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686B1 - 보드간 컨넥터 - Google Patents

보드간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686B1
KR101241686B1 KR1020117010858A KR20117010858A KR101241686B1 KR 101241686 B1 KR101241686 B1 KR 101241686B1 KR 1020117010858 A KR1020117010858 A KR 1020117010858A KR 20117010858 A KR20117010858 A KR 20117010858A KR 101241686 B1 KR101241686 B1 KR 10124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tting
terminals
boar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925A (ko
Inventor
히로까쯔 스즈끼
료따로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 1 컨넥터 및 제 2 컨넥터를 포함하는 보드간 컨넥터가 개시된다. 제 1 컨넥터는 제 1 단자들 상에 장착된 제 1 하우징을 갖는다. 제 2 컨넥터는 제 1 컨넥터에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리게 구성된다. 제 2 컨넥터는 제 1 단자들과 접촉하게 구성된 제 2 단자들 상에 장착된 제 2 하우징을 갖는다. 적어도 오목 안내부의 입구 단부의 부분에는 이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이 제공된다. 오목 안내부에 제 2 끼워맞춤 안내부의 삽입에 기인하여, 제 2 끼워맞춤 안내부의 부분들이 경사 안내면과 접하여 접촉하게 제 1 및 제 2 단자들은 제 1 및 제 2 하우징들의 끼워맞춤면들이 서로 같은 높이인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Description

보드간 컨넥터{BOARD-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보드간(board-to-board)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컨넥터의 제 1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의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일 때 제 1 컨넥터의 제 1 단자들이 제 2 컨넥터의 제 2 단자들로부터 이격되어, 제 1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을 끼워맞춤 조작동안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 상에 미끄러지게 하였을 때 제 1 단자들이 제 2 단자들과 접하여 접촉하지 않아 손상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 보드간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드간 컨넥터들은 일반적으로 다수 쌍의 평행한 회로보드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컨넥터들은 보드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로보드들의 각각의 서로 대향한 면들에, 끼워맞춤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보드간 컨넥터의 예는 일본특허 출원번호 2008-084795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종래의 보드간 컨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제 1 하우징(811)은 제 1 회로보드(891)에 장착된 제 1 컨넥터를 수용하며, 제 2 하우징(911)은 제 2 회로보드(991)에 장착된 제 2 컨넥터를 수용한다. 제 1 및 제 2 컨넥터들이 끼워맞춤에 의해 함께 맞물릴 때, 제 1 회로보드(891) 및 제 2 회로보드(991)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제 1 하우징(811)에는 오목 공동부(812)가 제공되어 있고, 이에 복수의 제 1 단자들(861)이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단자(861)에는 제 1 회로보드(891)의 연결 패드, 제 1 접촉부(864) 및 제 2 접촉부(865) -제 2 컨넥터의 제 2 단자(961)에 접촉하게 구성된- 에 납땜된 테일부(862)가 제공된다. 유사하게, 복수의 제 2 단자들(961)은 제 2 하우징(911)에 장착된다. 각각의 제 2 단자(961)에는 제 2 회로보드(991)의 연결 패드 및 접촉부(964) -제 1 컨넥터의 제 1 단자(861)에 접촉하게 구성된- 에 납땜된 테일부(962)가 제공된다.
또한, 제 2 하우징(911)에는 양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볼록 삽입부들(912)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811)에는 양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돌출부들(822)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컨넥터들이 맞물릴 때, 볼록 삽입부(912)는 돌출부(822) 내 형성된 오목부분들에 수용되며, 따라서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설정이 달성된다. 또한, 한 테이퍼된 부분은 돌출부(822) 내 형성된 오목 부분의 입구 코너 부분에 형성되고, 또 다른 테이퍼된 부분은 볼록 삽입부(912)의 전방 코너 부분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볼록 삽입부(912)는 돌출부(822)의 오목 부분 내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쉬워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드간 컨넥터에서, 제 1 단자들(861) 및 제 2 단자들(961)은 끼워맞춤 조작 동안에 서로 마찰되기 때문에, 제 1 단자들(861) 및 제 2 단자들(961)이 손상을 받을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컨넥터들이 함께 맞물릴 때, 이들이 단면적들이 큰 제 1 회로보드(891) 및 제 2 회로보드(991)의 표면들 상에 각각 장착되기 때문에, 종종 작업자는 제 1 하우징(811)의 끼워맞춤면과 제 2 하우징(911)의 끼워맞춤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어도 끼워맞춤 조작을 수행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는 볼록 삽입부(912)가 돌출부(822)의 오목 부분에 들어가게 될 때까지 제 1 하우징(811) 및 제 2 하우징(911)의 끼워맞춤면들을 상호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제 1 하우징(811)에 관하여 제 2 하우징(9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 1 하우징(811)의 끼워맞춤면 상에는 각각의 돌출부(822)에 형성된 오목 부분의 입구 코너 부분에 테이퍼된 부분만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하우징(911)의 끼워맞춤면 상에는 볼록 삽입부(912)의 전방 코너 부분들 각각의 부분 상에 테이퍼된 부분만이 형성된다. 그러나, 돌출부(822)의 오목 부분 안으로 볼록 삽입부(912)를 용이하게 넣기 위한 특정한 부재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하우징(811)의 끼워맞춤면을 제 2 하우징(911)의 끼워맞춤면 상에 미끄러지게 할 때, 제 1 단자(861) 및 제 2 단자(961)가 접하여 접촉하게 되고, 서로 마찰될 수 있어 잠재적으로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것은 끼워맞춤 조작을 수행하기에 어려움과 시간을 모두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보드간 컨넥터에서 발생하는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컨넥터의 제 1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의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일 때 제 1 컨넥터의 제 1 단자들이 제 2 컨넥터의 제 2 단자들로부터 이격되어, 제 1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을 끼워맞춤 조작동안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 상에 미끄러지게 하였을 때 제 1 단자들이 제 2 단자들과 접하여 접촉하지 않아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손상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 보드간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보드간 컨넥터는 끼워맞춤 조작의 어려움을 감소시키며, 짧은 시간 내에 그리고 정확하게 완료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보드간 컨넥터의 고도의 작업성과 신뢰도를 실현한다.
그러므로, 보드간 컨넥터는, 상면측 상에 끼워맞춤면이 형성된 섬 부분; 섬 부분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오목 삽입부들; 오목 삽입부들 각각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측벽부들; 섬 부분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배열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및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내 형성된 오목 안내부들을 포함하며 제 1 단자들을 장착한 제 1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 1 컨넥터; 및 섬 부분이 삽입되는 함몰 공동부; 끼워맞춤면들이 형성되고 오목 삽입부들에 삽입되게 제공된 함몰 공동부의 양 측 상에 형성된 돌출 볼록부들; 및 오목 안내부들에 삽입되게 함몰 공동부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배열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을 포함하고 제 1 단자들과 접촉하게 구성된 제 2 단자들을 장착한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며, 제 1 컨넥터에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리게 구성된, 제 2 컨넥터를 포함하며; 오목 안내부들 각각의 입구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이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이 제공되고;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의 부분들이 경사 안내면들에 접하여 접촉하도록 오목 안내부들에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의 삽입에 기인하여, 제 1 하우징의 끼워맞춤면과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들이 서로 같은 높이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단자들 및 제 2 단자들이 서로 이격된다.
또한, 보드간 컨넥터는, 제 1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 1 단자들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끼워맞춤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들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 2 단자들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끼워맞춤면들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보드간 컨넥터는, 제 1 단자들 각각에는 탄성적으로 변할 수 있는 상호 갭을 정의하는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가 제공되고, 돌출 볼록부들이 오목 삽입부들에 삽입될 때, 제 2 단자들의 각각은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보드간 컨넥터는 경사 안내면들 각각에는 제 1 컨넥터의 끼워맞춤면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앞쪽 경사면 부분과 급격한 경사를 갖는 뒤쪽 경사면 부분이 제공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보드간 컨넥터는 제 1 컨넥터의 제 1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의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일 때라도, 제 1 컨넥터의 제 1 단자들은 제 2 컨넥터의 제 2 단자들로부터 이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제 1 및 제 2 컨넥터들의 끼워맞춤을 위한 가늠 조작 과정에서 제 1 하우징 의 끼워맞춤면을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 상에 미끄러지게 할 때라도, 제 1 단자들은 제 2 단자들과 접하여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단자들 및 제 2 단자들에의 손상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끼워맞춤을 위한 가늠 조작이 쉬워지게 되고, 그러므로 훨씬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게 끼워맞춤 조작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드간 컨넥터의 양호한 작업성 및 고 신뢰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과 함께 본 발명의 구조 및 동작의 구성 및 방법은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한 동반된 도면들에 관려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최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컨넥터의 끼워맞춤면에서 본, 보드간 컨넥터의 제 1 및 제 2 컨넥터의 사시도로서, 제 1 및 제 2 컨넥터들은 서로 끼워맞추어져 있지 않다.
도 2은 끼워맞춤면에서 본 도 1의 제 1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끼워맞춤면에서 본 도 1의 제 2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1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1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3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의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3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컨넥터들이 함께 맞물려 있다.
도 11은 도 1의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컨넥터들이 함께 맞물려 있다.
도 12는 종래의 보드간 컨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본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증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예시된 바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여러 요소의 구조 및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방, 후방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요소들의 위치의 설명이 바뀐다면, 이들 표현들은 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도 1은 제 1 컨넥터의 끼워맞춤면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간 컨넥터의 제 1 컨넥터 및 제 2 컨넥터의 사시도로서, 제 1 컨넥터 및 제 2 컨넥터가 끼워맞춤에 의해 아직 함께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끼워맞춤면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드간 컨넥터를 구성하는 한쌍의 컨넥터들 중 하나로서 참조부호 1로 나타낸 제 1 컨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보드의 표면 상에 실장되는 표면실장형 컨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보드간 컨넥터를 구성하는 컨넥터들 중 참조부호 101로 나타낸 다른 한 컨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제 2 보드의 표면 상에 실장되는 표면실장형 컨넥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드간 컨넥터는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를 포함하며, 제 1 보드 및 제 2 보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 보드 및 제 2 보드는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인쇄회로보드들이며 임의의 유형의 보드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드간 컨넥터의 각 부분의 구조 및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방, 후방 등과 같은 방향들의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이들 표현들은 보드간 컨넥터, 등의 각 부분이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적합하다. 그러나, 보드간 컨넥터, 등의 위치가 변한다면, 이들 표현들은 보드간 컨넥터, 등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 1 컨넥터(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일체로 형성된 컨넥터 몸체로서 제 1 하우징(11)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형의 형상을 갖는 대체로 직육면체 부재이다. 둘러싸인 주변을 가진 대체로 직사각 형상인 오목부(12)는 일측, 즉 제 2 컨넥터(101)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측(도 2에서 상측) 상에 형성된다. 제 1 컨넥터(1)는 약 10.0 mm 길이, 약 2.5 mm 폭, 및 약 1.0 mm 두께의 치수를 가지며, 치수는 필요할 때 적합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섬(island) 부분으로서 제공된 제 1 돌출 볼록부(13)는 제 1 하우징(11)과 일체가 되게 오목부(12) 내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돌출 볼록부(13)와 평행하게 연장하게 구성된 측벽부들(14)은 제 1 하우징(11)과 일체가 되게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제 1 돌출 볼록부(13) 및 측벽부들(14)는 오목부(12)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며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게 구성된 긴 오목 삽입부들인, 오목부(12)의 부분으로서 함몰 홈 부분들(12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와 측벽부들(14) 사이에 배치되게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돌출 볼록부(13)가 개수가 하나일지라도, 복수의 돌출 볼록부들이 제공될 수 있고, 이의 개수는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돌출 볼록부(13)는 약 0.6 mm 폭의 치수를 가지며, 예를 들어, 치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함몰 홈 형상을 가진 제 1 단자-수용 내측 공동들(15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양 측면들 상에 형성된다. 또한, 함몰 홈 형상을 가진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은 윗면(14a) 상에 그리고 측벽부(14)의 각각의 양 측면들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단자-수용 내측 공동들(15a) 및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은 함몰 홈 부분(12a)의 바닥 부분에 서로 연결되고 서로 일체화되기 때문에, 제 1 단자-수용 내측 공동들(15a) 및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을 일괄하여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이라 칭하도록 할 것이다.
제 1 돌출 볼록부(13)의 각 측 상에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의 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또한, 제 1 돌출 볼록부(13)의 각 측 상에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 내 수용되는 제 1 단자들(61)의 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의 피치 및 개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제 1 단자들(61)은 도전성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일체형 부재이다. 제 1 단자들(61) 각각에는 홀딩부(63), 홀딩부(63)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테일부(62), 홀딩부(63)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상측 연결부(67), 상측 연결부(67)의 내측 단부 근처에 형성된 제 2 접촉부(66), 제 2 접촉부(66)에 연결된 하측 연결부(64), 및 하측 연결부(64)의 자유 단부 근처에 형성된 제 1 접촉부(65)가 제공된다.
홀딩부들(63)은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 내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유지되게 상-하 방향으로, 즉 제 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하는 부분들이다. 테일부들(62)은 홀딩부들(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게 좌-우 방향으로, 즉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확장한다. 상측 연결부들(67)는 홀딩부들(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안쪽으로 확장한다. 또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아래쪽으로 구부리고 안쪽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제 2 접촉부들(66)은 상측 연결부들(67)의 내측 단부들에 형성된다. 하측 연결부들(64)은 측면에서 보아 대체로 U 형상을 가지며 제 2 접촉부들(66)의 하측 단부들에 연결되는 부분들이다. 또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U 형상으로 구부리고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제 1 접촉부들(65)은 자유 단부들에, 즉 하측 연결부들(64)의 안쪽 상측 단부들 근처에 형성된다.
제 1 단자들(61)은 홀딩부들(63)이 측벽부들(14) 외측에 배치된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의 측벽들에 의해 협지하여 클램프됨으로써 제 1 하우징(11)에 확고하게 고정되게 끼워맞춤 측으로부터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에 끼워맞추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은 끼워맞춤면이 되고 평탄한 혹은 매끄러운 표면으로서 구성된다. 끼워맞춤면으로서의 윗면(13a)은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으로서, 후술하는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윗면(112a) 및 후술하는 제 2 돌출 단부(122)의 윗면(122a)과 함께,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맞물림을 위한 기준 표면으로서 기능한다. 즉, 서로 맞물리게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을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조작의 단계가 이루어지는 동안, 제 1 컨넥터(1)의 제 1 하우징(11) 및 제 2 컨넥터(101)의 제 2 하우징(111)이 서로 가깝게 접촉하게 위치되게 이동될 때라도,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는 각각의 끼워맞춤면들이 서로 높이가 같게 될 때까지 아직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 있다.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은 각각의 끼워맞춤면들이 서로 같은 높이가 될 때 시작한다. 또한, 각각의 끼워맞춤면들이 서로 같은 높이가 될 때라도, 제 1 컨넥터(1)의 제 1 단자들(61) 및 제 2 컨넥터(101)의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접하게 접촉하지 않고 있지만,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는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시작될 때 접하여 접촉한다.
또한, 제 1 하우징(11)에 확고하게 고정된 제 1 단자들(61)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14)의 윗면(14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보다 낮은(제 1 보드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단자(61)의 상측 연결부(67)의 윗면은 측벽부(14)의 윗면(14a)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이지만,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단자(61)의 상측 연결부(67)의 윗면을 측벽부(14)의 윗면(14a)보다 낮게 하면, 측벽부(14)의 윗면(14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과 같은 높이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로서 제 1 돌출 단부들(21)은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각각 배치된다. 오목부(12)의 부분으로서 오목 돌출 단부(22)은 각각의 제 1 돌출 단부들(21) 내에 형성된다. 오목 돌출 단부들(22)은 대체로 사각 오목부들이며 함몰 홈 부분들(12a)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연결된다. 또한, 오목 돌출 단부(22)는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 나중에 기술되는 제 2 컨넥터(101)의 제 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는 오목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제 1 돌출 단부들(21) 각각에는 측벽부(14)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로부터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된 측벽 확장부들(21b) 및 제 1 하우징(11)의 단축 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되고 측벽 확장부들(21b)에 연결된 양 단부들을 갖는 단부 벽부(21c)가 제공된다. 제 1 돌출 단부들(21) 각각에서 단부 벽부(21c) 및 단부 벽부(21c)의 양 단부들에 연결된 측벽 확장부들(21b)은 반전된 C 형상을 갖는 연속한 측벽을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사각형 오목 돌출 단부(22)의 3개의 측면들을 정의한다.
제 1 돌출 단부들(21)의 각각의 윗면(21a)은 단부 벽부(21c) 및 단부 벽부(21c)의 양 단부들에 연결된 측벽 확장부들(21b)의 전체 범위에 걸쳐 확장하는 반전된 C 형상을 갖는 하나의 연속한 평탄면이며,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보다 높은 위치(제 1 보드로부터 먼)에 형성된다.
또한, 경사 안내 표면으로서의 경사면 부분(23)은 윗면(21a)의 내측 단부와 제 1 돌출 단부(21)의 내측 표면(21d) 사이에 경계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즉 오목 돌출 단부(22)의 입구 단부의 즉 적어도 한 부분(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둘러싸인 3개의 측면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경사면 부분(23)에는 윗면(21a)에 연결되고 끼워맞춤면에 관하여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갖는 앞쪽 경사면 부분(23a)과, 끼워맞춤면에 관하여 비교적 급격한 경사를 갖는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제공되며 이 부분의 한 단부는 앞쪽 경사면 부분(23a)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내측 표면(21d)에 연결된다. 앞쪽 경사면 부분들(23) 및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평탄면들일지라도, 이들은 만곡된 표면들일 수 있다. 즉, 경사면 부분들(23)의 각각의 부분들은 경사진 평탄면들일 수도 있고 경사진 만곡된 표면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브래킷으로서의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이 제 1 돌출 단부들(21)에 부착된다.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은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며, 측벽 확장부들(21b)에 형성된 제 1 오목 브래킷 홀딩부들(26) 내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또한,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하측 단부들에 형성된 테일부들(52)은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상측 단부들에 형성된 볼록 맞물림 부분들(53)은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제 2 컨넥터(101)의 후술하는 제 2 보강 브래킷들(151)과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오목 돌출 단부들(22) 내 수용되게 내측 표면들(21d)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컨넥터(10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일체로 형성된 컨넥터 몸체로서의 제 2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11)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같은 형상을 가진 대체로 직육면체 부재이다. 제 2 하우징(111)은 약 8.0 mm 길이, 약 1.5 mm 폭, 및 약 0.8 mm 두께의 치수를 가지며, 치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된 긴 함몰 공동부(113)와, 함몰 공동부(113)의 바깥 측들을 정의하며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된 긴 돌출 볼록부로서의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은, 제 1 컨넥터(1)가 끼워맞추어지는 제 2 하우징(111)의 일측, 즉, 끼워맞춤 측(도면에서 위측)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은 함몰 공동부(113)의 양측을 따라서 그리고 제 2 하우징(111)의 양측을 따라서 형성된다. 또한, 제 2 단자들(161)은 제 2 돌출 볼록부들(112) 각각에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 공동부(113)는 제 2 보드 상에 장착되는 측, 즉 장착면(도면에서 하측 표면 측) 상에 자신의 표면에 바닥부분에 의해 닫혀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의 개수가 2개일지라도, 이것은 한 개일 수도 있고 이의 개수는 특정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함몰 공동부(113)는 예를 들어 약 0.7mm 폭의 치수를 가지며, 이의 치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단자들(161)은 도전성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다. 제 2 단자들(161)의 각각에는 제 2 접촉부로서도 기능하는 홀딩부(163), 홀딩부(163)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테일부(162), 홀딩부(163)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64), 및 연결부(164)의 내측 단부에 연결된 제 1 접촉부(165)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과 맞물리게 구성된 오목 접촉부들(165a)는 제 1 접촉부들(165)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제 2 접촉부들(66)과 맞물리게 구성된 볼록 접촉부들(166)는 홀딩부들(163)의 상측 단부들 근처에 형성된다.
홀딩부들(163)은 제 2 하우징(111)에 의해 둘러싸인 주변으로 유지되고 제 1 단자들(61)의 제 2 접촉부들(66)와 접촉한다. 테일부들(162)은 홀딩부들(1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납땜 등에 의해 제 2 보드 상에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게 제 2 하우징(111)의 폭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확장한다. 연결부들(164)은 홀딩부들(1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제 2 하우징(111)의 폭 방향에서 안쪽으로 확장한다. 제 1 접촉부들(165)은 연결부들(164)의 내측 단부들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아래쪽으로 확장하는 부분들이다.
또한,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은 제 2 단자들(161)이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 내 수용되도록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양 측면들 및 윗면(112a)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윗면(112a)은 끼워맞춤면이며 평탄한 또는 매끄러운 표면으로서 구성된다. 끼워맞춤면으로서의 윗면(112a)은 제 1 컨넥터(1)의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과 함께,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맞물림을 위한 기준 표면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제 2 단자들(161)의 연결부(164)의 윗면의 부분들 중 어느 것도 윗면(112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연결부(164)의 윗면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윗면(112a)과 같은 높이일지라도, 이것은 윗면(112a)보다 낮은 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함몰 공동부(113)의 각 측 상에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의 개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또한, 함몰 공동부(113)의 각 측 상에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 내 수용되는 제 2 단자들(161)의 개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의 피치 및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로서의 제 2 돌출 단부들(122)는 각각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배열된다. 제 2 돌출 단부들(122) 각각은, 제 2 하우징(111)의 단축방향으로 확장하고 양 단부들이 길이방향으로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양 단부들에 연결되고 윗면(122a)은 대체로 사각형상 평탄면인 두꺼운 부재이다. 또한, 제 2 돌출 단부들(122)은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제 1 컨넥터(1)의 제 1 돌출 단부들(21)의 오목 돌출 단부들(22)에 삽입되는 부분들이다. 또한, 윗면(122a)은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윗면(112a)과 같은 높이가 되게 형성될 수 있고 윗면(112a)와 함께 끼워맞춤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윗면(122a)의 외측 단부와 제 2 돌출 단부(122)의 외측 표면(122b) 간에 경계 부분, 즉 제 2 돌출 단부(122)의 주변의 3개의 측면들 상에 코너 부분들에 면취가공(chamfering processing)이 가해질지라도, 면취가공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브래킷으로서의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이 제 2 돌출 단부들(122)에 부착된다.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은 도전성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며, 제 2 돌출 단부(122)에 형성된 제 2 오목 브래킷 홀딩부들(126) 내 수용되어 이에 유지된다. 또한,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의 하측 단부들에 형성된 테일부들(152)은 납땜 등에 의해 제 2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다. 또한, 테일부들(152)의 상측 단부들에 형성된 오목 맞물림 부분들(153)은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제 1 컨넥터(1)의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볼록 맞물림 부분들(53)에 맞물리게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1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1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3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3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돌출 단부들의 단면도로서, 컨넥터들이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들의 단자들의 단면도로서, 컨넥터들이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단자들(61)의 테일부들(6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도시되지 않은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고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테일부들(5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 상태로 제 1 컨넥터(1)가 제 1 보드 상에 표면실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접촉부들(66)의 전방 단부들은 함몰 홈 부분들(12a)에 수용되게 측벽부들(14)의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로부터 돌출되며, 제 1 접촉부들(65)의 전방 단부들은 함몰 홈 부분들(12a)에 수용되게 제 1 돌출 볼록부들(13)의 제 1 단자-수용 내측 공동들(15a)로부터 돌출된다. 이 구성 때문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 홈 부분들(12a)에 삽입되는 제 2 컨넥터(101)의 제 2 단자들(161)은 협지하여 제 1 접촉부들(65) 및 제 2 접촉부들(66)에 의해 클램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촉부들(65) 및 제 2 접촉부들(66)은 제 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근사적으로 동일 위치에 있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유사하게, 제 2 단자들(161)의 테일부들(16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도시되지 않은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고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의 테일부들(15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2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 상태로 제 2 컨넥터(101)가 제 2 보드 상에 표면실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촉부들(165)은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의 내측 측벽들을 따라 확장하면서 노출되게 배열되고, 홀딩부들(163)은 제 2 단자 수용 공동부들(115) 안쪽에 위치된다. 또한, 오목 접촉부들(165a)은 제 1 접촉부들(165)의 표면들 상에 형성되며, 볼록 접촉부들(166)은 홀딩부들(163)의 표면들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 홈 부분들(12a)에 삽입되는, 제 2 컨넥터(101)의 제 2 단자들(161)의 제 1 접촉부들(165) 및 홀딩부들(163)는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 및 제 2 접촉부들(66)과 각각 접촉할 수 있고 제 1 접촉부들(65) 및 제 2 접촉부(66)는 제 2 단자들(161)을 협지하여 클램프한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제 2 접촉부들(66)은 제 2 단자들(161)의 볼록 접촉부들(166)와 맞물리며,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은 제 2 단자들(161)의 오목 접촉부들(165a)과 맞물린다. 그러므로,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사이에 끼워맞춤 맞물림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을 분리하는 힘을 받았을 때, 즉 제 1 컨넥터(1)로부터 제 2 컨넥터(101)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힘을 받았을 때 제 1 컨넥터(1)로부터 제 2 컨넥터(101)를 제거하기는 어렵다. 즉, 필요한 제거힘이 증가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는 큰 면적을 갖는 제 1 보드 및 제 2 보드 상에 각각 실장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 측과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 측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가늠으로 끼워맞춤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기술될 것이다.
먼저, 작업자는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의 부분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의 부분과 접하여 접촉하도록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에 대향한 상태에서, 제 1 컨넥터(1) 및/또는 제 2 컨넥터(101)를 컨넥터들 중 하나를 향한 방향, 즉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작업자는 끼워맞춤 조작을 가늠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위치설정은 정밀하게 수행될 수 없고,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의 중앙 축선은 제 2 컨넥터(101)의 중앙 축선에 관하여 오정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컨넥터(101)의 중앙 축선은 제 1 컨넥터(1)의 중앙 축선에 관하여 도면에서 좌측에 위치되고, 따라서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상측면(122a)의 도면에서 좌측 코너 부분들은 제 1 하우징(11)의 제 1 돌출 단부(21)의 만곡된 돌출 단부(22)의 도면에서 좌측 코너 부분들에 형성된 앞쪽 경사면 부분(23a)과 접하여 접촉하고 있다.
여기에서, 작업자가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윗면(122a)의 도면에서 좌측 코너 부분들은 앞쪽 경사면 부분(23a)을 따라 이동되므로, 제 2 컨넥터(101)는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 2 컨넥터(101)의 중앙 축선은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즉 제 1 컨넥터(1)의 중앙 축선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제 1 컨넥터(1)가 제 2 컨넥터(101)에 관하여 오정렬된 것과 제 2 컨넥터(101)의 위치가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도면에서 좌측으로 오정렬된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앞쪽 경사면 부분(23a)이 끼워맞춤면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 즉 끼워맞춤 방향에 관하여 급격한 경사를 갖기 때문에,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2 컨넥터(101)의 이동량은 끼워맞춤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비해 크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는 윗면(122a)의 코너 부분들이 앞쪽 경사면 부분(23a)에 접하여 접촉되기 때문에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으로부터 여전히 멀리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제 2 컨넥터(101)를 더 이동시킬 때, 제 1 컨넥터(1)의 중앙 축선과 제 2 컨넥터(101)의 중앙 축선 간에 오정렬이 감소하고,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윗면(122a)의 도면에서 좌측 코너 부분들은 제 1 하우징(11)의 제 1 돌출 단부(21)의 오목 돌출 단부(22)의 도면에서 좌측 코너 부분들에 형성된 뒤쪽 경사면 부분(23b)과 접하여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제 2 컨넥터(101)를 더 이동시킬 때, 윗면(122a)의 도면에서 좌측 코너 부분들은 뒤쪽 경사면 부분(23b)을 따라 이동되므로, 제 2 컨넥터(101)는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 2 컨넥터(101)의 중앙 축선은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즉 제 1 컨넥터(1)의 중앙 축선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제 1 컨넥터(1)가 제 2 컨넥터(101)에 관하여 여전히 오정렬된 것과 제 2 컨넥터(101)의 위치가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도면에서 좌측으로 여전히 오정렬된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앞쪽 경사면 부분(23a)에 비해 끼워맞춤면에 관하여 급격한 경사를 갖기 때문에, 즉 끼워맞춤 방향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기 때문에,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2 컨넥터(101)의 움직임량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움직임량에 비해 작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는 윗면(122a)의 코너 부분이 뒤쪽 경사면 부분(23b)에 접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에 가깝게 접촉하여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제 2 컨넥터(101)을 더 움직일 때, 제 1 컨넥터(1)의 중앙 축선과 제 2 컨넥터(101)의 중앙 축선 간에 오정렬 량은 더 감소하고, 따라서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은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가 된다. 즉, 제 1 하우징(11)의 제 1 돌출 복록부(13)의 윗면(13a)은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윗면(112a) 및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윗면(122a)과 같은 높이가 된다.
이 상태에서, 윗면(122a)의 도면에서 좌측 코너 부분들은 뒤쪽 경사면 부분(23b)의 하측 단부, 즉 제 1 돌출 단부(21)의 도면에서 좌측에 내측 표면(21d)과의 경계부분과 접하여 접촉한다. 그러므로,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도면에서 좌측에 외측 표면(122b)은 제 1 하우징(11)의 제 1 돌출 단부(21)의 도면에서 좌측에 내측 표면(21d)과 같은 높이인 상태에 가깝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제 2 돌출 단부(122)의 도면에서 우측에 외측 표면(122b)은 제 1 돌출 단부(21)의 도면에서 우측에 내측 표면(21d)에서 이격된다. 이러한 수평적인 변화들은 제 1 하우징(11) 및 제 2 하우징(111)의 불가피한 치수상의 오차들에 기인한다.
제 1 하우징(11) 및 제 2 하우징(111)은 제품들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치수상의 오차들은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제 1 돌출 단부(21)의 좌측에 내측표면(21d)와 우측에 내측표면(21d) 간의 치수가 제 2 돌출 단부(122)의 좌측에 외측 표면(122b)과 우측에 외측 표면(122b) 간에 치수와 정확하게 동일하다는 것은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또한, 내측 표면(21d) 및 외측 표면(122b)이 일측 상에 정렬될 때, 내측 표면(21d) 및 외측 표면(122b)이 다른 측 상에서 오정렬될 수밖에 없는 것은 불가피하다.
제 1 단자들(61)과 제 2 단자들(161) 간에 수평적 위치 관계에도 마찬가지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좌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되나,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우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 오정렬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인 경우, 제 1 단자들(61)의 각각의 부분들과 제 2 단자들(161)의 각각의 부분들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혹은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므로, 제 1 단자들(61)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제 2 단자들(161)과 접하여 접촉하지 않는다.
이어서, 작업자가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때,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시작된다. 이어서, 제 2 컨넥터(101)의 좌측 및 우측 상의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은 제 1 컨넥터(1)의 좌측 및 우측 상에 함몰 홈 부분들(12a)에 삽입되므로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은 제 2 컨넥터(161)의 제 1 접촉부들(165)와 접촉하게 되고, 제 1 단자(61)의 제 2 접촉부들(66)은 제 2 단자들(161)의 홀딩부들(163)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완료되었을 때, 제 1 단자들(61)과 제 2 단자들(16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제 1 단자들(61)의 테일부들(62)에 연결되는 제 1 보드 상의 연결 패드들에 연결된 도전성 트레이스는 제 2 단자들(161)의 테일부들(162)에 연결되는 제 2 보드 상에 연결 패드들에 연결된 도전성 트레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다점 접촉하기 때문에, 안정된 전기적 연결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은 이들이 제 2 단자들(161)의 오목 접촉부들(165a)에 맞물리게 되는 상태에 있고, 제 1 단자들(61)의 제 2 접촉부들(66)은 이들이 제 2 단자들(161)의 오목 접촉부들(166)과 맞물리게 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제 1 컨넥터(1)의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볼록 맞물림 부분들(53)은 이들이 제 2 컨넥터(101)의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의 오목 맞물림 부분들(153)과 맞물리게 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을 분리하는 힘을 받았을 때에도, 즉 제 1 컨넥터(1)로부터 제 2 컨넥터(101)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힘을 받았을 때, 제 1 컨넥터(1)에서 제 2 컨넥터(101)를 제거하기는 어렵다. 즉, 필요한 제거 힘이 증가된다.
또한, 제 1 단자(61)는 탄성 특성들을 갖기 때문에, 제 1 접촉부(65)과 제 2 접촉부(66) 간에 거리는 이들 간에 위치된 제 2 단자(161)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촉부(65) 및 제 2 접촉부들(66)의 상측 단부들은 바깥쪽으로 개방된 만곡된 표면 형상을 가지므로, 제 1 접촉부(65)와 제 2 접촉부(66) 간의 거리는 위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또한, 제 2 단자(161)와 홀딩부(163)의 연결부(164)와 제 1 접촉부(165)의 연결 부분은 만곡된 표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제 1 단자(61)와 제 2 단자(161)가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 오정렬될 때라도, 제 2 컨넥터(101)가 아래쪽으로 이동될 때, 제 2 단자(161)는 제 1 단자(61)의 제 1 접촉부(65)와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정렬된다. 즉, 자기-정렬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인 상태에 있는 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61)와 제 2 단자(161) 간에 수평상의 오정렬의 량이 작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 1 접촉부(65)와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제 2 단자(161)가 위치하게 되도록 단순히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제 2 컨넥터(101)를 더 이동시키기만 함으로써 끼워맞춤 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가 된 후에,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즉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하게 제 2 컨넥터(101)를 이동시킴으로써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고, 끼워맞춤 조작은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제 2 컨넥터(101)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완료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가 될 때라도,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접하여 접촉하지 않고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작업자가 가늠하여 끼워맞춤 조작을 시작한 후에, 즉,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가 아직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 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단계들 동안, 제 2 컨넥터(101)가 가늠으로 도 4 내지 도 11에서 좌-우 방향으로, 즉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이동될 때라도,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접하여 접촉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은 서로 마찰되지 않아 손상받지 않을 수 있다.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가 되었을 때,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은 실제로 진정한 의미에서 시작되고, 그후에,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접하여 접촉한다. 이 경우에, 제 1 컨넥터(1)과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시작된 후에는 제 2 컨넥터(101)를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아니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는 서로 마찰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시작된 후 이의 완료까지 제 1 단자(61)의 제 1 접촉부(65)와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제 2 단자(161)가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단자(61)의 부분은 제 2 단자(161)의 부분과 마찰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에 의해 야기되는 제 1 단자(61) 및 제 2 단자(161)에의 손상들은 제 1 단자(61) 및 제 2 단자(161)가 서로 확고하게 부착되게 하여 그럼으로써 안정된 전기적 연결을 확실하게 유지하게 한 구조이기 때문에 불가피하다. 반대로,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과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단계들 동안 제 1 단자(61)와 제 2 단자(161) 간에 접촉은 작업자가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측과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측을 볼 수 있다면 피할 수 있고 따라서 가늠으로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제 2 컨넥터(101)을 이동시키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가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측과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측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가늠으로 끼워맞춤 조작을 수행해야 할 때 발생하는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의 손상들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오목 돌출 단부(22)의 코너 부분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23)에는 끼워맞춤면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앞쪽 경사면 부분(23a)과 끼워맞춤면에 관하여 급격한 경사를 갖는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은 제 1 하우징(11)의 제 1 돌출 단부(21)의 오목 돌출 단부(22) 내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제 2 컨넥터(101)를 정렬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도 4 내지 도 11에서 수평방향, 즉 제 1 하우징(11) 및 제 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인 것으로 기술되었을지라도,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도 4 내지 도 11의 도면용지에 수직한 방향, 즉 제 1 하우징(11) 및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도면용지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가늠으로 제 2 컨넥터(101)를 이동시킬 때, 동일한 효과가 유사한 조작들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은 위에 기술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혹은 수정될 수 있고, 이들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되지 않는다.

Claims (8)

  1. 보드간(board-to-board) 컨넥터에 있어서,
    상면측 상에 끼워맞춤면(13a)이 형성된 섬(island) 부분(13); 상기 섬 부분(13)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오목 삽입부들(12a); 상기 오목 삽입부들(12a) 각각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측벽부들(14); 상기 섬 부분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배열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21); 및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21) 내 형성된 오목 안내부들(22)을 포함하며 제 1 단자들(61)을 장착한 제 1 하우징(11)을 구비하는 제 1 컨넥터(1); 및
    상기 섬 부분(13)이 삽입되는 함몰 공동부(113); 끼워맞춤면들(112a)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삽입부들(12a)에 삽입되게 제공된 상기 함몰 공동부(113)의 양 측 상에 형성된 돌출 볼록부들(112); 및 상기 오목 안내부들(22)에 삽입되게 상기 함몰 공동부(113)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배열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들(61)과 접촉하게 구성된 제 2 단자들(161)을 장착한 제 2 하우징(111)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컨넥터(1)에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리게 구성된, 제 2 컨넥터(101)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 안내부들(22) 각각의 입구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이에 형성된 경사 안내면(23)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122)의 부분들이 상기 경사 안내면들(23)에 접하여 접촉하도록 상기 오목 안내부들(22)에 상기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122)의 삽입에 기인하여, 상기 제 1 하우징(11)의 상기 끼워맞춤면(13a)과 상기 제 2 하우징(111)의 상기 끼워맞춤면들(112a)이 서로 같은 높이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단자들(61) 및 상기 제 2 단자들(161)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보드간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11)의 상기 끼워맞춤면(13a)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자들(61)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상기 끼워맞춤면(13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하우징(111)의 상기 끼워맞춤면들(112a)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단자들(161)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상기 끼워맞춤면들(112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 보드간 컨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들(61) 각각에는 상기 제1 단자들(61)의 탄성 특성에 의해 서로 간의 거리가 변할 수 있는 제 1 접촉부(65)와 제 2 접촉부(66)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 볼록부들(112)이 상기 오목 삽입부들(12a)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단자들(161)의 각각은 상기 제 1 접촉부(65)와 상기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보드간 컨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안내면들(23) 각각에는 상기 제 1 컨넥터의 상기 끼워맞춤면(13a)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앞쪽 경사면 부분(23a)과 급격한 경사를 갖는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제공된, 보드간 컨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61) 각각에는 상기 제1 단자들(61)의 탄성 특성에 의해 서로 간의 거리가 변할 수 있는 제 1 접촉부(65)와 제 2 접촉부(66)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 볼록부들(112)이 상기 오목 삽입부들(12a)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단자들(161)의 각각은 상기 제 1 접촉부(65)와 상기 제 2 접촉부(6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보드간 컨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안내면들(23) 각각에는 상기 제 1 컨넥터의 상기 끼워맞춤면(13a)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앞쪽 경사면 부분(23a)과 급격한 경사를 갖는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제공된, 보드간 컨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안내면들(23) 각각에는 상기 제 1 컨넥터의 상기 끼워맞춤면(13a)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앞쪽 경사면 부분(23a)과 급격한 경사를 갖는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제공된, 보드간 컨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안내면들(23) 각각에는 상기 제 1 컨넥터의 상기 끼워맞춤면(13a)에 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앞쪽 경사면 부분(23a)과 급격한 경사를 갖는 뒤쪽 경사면 부분(23b)이 제공된, 보드간 컨넥터.
KR1020117010858A 2008-10-14 2009-10-14 보드간 컨넥터 KR101241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5484 2008-10-14
JP2008265484A JP5660756B2 (ja) 2008-10-14 2008-10-14 基板対基板コネクタ
PCT/US2009/060653 WO2010045336A1 (en) 2008-10-14 2009-10-14 Board-to-boar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925A KR20110084925A (ko) 2011-07-26
KR101241686B1 true KR101241686B1 (ko) 2013-03-11

Family

ID=4132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858A KR101241686B1 (ko) 2008-10-14 2009-10-14 보드간 컨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98425B2 (ko)
JP (1) JP5660756B2 (ko)
KR (1) KR101241686B1 (ko)
CN (1) CN102227852B (ko)
WO (1) WO2010045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7488B2 (ja) * 2009-05-20 2014-06-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906579B2 (ja) * 2011-04-08 2016-04-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記録装置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US8579662B2 (en) * 2011-11-04 2013-11-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high speed signal pairs
TWM428534U (en) * 2011-12-30 2012-05-01 Uer Technology Corp Electrical connector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O2014132284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5970400B2 (ja) 2013-03-19 2016-08-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導電パターン式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5790950B2 (ja) 2013-04-02 2015-10-07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JP5751434B2 (ja)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SE537815C2 (sv) * 2013-12-05 2015-10-20 Moduel Ab Elektriska moduler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311396B2 (ja) * 2014-03-28 2018-04-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220005A (ja) * 2014-05-15 2015-12-07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6269558B2 (ja) * 2014-06-05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327973B2 (ja) * 2014-06-30 2018-05-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19210B2 (ja) * 2015-07-02 2018-05-09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CN105390876B (zh) * 2015-11-19 2018-02-09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防呆与抗耗损结构的连接器模组
CN108933365B (zh) * 2017-05-26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1224253B (zh) * 2018-11-23 2024-05-24 深圳市深台帏翔电子有限公司 连接器
CN110265835A (zh) * 2019-06-21 2019-09-20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板板连接器组件及移动终端设备
US11101585B1 (en) * 2020-02-05 2021-08-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itch surfaces on the plug and receptacle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JP2022105811A (ja) * 2021-01-05 2022-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007B1 (ko) 1994-05-25 2002-09-27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결합용이중하우징커넥터
KR200430784Y1 (ko) 2006-08-11 2006-11-13 정낙환 보드 대 보드 커넥터
US7264484B2 (en) * 2005-06-07 2007-09-04 Kyocera Elco Corporation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2709B2 (ja) * 2000-03-28 2006-01-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682649B2 (ja) * 2001-11-27 2005-08-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3743559B2 (ja) 2001-12-11 2006-0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0312151Y1 (ko) 2003-01-22 2003-05-09 주식회사 나스켐 클립형 발광기
JP3949064B2 (ja) 2003-02-06 2007-07-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0511180B1 (ko) * 2003-02-19 2005-08-30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US6793506B1 (en) *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875677B2 (ja) * 2003-09-26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007B1 (ko) 1994-05-25 2002-09-27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결합용이중하우징커넥터
US7264484B2 (en) * 2005-06-07 2007-09-04 Kyocera Elco Corporation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KR200430784Y1 (ko) 2006-08-11 2006-11-13 정낙환 보드 대 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925A (ko) 2011-07-26
CN102227852B (zh) 2013-11-27
US20110201226A1 (en) 2011-08-18
CN102227852A (zh) 2011-10-26
US8398425B2 (en) 2013-03-19
JP2010097724A (ja) 2010-04-30
JP5660756B2 (ja) 2015-01-28
WO2010045336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832599B1 (ko) 커넥터
US8465298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919691B1 (ko) 커넥터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11934110B (zh) 连接器
KR20150027710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20100159717A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CN109038013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EP146743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841879B2 (en) Floating-type connector
JP6714056B2 (ja) コネクタ
JP2009289627A (ja) コネクタ
JP7129462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JP2023023054A (ja) コネクタ
JP2014072124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