2 (en) * 2019-11-05 2022-08-09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JP2022015752A (ja) * 2020-07-09 2022-01-21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3694B2 (ja) *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4239002A (ja) * 2013-06-10 2014-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20168B2 (ja) * 2013-06-25 2017-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81A (ko) * 2018-08-24 2020-03-0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KR20210025562A (ko) * 2018-12-27 2021-03-09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KR20210154131A (ko) * 2018-12-27 2021-12-20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US11431132B2 (en) 2018-12-27 2022-08-30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81076A (zh) 2017-09-19
JP2017162774A (ja)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6199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6034339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92111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811248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9397423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552941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5972855B2 (ja) 電気コネクタ
JP5809198B2 (ja)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KR10217822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176880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1077462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7309370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101552942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KR101738337B1 (ko) 커넥터
JP2005158630A (ja) 電気コネクタ
KR20210042622A (ko) 기판용 커넥터의 터미널 구조
JP6041949B2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US11202381B2 (en) Connection device
JP6259003B2 (ja) 回路基板用プラグ電気コネクタ
JP2012243598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110002790U (ko) 커넥터 어셈블리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20190044922A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