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891B1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891B1
KR101488891B1 KR20130094180A KR20130094180A KR101488891B1 KR 101488891 B1 KR101488891 B1 KR 101488891B1 KR 20130094180 A KR20130094180 A KR 20130094180A KR 20130094180 A KR20130094180 A KR 20130094180A KR 101488891 B1 KR101488891 B1 KR 10148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eceptacle
plug
connector
lock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준
최경해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는 제1 및 제2 락킹 금속체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시 상호 커플링되어 락킹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양 단부에 위치하여 내부공간 양측에 내측방향으로 대향되게 돌출된 한 쌍의 락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양 단부에 인접한 폭방향 양측에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한 쌍의 락킹부 사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락킹 구조가 개선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FPCB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는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컨택트(Contact)의 수도 많아지고 컨택트 간의 배열 피치(Pitch) 또한 매우 좁게 설계되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Receptacle Contact)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에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일대일 접촉하는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Plug Contact)가 플러그 인슐레이터(Plug Insulator)에 설치된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는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측 케이블과 플러그 커넥터측 케이블에 연결되거나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져서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가 상호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리셉터클 커넥터측 케이블과 플러그 커넥터측 케이블 또는 회로기판들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에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각 커넥터의 양 단부에 락킹 부재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87364호에는 홀드다운을 이용하여 락킹 기능과 접지 기능을 제공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87364호는 커넥터의 락킹 구조가 커넥터의 높이 방향 즉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 높이 방향의 제약으로 인해 락킹 구조가 짧아져서 소성 변형이 자유롭지 못하고, 이로 인한 삽입력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마모 및 작업성의 불편을 발생할 수 있으며, 앞서 락킹 구조의 높이 방향의 제약으로 인해 커넥터의 저배화 설계가 곤란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락킹 구조를 개선하여 커넥터 간의 체결시 삽입력과 발거력이 향상되고, 이 락킹 구조가 내충격성 및 실장 강도를 강화하면서 저배화 설계에 유리한 구조를 가진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는 제1 및 제2 락킹 금속체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시 상호 커플링되어 락킹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양 단부에 위치하여 내부공간 양측에 내측방향으로 대향되게 돌출된 한 쌍의 락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양 단부에 인접한 폭방향 양측에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한 쌍의 락킹부 사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락킹 금속체는 홀드다운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한 쌍의 락킹부와, 상기 한 쌍의 락킹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 측벽과 폭방향으로 양측 측벽 일부를 덮고, 상기 락킹부가 상기 연결부의 종단으로부터 리셉터클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연결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양 단부 측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리셉터클 본체의 폭방향 양측 측벽으로 연장된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락킹부는 상기 제2 락킹 금속체의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락킹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락킹부에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에 삽입되는 락킹 스토퍼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락킹부로부터 연장된 락킹 스토퍼가 삽입 수용되는 스토퍼홀이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연결부에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저면으로 인출되어 기판 상에 실장되도록 형성된 기판 실장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기판 실장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가장자리 모서리의 저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상방에서 리셉터클 본체방향으로 끼워져서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와, 상기 한 쌍의 체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인접한 저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연결부의 종단으로부터 플러그 본체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락킹 금속체의 체결부는 헤밍(hemming) 가공되어 반으로 접힌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락킹 금속체의 연결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저면에서 기판 상에 실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하방에서 플러그 본체방향으로 끼워져서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락킹 구조를 개선하여 커넥터 간의 체결시 삽입력과 발거력이 향상되고, 내충격성 및 실장 강도를 강화하면서 저배화 설계에 유리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락킹 구조가 기계적인 체결과 전기적인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락킹 금속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2 락킹 금속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본체의 배면을 도시함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 본체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리셉터클 본체에 제1 락킹 금속체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플러그 본체에 제2 락킹 금속체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으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체결 및 분리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락킹 금속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2 락킹 금속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본체의 배면을 도시함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플러그 본체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리셉터클 본체에 제1 락킹 금속체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플러그 본체에 제2 락킹 금속체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컨택트(120)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끼워져서 결합을 이루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20)에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220)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 간의 체결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20)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220)가 일대일 접촉을 이루게 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몸체를 갖는 리셉터클 본체(110)와,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20)와,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구비된 제1 락킹 금속체(130)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115)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20)가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다수의 조립홈(111)이 형성되고, 이 다수의 조립홈(111)은 리셉터클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조립홈(111)에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20)가 끼워져서 결합 설치되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리셉터클 본체(110)의 폭방향으로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플러그 컨택트(220)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구부러진 탄성 도전체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체결시 락킹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1 락킹 금속체(130)는 홀드다운(Hold-down) 구조를 포함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기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양 단부에 위치하여 내부공간(115) 양측에 내측방향으로 대향되게 돌출된 한 쌍의 락킹부(132)와, 상기 한 쌍의 락킹부(13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1)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의 연결부(131)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 측벽과 폭방향으로 양측 측벽 일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31)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내부공간(115)으로 돌출되게 상기 락킹부(13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양 단부 측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131a)와, 상기 제1 연결부(131a)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리셉터클 본체(110)의 폭방향 양측 측벽으로 연장된 제2 연결부(13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결부(131b)의 종단에 상기 락킹부(132)가 형성되어 리셉터클 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의 락킹부(13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체결부(232)와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락킹돌기(13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의 락킹부(132)에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서 바닥면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리셉터클 본체(110)의 바닥면에 삽입되는 락킹 스토퍼(132b)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스토퍼(132b)가 삽입 수용되는 스토퍼홀(113)이 더 형성된다. 이는 상기 락킹부(132)의 락킹 스토퍼(132b)가 리셉터클 본체(110)의 스토퍼홀(113) 내에 위치하여 상기 락킹부(132)의 변위를 규제하게 되므로 커넥터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에는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가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락킹 조립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상방에서 리셉터클 본체(110)방향으로 상기 락킹 조립홈(112)에 끼워져서 체결된다.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의 연결부(131)에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저면으로 인출되어 기판 상에 실장되도록 형성된 기판 실장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기판 실장부(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의 가장자리 모서리의 저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판 실장부(133)는 이러한 형상을 통해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가장자리의 4개의 모서리에 위치하게 되고, 이 4 지점이 기판에 실장되게 되므로 충격에 의한 파손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몸체를 갖는 플러그 본체(210)와, 상기 플러그 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220)와, 상기 플러그 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구비된 제2 락킹 금속체(23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본체(210)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110) 내에 삽입이 가능한 길이방향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220)가 인서트 몰딩되어 플러그 본체(210)에 매립되어 설치되게 된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220)는 플러그 본체(210)의 폭방향으로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220)는 리셉터클 컨택트(120)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도전체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락킹 금속체(230)는 상기 플러그 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와의 체결시 락킹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2 락킹 금속체(230)는 홀드다운 구조를 포함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기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 금속체(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본체(210)의 양 단부에 인접한 폭방향 양측에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의 한 쌍의 락킹부(132) 사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232)와, 상기 체결부(23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31)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연결부(231)는 상기 플러그 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인접한 저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31)의 종단으로부터 플러그 본체(210)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부(2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체결부(232)는 헤밍(hemming) 가공되어 반으로 접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본체(2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락킹 금속체(230)가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락킹 조립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락킹 금속체(230)는 상기 플러그 본체(210)의 하방에서 플러그 본체(210)방향으로 상기 락킹 조립홈(212)에 끼워져서 체결된다.
상기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연결부(2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32)를 연결하는 구조의 제공과 함께, 상기 플러그 본체(210)의 저면에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소형화된 구조에서 실장 면적을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보다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으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이때,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1 락킹 금속체(13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락킹 금속체(230)가 상호 커플링되어 락킹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체결 및 분리과정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으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체결 및 분리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를 체결하기 위한 과정으로 리셉터클 본체(110)의 내부공간(115)에 플러그 본체(210)가 삽입되게 됨에 다라 커넥터 간의 얼라인(Align)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1 락킹 금속체(130)의 락킹부(132)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체결부(232)가 만나기 이전으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의 락킹부(132)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체결이 더 진행되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1 락킹 금속체(130)의 락킹부(132)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체결부(232)가 만나게 되면서 상기 락킹부(132)가 리셉터클 본체(110)의 폭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1 락킹 금속체(130)의 락킹부(132) 사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체결부(232)가 체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는 상기 락킹부(132)의 락킹 스토퍼(132b)가 리셉터클 본체(110)의 스토퍼홀(113) 내에 위치하여 상기 락킹부(132)의 변위를 규제하게 되므로 커넥터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양 커넥터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의 락킹부(132)와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체결부(232)가 상호 커플링되어 체결됨으로써 락킹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술된 체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를 분리하게 될 경우, 상기 제1 락킹 금속체(1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132)의 락킹 스토퍼(132b)가 리셉터클 본체(110)의 스토퍼홀(113) 내에서 변위가 규제되어 제2 락킹 금속체(230)의 체결부(232)과의 간섭만이 작용하게 되어 커넥터의 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200: 플러그 커넥터
110: 리셉터클 본체 210: 플러그 본체
120: 리셉터클 컨택트 220: 플러그 컨택트
130: 제1 락킹 금속체 230: 제2 락킹 금속체
131: 연결부 231: 연결부
132: 락킹부 232: 체결부

Claims (16)

  1.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본체 내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일대일 접촉을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는 홀드다운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락킹 금속체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시 상호 커플링되어 락킹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양 단부에 위치하여 내부공간 양측에 내측방향으로 대향되게 돌출된 한 쌍의 락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양 단부에 인접한 폭방향 양측에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한 쌍의 락킹부 사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한 쌍의 락킹부와, 상기 한 쌍의 락킹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 측벽에 폭방향으로 양측 측벽 일부를 덮고, 상기 락킹부가 상기 연결부의 종단으로부터 리셉터클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연결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양 단부 측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리셉터클 본체의 폭방향 양측 측벽으로 연장된 제2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락킹부는 상기 제2 락킹 금속체의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락킹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락킹부에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에 삽입되는 락킹 스토퍼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락킹부로부터 연장된 락킹 스토퍼가 삽입 수용되는 스토퍼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연결부에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저면으로 인출되어 기판 상에 실장되도록 형성된 기판 실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의 기판 실장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가장자리 모서리의 저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 금속체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상방에서 리셉터클 본체방향으로 끼워져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한 쌍의 체결부와, 상기 한 쌍의 체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플러그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인접한 저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연결부의 종단으로부터 플러그 본체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 금속체의 체결부는 헤밍(hemming) 가공되어 반으로 접힌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 금속체의 연결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저면에서 기판 상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 금속체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하방에서 플러그 본체방향으로 끼워져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20130094180A 2013-08-08 2013-08-0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1488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180A KR101488891B1 (ko) 2013-08-08 2013-08-0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180A KR101488891B1 (ko) 2013-08-08 2013-08-0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891B1 true KR101488891B1 (ko) 2015-02-02

Family

ID=5259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180A KR101488891B1 (ko) 2013-08-08 2013-08-0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529A (ko) 2015-09-24 2017-04-03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KR101832599B1 (ko) * 2015-03-30 2018-02-26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KR102304611B1 (ko) 2021-01-14 2021-09-24 협진커넥터(주) 고주파용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73A (ko) * 2004-08-30 2006-03-06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KR20100087364A (ko) * 2007-11-08 2010-08-0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110024491A (ko) * 2009-09-02 2011-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73A (ko) * 2004-08-30 2006-03-06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KR20100087364A (ko) * 2007-11-08 2010-08-0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110024491A (ko) * 2009-09-02 2011-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599B1 (ko) * 2015-03-30 2018-02-26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KR20170036529A (ko) 2015-09-24 2017-04-03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KR102304611B1 (ko) 2021-01-14 2021-09-24 협진커넥터(주) 고주파용 기판 대 기판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9635B2 (en) Electrical connector
TWI548158B (zh) 電連接器組合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KR102111728B1 (ko) 전기 커넥터
JP4522440B2 (ja)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70065784A (ko) 전기 커넥터
KR20120022624A (ko) 전기 커넥터 및 회로 보드 어셈블리
EP3467950B1 (en) Connector
US9318858B2 (en)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W201703374A (zh) 電連接器及其組合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101488891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TWM505078U (zh) 序列匯流排連接器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US9711877B2 (en) Plug and connector module
KR10261124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CN106410541B (zh) 电连接器组件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TW201911685A (zh) 轉接器總成及轉接器
JP623958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355575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20160046173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