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340B1 -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340B1
KR101809340B1 KR1020157023177A KR20157023177A KR101809340B1 KR 101809340 B1 KR101809340 B1 KR 101809340B1 KR 1020157023177 A KR1020157023177 A KR 1020157023177A KR 20157023177 A KR20157023177 A KR 20157023177A KR 101809340 B1 KR101809340 B1 KR 101809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fitting body
socket
side fitting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774A (ko
Inventor
요지 미야자키
마사키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10)는, 소켓측 단자(30)가 배치되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를 가지는 소켓(20)과, 헤더측 단자(80)가 배치되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가지는 헤더(7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의 측벽면(41)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의 측벽면(9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벽면이,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폭 방향 양측면(42a, 42b) 중 적어도 한쪽의 측면(42a)이 상대측의 측벽면에 형성된 대향면(103a)과 대향하는 돌기부(42)를 가지도록 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로서, 소켓 본체에 복수의 소켓측 단자를 배치한 소켓과, 헤더 본체에 복수의 헤더측 단자를 배치한 헤더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소켓과 헤더를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대응하는 단자들을 접촉 도통시켜, 각 단자가 접속된 회로 기판의 도체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5-019144호 공보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소켓과 헤더를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켓과 헤더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소켓측 단자가 배치되는 소켓측 끼워맞춤체를 가지는 소켓과, 헤더측 단자가 배치되는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가지는 헤더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소켓측 단자와 상기 헤더측 단자가 접촉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의 내주측의 측벽면 및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벽면은,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끼워맞춘 상태로, 폭 방향 양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측면이 상대측의 측벽면에 형성된 대향면과 대향하는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에 상기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상기 대향면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그 측벽면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단부 근방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는,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와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판형상 벽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의 내주측의 측벽면에 있어서,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판형상 벽부 근방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상기 대향면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향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가 직사각형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대향면이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면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헤더측 단자가 배치되는 부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돌기부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편이 존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은, 상기 돌출편이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은, 상기 돌출편이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압입 유지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은, 상기 돌출편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압입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은, 상기 돌출편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압입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은, 2개의 상기 돌출편이 교락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특징은, 상기 돌출편을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유지한 상태로, 상기 교락부에 있어서의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 특징은,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에 있어서의 내주측의 측벽면의 내측 및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측벽면의 내측에는, 서로 끼워맞추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 특징은,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7 특징은,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소켓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과 헤더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소켓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소켓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소켓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헤더를 이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헤더를 도시하는 이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헤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헤더를 표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헤더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소켓의 소켓측 유지 기구 및 편측의 장변의 소켓측 단자를 떼어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하는 헤더의 헤더측 유지 기구를 떼어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소켓측 유지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헤더측 유지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헤더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커넥터의 폭 방향을 X방향,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Y방향, 도 9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상하 방향을 Z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 소켓 및 헤더는,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측을 상하 방향 상측(표면측), 하측을 상하 방향 하측(이면측)으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끼워맞추는 소켓(20)과 헤더(7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20)은, 소켓측 단자(30)가 배치되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를 가지고 있으며, 헤더(70)는, 헤더측 단자(80)가 배치되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춤으로써 소켓측 단자(30)와 헤더측 단자(80)를 접촉시키고 있다(도 9 참조).
또한, 소켓(20)은 제1 회로 기판(130)에 장착되는 것이며, 헤더(70)는 제2 회로 기판(140)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켓(20)과 헤더(70)를 끼워맞추면, 소켓(20)을 장착한 제1 회로 기판(130)과, 헤더(70)를 장착한 제2 회로 기판(1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는,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장방형)형상으로 성형된 소켓 하우징(소켓 본체)(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소켓측 끼워맞춤체(40)는, 소켓 하우징(50)의 길이 방향(Y) 양단부에 배치된 소켓측 유지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소켓 하우징(50)에는, 복수의 소켓측 단자(30)가, 대향한 장변을 따라 길이 방향(Y)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즉, 소켓 하우징(50)의 2개의 장변에, 복수의 소켓측 단자(30)가 길이 방향(Y)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50)은, 판형상 벽부(56)와, 그 주연부를 따라 대략 직사각형 환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주벽부(51)에서 일방측(상측)이 개구한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형상 벽부(56)의 중앙부에, 주벽부(51)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대략 직사각형형상의 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주벽부(51)와 섬부(52) 사이에 헤더(70)를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 홈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부(51)의 내주측 상단에,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 하방(판형상 벽부(56)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테이퍼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51d)는, 주벽부(51)의 단변 부분과 장변 부분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웃하는 소켓측 단자(30)의 사이 및 소켓측 단자(30)와 소켓측 유지 기구(60) 사이의 주벽부에도 테이퍼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부(51)의 거의 전체에 걸쳐 테이퍼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측 단자(30)는, 예를 들어, 소정 두께를 가진 띠형상의 금속재를 만곡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소켓측 단자(30)의 선단부(30a)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굴곡부(31)로부터 상방으로 굴곡한 선단측을 내방으로 굴곡시킨 제2 굴곡부(32)가 형성되어 있고, 기단부(30b)에는, 역U자형상으로 굴곡시킨 제3 굴곡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제3 굴곡부(33)의 기단측이 평탄한 접속 단자부(34)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도 3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측 단자(30)가 소켓 하우징(50)에 대해, 제2 굴곡부(32)가 끼워맞춤 홈부(53) 내에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때, 주벽부(51)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51a)에 제3 굴곡부(33)가 끼워맞춰짐과 더불어, 섬부(52)의 내부(하면측)에 형성된 오목부(52a)에 제1 굴곡부(31)가 끼워맞춰져 있다. 이 상태로, 소켓측 단자(30)의 접속 단자부(34)가 주벽부(51)의 근원측(하연)으로부터 X방향(폭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며, 이들 접속 단자부(34)가, 제1 회로 기판(130)의 도체 패턴(단자)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단자(30)는, 인서트 성형하거나, 또는, 압입하는 등에 의해 소켓 하우징(50)(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헤더측 끼워맞춤체(90)는, 도 4~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평면에서 봤을 때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장방형)형상으로 성형된 헤더 하우징(헤더 본체)(10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더측 끼워맞춤체(90)는, 헤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Y) 양단부에 배치된 헤더측 유지 기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헤더 하우징(100)에는, 복수의 헤더측 단자(80)가, 대향한 장변을 따라 길이 방향(Y)으로 소켓측 단자(30)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즉, 헤더 하우징(100)의 2개의 장변에, 복수의 헤더측 단자(80)가 길이 방향(Y)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헤더 하우징(100)은, 판형상 벽부(104)와, 그 주연부를 따라 대략 직사각형 환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주벽부(101)에서 일방측(하측)이 개구한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벽부(101)의 내방에 오목부(102)(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벽부(101)의 외주측 하단에는,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방(판형상 벽부(104)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테이퍼부(10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101d)는, 주벽부(101)의 단변 부분과 장변 부분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소켓측 단자(30)의 사이 및 소켓측 단자(30)와 소켓측 유지 기구(60) 사이의 주벽부(101)는, R형상(역U자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헤더측 단자(80)도, 소켓측 단자(30)와 마찬가지로, 소정 두께를 가진 띠형상의 금속재를 만곡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헤더측 단자(80)의 선단부(80a)에는, 제4 굴곡부(81)로부터 상방으로 조작한 선단측을 후퇴하는 방향으로 역U자형상으로 굴곡시켜 제5 굴곡부(82)가 형성되는 한편, 기단부(80b)에는, 대략 평탄한 접속 단자부(8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더측 단자(80)는, 주벽부(101)의 R형상으로 만곡 형성된 선단부(도 9의 하측)를 덮도록 제5 굴곡부(82)를 배치함과 더불어, 기단부(80b)가 주벽부(101)의 근원부(도 9의 상측)를 관통한 상태로, 헤더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단자(8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헤더 하우징(100)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헤더측 단자(80)의 접속 단자부(83)가 주벽부(101)의 하연으로부터 X방향(폭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며, 이들 접속 단자부(83)가, 제2 회로 기판(140)의 도체 패턴(단자)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부(101)의 외주에는, 각 헤더측 단자(80)의 외측 선단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돌출벽부(101e)가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헤더측 단자(80)를 헤더 하우징(100)에 압입함으로써, 헤더측 단자(80)를 헤더 하우징(100)(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배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더 하우징(100)의 주벽부(101)를 소켓 하우징(50)의 끼워맞춤 홈부(53)에 삽입하여 끼워맞춤으로써, 헤더(70)가 소켓(20)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 하우징(50)의 일방측(상측:개구측)이,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와의 끼워맞춤 측에 상당하고 있으며,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와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소켓 하우징(50)의 타방측:하측)에 판형상 벽부(56)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헤더 하우징(100)의 일방측(하측:개구측)이,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끼워맞춰지는 측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헤더(70)를 소켓(20)에 끼워맞출 때에는, 예를 들어, X방향(폭 방향:짧은 방향) 일단측의 장변 부분에 형성된 테이퍼부(51d)와 테이퍼부(101d)를 겹쳐, X방향(폭 방향:짧은 방향) 타단측에 어긋나게 하면서 끼워맞추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테이퍼부(51d) 및 테이퍼부(101d)를 유입부(誘入部)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헤더(70)를 소켓(20)에 끼워맞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헤더(70)를 소켓(20)에 끼워맞춘 상태에서는, 소켓측 단자(30)의 제3 굴곡부(33)의 선단부(30a)측의 외측면(F1)이, 헤더측 단자(80)의 제5 굴곡부(82)의 선단부(80a)측의 외측면(F2)에 탄발적으로 접촉한다. 한편, 소켓측 단자(30)의 제2 굴곡부(32)의 외측면(F3)이, 헤더측 단자(80)의 제4 굴곡부(81)와 제5 굴곡부(82) 사이의 외측면(F4)에 탄발적으로 접촉한다. 그 결과, 소켓측 단자(30)와 헤더측 단자(8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나아가서는, 제1 회로 기판(130)의 도체 패턴과 제2 회로 기판(140)의 도체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소켓측 단자(30)와 헤더측 단자(80)에는, 서로 상대측의 단자에 걸어맞춰져 소켓(20)과 헤더(7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락 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더측 단자(80)의 외측면(F2)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121)와, 소켓측 단자(30)의 외측면(F1)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122)에 의해, X방향(폭 방향) 외측의 락 기구(120)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단자(80)의 외측면(F2)에 있어서의 소켓측 단자(30)와의 접촉면의 상방측이 얇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경사진 단차면(121a)을 가지는 제1 단차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소켓측 단자(30)의 외측면(F1)에 있어서의 헤더측 단자(80)와의 접촉면의 하방이 얇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경사진 단차면(122a)을 가지는 제2 단차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단자(80)의 제4 굴곡부(81)와 제5 굴곡부(82) 사이의 외측면(F4)에 걸어맞춤 오목부(84)를 형성하여,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84)에 소켓측 단자(30)의 제2 굴곡부(32)를 걸어맞춤으로써, X방향(폭 방향) 내측에도 락 기구(120)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헤더(70)를 소켓(20)에 끼워맞출 때에는, 헤더측 단자(80)의 외측면(F2, F4)이, 소켓측 단자(30)의 외측면(F1, F3)을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서 열어 삽입된다. 그리고, 제1 단차부(121)가 제2 단차부(122)를 극복하여, 소켓측 단자(30)의 제2 굴곡부(32)가 걸어맞춤 오목부(8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헤더(70)가 소켓(20)에 끼워진다. 이때, 제2 굴곡부(32)가 걸어맞춤 오목부(84)에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제1 단차부(121)의 단차면(121a)과 제2 단차부(122)의 단차면(122a)이 서로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소켓(20)과 헤더(70)가 락되어, 이들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켓(20)과 헤더(70)를 이탈시킬 때에는, 이들 양자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빼낸다. 그러면, 제1 단차부(121)의 단차면(121a)과 제2 단차부(122)의 단차면(122a)이 상대 슬라이드하면서, 소켓측 단자(30)의 외측면을 밀어서 열며 제1 단차부(121)와 제2 단차부(122)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때, 제2 굴곡부(32)의 걸어맞춤 오목부(84)로의 걸어맞춤도 해제되기 때문에, 소켓(20)과 헤더(7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50)의 길이 방향(Y) 양단부에는 소켓측 유지 기구(60)가, 헤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Y) 양단부에는 헤더측 유지 기구(1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소켓측 유지 기구(60) 및 헤더측 유지 기구(110)는, 소켓 하우징(50) 및 헤더 하우징(100)의 강도를 높임과 더불어, 각각이 가지는 장착편부(63a, 111a)를 상기 서술한 회로 기판에 장착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장착편부(63a)를 제1 회로 기판(130)에 납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켓측 단자(30)의 접속 단자부(34)가 제1 회로 기판(130)에 납땜됨과 더불어, 소켓(20)이 제1 회로 기판(130)에 대해 강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또,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장착편부(111a)를 제2 회로 기판(140)에 납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헤더측 단자(80)의 접속 단자부(83)가 제2 회로 기판(140)에 납땜됨과 더불어, 헤더(70)가 제2 회로 기판(140)에 대해 강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회로 기판에 강고하게 결합된 소켓(20)과 헤더(70)를 서로 끼워맞출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소켓측 단자(30)와 헤더측 단자(80)가 접촉 도통하여, 각 회로 기판의 도체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측 단자(30)와 헤더측 단자(80)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락 기구(1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소켓(20)과 헤더(70)의 결합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유지 기구(110)에, 연결편부(기초부)(111)에 대해 커넥터(10)의 폭 방향(X)에 상대 이동 가능한 돌출편부(112)를 설치하는 한편, 소켓측 유지 기구(60)에, 돌출편부(112)를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67)를 형성하고 있다.
이 소켓측 유지 기구(60)는,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커넥터(10)의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측판부(61)와, 측판부(61)의 양단부 하측을 길이 방향(Y) 중앙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바닥판부(6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바닥판부(63)의 양단부를 커넥터(10)의 폭 방향(X)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장착편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판부(63)의 Y방향(길이 방향) 내측에는, 내측이고 또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앵커부(63b)가 형성되어 있어,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소켓 하우징(50)으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 앵커부의 형상이나 돌출 방향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 앵커부를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측판부(61)의 폭 방향(X) 양단부에는, 측판부(61)의 폭 방향(X) 양단부를 커넥터(10)의 길이 방향(Y) 중앙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연장 설치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 설치부(62)의 연장 방향의 종착부(62a)에는 대략 역U자형상의 고정쇠부(6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쇠부(65)의 선단부(65a)측(X방향 내측)에는 걸어맞춤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쇠부(65)의 상측에는, X방향(폭 방향) 내측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진 경사부(65f)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켓측 유지 기구(60)는, 소켓 하우징(50)의 길이 방향(Y) 양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부(51b)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켓측 유지 기구(60)는, 예를 들어, 소켓 하우징(50)에 압입하거나, 인서트 성형하는 것 등에 의해, 걸어맞춤 홈부(51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홈부(51b)는, 주벽부(51)의 외벽면(54)과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외벽면(60a)이 대략 평평한 상태가 되는 깊이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주벽부(51)의 외벽면(54)에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외벽면(60a)이 대략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도록, 소켓 하우징(50)에 소켓측 유지 기구(60)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판부(61)의 외면(61a)이 소켓 하우징(50)의 Y방향(길이 방향) 최외단으로 연장되는 외측면(길이 방향의 단면)(54a)에 대해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 설치부(62)의 외면(62b)이 X방향(폭 방향:짧은 방향) 최외단으로 연장되는 외측면(폭 방향의 단면)(54b)에 대해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부(63)의 외면(63b)이 소켓 하우징(50)의 바닥면(56a)(외면(54))에 대해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외벽면(60a)은, 주벽부(51)의 외벽면(54)에 노출시킬 필요는 없고, 또, 노출시키는 경우여도, 주벽부(51)의 외벽면(54)에 대해 평평한 상태로 노출시킬 필요는 없다.
또, 소켓 하우징(50)의 고정쇠부(65)의 선단부(65a)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끼워맞춤 홈부(53)와 연결하도록 오목부(51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소켓 하우징(50)은, 고정쇠부(65)의 선단부(65a)와 대응하는 위치가 2단형상으로 오목 설치되 있으며, 그 오목부(51c)에 고정쇠부(65)의 선단부(65a)가 끼워넣어진 상태로 성형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걸어맞춤 오목부(67)는, 커넥터(10)의 한 쌍의 장변의 각각의 길이 방향(Y)의 양단에, 소켓측 단자(30)와 병렬 설치하도록, 합계 4개소 설치되어 있다.
한편, 헤더측 유지 기구(110)도, 소켓측 유지 기구(60)와 마찬가지로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헤더측 유지 기구(11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편부(기초부)(111)와, 이 연결편부(111)로부터 대략 역V자형상(보다 상세하게는 대략 八자형상)이 되도록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편부(112, 11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편부(111)는, 헤더 하우징(100)으로의 장착 상태에서 상하 방향(Z)의 상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장착편부(111a)와, 폭 방향(X)으로 신장되는 이 장착편부(111a)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각형상으로 분지하는 한 쌍의 분지편부(111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장착편부(111a)가 상기 서술한 제2 회로 기판(140)에 장착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한편으로, 한 쌍의 분지편부(111b)에는 각각의 대향면에 단차형상의 돌기(111c)가 설치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헤더측 유지 기구(110)는, 헤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Y) 양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부(101a)에 끼워져 사용된다. 이때, 걸어맞춤 홈부(101a)의 상기 서술한 돌기(111c)와 대응하는 중앙 내벽부(101b)에는 한 쌍의 단차(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돌기(111c)가 이 단차(도시하지 않음)를 극복하여 밀어넣음으로써, 헤더측 유지 기구(110)가 걸어맞춤 홈부(101a)에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돌기(111c)에 의해 중앙 내벽부(101b)를 누름 변형시켜 끼워두도록 해도 된다.
또한, 걸어맞춤 홈부(101a)는, 헤더측 유지 기구(110)와 대략 같은 형상으로 오목 설치되어 있고, 헤더측 유지 기구(110)를 끼운 상태로, 장착편부(111a)가 헤더측 단자(80)의 접속 단자부(83)와 대략 평평한 상태가 되는 깊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편부(111a)의 상면(표면:제2 회로 기판(140)에 접속되는 측의 면)과 접속 단자부(83)의 상면(표면:제2 회로 기판(140)에 접속되는 측의 면)이 평평해 진다. 그 결과, 제2 회로 기판(140)을 장착편부(111a) 및 접속 단자부(83)에 납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더(70)를 소켓(20)에 끼워맞춤으로써,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돌출편부(112)가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걸어맞춤 오목부(67)에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편부(112)의 선단부(112a)가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고정쇠부(65)의 외벽 내측면(65c)보다 폭 방향(X) 외측으로 약간 돌출하는 치수로 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돌출편부(112)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선단부(112a)를 고정쇠부(65)의 외벽 내측면(65c)에 의해 눌러 좁히면서 슬라이드시켜 걸어맞춤 오목부(67)까지 이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돌출편부(112)의 선단부(112a)가 복원력에 의해 걸어맞춤 오목부(67) 내에서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돌출편부(112)의 선단부(112a)가 걸어맞춤 오목부(67)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에 의하면, 돌출편부(112)와 걸어맞춤 오목부(67)에 의해, 소켓(20) 및 헤더(70)를 빼냄 방향(상하 방향(Z)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돌출편부(112)와 걸어맞춤 오목부(67)를 걸을 수 있다. 따라서, 소켓(20)과 헤더(70)의 끼워맞춤력을 높일 수 있어, 소켓(20)과 헤더(70)의 끼워맞춤을 보다 단단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유지 기구(110)에 그 연결편부(기초부)(111)에 대해 커넥터(10)의 폭 방향(X)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돌출편부(112)가 설치되어 있고, 소켓측 유지 기구(60)에, 그 돌출편부(112)를 걸을 수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67)를 형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소켓(20)과 헤더(70)를 끼워맞출 때에는, 돌출편부(112)를 걸어맞춤 오목부(67)에 끼울 수 있으므로, 끼워맞춤시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소켓(20)과 헤더(70)가 빼냄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했을 때에는, 헤더측 유지 기구(110)가 걸어맞춤 오목부(67)에 걸리므로, 이들 소켓(20)과 헤더(70)의 끼워맞춤을 보다 단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돌출편부(112)가 커넥터(10)의 폭 방향(X)으로 신축 가능(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편부(112)의 복원력을 이용해 끼워맞춤시의 감촉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걸어맞춤 오목부(67)가, 소켓측 단자(30)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소켓측 단자(30)의 근방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걸어맞춤 오목부(67)를 소켓 하우징(50)의 네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 걸어맞춤 오목부(67)에 걸어맞춰지는 돌출편부(112)와 더불어, 소켓(20)과 헤더(70)의 끼워맞춤을 보다 단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소켓측 유지 기구(60)는, 소켓 하우징(50)의 주벽부(51)의 상단부(51e)를 관통함과 더불어 주벽부(51)의 꼭대기부(51f)를 덮도록 배치되는 대략 역U자형상의 고정쇠부(6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고정쇠부(65)에 걸어맞춤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소켓측 유지 기구(60)를 소켓 하우징(50)에 장착할 때에, 대략 역U자형상의 고정쇠부(65)를 소켓 하우징(50)의 주벽부(51)에 상측으로부터 끼움으로써, 강성을 높여 이들을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고정쇠부(65)를 구비함으로써, 돌출편부(112)와 대향하도록 걸어맞춤 오목부(67)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소켓측 유지 기구(60)는, 소켓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20)과 헤더(70)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벽면이 돌기부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은,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서로 대향하는 측벽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폭 방향 양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측면이 상대측의 측벽면에 형성된 대향면과 대향하는 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는, 소켓 하우징(50)과 소켓측 유지 기구(60)로 형성되어 있고, 소켓 하우징(50)의 내주 측면(55)과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내주측에 노출되는 고정쇠부(65)의 노출면에서, 내주측 벽면(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쇠부(65)를 주위의 내주 측면(55)보다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돌기부(42)를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에 돌기부(42)(고정쇠부(65))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돌기부(42)는, 직사각형형상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4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직사각형형상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2개의 대각부분에 돌기부(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42)를 2개(적어도 하나) 가지도록, 4개의 돌기부(42)를 내주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42)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한 쌍의 장변 부분의 각각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돌기부(42)가 X방향(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42)의 폭 방향은, Y방향(길이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42)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에 있어서,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판형상 벽부(56) 근방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즉, 돌기부(42)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끼워맞춤 홈부(53)의 일방측(상측:개구측)으로부터 타방측(하측:판형상 벽부(56)측)에 걸쳐 X방향(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2)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에 있어서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판형상 벽부(56) 근방에 걸쳐 돌출하도록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복수의 돌기부(42) 중 일부의 돌기부(42)만,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에 있어서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판형상 벽부(56) 근방에 걸쳐 돌출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42)에 있어서의 상측(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와 끼워맞추는 측)에 경사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쇠부(65)의 경사부(65f)가 경사부(42c)에 상당하고 있다. 또, 고정쇠부(65)의 외측 측면(65d) 및 내측 측면(65e)이 각각 돌기부(42)의 폭 방향 양측면(42a, 42b)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부(51)의 고정쇠부(65)가 형성되는 부위(꼭대기부(51f)가 형성되는 부위)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양측벽도 Y방향(길이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외측 측면(65d) 및 내측 측면(65e)은, 각각 폭 방향 양측면(42a, 42b)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제의 소켓측 유지 기구(60)의 고정쇠부(65)를 돌기부(42)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부(42)가 금속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42)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대향면(9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는, 헤더 하우징(100)과 헤더측 유지 기구(110)로 형성되어 있고, 헤더 하우징(100)의 외주 측면(103)과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외주측에 노출되는 노출면에서,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외주 측면(103)의 돌기부(42)와 대응하는 부위에 대향면(92)으로서의 대향면(103a)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42)의 외측 측면(65d)과 대향하도록, 돌기부(42)의 Y방향(길이 방향) 외측의 위치에, 대향면(103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돌기부(42)의 각각의 외측 측면(65d)과 대향하도록, 각 돌기부(42)의 Y방향(길이 방향) 외측의 위치에, 대향면(103a)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향면을 2개(적어도 하나) 가지도록, 4개의 대향면(103a)을 외주 측면(103)에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가 직사각형형상을 하고 있으며, 대향면(103a)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하단) 근방으로부터 그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단부(상단) 근방에 걸쳐 대향면(103a)(대향면(92))을 설치하고 있다. 즉,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거의 상하 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도록 대향면(103a)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치고 상하 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도록 대향면(103a)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치고 상하 방향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도록 대향면(103a)을 설치하도록 하면, 보다 용이하게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대향면(103a)(대향면(92))도,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하단) 근방으로부터 그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단부(상단) 근방에 걸쳐 연장되도록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복수의 대향면(103a)(대향면(92)) 중 일부의 대향면(103a)(대향면(92))만,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하단) 근방으로부터 그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단부(상단) 근방에 걸쳐 연장되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42)가,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2개의 대향면(103a)에 의해 Y방향(길이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대향면(103a)을 X방향(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있어서의 돌기부(42)가 형성된 영역이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대향면(103a)의 사이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돌기부(42)의 폭 방향 양측면(42a, 42b) 중 적어도 한쪽의 측면(42a)과 대향하도록 대향면(10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42a)과 대향면(103a)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약간의 위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측면(42a)과 대향면(103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끼워맞춤 정밀도를 너무 높일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켓(20)과 헤더(70)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치 어긋남 허용량이 단자부들의 접촉폭(접촉 부분의 Y방향의 길이)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끼워맞춤시에,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가 위치 어긋나더라도, 단자부들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부의 도통 불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끼워맞춤시에 측면(42a)과 대향면(103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끼워맞춤시에 측면(42a)과 대향면(103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소켓측 단자(30)는, 소켓 하우징(50)(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Y방향(길이 방향) 중앙부에 병렬 설치되어 있고, 헤더측 단자(80)는, 헤더 하우징(100)(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중앙부에 병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42)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의 Y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켓측 단자(30)가 배치되는 부위와는 상이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대향면(103a)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Y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돌기부(42)와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향면(103a)은, 헤더측 단자(80)가 배치되는 부위와는 상이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벽부(101)의 장변 부분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는, 즉,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테이퍼부(101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테이퍼부(101d)와 헤더측 단자(80)가 배치되는 부위 사이에 대향면(103a)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의 돌기부(42)와 대응하는 부위에, 돌기부(42)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편이 존재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더 하우징(100)의 돌기부(42)와 대응하는 부위에, X방향(폭 방향) 내측으로 패인 오목부(101e)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01e)로부터 돌기부(42)를 향해,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돌출편부(112)의 선단부(112a)가 돌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편부(112)의 선단부(112a)가 돌출편에 상당하고 있다.
이 헤더측 유지 기구(110)도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돌출편)(112a)도 금속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편부(112)가 커넥터(10)의 폭 방향(X)으로 신축 가능(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돌출편)(112a)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돌출편)(112a)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부(돌출편)(112a)는, 4개의 돌기부(42)에 대응하도록 4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X방향(폭 방향)에 이웃하는 2개의 선단부(돌출편)(112a)를 교락부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교락부로 연결한 X방향(폭 방향)에 이웃하는 2개의 선단부(돌출편)(112a)를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압입하고 있다.
즉, 선단에 선단부(돌출편)(112a)를 가지는 한 쌍의 돌출편부(112)를 연결편부(111)에 의해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된 헤더측 유지 기구(110)를, 헤더 하우징(100)에 상측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선단부(돌출편)(112a)가 압입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편부(111)가 교락부에 상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헤더측 유지 기구(110)를, 헤더 하우징(100)에 상측(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하측(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끼워맞추는 측)에 헤더 하우징(100)이 존재한 상태로 선단부(돌출편)(112a)가 압입되게 된다.
그리고, 헤더측 유지 기구(110)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부에 압입되기 때문에, 선단부(돌출편)(112a)도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부에 압입되게 된다.
또한, 연결편부(111)의 장착편부(111a)의 중앙부에는, 상측에 개구한 오목부(111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선단부(돌출편)(112a)를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유지한 상태로, 연결편부(교락부)(111)에 있어서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에 오목부(111d)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있어서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의 내측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내측에는, 서로 끼워맞추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있어서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의 내측에는, 볼록부로서의 섬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내측에는, 오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있어서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의 내측에 오목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내측에 볼록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각각의 측벽면의 내측에, 서로 끼워맞추는 요철부를 복수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벽면이 돌기부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폭 방향 양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측면이 상대측의 측벽면에 형성된 대향면과 대향하는 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가지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에 돌기부(42)(고정쇠부(65))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춘 상태로, 외주 측면(103)의 돌기부(42)와 대응하는 부위에 대향면(92)으로서의 대향면(103a)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42)의 외측 측면(65d)과 대향하도록, 돌기부(42)의 Y방향(길이 방향) 외측의 위치에, 대향면(103a)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폭 방향 양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측면(42a)이 상대측의 측벽면에 형성된 대향면(103a)과 대향하는 돌기부(42)를 적어도 하나 가지도록 함으로써, 이 돌기부(42)와 대향면(103a)에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출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에 있어서,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판형상 벽부(56) 근방에 걸쳐 돌출하도록 돌기부(4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끼워맞춤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하단) 근방으로부터 그 외주측 벽면(측벽면)(91)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단부(상단) 근방에 걸쳐 대향면(103a)(대향면(92))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끼워맞춤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돌기부(42) 및 대향면(103a)(대향면(92))을 각각의 측벽면(41, 9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설치함으로써, 위치 결정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데다가,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끼워맞춤 강도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4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42, 42)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다. 이때, 대향면(103a)도,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형상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향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한쪽의 측면(42a)이 상대측의 측벽면(91)에 형성된 대향면(103a)과 대향하는 돌기부(42)를 점대칭으로 적어도 한 쌍 설치함으로써, 비틀림, 패임에 의해 강한 커넥터(10)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돌기부(42)를,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하도록 하면, 비틀림, 패임에 의해 한층 강한 커넥터(1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대향면(103a)도,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42)에 있어서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와 끼워맞추는 측에 경사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부(42c)를 형성함으로써,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출 때에, 상기 경사부(42c)가 유입의 기능을 가지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를 끼워맞출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42)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부분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끼워맞춤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42)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내주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의 Y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켓측 단자(30)가 배치되는 부위와는 상이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향면(103a)은, 헤더측 단자(80)가 배치되는 부위와는 상이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체들의 끼워맞춤시에, 돌기부(42) 및 대향면(103a)에 의한 위치 결정이, 소켓측 단자(30)와 헤더측 단자(80)의 접촉의 방해가 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춤체들을 끼워맞출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부에, 테이퍼부(101d)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면(103a)이,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테이퍼부(111d)와 헤더측 단자(80)가 배치되는 부위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체들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서술한 어긋나게 끼워맞춤을 행한 경우에, 돌기부(42) 및 대향면(103a)에 의한 위치 결정 부분이 단자부(소켓측 단자(30))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테이퍼부(111d)를 설치함으로써, 끼워맞춤체들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유입의 기능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에 있어서의 돌기부(42)와 대응하는 부위에, 돌기부(42)를 향해 돌출하는 선단부(돌출편)(112a)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끼워맞춤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돌출편)(112a)가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가 쉽게 끼워맞춰지는 것을 극력 해치는 일 없이,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끼워맞춤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선단부(돌출편)(112a)가 연결편부(교락부)(111)로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데다가, 빼냄시(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의 끼워맞춤 해제시)에 선단부(돌출편)(112a)가 탈락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돌출편)(112a)를, 헤더 하우징(100)에 상측(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압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하측(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끼워맞추는 측)에 헤더 하우징(100)이 존재한 상태로 선단부(돌출편)(112a)가 압입되게 된다. 그로 인해, 빼냄시(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의 끼워맞춤 해제시)에, 헤더 하우징(100)이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선단부(돌출편)(112a)가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편부(111)의 장착편부(111a)를 제2 회로 기판(140)에 납땜하면, 선단부(돌출편)(112a), 즉, 헤더측 유지 기구(110)는, 제2 회로 기판(140)과 헤더 하우징(100)으로 끼워두게 된다. 따라서, 빼냄시(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의 끼워맞춤 해제시)에, 선단부(돌출편)(112a)가 빠져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돌출편)(112a), 즉, 헤더측 유지 기구(110)는,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압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헤더측 유지 기구(110)를 압입하도록 함으로써,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Y방향(길이 방향) 양단부가 유지되게 된다. 그 결과, 비스듬하게 빼는 동작(X방향 양단의 장변 부분 중 한쪽의 장변 부분을 축으로 회동시켜, 헤더측 끼워맞춤체(90)와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높은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비스듬하게 빼는 동작이 행해지는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 헤더측 끼워맞춤체(90)와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끼워맞춤이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돌출편)(112a)를 헤더측 끼워맞춤체(90)에 유지한 상태로, 연결편부(교락부)(111)에 있어서의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소켓측 끼워맞춤체(40)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에 오목부(111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편부(111)의 장착편부(111a)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구한 오목부(111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편부(111a)를 제2 회로 기판(140)에 납땜했을 때에, 여분의 땜납을 오목부(111d)에 수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장착용의 땜납에 의해, 헤더(70)가 제2 회로 기판(140)으로부터 들떠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있어서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의 내측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내측에는, 서로 끼워맞추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40)에 있어서의 내주측 벽면(내주측의 측벽면)(41)의 내측에는, 볼록부로서의 섬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더측 끼워맞춤체(90)의 외주측 벽면(외주측의 측벽면)(91)의 내측에는, 오목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더측 끼워맞춤체(90)와 소켓측 끼워맞춤체(40)의 끼워맞춤시의 위치 결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데다가, 비틀림 등의 하중이 더해졌을 때에, 섬부(52) 전체에서 힘을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수지 부분(소켓 하우징(50)이나 헤더 하우징(100))의 파손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켓(20)과 헤더(70)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10) 및 상기 커넥터(10)에 이용되는 헤더(20) 및 소켓(70)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변형예)
도 16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10)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변형예가 상기 실시 형태와 주로 상이한 점은, 돌기부(42)의 내측 측면(65e)과 대향하도록, 돌기부(42)의 Y방향(길이 방향) 내측의 위치에, 대향면(101f)을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42)의 내측 측면(65e)이 돌출벽부(101e)의 대향면(101f)과 대향하도록, 돌기부(42)를 상기 실시 형태보다 내측에 존재하도록 하고, 대향면(103a) 및 대향면(101f)이, 1개의 돌기부(42)의 폭 방향(Y방향) 양단에 대향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변형예)
도 17 및 도 1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10)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변형예가 상기 실시 형태와 주로 상이한 점은, 돌기부(42)의 내측 측면(65e)과 대향하도록, 돌기부(42)의 Y방향(길이 방향) 내측의 위치에, 대향면(103b)을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대향면(103a)과 헤더측 단자(80)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벽부(101h)를 설치함으로써, 오목부(101g)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01g)의 사이에, 돌기부(42)의 선단을 수용시키도록 했다.
이렇게 하여, 대향면(103a)과 대향면(103b)이, 1개의 돌기부(42)의 폭 방향(Y방향) 양단에 대향하도록 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헤더측 유지 기구(110)의 형상이,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제1 변형예와는 약간 상이한데,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제1 변형예에서 나타낸 헤더측 유지 기구(11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제1 변형예에서, 본 변형예에서 나타낸 헤더측 유지 기구(11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 및 제1 변형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소켓이나 헤더의 형상이 직사각형형상인 것을 예시했는데, 그 이외의 형상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소켓 하우징과 소켓측 유지 기구로 소켓측 끼워맞춤체를 형성한 것을 예시했는데, 소켓측 유지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소켓측 끼워맞춤체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헤더 하우징과 헤더측 유지 기구로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형성한 것을 예시했는데, 헤더측 유지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소켓측 끼워맞춤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대향면을 형성한 것을 예시했는데, 소켓측 끼워맞춤체에 대향면을 형성하고,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돌기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는데, 돌기부는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모든 돌기부의 각각에 대향하는 대향면이 형성된 것을 예시했는데, 복수의 돌기부 중 적어도 1개의 돌기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양측면이 상대측의 측벽부와 대향하지 않는 돌기부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또, 소켓측 끼워맞춤체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 중 어느 한쪽에만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예시했는데, 소켓측 끼워맞춤체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각각에, 돌기부를 1개 이상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소켓측 끼워맞춤체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돌기부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헤더측 끼워맞춤체에도 돌기부를 설치하며, 소켓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돌기부(헤더측의 돌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돌기부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 중에, 양측면이 상대측의 측벽부와 대향하지 않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전체를, 양측면이 상대측의 측벽부와 대향하지 않는 돌기부가 되도록 해도 된다.
즉, 소켓측 끼워맞춤체 및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대응하는 돌기부와 대향면이 적어도 1쌍 존재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 돌출편이나 돌기부는, 금속제가 아니어도 된다.
또, 소켓측 단자나 헤더측 단자, 그 외 세부의 스펙(형상, 크기, 레이아웃 등)도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과 헤더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소켓측 단자가 배치되는 소켓측 끼워맞춤체를 가지는 소켓과, 헤더측 단자가 배치되는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가지는 헤더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소켓측 단자와 상기 헤더측 단자가 접촉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가지며,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의 내주측의 측벽면 및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벽면은,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대향면은,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를 끼워맞춘 상태로, 상대측의 측벽면에 형성된 돌기부의 측면으로서, 상기 돌기부의 돌출 방향인 상기 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상기 길이방향에 면하는 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측면과 대향하며,
    상기 대향면이 형성된 끼워맞춤체는, 회로기판에 장착된 장착편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편부는, 상기 대향면이 형성된 끼워맞춤체의 상기 대향면보다 상기 대향면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상기 길이방향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에 상기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로부터 그 측벽면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단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는,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와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판형상 벽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의 내주측의 측벽면에 있어서,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끼워맞춰지는 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판형상 벽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중심에 대해, 서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향면을 적어도 하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가 직사각형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대향면이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면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헤더측 단자가 배치되는 부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외주측의 측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돌기부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편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이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이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압입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돌출편이 교락부(橋絡部)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을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유지한 상태로, 상기 교락부에 있어서의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와 끼워맞추는 측과는 반대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체에 있어서의 내주측의 측벽면의 내측 및 상기 헤더측 끼워맞춤체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측벽면의 내측에는, 서로 끼워맞추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에 이용되는, 소켓.
KR1020157023177A 2013-02-27 2013-02-27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KR101809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1153 WO2014132285A1 (ja) 2013-02-27 2013-02-27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774A KR20150110774A (ko) 2015-10-02
KR101809340B1 true KR101809340B1 (ko) 2017-12-14

Family

ID=5142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177A KR101809340B1 (ko) 2013-02-27 2013-02-27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37244B2 (ko)
KR (1) KR101809340B1 (ko)
CN (1) CN105027360A (ko)
WO (1) WO2014132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2283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7012245B2 (ja) * 2017-03-10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ヘッダ、及び接続装置
JP6925883B2 (ja) * 2017-06-09 2021-08-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2654718B1 (ko) * 2018-07-31 2024-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253337B2 (ja)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66731Y (zh) * 2008-06-11 2009-07-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051A (en) * 1995-06-28 1996-08-13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 to board matable assembly
US5876217A (en) * 1996-03-14 1999-03-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JP3116300B2 (ja) 1996-06-21 2000-12-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リント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008753A (ja) * 2000-06-16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4070988B2 (ja) * 2001-12-04 2008-04-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60335052D1 (de) * 2002-07-23 2010-12-30 Panasonic Elec Works Co Ltd Steckverbinder mit niedrigem Profil
JP2005019144A (ja) 2003-06-25 2005-01-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953399Y (zh) * 2006-09-19 2007-09-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JP4802959B2 (ja) * 2006-09-29 2011-10-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61397B2 (ja) * 2007-02-26 2011-08-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組合せコネクタ
JP4809816B2 (ja) * 2007-08-31 2011-11-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55329B2 (ja) * 2007-11-08 2010-09-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23694B2 (ja)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8087942B2 (en) * 2008-10-30 2012-01-0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1060478A (ja) 2009-09-08 2011-03-24 Molex Inc コネクタ
EP2506794A1 (en) * 2009-12-02 2012-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appliance with low profile clip
JP5732250B2 (ja) * 2010-12-28 2015-06-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装置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O2014132283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JP5809198B2 (ja) * 2013-06-10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6325262B2 (ja) * 2014-01-29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66731Y (zh) * 2008-06-11 2009-07-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2285A1 (ja) 2014-09-04
US9537244B2 (en) 2017-01-03
US20160049744A1 (en) 2016-02-18
CN105027360A (zh) 2015-11-04
KR20150110774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117B1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809340B1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KR101809339B1 (ko)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5935040B2 (ja)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5809198B2 (ja)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US8979584B2 (en) Board-mounted connector
JP3377965B2 (ja)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
JP2015035352A (ja) コネクタ
TW201310807A (zh) 插頭及使用該插頭的連接器
US20120122350A1 (en) Board-to-board-type connector
CN104253337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JP5232204B2 (ja) 電気コネクタとキャップとを有する組立体、電気コネクタ用のキャップ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実装方法
CN108736185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JP544428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041949B2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5834243B2 (ja)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691803B2 (ja) 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672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3069488A (ja) コネクタ
KR20130124533A (ko) 커넥터
JP475732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