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728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728B1
KR102111728B1 KR1020170180062A KR20170180062A KR102111728B1 KR 102111728 B1 KR102111728 B1 KR 102111728B1 KR 1020170180062 A KR1020170180062 A KR 1020170180062A KR 20170180062 A KR20170180062 A KR 20170180062A KR 102111728 B1 KR102111728 B1 KR 102111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ceptacle
connector
plu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069A (ko
Inventor
소우이치 수가야
토시히코 히라이
카주노리 타케이
키요타카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8007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특히, 단변 피치 방향)나 저배화(低背化)를 도모하는 동시에, 접속 안정성을 유지하여, 빼낼 때의 떠오름이나 삽입할 때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끼움결합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목적은 리셉터클 컨택트(44)에는 접촉부(441)와 접속부(443)의 사이에 적어도 1회 이상 만곡된 탄성부(444)를 가지고, 탄성부(444)로부터 접촉부(441)의 사이에는 경사진 경사부(445)가 형성되며, 접촉부(441) 측이고, 또한 경사부(445)와 이어져 설치되는 확장 걸림결합부(45)가 추가로 형성되며, 하우징(42)에는 리셉터클 컨택트(44)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21)이 형성되는 확장 걸림결합부(45)에 대응하는 위치에 확장 걸림고정부(43)가 형성되고, 플러그 컨택트(24)를 빼낼 때에 확장 걸림결합부(45)가 확장 걸림고정부(43)에 걸림고정함으로써 떠오름을 방지하며, 재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버클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0001] 본 발명은, 휴대단말이나 오디오 기기의 통신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화(특히, 단변(short side) 피치 방향)나 저배화(低背化, low profile)를 도모하면서도, 접속 안정성을 유지하여, 빼낼 때의 떠오름(부상(浮上))이나 삽입할 때의 버클링(buckling, 座屈)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끼움결합을 얻을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0002] 일반적으로, 기판과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구비하며, 각각의 기판에 각각의 커넥터를 실장(實裝)하고, 커넥터끼리를 끼움결합함으로써 기판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적어도 플러그 컨택트와 블록을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적어도 리셉터클 컨택트와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커넥터에는, 필요에 따라서, 고정구(固定具)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기에,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기판과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의 문헌을 예로 든다. 본 출원인이 제안한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12-238519호)을 예로 든다.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12-238519호
[0003] 최근, 통신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 등의 소형화도 진행되며, 커넥터의 소형화도 진행되는 가운데, 소형화(특히, 단변 피치 방향)나 저배화를 도모하면서도, 접속 안정성을 유지하며, 안정된 끼움결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더 소형화(특히, 단변 피치 방향)하면, 플러그 커넥터를 빼낼 때에, 리셉터클 컨택트가 떠올라, 다시,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할 때에 버클링으로 이어지게 되며, 양방(兩方)의 컨택트의 파손이 발생하여,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000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화(특히, 단변 피치 방향)나 저배화를 도모하면서도, 접속 안정성을 유지하여, 빼낼 때의 떠오름이나 삽입할 때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끼움결합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0005]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구조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를 갖는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유지·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움결합부가 들어가는 제1 끼움결합구(嵌合口)를 갖는 블록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유지·배열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제1 끼움결합구에 들어가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들어가는 제2 끼움결합구를 갖는 하우징을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블록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적어도 1회 이상 만곡(灣曲)된 탄성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속부 측에서 상기 탄성부의 일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는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 측이며, 또한, 상기 경사부와 이어져 설치되는 확장 걸림결합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 구멍은 만곡 형상을 한 경사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또한,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확장 걸림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끼움지지시킴으로써 안정된 접속이 얻어지며, 빼낼 때에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가 상기 확장 걸림고정부에 걸림고정됨으로써 떠오름을 방지하고, 재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버클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이다.
[0006] (2)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에는 제1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 측에서 상기 탄성부의 일부에는 제2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제1 모따기부가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오목부와 걸림결합함으로써 클릭감(感)(click feeling)을 부여하며, 또한, 위치결정 및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이다.
[0007] (3) 상기 전기 커넥터에는, 추가로, 장변(long side) 피치 방향 양단에 각각의 커넥터가 끼움결합했을 때에 서로 접촉하는 제1 고정구 및 제2 고정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이다.
(4) 상기 제1 고정구에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이어져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구와 접촉하는 접촉벽과 폭 방향(단변 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되는 고정편(固定片)과 상기 접촉벽에 이어져 설치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고정구에는, 상기 제2 끼움결합구 측에 위치하는 전방 벽(前壁)과 상기 전방 벽에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2 끼움결합구 내에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와 폭 방향(단변 방향)으로 상기 전방 벽에 이어져 설치되는 2개의 측벽과 상기 전방 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후방 벽(後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이다.
[0008]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의 소형화(특히, 단변 피치 방향)나 저배화를 도모하면서도, 리셉터클 컨택트의 확장 걸림결합부와 하우징의 확장 걸림고정부가 빼낼 때에 걸림결합함으로써, 커넥터들을 빼낼 때에 리셉터클 컨택트의 떠오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시, 삽입할 때에는 리셉터클 컨택트가 떠올라있지 않기 때문에, 버클링하는 일이 없어, 양방의 컨택트의 파손이 발생하는 일 없이, 안정된 접속이 얻어진다.
[0009] 도 1의 (A)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움결합한 상태를, 플러그 커넥터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A) 상태의 커넥터를, 어느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斷面)한 단면도이며, (C)는 (A) 상태의 커넥터를,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어느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종단면도이며, (C)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2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며, (D)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플러그 커넥터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플러그 커넥터를, 어느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종단면도이며, (C)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1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1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1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D)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하우징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하우징을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하우징을 리셉터클 컨택트가 들어가는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며, (D)는 하우징을 제2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2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제2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플러그 컨택트를 접촉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플러그 컨택트를 접촉부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블록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블록을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블록을 플러그 컨택트가 들어가는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며, (D)는 블록을 제1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1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제1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0010] 본 발명의 특징은,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전기 커넥터(10)로서, 리셉터클 컨택트(44)와 접촉하는 접촉부(241)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242)를 갖는 플러그 컨택트(24)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24)가 유지·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움결합부(14)가 들어가는 제1 끼움결합구(嵌合口)(12)를 갖는 블록(22)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20)와, 플러그 컨택트(24)와 접촉하는 접촉부(441)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443)를 갖는 리셉터클 컨택트(44)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유지·배열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의 제1 끼움결합구(12)에 들어가는 끼움결합부(14)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가 들어가는 제2 끼움결합구(16)를 갖는 하우징(42)을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40)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는 상기 블록(22)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들어가는 오목부(243)가 형성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에는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접속부(443)의 사이에 적어도 1회 이상 만곡된 탄성부(444)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탄성부(444)와 상기 접속부(443)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443) 측에서 상기 탄성부(444)의 일부에는 상기 하우징(42)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442)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탄성부(444)로부터 상기 접촉부(441)의 사이에는 경사진 경사부(445)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441) 측이며, 또한, 상기 경사부(445)와 이어져 설치되는 확장 걸림결합부(45)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2)에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21)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 구멍(421)은 만곡 형상을 한 경사부(422)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또한,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에 대응하는 위치에 확장 걸림고정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탄성부(444)에 의해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를 끼움지지시킴으로써 안정된 접속이 얻어지며, 빼낼 때에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가 상기 확장 걸림고정부(43)에 걸림고정됨으로써 떠오름을 방지하며, 재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버클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10)이다.
즉,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에는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접속부(443)의 사이에 적어도 1회 이상 만곡된 탄성부(444)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444)로부터 상기 접촉부(441)의 사이에는 경사진 경사부(445)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441) 측이며, 또한, 상기 경사부(445)와 이어져 설치되는 확장 걸림결합부(45)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2)에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21)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에 대응하는 위치에 확장 걸림고정부(43)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를 빼낼 때에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가 상기 확장 걸림고정부(43)에 걸림고정됨으로써 떠오름을 방지하며, 재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버클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도 1의 (A)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움결합한 상태를, 플러그 커넥터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A) 상태의 커넥터를, 어느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며, (C)는 (A) 상태의 커넥터를,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어느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종단면도이며, (C)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2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며, (D)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플러그 커넥터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플러그 커넥터를, 어느 컨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종단면도이며, (C)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1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1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1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D)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접촉부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하우징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하우징을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하우징을 리셉터클 컨택트가 들어가는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며, (D)는 하우징을 제2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2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제2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플러그 컨택트를 접촉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플러그 컨택트를 접촉부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블록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블록을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블록을 플러그 컨택트가 들어가는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며, (D)는 블록을 제1 고정구 부분에서 단면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제1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제1 고정구를 끼움결합 방향의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40)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20)는 적어도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24)와 블록(22)을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적어도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44)와 하우징(42)을 가지고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에는 제1 고정구(固定具)(26)가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제2 고정구(46)가 구비되어 있다.
[0012]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각각의 상기 커넥터(20, 40)가 실장되는 기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기판에는, 하드 기판이나 FPC(플렉서블(flexible) 프린트 기판)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하드 기판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판에는, 적어도 각각의 상기 컨택트(24, 44)의 접속부(242, 443)와 접속하는 랜드(land)와 상기 랜드로부터 회로로 이어지는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0013] 맨 먼저, 리셉터클 커넥터(4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리셉터클 컨택트(44)에 대해 설명한다. 이 리셉터클 컨택트(44)는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재질로서는, 스프링성이나 도전성 등이 요구되므로, 베릴륨 동(Beryllium Copper)이나 인청동(燐靑銅)이나 콜슨 합금(Corson alloy)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는, 상대 컨택트인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에 접촉하는 접촉부(441)와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443)와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접속부(443)의 사이에 적어도 1회 이상 만곡된 탄성부(444)를 가지고,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탄성부(444)와 상기 접속부(443)의 순으로 배치되며, 추가로 상기 접속부(443) 측에서 상기 탄성부(444)의 일부에는 상기 하우징(42)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442)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접촉부(441)에는 제1 모따기부(446)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442) 측에서 상기 탄성부(444)의 일부에는 제2 모따기부(447)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444)로부터 상기 접촉부(441)의 사이에는 경사진 경사부(445)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441) 측이며, 또한, 상기 경사부(445)와 이어져 설치되는 확장 걸림결합부(45)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0014] 상기 접촉부(441)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그 형상은 접속 안정성을 고려하여, 면접촉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접촉부(441)에는 제1 모따기부(446)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의 오목부(243)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441) 및 상기 제1 모따기부(446)의 형상·크기는 이러한 역할이나 접속 안정성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15] 상기 접속부(443)는 기판에 실장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 실장(SMT) 타입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443)로서는, 기판에 실장할 수 있으면, 딥(DIP) 타입이나 프레스 인 타입이어도 된다. 기판 점유 면적이나 실장 밀도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0016] 상기 탄성부(444)는, 탄성 길이와 탄성력을 확보하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와의 안정된 접속을 얻기 위한 부분이다. 또, 상기 탄성부(444)에는 제2 모따기부(447)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의 오목부(243)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444) 및 상기 제2 모따기부(447)의 형상·크기는 이러한 역할이나 접속 안정성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즉, 상기 탄성부(444)도 제2의 접촉부로서 이용하고, 또한,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탄성부(444)에 의해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를 끼움지지함으로써, 안정된 접속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0017] 상기 접촉부(441)와 상기 탄성부(444)의 사이에 설치된 경사부(445)는, 상기 하우징(42)의 삽입 구멍(421)의 경사부(422)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백업(backup)을 조정하는 부분이며, 안정된 접속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경사부(445)의 형상·크기는, 상기 하우징(42)의 경사부(422)를 따르며, 또한, 이러한 역할이나 접속 안정성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18] 상기 고정부(442)는 상기 하우징(42)에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우징(42)에 압입(壓入)이나 걸기(lance; 걸쇠)나 용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42)의 형상·크기는 유지력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19]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24)가 빼내어질 때에, 상기 하우징(42)의 확장 걸림고정부(43)에 걸림결합함(걸림)으로써, 떠오름을 방지하는 것이며, 다시, 상기 플러그 컨택트(24)가 삽입되었을 때에 버클링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의 형상·크기는, 이 역할을 만족한다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한데, 역할이나 커넥터의 소형화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20] 다음으로, 하우징(42)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하우징(42)은 전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고, 공지 기술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그 재질로서는 치수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는데,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나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나 이들의 합성 재료를 들 수 있다.
[0021] 상기 하우징(42)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의 제1 끼움결합구(嵌合口, 12)에 들어가는 끼움결합부(14)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가 들어가는 제2 끼움결합구(1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끼움결합부(14) 및 상기 제2 끼움결합구(16)의 형상·크기는, 상기 제1 끼움결합구(12)에 들어가고, 또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가 들어가면 되며, 상대 측의 형상·크기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나 접속 안정성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22] 상기 하우징(42)에는, 소요(所要) 수의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 및 상기 제2 고정구(46)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하우징(42)에는 소요 수의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장착되는 삽입 구멍(4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구(46)는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되는 구멍 등은 불필요하다(도면상에서는, 제2 고정구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움푹 패여 있다). 상기 삽입 구멍(421)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들어가면 되며, 그 형상·크기는 접속 안정성이나 유지력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23] 상기 하우징(42)의 삽입 구멍(421) 내에는,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45)와 걸림결합하는(걸리는) 확장 걸림고정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 걸림고정부(43)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24)가 빼내어질 때에,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확장 걸림결합부(45)에 걸림결합함(걸림)으로써, 떠오름을 방지하는 것이며, 다시, 상기 플러그 컨택트(24)가 삽입되었을 때에 버클링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확장 걸림고정부(43)의 형상·크기는, 이 역할을 만족한다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한데, 역할이나 커넥터의 소형화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24] 다음으로, 상기 제2 고정구(46)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2 고정구(46)는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구(46)의 재질로서는, 스프링성이나 성형성 등이 요구되므로, 베릴륨 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가 있다.
[0025] 상기 제2 고정구(46)에는, 상기 제2 끼움결합구(16) 측에 위치하는 전방 벽(461)과 상기 전방 벽(461)에 공간(466)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2 끼움결합구(16) 내에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462)와 폭 방향(단변 방향)으로 상기 전방 벽(461)에 이어져 설치되는 2개의 측벽(464)과 상기 전방 벽(46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후방 벽(465)을 갖는다. 각각의 상기 측벽(464)의 선단에,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463)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부(463)의 실장 밀도 등을 고려하여 표면 실장(SMT) 타입으로 하였으나, 딥 타입이어도 된다.
[0026] 상기 제2 고정구(46)는, 상기 하우징(42)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462) 및 상기 접속부(463) 이외에는, 상기 하우징(42)에 일체로 성형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부(462) 및 상기 접속부(463) 이외의 형상·크기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면 되며,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27] 상기 접촉부(462)는, 상기 제1 고정구(26)에 접촉하는 부분이며, 충분한 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간(466)이 형성되어 있다.
[0028] 도면에 근거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의 구성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에 대해 설명한다. 이 플러그 컨택트(24)는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의 재질로서는, 스프링성이나 도전성 등이 요구되므로, 베릴륨 동이나 인청동이나 콜슨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0029]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대략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는, 적어도 상대 컨택트인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와 접촉하는 접촉부(241)와 기판(80)에 접속하는 접속부(242)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는,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 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22)에 유지되어 있다.
[0030]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의 접촉부(241)에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들어가는 오목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43)에,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제1 모따기부(446)가 들어감으로써,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고, 클릭 감이나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오목부(243)의 형상·크기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들어가면 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형상·크기에 따라, 안정된 접속이 얻어지도록 적절히 설계한다.
[0031] 상기 접속부(242)는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 실장(SMT) 타입으로 되어 있다. 기판에 실장할 수 있으면, 딥 타입이어도 된다.
[0032]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에는, 상기 접촉부(241)의 반대 측(배면)에, 또 하나의 오목부(24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나의 상기 오목부(243)에,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제2 모따기부(447)가 들어가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24)를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제1 모따기부(446)와 제2 모따기부(447)에 의해 끼움지지함으로써, 더욱 위치 어긋남이 없고, 클릭 감이나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하나의 상기 오목부(243)의 형상·크기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가 들어가면 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44)의 형상·크기에 따라, 안정된 접속이 얻어지도록 적절히 설계한다.
[0033] 다음으로, 블록(2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블록(22)은 전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고, 공지 기술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그 재질로서는 치수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는데,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나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나 이들의 합성 재료를 들 수가 있다. 상기 블록에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와 제1 고정구(26)가 부착되어 있다.
[0034] 상기 블록(22)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40)와의 끼움결합시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움결합부(14)가 들어가는 제1 끼움결합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끼움결합구(12)는, 상기 끼움결합부(14)가 들어가면 되며, 그 형상·크기는 상기 끼움결합부(14)에 따라, 강도나 가공성이나 접속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35] 또한, 상기 블록(22)에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와 상기 제1 고정구(26)는 상기 블록(22)에 일체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블록(22)에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와 상기 제1 고정구(26)를 삽입하는 구멍은 불필요하다(도면상에서는, 플러그 컨택트와 제1 고정구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움푹 패여 있다). 상기 제1 고정구(26)는, 상기 블록(22)의 장변 피치 방향 양측에는, 일체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플러그 컨택트(24)와 상기 제1 고정구(26)의 삽입·유지 방법은 유지력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0036] 마지막으로, 제1 고정구(26)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고정구(26)는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인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구(26)의 재질로서는, 스프링성이나 성형성 등이 요구되므로, 베릴륨 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가 있다.
[0037] 상기 제1 고정구(26)에는, 적어도 본체(261)와 상기 본체(261)로부터 이어져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구(46)와 접촉하는 접촉벽(263)과 폭 방향(단변 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되는 고정편(262)과 상기 접촉벽(263)에 이어져 설치되는 접속부(26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구(26)는 상기 블록(22)에 일체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부(264)의 실장 밀도 등을 고려하여 표면 실장(SMT) 타입으로 하였으나, 딥 타입이어도 된다.
[0038] 상기 접촉벽(263)은, 상기 제2 고정구(46)의 접촉부(462)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접촉 안정성을 고려하여, 형상이나 크기나 두께 등이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0039] 본 발명은, 휴대단말이나 오디오 기기 등의 통신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활용되며, 특히, 소형화(특히, 단변 피치 방향)나 저배화를 도모하면서도, 강도나 접속 안정성을 유지하며, 빼낼 때의 떠오름이나 삽입할 때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끼움결합이 얻어지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0040] 10; 전기 커넥터
12; 제1 끼움결합구
14; 끼움결합부
16; 제2 끼움결합구
20; 플러그 커넥터
22; 블록
222; 삽입 홈
24; 플러그 컨택트
241; 접촉부
242; 접속부
243; 오목부
26; 제1 고정구
261; 본체
262; 고정편
263; 접촉벽
264; 접속부
40; 리셉터클 커넥터
42; 하우징
421; 삽입 구멍
422; 경사부
43; 확장 걸림고정부
44; 리셉터클 컨택트
441; 접촉부
442; 고정부
443; 접속부
444; 탄성부
445; 경사부
446; 제1 모따기부
447; 제2 모따기부
45; 확장 걸림결합부
46; 제2 고정구
461; 전방 벽
462; 접촉부
463; 접속부
464; 측벽
465; 후방 벽
466; 공간

Claims (4)

  1.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實裝)하는 접속부를 갖는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유지·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움결합부가 들어가는 제1 끼움결합구(嵌合口)를 갖는 블록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컨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유지·배열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제1 끼움결합구에 들어가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들어가는 제2 끼움결합구를 갖는 하우징을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
    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블록에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일부분이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적어도 1회 이상 만곡된 탄성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 측에서 상기 탄성부의 일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는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 측이며, 또한, 상기 경사부와 이어져 설치되는 확장 걸림결합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 구멍은 만곡 형상을 한 경사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또한,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진 확장 걸림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끼움지지시킴으로써 안정된 접속이 얻어지며, 빼낼 때에 상기 확장 걸림결합부가 경사진 상기 확장 걸림고정부에 걸림고정됨으로써 떠오름(浮上)을 방지하고, 재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버클링(buckling, 座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에는 제1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부 측에서 상기 탄성부의 일부에는 제2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제1 모따기부가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오목부와 걸림결합함으로써 클릭감(click feeling)을 부여하며, 또한, 위치결정 및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에는, 추가로, 장변(long side) 피치 방향 양단(兩端)에 각각의 커넥터가 끼움결합했을 때에 서로 접촉하는 제1 고정구(固定具) 및 제2 고정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에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이어져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구와 접촉하는 접촉벽과 폭 방향(단변(short side) 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되는 고정편(固定片)과 상기 접촉벽에 이어져 설치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고정구에는, 상기 제2 끼움결합구 측에 위치하는 전방 벽(前壁)과 상기 전방 벽에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끼움결합구 내에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와 폭 방향(단변 방향)으로 상기 전방 벽에 이어져 설치되는 2개의 측벽과 상기 전방 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후방 벽(後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70180062A 2016-12-28 2017-12-26 전기 커넥터 KR102111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4920 2016-12-28
JP2016254920A JP6797677B2 (ja) 2016-12-28 2016-12-28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069A KR20180077069A (ko) 2018-07-06
KR102111728B1 true KR102111728B1 (ko) 2020-05-15

Family

ID=6263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062A KR102111728B1 (ko) 2016-12-28 2017-12-2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09942B2 (ko)
JP (1) JP6797677B2 (ko)
KR (1) KR102111728B1 (ko)
CN (1) CN1082584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5883B2 (ja) * 2017-06-09 2021-08-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823195B2 (ja) * 2017-10-20 2021-01-27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KR102041368B1 (ko)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11837808B2 (en) * 2018-12-28 2023-12-0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Board connector and device
CN113437564B (zh) * 2020-03-18 2023-02-03 昆山宏致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的扣合结构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3675639A (zh) * 2020-05-13 2021-11-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7441147B2 (ja) * 2020-09-17 2024-02-29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059A (ja) * 2008-02-29 2009-09-10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5987B2 (en) * 2005-12-01 2010-12-07 Ddk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CN201160164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100291776A1 (en) * 2009-05-13 2010-11-18 Sheng-Yuan Huang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KR101202409B1 (ko) * 2009-12-29 2012-11-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발거력 발생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JP5815277B2 (ja) * 2011-05-13 2015-11-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56835B2 (ja) *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059A (ja) * 2008-02-29 2009-09-10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58468B (zh) 2020-05-19
JP6797677B2 (ja) 2020-12-09
US10109942B2 (en) 2018-10-23
US20180183168A1 (en) 2018-06-28
CN108258468A (zh) 2018-07-06
KR20180077069A (ko) 2018-07-06
JP2018107063A (ja)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728B1 (ko) 전기 커넥터
JP5908225B2 (ja) 電気コネクタ
JP5250450B2 (ja) 電気コネクタ
JP5185731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用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る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815277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コネクタ
USRE42075E1 (en) Electrical connector
US7540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823195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048491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230944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517802A (ja) 電気コネクタ
JP4431450B2 (ja) 電気コネクタ
JP4916031B2 (ja)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9158327A (ja) コネクタ
US7575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239582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JP2016184556A (ja) コネクタ
JP4044822B2 (ja) コネクタ
JP2008251511A (ja) 電気コネクタ
US9941649B2 (en) Interboard connection connector with battery connector
KR20160046173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2009266607A (ja) 電気コネクタ
JP2010010031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