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880B1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880B1
KR101176880B1 KR1020107012485A KR20107012485A KR101176880B1 KR 101176880 B1 KR101176880 B1 KR 101176880B1 KR 1020107012485 A KR1020107012485 A KR 1020107012485A KR 20107012485 A KR20107012485 A KR 20107012485A KR 101176880 B1 KR101176880 B1 KR 10117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ard
locking
p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364A (ko
Inventor
료따로 다께우찌
다이찌 다니구찌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제1 상호 체결 가능한 커넥터 및 제2 상호 체결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커넥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복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된 제1 평면 강화 로킹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되고 상기 제1 평면 강화 로킹 브라켓과 체결하는 구조로 된 제2 평면 강화 로킹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대 기판 커넥터 {BOARD-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별하게는 향상된 커넥터 로킹 및 접지 부재를 구비한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종종 서로에게 평행으로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상기 회로 기판 쌍의 상호 마주보는 면의 각각에 부착된 일 반부 또는 각각의 쌍을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커넥터 반부를 이에 대응하는 반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커넥터부의 양단부의 각각에 부착되는 강화 금속 브라켓이 로킹 부재로서 배열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234150호(Kokai사)).
도 14에 관하여, 제1 커넥터(801)는 제1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고, 제2 커넥터(901)는 제2 평행한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상기 제1 커넥터(801)는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 제1 하우징(811)에 설치된 복수의 제1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901)는 또한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 제2 하우징(911)에 수용된 복수의 제2 단자(96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801)가 상기 제2 커넥터(901)와 체결하여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961)에 연결되고 상기 도시된 조립체를 형성하므로, 다음으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서로 연결된다.
강화 금속 브라켓(851)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종축 방향(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하우징(811)의 양단부의 우측 및 좌측에 부착된다. 상기 강화 금속 브라켓(851)은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솔더링된 미부(852;tail portion), 상기 제1 하우징(811)에 형성된 슬릿(815)에 위치한 보유부(853;retention part) 및 그 팁 단부에 형성된 돌기(855)를 가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로킹부(8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801) 및 상기 제2 커넥터(901)가 함께 체결될 때, 상기 로킹부(854)의 돌기(855)는 상기 제2 하우징(911)의 측면에 형성된 로킹 수용부(915)에 결합한다. 이로써 상기 제1 커넥터(801) 및 상기 제2 커넥터(901)를 서로 로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통상적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에서 직면하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신뢰성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의 삽입 리셉터클부(insertion receptacle portion)의 양측에 고정되고 제1 로킹부 및 제1 접지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주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주 본체의 쌍은 커넥팅 바아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커넥터에 부착된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그에 부착된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을 구비한다.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은 한 쌍의 제2 로킹부를 연결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제2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본체부는 제2 하우징의 삽입 플러그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은 강한 로킹 힘을 발휘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보장한다. 또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은 접지 단자로서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별도의 접지 단자를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은 강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의 연결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제1 단자가 배열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인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이 삽입 리셉터클부 내에 배열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삽입 리셉터클부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제공을 제공한다.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체결되는 구조로 되고 내부에 제2 단자가 배열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제2 하우징을 가진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양단부에 연결된 삽입 플러그부는 상기 삽입 리셉터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고 상기 삽입 플러그부로 인해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이 상기 삽입 플러그부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은 상기 삽입 리셉터클부의 양측의 측벽부에 있는 각각의 제1 본체부 및 양측의 상기 제1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 막대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각각은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 중 하나의 제2 로킹부와 접촉 및 결합하는 구조로 된 제1 로킹부를 포함한다. 제1 접지부가 기판으로의 접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접지부의 일 단부에 연결된 고정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상기 제1 접지부의 일 단부에 연결된 제1 로킹부와 함께 상기 측벽부의 하부 단부에 형성된 브라켓 고정부를 양측으로부터 핀치(pinch)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서, 상기 고정 아암부는 상기 제1 로킹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킹부는 상기 고정 아암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에서, 상기 제1 로킹부는 상기 제2 로킹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돌기보다 자유단에 더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에서, 상기 연결 막대형 부분은 아래로 돌출된 볼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삽입 리셉터클부의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제1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각각은 상기 제1 로킹부 및 상기 제1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본체부는 상기 커넥팅 바아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커넥터에 장착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상기 제2 커넥터에 부착되는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은 한 쌍의 제2 로킹부를 연결하는 상기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플러그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이 강한 로킹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께 체결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체결 상태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은 접지 단자로서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별도의 접지 단자를 제공할 필요가 없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에 대응하는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신뢰성 있는 성능을 보장한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제1 상호 체결 가능 커넥터 및 제2 상호 체결 가능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내부에 중앙 돌출부를 구비한 긴 삽입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격된 제1 측벽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인 제1 하우징을 가진다. 복수의 제1 단자 수용 공동은 상기 제1 하우징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제1 로킹 수용 공동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1 단자는 각각의 제1 단자가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되어 제공되고, 제1 강화 로킹 브라켓은 상기 제1 로킹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된다.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은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된 평면의 부재이고 한 쌍의 제1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의 각각은 상기 삽입 리셉터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 중 하나에 고정되고,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본체부를 상호 연결한다. 각각의 제1 본체부는 제1 로킹 아암 및 제1 회로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제1 기판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체결하는 구조로 되고, 사이에 긴 채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격된 제2 측벽을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인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조로 된다. 상기 채널은 상기 제1 커넥터의 중앙 돌출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구조로 된다. 복수의 제2 단자 수용 공동은 상기 제2 하우징을 따라 이격되고 제2 로킹 수용 공동은 상기 제2 하우징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2 단자는 상기 제2 단자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단자 중 하나와 작동식으로 체결하는 구조로 된다.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은 상기 제2 로킹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된다.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은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된 평면의 부재이고, 한 쌍의 로킹부, 상기 제2 로킹 브라켓을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보유 섹션 및 제2 회로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제2 기판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부의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함께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의 제1 로킹 아암 중 하나에 로킹식으로(lockingly) 결합하는 구조로 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제1 본체부의 각각은 상기 제1 접지부의 일 단부에 연결된 제1 보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유부 및 각각의 제1 본체부의 상기 제1 로킹 아암의 일부는 상기 제1 측벽 중 하나의 양측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 중 하나의 양측에 결합하는 상기 제1 로킹 아암의 일부 및 상기 보유부는 상기 측벽의 외부 에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유부는 상기 제1 로킹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로킹부는 상기 보유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로킹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 중 하나의 로킹부 중 하나에 결합하기 위한 편향 가능한 로킹 아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상기 제1 로킹부는 상기 로킹 돌기보다 상기 제1 로킹부의 자유단에 더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1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 돌기는 상기 고정 돌기에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로킹 아암 중 하나와 결합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그 에지에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종축을 가지고 상기 강화 로킹 브라켓은 상기 종축을 따라 두께를 가진다. 상기 두께는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 및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이 스탬핑된 금속판과 같은 두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 및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은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 및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이 스탬핑된 금속판과 같은 두께를 가진 평면에서 함께 체결된다.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삽입 리셉터클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채널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의 연결 부재는 상대적으로 좁으며 편향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제1 로킹 아암은 편향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의 상기 로킹부는 편향 가능한 아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 보유 섹션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측벽 사이의 중앙 보어를 통해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양측의 상기 제1 본체부의 강도 및 상기 강화 금속 브라켓의 끼움력이 강화된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은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로 끼워지는 것을 견고하게 하는 충분히 강한 로킹 힘을 나타낸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은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이 상기 제1 커넥터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이로써 신뢰성이 향상되게 강하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은 또한 접지 단자로서 작용하고 따라서 별도의 접지 단자를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는 비용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접지부의 일 단부에 연결된 고정 아암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아암부는 상기 제1 접지부의 일 단부에 연결된 제1 로킹부와 함께 상기 제1 하우징의 단측벽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브라켓 고정부를 양측으로부터 핀치한다. 따라서 상기 단측벽부는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상기 커넥팅 바아는 아래로 돌출된 볼록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커넥팅 바아의 강도가 강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함께 체결된 한 쌍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상부에서 본 도 1의 상기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서 본 도 1의 상기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관점에서 본 상기 제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상부에서 본 도 2의 상기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서 본 도 2의 상기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상기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관점에서 본 상기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체결되기 이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강화 금속 브라켓을 도시하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과 유사하지만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함께 체결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함께 체결되기 이전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들의 단자를 도시하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와 유사하지만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함께 체결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통상적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강화 금속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9에 관하여, 제1 커넥터(1)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표면 장착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의 반부이고 이하에 설명되는 제1 기판(91)의 표면에 장착되는 구조로 된다. 제2 커넥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표면 장착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다른 반부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 기판(191)의 표면에 장착되는 구조로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91) 및 제2 기판(191)을 상기 2개의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 기판(91) 및 제2 기판(191)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사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지만, 어떤 종류의 기판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각각의 부분의 이동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방향의 표현은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이다. 상기 표현들은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각각이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적절하다. 그러나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표현들은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는 합성 레진과 같은 절연 물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로서 제1 하우징(11)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부로서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커넥터(101)가 삽입되는 표면, 즉 체결 표면(도 1 내지 도 3에서 상부면)은 상기 제1 커넥터(1)의 외부면 또는 주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리셉터클부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넥터(1)는 예를 들어 길이 약 10mm, 폭 약 2.5mm 및 두께 약 1.0mm의 치수를 가지지만, 상기 치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중앙 돌출부 또는 립(13;rib)은 상기 커넥터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부 내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배치된다. 측벽부(14)는 상기 돌출부(13)에 평행으로 뻗어 있고, 상기 돌출부(13)의 양측에서 상기 제1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 예시에서, 상기 돌출부(13) 및 측벽부(14)는 상기 리셉터클부의 저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하고 상기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좁은 삽입 리셉터클부로서 좁은 오목한 그루브부(12)는 상기 돌출부(13) 및 상기 측벽부(14)의 각각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2)의 각각은 평면을 가지고, 이 평면들 중 하나는 하부 플레이트부(17)에 의해 닫혀서 고정 표면(도 1 내지 도 3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11)은 상기 장착 표면을 통해 상기 제1 기판(91)에 장착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단일 돌출부(13)가 배치되지만 복수의 또는 임의의 개수의 돌출부(13)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는 예를 들어 폭 약 0.6mm의 치수를 가지지만, 상기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오목한 그루브 형상을 각각 가진 제1 단자 수용 공동(15)은 측벽(14)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3)의 양측 및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2)의 저면으로 뻗어 있고 내부에 제1 단자(61)를 수용한다. 상기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돌출부(13)의 각각의 측면 및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2)의 저면에 약 0.4mm 피치로 형성된 20개의 제1 단자 수용 공동(15)이 있다. 상기 돌출부(13)의 양측의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15) 및 상기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는 상기 제1 단자(61)를 수용하는 일련의 그루브로서 협동적으로 기능한다.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15), 상기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 및 상기 제1 단자(61)의 피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되고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다. 제1 단자(61)는 상기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에 삽입되는 제1 보유부(63), 상기 제1 보유부(63)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고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제1 기판(91)의 도전성 트레이스에 결합된 연결 패드에 연결되는 구조로 된 제1 미부(62), 굽힘부를 통해 상기 제1 보유부(63)의 상부 단부에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U 형상인 제1 연결부(또는 탄성 빔)(64) 및 상기 제1 연결부(64)의 자유단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유부(63)를 향해 안쪽으로 뻗어 있는 제1 접촉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61)는 상기 끼움면이 위치한 측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15) 및 상기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보유부(63)는 상기 제1 하우징(11) 내에 제1 단자를 고정하기 위해 양측으로부터 대응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의 측벽(16a)에 의해 핀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11)의 단벽부(26;end wall part)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양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의 종축 방향을 가로질러 뻗어 있다. 각각의 단벽부(26)의 양단부는 측벽부로 형성된 단측벽부(22)를 통해 상기 측벽부(14)에 연결된다. 상기 오목부의 섹션은 그 종축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3)의 각각의 단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단벽부(26) 및 상기 단측벽부(22)에 의해 둘러싸여서 삽입 리셉터클부(21)를 형성한다. 다른 말로 하면, 양측의 상기 삽입 리셉터클부(21)는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2)의 각각의 단부의 외부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 리셉터클부(21)의 각각은 이하에 설명되는 상기 제2 커넥터(101)의 삽입 플러그부(121)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고, 내부에 제1 강화 금속 브라켓 또는 피팅 네일(51;fitting nail)을 영구적으로 수용한다.
도 10 및 도 11에 관하여,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얇은 연결 막대형 부분의 형상으로 된 커넥팅 바아(58;connecting bar)의 양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본체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또는 블랭킹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다. 상기 제1 본체부(52)는 마주한 삽입 리셉터클부(21)의 각각의 양단부에서 상기 단측벽부(2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본체부(52)는 일반적으로 J 형상이며 제1 로킹부(54), 제1 기판 장착부(56) 및 보유 아암(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로킹부(54)는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단부로부터 위로(상기 제1 커넥터(1)의 체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1 로킹부(54)의 상단부 또는 자유단 부근에 형성되고 다른 제1 본체부(5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진 제1 결합 돌기(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킹부(54)는 그 기저 단부 부근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돌기(55)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 로킹 돌기(54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킹 돌기(54a)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브라켓의 견부(24a)와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1 기판 장착부(56)는 다른 제1 본체부(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단부로부터 뻗어 있고, 상기 제1 기판 고정부(56)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7)의 하부면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 장착부(56)는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기판(91)의 접지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지 패드에 연결된다.
보유 아암(53)은 상기 제1 접지부(56)의 말단부로부터 위로 뻗어 있고, 상기 고정 아암부(53)의 상부 단부 또는 자유단 부근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로킹부(54)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 고정 돌기(53a)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돌기(53a)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의 외벽면에 파지하여(grippingly) 결합한다. 상기 보유 아암(53) 및 상기 제1 접지부(56)는 L 형상을 가진 단일 부재로 보일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아(58)는 그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돌출부(58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2개의 돌출부(58a)를 포함하지만, 오직 하나의 돌출부(58a)를 포함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돌출부(58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8a)의 각각의 크기와 위치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58a)는 적절한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리셉터클부(21)는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브라켓 수용 리셉터클부(23)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수용 리셉터클부(23)는 상기 보유 아암(53)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상기 단측벽부(22)의 외면에 형성된 외부 수용 섹션(23a), 상기 제1 로킹부(5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단측벽부(22)의 내부면에 형성된 내부 수용 섹션(23b) 및 상기 커넥션 바아(58)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7)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의 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 수용 섹션(23c)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101)는 합성 레진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 일체의 커넥터 본체로서 형성된 제2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11)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부재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하우징(111)의 예시적인 치수는 길이 약 10mm, 폭 약 1.5mm 및 두께 약 0.8mm이지만, 상기 치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11)은 상기 제1 커넥터(1)에 체결되는 구조로 된 면과 함께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면(도 6 및 도 8에서 상부면)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111)에 대한 종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 그루브부(113)는 하부 플레이트부 또는 하부 플레이트면(117)에 의해 닫혀서 상기 제2 기판(191)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면(도 6 및 도 8에서 하부면)을 형성하는 평면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에서 2개의 돌출부(112)가 배열되지만, 하나의 돌출부(112) 또는 임의의 개수의 돌출부(112)가 필요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13)는 예를 들어 폭 약 0.7mm의 치수를 가지지만, 상기 치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오목한 그루브 형상을 가진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는 상기 돌출부(112)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제2 단자(161)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상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0개의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가 예를 들어 각각의 돌출부(112) 및 그 상부에서 약 0.4mm의 피치를 가지고 배열된다. 상기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 및 제2 단자(161)의 피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도전성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되고 형성된 일체 부재이다. 제2 단자(161)는 상기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로 삽입되는 제2 보유부(163), 상기 제2 보유부(163)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고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제2 기판(191) 상의 도전성 트레이스에 결합된 연결 패드에 연결되는 구조로 된 제2 미부(162) 및 아래로 뻗은 굽힘부를 통해 상기 제2 보유부(163)의 상단부에 연결된 제2 접촉부(16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상기 체결면이 위치하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보유부(163)는 상기 제2 단자(161)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의 양측벽(116a)에 의해 핀치된다.
단벽부(121)는 상기 제2 하우징(111)의 양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을 가로질러 뻗어 있다. 상기 단벽부(121)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돌출부(112)에 연결된다. 단벽부(121)는 상기 2개의 커넥터들이 함께 체결될 때 상기 제1 커넥터(1)의 삽입 리셉터클부(21) 내로 삽입되는 구조로 된다.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 또는 피팅 네일(151)은 제2 본체부(152), 한 쌍의 제2 로킹부(154), 제2 접지부(156) 및 보유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은 블랭킹에 의해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된 일체의 M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은 그의 제2 본체부(152)가 상기 단벽부(121)에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로킹부(154)는 상기 제2 본체부(152)의 양 상단부의 견부(152a)에 연결된 L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17)와 평행하여 바깥으로 뻗어 있는 수평부(154a) 및 상기 수평부(154a)에 연결되고 아래로 뻗어 있는 수직부(154b)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로킹부(154)는 상기 수직부(154b)의 자유단 부근에서 형성된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제2 결합 아암 또는 돌기(15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 본체부(152)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돌기 또는 바브(barb)(153a)를 가진 보유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돌기(153a)는 상기 삽입 플러그부(121)에 형성된 브라켓 고정부(124)의 고정 견부(124a)와 결합하는 구조로 된다.
상기 제2 접지부(156)는 상기 보유부(153)의 하단부로부터 아래로 뻗어 있고,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서 제2 기판(191) 상의 접지 트레이스에 결합된 접지 패드에 연결된다.
브라켓 수용 리셉터클부(123)는 상기 단벽부(121)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을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브라켓 수용 리셉터클부(123)는 상기 제2 로킹부(154)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단벽부(121)의 양쪽 외측면과 상부에 형성된 외부 수용부(123a), 및 단벽부(121)을 통해 뻗어 있고 상기 고정 배럴부(153)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구조로 된 내부 수용부(123b)를 가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상기 브라켓 고정부(24) 및 상기 제1 본체부(52)의 각각의 제1 로킹부(54) 사이의 양측에서 억지 끼움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본체부(52)는 아래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1)으로 삽입되고 양측에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의 각각은 대응 고정 아암부(53) 및 제1 로킹부(54) 사이에 삽입되며, 따라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상기 제1 하우징(11)에 부착된다.
각각의 고정 아암부(53)의 상기 고정 돌기(53a)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의 외벽면에 결합하며 파지하고, 상기 제1 로킹부(54)의 고정 돌기(54a)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의 고정 견부(24a)와 결합한다. 따라서 심지어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에 대해 상기 제1 하우징(11)을 위로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에도, 상기 제1 하우징(11)은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각각의 측의 상기 브라켓 고정부(24)는 상기 제1 로킹부(54)의 고정 돌기(54a) 및 상기 고정 아암부(53)의 고정 돌기(53a)에 의해 핀치된다. 게다가, 상기 고정 돌기(54a) 및 상기 고정 돌기(53a)는 하나의 연속적인 플레이트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심지어 기울임 또는 진동과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의 측방향(도 10에서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의 힘이 상기 제1 하우징(11)에 가해질 때에도,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상기 제1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의 제1 접지부(56)를 상기 제1 기판(91)의 접지 패드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11)은 견고하고 움직이지 않게 상기 제1 기판(91)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접지부(56)의 하부면은 플랫형이고 따라서 넓은 영역에 걸쳐 상기 제1 기판(91) 상의 접지 패드와 접촉하며 연결되고, 이에 따라 큰 결합력이 상기 제1 접지부(56) 및 상기 제1 기판(91)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심지어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에 큰 힘이 가해질 때에도, 상기 제1 기판(91)으로부터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이 분리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접지부(56)의 말단부, 즉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반대편의 상기 제1 접지부(56)의 단부는 상기 단측벽부(22)의 외부면으로부터 안쪽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 접지부(56)는 상기 단측벽부(22)의 외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커넥터(1)의 치수 및 상기 제1 커넥터(1)를 상기 제1 기판(91)에 장착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착면의 폭의 치수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접지부(56)의 말단부에 연결된 상기 고정 아암부(53)는 또한 상기 단측벽부(22)의 외면의 오목한 외부 수용부(23a) 내에 수용된다. 이로써 상기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의 치수를 감소하는데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의 좌우 단측벽부(22)에 부착된 좌우 제1 본체부(52)는 상기 커넥팅 바아(58)에 의해 하나의 일체부가 되도록 함께 연결되고, 이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상기 좌우 제1 본체부(52)의 하나의 일체부 구조로 인해 상기 좌우 제1 본체부(52)는 상기 좌우 제1 본체부(52)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할 때 장착이 보다 정확하게 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서로 체결될 때 또는 상기 커넥터들이 함께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좌우 제1 본체부(52)는 확장되면서 자연적으로 구부러진 상태에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본체부(52)의 각각에 바깥쪽으로의 힘이 가해지고, 상기 힘은 상기 커넥팅 바아(58)에 연신 응력(elongation stress)를 유발한다. 상기 연신 응력은 또한 상기 제1 본체부(52)에도 작용한다. 이로써 상기 제1 본체부(52)를 크게 만들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커넥터(1)를 상기 제2 커넥터(101)에 끼운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아(58)는 상기 바아(58) 그 자체와 일체인 볼록부(58a)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58a)는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구조로 된다. 상기 볼록부(58a)는 각각 강화 부재로서 기능하고,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아(58) 전체의 폭의 치수(도 10에서 수직 치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지만, 증가한 양의 물질은 상기 커넥팅 바아(58)로서 소비되어야 하고 따라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대조적으로,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하여 필수적인 크기의 각각의 볼록부(58a)를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적절한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바아(58)를 제조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물질의 양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의 제조 비용을 억제한다. 볼록부(58a)의 개수, 배열 및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강도의 임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 단계에서, 상기 커넥팅 바아(58)는 다른 부품과는 달리 정밀한 치수 정확성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볼록부(58a)를 그 제조 단계에서 상기 강화 금속 브라켓(51)을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수단으로 배열 및 제조할 수 있고, 상기 볼록부를 절단되어야 할 섹션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58a)는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부(58a)의 하부 단부가 상기 제1 기판(91)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임의의 부분이 상기 제1 기판(91)의 상부면과 분리되도록 유지시키며, 회로 패턴과 같은 도전성 트레이스를 상기 커넥팅 바아(58) 아래에 위치한 상기 제1 기판(91)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91)의 상부면에 배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의 오목한 그루브부(1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17)에 의해 닫힌 장착면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미부(62)를 제외한 상기 제1 단자(61)의 부분은 상기 제1 기판(91)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로 패턴과 같은 도전성 트레이스를 상기 제1 하우징(11)의 하부에 면하는 상기 제1 기판(91)의 상부면의 거의 모든 영역에 배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기판(91)의 도전성 트레이스를 설계하는 것이 보다 자유롭고, 상기 제1 커넥터(1)를 상기 제1 기판(91)에 장착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장착 영역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따라서 상기 제1 기판(91)에서 전자 부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실장 밀도(packaging density)를 향상시킨다.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은 상기 제2 하우징(111)의 삽입 플러그부(121)에 형성된 각각의 브라켓 고정부(124)의 고정 견부(124a)를 상기 제2 본체부(152)의 견부(152a) 및 상기 고정 배럴부(153)의 고정 돌기(153a)와 함께 양측으로부터 핀치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124)는 상기 브라켓 수용 리셉터클부(123)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삽입 플러그부(121)의 일부이다. 즉,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2)을 상기 제2 하우징(111) 상에 장착할 때, 상기 제2 본체부(152)는 끼움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11)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고정 배럴부(153)는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2)의 장착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내부 수용부(123b)에 끼워진다.
이 방식으로, 상기 견부(152a)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124)의 고정 견부(124a)와 결합한다. 따라서 심지어 상기 제2 하우징(111)을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에 대하여 위로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에도(도 10에서 아래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11)은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의 제2 접지부(156)를 상기 제2 기판(191) 상의 접지 패드에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11)은 상기 제2 기판(191)에 견고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1)가 상기 제2 커넥터(101)에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11)의 삽입 플러그부(121)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삽입 리셉터클부(21)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의 제1 로킹부(54)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의 제2 로킹부(154)는 상기 제1 커넥터(1) 및 상기 제2 커넥터(101)를 로킹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로킹부(54)의 자유단에 근접한 부분에 형성된 제1 결합 돌기(55)는 상기 제2 로킹부(154)의 제2 결합 돌기(155)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로킹부(154)와 상기 제1 로킹부(54)의 결합은 견고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1)를 제2 커넥터(101)에 끼운 상태도 또한 견고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킹부(54) 및 상기 제2 로킹부(154) 사이의 상호 접촉은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 사이에 전기적 전도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의 제1 접지부(56)가 연결된 상기 제1 기판(91) 상의 접지 패드에 연결된 접지 트레이스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의 제2 접지부(156)가 연결된 상기 제2 기판(191) 상의 접지 패드에 연결된 접지 트레이스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기판(91) 상의 접지 트레이스 및 상기 제2 기판(191) 상의 접지 트레이스는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을 통해 동일한 전위를 갖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각에 접지 단자를 별개로 배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가 상기 제2 커넥터(101)에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의 제1 로킹부(54)의 제1 결합 돌기(55)는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의 제2 로킹부(154)에 의해 바깥쪽으로 눌리게 되고 따라서 바깥쪽으로의 힘, 즉 상기 제2 로킹부(154)를 상기 제1 하우징(11)의 단측벽부(22)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받는다. 이는 상기 제1 로킹부(54)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본체부(52)에 상기 제1 로킹부(54)의 자유단이 상기 단측벽부(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가한다. 상기 회전 모멘트는 상기 고정 아암부(53)에 대하여 상기 고정 아암부(53)가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의 외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상기 고정 아암부(53)는 상기 제1 접지부(56)와 일체이고 L 형상의 측면을 가진다. 상기 제1 접지부(56)의 하부면은 플랫형이고 따라서 심지어 상기 고정 아암부(53)의 연결부에서도 상기 제1 기판(91) 상의 접지 패드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모멘트는 상기 고정 아암부(53)에 거의 가해지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접지부(56)의 하부면이 접촉하는 상기 접지 패드에 의해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 아암부(53)는 상기 고정 아암부(53)가 상기 회전 모멘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의 외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 아암부(53)의 고정 돌기(53a)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의 외벽면에 결합되고 파지한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상기 브라켓 고정부(24)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상기 제1 하우징(11)을 상기 제1 기판(91)에 견고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상기 제1 로킹부(54) 그 자체는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의 제2 로킹부(154)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단측벽부(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기울도록 탄성적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상기 고정 돌기(54a)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24)에 접근하는 방향 및 상기 고정 견부(24a)와의 결합 양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이로써 상기 브라켓 고정부(24)는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1)이 상기 제1 기판(91)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1 본체부들(52)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상기 좌우 제1 본체부(52)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는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이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좌우 제1 본체부들(52)은 상기 커넥팅 바아(58)에 의해 서로에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제1 본체부(52)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는 상호 상쇄가 가능한 방향으로 작용하며 실질적으로 약화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제1 본체부(52)의 강도의 증가가 발생되며 상기 강도의 증가는 더 큰 끼움힘을 제공하고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 사이의 강화된 끼움력을 보장한다.
상기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커넥팅 바아(58)는 상기 제1 로킹부(54)의 이동의 받침점으로서의 상기 제1 접지부(56) 및 상기 제1 로킹부(54) 사이의 연결 지점 상에 위치한 영역, 즉 상기 제2 로킹부(154)로부터의 힘 작용 지점으로서의 상기 제1 결합 돌기(55)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한 영역에서 상기 제1 로킹부(5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로킹부(54)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로킹부(54)의 이동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제1 로킹부(54)의 반발력은 증가한다. 이는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 및 상기 제2 로킹부(154) 사이의 강화된 결합을 제공하고,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1) 및 상기 제2 커넥터(101) 사이의 강화된 끼움을 제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커넥팅 바아(58)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볼록부(58a)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볼록부(58a)의 개수, 배열 및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좌우 제1 로킹부(54)의 이동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좌우 제1 로킹부(54)의 반발력이 조정되고, 따라서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의 대응 제2 로킹부(154)와 상기 제1 로킹부(54)의 결합력이 조정된다.
상기 볼록부(58a)는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서 이해될 수 있듯이,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함께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은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상부면에 근접하고 따라서 상기 커넥팅 바아(58) 상에 제한된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상기 볼록부(58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 패드가 또한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하부에 면하는 상기 제1 기판(91)의 상부면의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볼록부(58a)의 하부 단부면이 접지 패드에 접촉하고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접지 패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부(58a)를 더 아래로 돌출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강도는 급격히 강화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1)를 상기 제2 커넥터(101)에 매우 견고하게 끼우는 것을 보장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자(61)는 상기 끼움면으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1)의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15) 및 상기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보유부(63)는 상기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의 측벽(16a)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핀치되고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1)에 부착된다.
상기 연결부(64)는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2) 내의 상기 제1 단자 수용 그루브(16) 및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15) 내에 수용된다. 상기 연결부(64)의 자유단 부근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촉부(65)의 팁은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15)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7)에 의해 닫힌 그의 장착면을 가지고, 그래서 상기 연결부(64)는 상기 제1 기판(91)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단자(61)의 제1 미부(62)는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기판(91) 상의 도전성 트레이스에 결합된 연결 패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미부(62)의 팁은 상기 측벽부(14)의 외부면으로부터 안쪽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 미부(62)는 상기 광폭 벽부(14)의 외부면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제1 커넥터(1)의 치수를 그의 폭 방향으로 줄일 수 있고 상기 제1 기판(91) 상에 상기 제1 커넥터(1)를 장착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착면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상기 끼움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11)의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보유부(163)는 상기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의 측벽(116a)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핀치되고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된다. 상기 제2 접촉부(165)는 상기 오목한 그루브부(113) 내의 제2 단자 수용 그루브(116) 내에 수용된다. 상기 제2 단자(161)의 제2 미부(162)는 솔더링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2 기판(191) 상의 도전성 트레이스에 결합된 연결 패드에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1)가 상기 제2 커넥터(101)에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11)의 돌출부(112)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오목한 그루브부(12)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팁은 상기 제2 단자(161)의 제2 접촉부(165)와 접촉한다. 이는 상기 제1 단자(61)와 상기 제2 단자(161) 사이의 전기적 전도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제1 단자(61)의 제1 미부(62)가 연결된 상기 제1 기판(91) 상의 연결 패드에 연결된 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2 단자(161)의 제2 미부(162)가 연결된 상기 제2 기판(191) 상의 연결 패드에 연결된 도전성 트레이스 사이의 전기적 전도를 더 제공한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상기 삽입 리셉터클부(21)의 양측의 단측벽부(22)에 각각 부착된 제1 본체부(52) 및 양측의 상기 제1 본체부(5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58)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본체부(52)는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의 제2 로킹부(154)에 접촉하고 이와 결합하는 제1 로킹부(54) 및 상기 제1 기판(91)에 연결됨으로써 접지되는 제1 접지부(56)를 포함한다.
이로써 양측의 상기 제1 본체부(52)의 강도 및 상기 강화 금속 브라켓(51)의 끼움력이 강화된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 및 상기 제2 강화 금속 브라켓(151)은 상기 제1 커넥터(1)가 상기 제2 커넥터(101)로 끼워지는 것을 견고하게 하는 충분히 강한 로킹 힘을 나타낸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이 상기 제1 커넥터(1)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이로써 신뢰성이 향상되게 강하다.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은 또한 접지 단자로서 작용하고 따라서 별도의 접지 단자를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크기를 줄일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는 비용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1 본체부(52)는 상기 제1 접지부(56)의 일 단부에 연결된 고정 아암부(5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아암부(53)는 상기 제1 접지부(56)의 일 단부에 연결된 제1 로킹부(54)와 함께 상기 제1 하우징(11)의 단측벽부(22)의 하단부에 형성된 브라켓 고정부(24)를 양측으로부터 핀치한다. 따라서 상기 단측벽부(22)는 상기 제1 강화 금속 브라켓(51)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상기 커넥팅 바아(58)는 아래로 돌출된 볼록부(58a)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커넥팅 바아(58)의 강도가 강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에 근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되지 않는다.

Claims (19)

  1.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이며,
    상기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1 하우징, 복수의 제1 단자, 및 제1 강화 로킹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내부에 중앙 돌출부를 구비한 긴 삽입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이격된 한 쌍의 제1 측벽, 상기 제1 하우징을 따라 각각 이격된 복수의 제1 단자 수용 공동,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각각의 단부에 있는 제1 로킹 수용 공동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단자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은 상기 제1 로킹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체결하기 위한 구조이고, 직사각형 형상의 제2 하우징, 복수의 제2 단자, 및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사이에서 상기 중앙 돌출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조로 된 긴 채널을 형성하는 이격된 한 쌍의 제2 측벽, 상기 제2 하우징을 따라 각각 이격된 복수의 제2 단자 수용 공동,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각각의 단부에 있는 제2 로킹 수용 공동을 가지고, 상기 각각의 제2 단자는 상기 제2 단자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단자 중 하나와 작동식으로 체결하는 구조이고,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은 상기 제2 로킹 수용 공동의 각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은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된 평면형 부재이고 한 쌍의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각각은 상기 삽입 리셉터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 중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은 금속판으로부터 스탬핑된 평면형 부재이고, 한쌍의 로킹부, 상기 제2 로킹 브라켓을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보유 섹션, 및 제2 회로 부재에 장착하기 위한 제2 기판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의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함께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1 로킹 아암 중 하나와 로킹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각각은 제1 기판 장착부의 일 단부에 연결된 제1 보유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아암의 일부 및 상기 제1 보유부는 상기 제1 측벽 중 하나의 양측에 결합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부는 로킹부들 중 하나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보유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로킹 돌기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에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하부 에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고 이격된 2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 각각은 종축을 갖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은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이 스탬핑된 금속판과 같은 두께를 가진 평면에서 함께 체결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단자는 상기 삽입 리셉터클을 따라 이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막대형 부재와 같은 형상이며 편향 가능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제1 로킹 아암은 편향 가능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로킹부는 편향 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중 하나의 양측에 결합하는 상기 제1 로킹 아암의 일부 및 상기 제1 보유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외부 에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결합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아암은 다른 로킹부와 결합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들 중 하나는 상기 로킹 돌기보다 상기 로킹부의 자유단에 더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1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기는 상기 고정 돌기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로킹 브라켓 중 하나와 결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의 각각은 종축을 따라 두께를 가지며, 상기 두께는 상기 제1 강화 로킹 브라켓 및 상기 제2 강화 로킹 브라켓이 스탬핑된 금속판과 같은 두께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각각은 상기 채널을 따라 이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보유 섹션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측벽들 사이의 중앙 보어를 통해 뻗어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KR1020107012485A 2007-11-08 2008-11-10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1176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0527A JP4555329B2 (ja) 2007-11-08 2007-11-08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JP-P-2007-290527 2007-11-08
PCT/US2008/012635 WO2009061507A2 (en) 2007-11-08 2008-11-10 Board-to-boar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364A KR20100087364A (ko) 2010-08-04
KR101176880B1 true KR101176880B1 (ko) 2012-09-13

Family

ID=4062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485A KR101176880B1 (ko) 2007-11-08 2008-11-10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3527B2 (ko)
JP (1) JP4555329B2 (ko)
KR (1) KR101176880B1 (ko)
CN (1) CN101911397B (ko)
WO (1) WO200906150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68U (ko) * 2019-06-20 2020-12-3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속 전송 보드 대 보드 커넥터
US10985499B2 (en) 2017-05-29 2021-04-20 Kyocera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3694B2 (ja) *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07811B2 (ja) * 2008-07-07 2012-12-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コネクタ
JP5253129B2 (ja) * 2008-12-19 2013-07-3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1060478A (ja) * 2009-09-08 2011-03-24 Molex Inc コネクタ
JP5523776B2 (ja) * 2009-09-08 2014-06-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5530278B2 (ja) * 2010-03-30 2014-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101719623B1 (ko) 2010-09-07 2017-03-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US9196982B2 (en) 2010-09-08 2015-11-24 Molex, Llc Circuit board-circuit board connector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586395B2 (ja) 2010-09-21 2014-09-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202004200U (zh) * 2011-01-06 2011-10-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TWM413984U (en) * 2011-01-18 2011-10-11 Molex Taiwan Ltd Electronic connector
US20120194990A1 (en) * 2011-01-31 2012-08-02 Martin Kuster Semiconductor Arrangements
JP5369125B2 (ja) * 2011-02-01 2013-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JP5884036B2 (ja)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5659209B2 (ja) * 2012-11-02 2015-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408815B2 (ja) * 2012-11-20 2014-02-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979551B2 (en) * 2012-11-29 2015-03-17 Samtec, Inc.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8961231B2 (en) 2012-12-18 2015-02-24 Apple Inc. Retention mechanism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106848654B (zh) * 2013-02-27 2019-06-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KR101809340B1 (ko) 2013-02-27 2017-12-1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JP5806700B2 (ja) * 2013-04-18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249643B2 (ja) * 2013-06-14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KR101488891B1 (ko) *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CN104377471A (zh) * 2013-08-13 2015-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净化部件的通电装置
JP2015053232A (ja) * 2013-09-09 2015-03-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72909B2 (ja) * 2013-09-19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165739B1 (ko) 2015-07-01 2020-10-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의 홀드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TWD187625S (zh) 2016-05-25 2018-01-01 瑞士商史陶比爾電連接器公司 電接觸元件之部分
CN109155482B (zh) 2016-05-25 2022-06-10 史陶比尔电子连接器股份公司 接触元件
JP6807218B2 (ja) 2016-11-18 2021-01-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07925768U (zh) * 2017-01-11 2018-09-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7012245B2 (ja) * 2017-03-10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ヘッダ、及び接続装置
JP6857073B2 (ja) * 2017-04-07 2021-04-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0638608B2 (en) * 2017-09-08 2020-04-28 Apple Inc. Interconnect frames for SIP modules
CN110061375B (zh) * 2018-01-19 2020-11-13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6959884B2 (ja) * 2018-03-13 2021-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CN111525354B (zh) 2019-02-02 2021-10-01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7322499B2 (ja) * 2019-05-15 2023-08-08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装置
KR102241129B1 (ko) * 2020-01-07 2021-04-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실드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US11101585B1 (en) * 2020-02-05 2021-08-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itch surfaces on the plug and receptacle
TWI725749B (zh) * 2020-02-21 2021-04-21 岱煒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之傳輸導體固持結構
US11652323B2 (en) * 2020-05-13 2023-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KR102623602B1 (ko) * 2020-05-13 2024-01-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11495919B2 (en) * 2020-05-13 2022-1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WO2022029554A1 (en) * 2020-08-04 2022-02-10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1810A (ja) 1988-12-05 1990-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分岐結合器
JPH0355703U (ko) * 1989-10-05 1991-05-29
JP2676063B2 (ja) * 1990-06-11 1997-11-12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9213432A (ja) * 1996-02-05 1997-08-15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FR2752097B1 (fr) * 1996-08-02 1998-08-28 Framatome Connectors Int Ensemble de connecteur et element de contact de puissance
JPH1174024A (ja) * 1997-08-29 1999-03-16 Omron Corp 電気コネクタ
JP3425692B2 (ja) * 1999-06-10 2003-07-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738230B2 (ja) 2002-01-15 2006-0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JP3564558B2 (ja) * 2002-02-08 2004-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2004055306A (ja)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3753687B2 (ja) * 2002-09-30 2006-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602500Y (zh) * 2003-03-03 2004-02-04 禾昌兴业股份有限公司 板对板联结的连接器结构
JP3940387B2 (ja) * 2003-07-29 2007-07-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3890060B2 (ja) * 2004-09-16 2007-03-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M317694U (en) * 2006-12-11 2007-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384274B1 (en) * 2007-08-03 2008-06-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499B2 (en) 2017-05-29 2021-04-20 Kyocera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KR20200002868U (ko) * 2019-06-20 2020-12-3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속 전송 보드 대 보드 커넥터
KR200495998Y1 (ko) * 2019-06-20 2022-10-0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속 전송 보드 대 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30821A1 (en) 2010-12-30
JP4555329B2 (ja) 2010-09-29
WO2009061507A2 (en) 2009-05-14
CN101911397B (zh) 2013-02-20
JP2009117227A (ja) 2009-05-28
CN101911397A (zh) 2010-12-08
US8083527B2 (en) 2011-12-27
KR20100087364A (ko) 2010-08-04
WO2009061507A3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880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9577379B2 (en) Connector
US6413109B1 (en) Card edge connector having a ground contact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84760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US9397423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6902411B2 (en) Connector assembly
EP1846990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7217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442405A1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US20170324176A1 (en) Board connector
KR2008000527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US20030232536A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607941B2 (en) Connector-mounting configuration
US6390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EP1686663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lying for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US2006004656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00227506A1 (en) Attachment Member Surface-Mount Component Comprising the Attachment Member, and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Attachment Member
US6431898B1 (en) Card connector
KR2020000881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US20110086523A1 (en) Battery Connector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EP0977315A2 (en) Card edg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