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007B1 - 기판결합용이중하우징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결합용이중하우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007B1
KR100332007B1 KR1019960706733A KR19960706733A KR100332007B1 KR 100332007 B1 KR100332007 B1 KR 100332007B1 KR 1019960706733 A KR1019960706733 A KR 1019960706733A KR 19960706733 A KR19960706733 A KR 19960706733A KR 100332007 B1 KR100332007 B1 KR 10033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plug
socket
hous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627A (ko
Inventor
마사노리 야기
요시카즈 이토
히로시 이케스기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515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3052B2/ja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7070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는 두 개의 상호 결합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 절반부(18, 16)를 구비하며; 각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는 서로에 대해 평행한 관계인 각각의 이중 플러그 및 소켓 하우징(60, 20)을 구비하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의 이중 커넥터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 간에 연결하기 위해 연장되는 교락편(50, 80)으로 균일하게 이격되며; 교락편은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커넥터 하우징에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한 쌍의 평행 회로 기판 또는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 결합용 커넥터는 공지 기술이다. 기판 결합용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회로 기판의 대향면에 각각 장착된 두 개의 대향 커넥터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회로 기판 장착면에서 돌출하고 있다. 커넥터 부품 중의 하나는 숫형 부재이고 플러그 부재를 구비하는 반면에, 다른 두 개의 커넥터 부품은 암형 부재이고 소켓을 구비한다. 숫형 플러그 부재를 암형 소켓에 결합시켜서 두 회로 기판을 함께 연결한다.
기판 결합용 커넥터는 숫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결합될 때 서로 접촉하는 두개의 상호 결합하는 숫형 및 암형 커넥터 부재 내에 배치되는 일련의 전기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는 커넥터 부재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납땜 꼬리 부분을 구비하며, 회로 기판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거나 대응하는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동일한 숫자의 전기 접촉편 또는 납땜 선과 결합되며, 연이어 회로 기판에 납땜 결합된다. 후자의 장착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표면 장착법으로서 지칭된다.
표면 장착 커넥터는 커넥터 단자 꼬리 및 회로 기판 접촉편 간의 연결에서 신뢰도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의 접촉 단자는 케넥터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따라서 표면 장착 커넥터가 수용 가능한 회로의 숫자는 커넥터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적은 숫자, 예를 들어 20 개의 회로를 수용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는 큰 숫자, 예를 들어 200 개의 회로를 수용하는 커넥터보다 매우 짧다.
기판 결합용 전기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표면 장착함에 있어서, 모든 커넥터 단자 꼬리는 회로 기판치 장착면에 인접하는 공통면에 위치시켜서 단자 꼬리가 회로 기판의 납땜 선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종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가 곤란한데, 그 이유는 낮은 허용 오차에 따라서 형성된 회로 기판은 회로 기판의 제조 중에, 또는 회로 기판에 부품을 조립하는 중에, 또는 마더 보더(mother board)에 제 2 회로 기판을 조립할 때 휘어지거나 다른 왜곡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부품 또는 커넥터 단자를 회로 기판에 납땜할 때 발생하는 열은 회로 기판에 열 응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회로 기판의 휘어짐 또는 왜곡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독립체 방식으로 제 2 회로 기판을 마더 보드에 기계적으로 장착시키는 경우, 불균일하게 또는 고정 나사가 지나치게 조여져서 회로 기판에 내부 응력을 형성하고 이 또한 회로 기판의 휘어짐이나 왜곡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 왜곡 부위는 통상적으로 회로 기판의 장착 표면과 더 이상 동일한 평면이 아닌 회로 기판의 함몰부 또는 융기부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휘어짐이나 왜곡은 커넥터 단자의 일부가 회로 기판의 접촉편에 인접시키거나 접촉시키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커넥터 단자 꼬리도 대향하는 회로 기판 접촉편에서, 기판의 장착면으로부터 휘어진 영역의 변위와 동일힌 간격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으로 인해서 단자가 납땜 페이스트와 접촉하지 못하거나, 최소한 납땜 중에 회로 기판에 확실하게 부착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납땜 꼬리가 대응하는 접촉편에 납땜되지 않는다면, 전체 기판은 결점이 있게 된다. 납땜 연결부가 불량하게 형성되는 경우, 이 납땜 연결부는 휘어지지 않은 영역에서의 커넥터와 회로 기판 사이에 발생하는 나머지 납땜 연결부 보다 약하게 되고 휘어지게 되며, 결국 고장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표면 장착 커낵터를 사용하여 커넥터 및 이와 연관된 단자 꼬리를, 휘어진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휘어진 부분 내의 회로 기판 상에 평평하게 위치시켜 해결한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전자 부품의 설계를 단일한 짧은 길이의 커넥터로 제한한다. 회로 기판을 두 개의 평행한 회로 기판 사이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다수의 회로를 구비하는 응용에서는 더 긴 길이의 커넥테를 사용하여 다수의 회로를 수용하도록 해야 한다.
표면 장착 커넥터의 길이가 휘어진 부분보다 더 큰 경우, 커넥터 및 연관된 단자 꼬리의 일부는 휘어진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며, 접촉편과의 연결이 끊어진다. 표면 장착 커넥터의 길이가 증가하면 회로 기판 상에서의 휘어진 부분이 발생할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 또한 단자가 이동하여 평행한 관계에서 벗어날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장착 커넥터가 굽혀진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단자 꼬리가 기판의 접촉면에서 벗어나게 되며, 납땜 연결부가 불량하게 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두 개의 평행한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접촉점의 수를 증가시키는 다른 시도는 한 쌍의 긴 커넥터가 아니고 두 쌍의 기판 결합용 커넥터를 채용하여 달성하는 것이다. 일부 응용에서, 이는 커넥터의 피치가 점점 작아지게 됨에 따라서 비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하우징의 몰딩, 단자의 스탬핑, 하우징 내에서 단자 설치 및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할 때 등에서 발생되는 제조 공차가 더해지거나 "누적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치 더 작은 거리는 전체 커넥터를 정확하게 정렬하여 유지할 필요성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비경제적이며 때로는 불가능한 목표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 1 회로 기판에 장착하고 두 개의 소켓 커넥터를 제 2 회로 기판에 장착하는 경우에, 각 기판의 커넥터는 거의 완전 무결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다른 커넥터에 대한 정렬 어긋남 또는 단지 1° 정도 커넥터가 회전한 경우 커넥터에 대해 대략 0.861 mm 정도 어긋나게 되고, 이는 제 1 및 제 2 기판에서의 커넥터의 결합을 방해하여, 몇 개의 커넥터 단자 꼬리가 대응하는 회로 기판 접촉 꼬리와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대략 평행한 방식으로 배치된 두 개의 커넥터와, 대략 평행하고 나란한 관계로 두 개의 커넥터를 유지하는 교락편에 의해 결합된 두 개의 커넥터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 기술을 극복하는 장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하고 개선된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평행한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이격 부재에 의해서 상호 결합된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숫형 커넥터 부품과 암형 커넥터 부품을 구비하는 이중 하우징 기판 결합용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숫형 커넥터 부품은 커넥터 몸체의 대향 단부에서 상호 연결되어 커넥터 하우징 몸체를 평행한 관계로 유지하고, 회로 기판 접촉편과 정렬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 접촉 단자를 유지하도록 하는 두 개의 연장된 커넥터 하우징 몸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숫형 및 암형 이중 상호 결합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는 기판 결합용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기 숫형 및 암형 이중 커넥터 하부징은 교락편으로 대향 단부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평행하게 이격 결합시켜 슷형 이중 커넥터 하우징과 암형 이중 커넥터 하우징의 상호 결합성을 개선하며 또한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할 때 커넥터 하우징의 정렬 어긋남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기판 결합용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가된 숫자의 전기 단자와, 회로 기판에 설치하는 도중에 커넥터 단자의 정렬 어긋남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구비한 개선된 표면 장착형 기판 결합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커넥터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암형 또는 소켓 부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숫형 커넥터 부품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을 따른 암형 커넥터 부품의 단면도(斷面圖).
도 5는 도 2의 암형 커넥터 부품의 단면도(端面圖).
도 6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숫형 또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숫형 커넥터 부품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8-8 선을 따른 암형 커넥터의 단면도,
도 9는 도 6의 숫형 커넥터 부품의 단면도(端面圖),
도 10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커넥터의 표면 장착에서 회로 기판의 휘어짐의 효과를 도시한 인쇄 회로 기판의 단면 도식,
도 11은 본 발명의 원칙에 따라 구축된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의 제 2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원칙에 따라 구축된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의 제 3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커넥터 조립체 부품이 상호 결합된 도 12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의사시도.
도 14는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통한 단면도.
도 15는 두 개의 단일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정렬 어긋남의 경우가 도시된 다이아그램.
도 16은 커넥터 하우징 단자의 납땜 꼬리 및 회로 기판의 접촉편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정렬 어긋남을 도시하는 단일 표면 장착 커넥터 하우징의 다이아그램.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커넥터는 커넥터 길이와 비교해서 다수의 회로를 수용하며 휘어지거나 왜곡된 장착 영역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종래 기술의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에 대해서 양호한 개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 및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개선된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 조립체는 이중 플러그 하우징 조립체 및 이중 소켓 하우징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 조립체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격 부재 또는 숫형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교락편으로 하우징의 대향 단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숫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소켓 하우징 조립체는 이격된 평행한 관계로 배치되며 또한 장착을 목적으로 플러그 및 소켓 하우징 각각의 정렬을 유지함과 동시에 접촉 단자 꼬리의 정렬을 유지하는 일체화 이격 부재에 의해 대향 단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요 측면 및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개선된 기판 결합용 커넥터 조립체는 한 쌍의 대향 숫형 및 암형 이중 커넥터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각 숫형 및 암형 커텍터 조립체는 하우징부 각각의 대향면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기 단자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격된, 평행한 방식으로 배치된 두 개의 연장된 하우징부를 구비한다. 커넥터 조립체가 하우징의 대향 단부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독립된 이격 부재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는 대향 단부에 배치된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각 하우징부와 상호 결합하는 경우, 숫형 및 암형 커넥터 조립체의 전기 단자는 상호 결합된다. 이격 부재는 숫형 및 암형 커넥터 조립체의 하우징을함께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립체를 하우징에서 연장되는 전기 단자 꼬리는 서로 사이 및 대향 인쇄 회로 기판의 장착면 상의 대향의 전기 접촉 선과 정렬되어 평행한 방식으로 이격시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원칙과 부합하여 조립한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 조립체는 도 1에서 10으로 지시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의 제 2 평행 회로 기판(14)과 제 1 회로 기판(12)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었다. 커넥터 조립체(10)는 15로 지시되는 다수의 전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는 두 개의 대향 커넥터 부품 조립체(16 및 18)에서 연장되며, 각각의 대향 회로 기판(12, 14)에 다수의 대응하는 회로 기판 접촉편 또는 선(17)에 대해 커넥터 부품 조립체(16, 18)를 연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암형 커넥터 조립체로서의 커넥터 부품(16) 하나를 도시하였으며, 숫형 커넥터 조립체로서의 다른 커넥터 조립체(18)를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숫형 커넥터 조립체(19)의 일부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16)의 일부에 수용되어 두 커넥터 조립체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전에, 측면에 배치된 장착표면(S)을 구비하는 종래의 인쇄 회로 기판(G)을 도시하는 도 10에 참조 번호를 붙였다. 장착 표면(S)은 회로 기판(C)의 장착 표면(S)과 이상적으로 일치하는 장착면(P-P)을 한정한다. 하지만 회로 기판(C)이 휘어지거나 또는 왜곡되는 영역에서 휘어진 영역 및 이상적인 장착면(P-P) 내의 회로 기판 표면(W) 사이에서 틈(δ)이 발생한다. 상기 틈(δ)은 커넥터의 납땜 꼬리(T)의 바단면과 P'-P'으로 지시되는 휘어진 영역에 발생하는 회로 기판의 실제면 간의 변이 거리와 동일하다.
틈(δ)은 납땜 꼬리(T)와 회로 기판 접촉편(17) 간의 상호 결합의 일체도 및 신뢰도에 영향을 미친다. 인쇄 회로 기판을 조립할 때, 및 특히 표면 장착 커넥터와 관련되는 경우, 분말 납땜 및 플럭스로 구성된 납땜 페이스트를 적합한 마스킹 공정으로 결합이 형성될 회로 기판에 사용하여, 소정 두께의 납땜 페이스트 층을 형성한다. 납땜 페이스트는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커넥터 및 다른 부품은 회로 기판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회로 기판에 사용된다. 표면 장착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위치시켜, 납땜 꼬리를 접촉 선에, 접촉 선을 납땜 페이스트 층에 위치시킨다. 이후에 회로 기판 조립체는 적외선 오븐(oven) 또는 다른 적합한 가열 수단을 통과하여 납땜 페이스트를 용융시키며, 커넥터 납땜 꼬리와 회로 기판 접촉편 간의 결합을 형성한다.
허용 가능한 기판의 휘어짐은 대략 기판 2.54 cm(1 in.) 당 0.018 cm(0.007 in.)이다. 납땜 페이스트 층은 통상 매우 얇으며 대략 0.015 cm(0.006 in.)와 대략 0.02 cm(0.008 in.) 범위이다. 표면 장착 커넥터의 인접 단자 선 간의 거리 또는 중심 대 중심간 간격(Q)이 0.635 mm 내지 0.8 mm 사이의 범위로 매우 작기 때문에얇은 납땜 페이스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두꺼운 납땜 페이스트 층은 가열 공정에 적용할 때 접촉 선 사이에서 납땜 페이스트를 흐르게 하거나, 우연하게 두 접촉 선을 교착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틈(δ)은 충분히 커서 납땜 꼬리가 납땜 페이스트와 접촉하지 않는다면, 특정 단자 납땜 꼬리와 접촉 편 쌍(17: T),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피며, 특정 회로에 결점을 발생시키고 회로 기판을 잠재적으로 사용 불가능하게 한다. 비슷하게 틈(δ)이 커넥터 납땜 꼬리가 겨우 납땜 페이스트 층과 접촉하지만 접촉 선과는 접촉하지 않는다면, 특정 납땜 꼬리-접촉 선 사이에 형성된 연결이 약해지게 된다. 납땜 꼬리(T)를 눌러서 회로 기판 접촉편(17)과 접촉하게 한다면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지만, 상기 교정은 납땜 꼬리를 남아있는 단자 납땜 선과의 공동 평면에서 벗어나게 이동시키며, 또한 납땜 꼬리에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불필요한 굽힘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영역의 발생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표면 장착 커넥터(H1)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커넥터(H2)에 사용할 때 증가한다. 휘어진 영역의 크기에 따라서, 적합한 크기의 커넥터는 단자 꼬리와 회로 기판 접촉편 간의 어떠한 틈도 발생시키지 않고 휘어진 영역 내의 회로 기판 표면(W)을 접촉시킨다. 그러나 전자 부품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야 하는 목적에 부합하여, 회로 기판은 더 많은 회로를 수용해야 하며, 따라서 대향 기판에 더 많은 회로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슬한 바와 같이, 단일의 비교적 긴 커넥터 쌍의 사용은 커넥터의 납땜 꼬리 및 대응하는 회로 기판 결합용 접촉 유지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이 초래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커넥터 부품(16, 18)은 커넥터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지는 않고도 증가된 수의 전기 회로를 수용하는 기판 결합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며, 또한 납땜 꼬리의 공통 평면성의 유지 및 커넥터 조립체의 납땜 꼬리가 장착될 회로 기판의 접촉편(17)과 정렬되어 유지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1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커넥터(10)의 암형 커넥터 조립체(16)가 내부 개구 또는 소켓(30)을 한정하도록 같이 동작하는 대향 측벽(22, 24) 및 단부벽(26, 28)을 가지는 연장된 암형 하우징 부재(20) 쌍이 구비되어 있음을 도시하였다. 각 소켓(30)은 적합하게 통상 측벽(22, 24)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내부 받침(32)을 구비한다(도 5). 받침(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연장된 직사각형 또는 상자 모양 형상이며, 하우징 측벽(22, 24) 및 단부벽(26, 2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암형 하우징 부재(20)의 받침(32)을 둘러싸며 또한 대응하는 숫형 하우징 부재(60)의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내부 홈 또는 공간(36)을 한정하도록 미리 설정된 값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각 암형 하우징 부재(20)는, 내부에 배치되며 그곳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38)를 구비한다(도 4). 단자(38)는 받침(32)의 내부면(33)을 따라 배치되는 접촉부(40) 및 암형 하우징 부재(20)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꼬리부(42)를 구비한다. 단자 꼬리부(42)는 암형 하우징 부재(20) 베이스 또는 마루(44)를 관통하며, 하우징의 바닥을 따라 형성되고 하우징(20)의 단부(48, 49) 사이에 연장되는 홈(46) 내부의 암형 하우징 부재(20)의 바닥면(45)에 인접하여 외향으로 연장된다(도 3 및 도 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암형 하우징 부재(20)는 최외곽 측벽(22) 간의 하우징(20)의 전체 폭과 비슷하게 연장되는 이격 부재 또는 교락 부재(50)로 대향 단부(48, 49)에서 상호 연결된다. 이격 부재(50)는 적합하게 서로 간의 형태가 동일하며, 연결된 하우징(20)의 베이스부(53)와 접촉하는 베이스부(52)를 구비한다(도 3). 두 개의 베이스부(52, 53)는 단자 꼬리부(42)를 둘러싸는 하우징(20)에서 홈(46)을 한정하도록 같이 동작한다(도 3). 하우징 베이스부(53)는 적합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막대(54)를 구비하며, 회로 기판에 커넥터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적합한 크기의 개구(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된다.
이격 부재(50)는 통상 평행한 관계로 이격된 두 개의 암형 하우징(20)을 유지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부재(50)는 적합하게 두 개의 하우징(20)의 받침(30) 및 측벽(22, 24) 보다 낮은 높이이며, 각각의 대응하는 숫형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이격 부재(50) 위로 돌출된다. 이격 부재(50) 및 하우징(2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료, 적합하게는 액정 중합체(LCP)와 같은 고온 소재로 형성 가능하고, 종래의 사출 성형 공정으로 효과적으로 형성되며, 여기에서 하우징(20)은 단자(38) 주위의 위치에 성형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부재(50)는 하우징(20)과 일체로 성형되어 암형 커넥터 조립체(16)는 단일 구조가 된다.
이격 부재(50)가 암형 하우징 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소켓(30)의 단부벽(26, 28)은 이격 부재(50)와 접촉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회로 기판(12 및 14)의 회로 간의 적합한 방향을 확실히 하도록, 대응하는 숫형 하우징 부재(60)로부터의 돌출부와 같은 노치(56)로 도시된 일체화 수단을 제공한다.
도 6 내지 도 9 및 도 14에 숫형 커넥터 조립체(18)를 도시하였으며, 두 개의 연장된 숫형 하우징 부재(60)를 구비하는 숫형 커넥터 조립체와, 각 숫형 하우징 부재에 결합된 사각형상의 플러그를 한정하는 대향의 단부에서 단부벽(67, 68)쌍에 상호 결합되는 연장된 벽부(62, 64)로 도시된 돌출 플러그 쌍을 구비한다. 단부벽(67, 68)은 표면 장착 커넥터 부품(16, 18) 간의 결합된 높이가 4 mm 내지 7 mm 정도의 범위이며, 표면 장착 커넥터 부품(62, 64)의 높이는 따라서 대략 4 mm 미만 내지 7 mm 미만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얇은 플러그 벽(62, 64)에 대한 강화를 제공한다. 또한 단부벽(67, 68)은 연장된 형태로 도시된, 두 개의 커넥터 조립 체(16, 18) 간의 적합한 결합을 보장하도록 암형 하우징 부재(20)의 일체화 노치(56) 내에 수용되는 일체화 수단 또는 스터드(69: stud)를 한정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형 하우징 부재의 돌출 벽부(62, 64)는 암형 소켓 홈(34)에 수용되는 플러그를 한정한다. 이 점에서, 각 돌출 벽부(62, 64)는 내부에 전기 전도 단자(74)와 같은 수를 수용하는 돌출벽(62, 64)의 내부면(72)에 형성된 다수의 이격된 캐비티(70)를 구비한다. 숫형 커넥터 하우징 단자(74)는 우선적으로 캐비티(70) 내에 배치된 접촉부(75)와, 숫형 하우징 부재(60)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하우징(60)의 바닥 또는 마루(78)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꼬리부(76)를 구비한다. 숫형 하우징 부재 단자(74)는 암형 하우징 부재 단자(38)와 맞물려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대응하는 숫형 및 암형 하우징 부재 단자(74,38)의 쌍이 공통 중심선을 공유하도록 한다.
삽입의 용이 및 대향 단자 간의 확실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돌출벽 또는 플러그의 두께는 암형 하우징 부재 홈(34)의 폭보다 약간 작아서, 플러그 단자 접촉부(75)는 소켓 홈(34) 내에서 암형 하우징 단자 접촉부(40)와 확실하게 결합하게 된다. 각 하우징 부재의 단자는 적합하게 예를 들면, 인청동 합금과 같은 고전도 소재로 형성되며, 금 도금될 수도 있다.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 부재 내에, 주형 캐비티 내에 단자를 위치시키고 용융된 플라스틱을 주변에 주입하는 겹치기 사출 성형으로 설치한다. 이 점에서, 하우징 부재의 적합한 측벽(62, 64: 도 7)에 개구(71)를 구비시켜서 제조 중에 단자(74)가 주형 캐비티 내에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숫형 하우징 부재(60)는 하우징(60)의 단부벽(67, 68)에 근접 위치하는 이격 부재 또는 교락 부재(80)를 구비한다. 이격 부재(80)는 숫형 커넥터 조립체(18: 도 6)의 폭과 근사하게 연장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형 하우징 부재(6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된 홈(82)을 한정하도록 하우징(60)의 단부와 같이 협력한다. 이런 홈은 숫형 하우징 부재 단자(74)의 꼬리부(76)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주요 측면에 따르면, 이격 부재(80)는 통상 평행한 관계로 숫형 하우징 부재(60)를 유지하여 두 개의 숫형 하우징 부재(60)의 중심선은 대응하는 두 개의 암형 하우징 부재 상대짝(20)의 중심선과 정확히 일치한다. 숫형 하우징 부재(60) 및 암형 하우징 부재(20)가 공통 중심선 이격 또는 평행성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에 숫형 하우징 부재 플러그 벽부(62, 64)는 암형 하우징 소켓 홈(34)에서 악간 어긋나게 된다. 이 정렬 어긋남은 외향으로 굽혀지거나 또는 신뢰할 수 없는 상호 결합을 초래하는 단자 간의 접촉력의 감소에 의해 플러그 벽부(62, 64)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이격 부재(60, 80)는 각 숫형 하우징 조립체가 평행하며, 각 암형 하우징 조립체도 평행하기 때문에 숫형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16 및 18) 사이에 발생하는 이와 같은 정렬 어긋남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네 개 커넥터의 정확한 배치 대신에, 단지 두 개의 커넥터만 배치해도 된다. 이는 조립체의 정렬 어긋남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15에 두 개의 결합되지 않은 암형 표면 장착 커넥터 하우징(20")을 제 1회로 기판에 장착한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커넥터 하우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한가지 형태를 도시하였다. 커넥터 하우징(20")은 플러그 수용 홈(34")이 형성된 측벽(22" 및 24")으로 둘러싸인 중심 받침부(32")를 구비한다. 또한 암형 커넥터 하우징에 상대짝인 숫형 커넥터 하우징(60")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암형 커넥터 하우징(20") 및 플러그부(62")에 대해 대향인 회로 기판에서 정렬이 어긋나게 되며, 따라서 암형 홈(34")에 대해 어긋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상호결합은 상기와 같은 정렬 어긋남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상기 어긋남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20") 중의 하나의 중심선에 대한 각도(θ)이며, 숨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62", 64")에서 외향으로 힘을 가해서 암형 커넥터 하우징(20")의 측벽(22")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두 개의 하우징의 단자의 대향 쌍을 정렬이 어긋나게 하거나 이격시킨다.
또한 각 숫형 하우징 부재(60)는 제 1 및 제 2 막대(84, 86)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에 하우징 부재(60)를 장착하는 적합한 수단을 구비한다(도 7 내지 도 9). 각각의 막대(84, 86)는 회로 기판에 형성된 개구에 수용된다. 도 16은 표면 장착 커넥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형태를 도시하였다. 적합한 장착 구멍 내의 회로 기판(91)에 적합하게 위치한 커넥터 하우징(90)을 도시하였다. 숨은 선으로 커넥터(90)에 겹쳐진 것은 동일한 커넥터의 윤곽이며, 장착 구멍의 확대에서 초래되어 중심선에서 1°왜곡된다. 상기 각변이는 대략 0.861 mm 정도 어긋나게 결정된다. 큰 어긋남은 커넥터 단자 납땜 꼬리(92)가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대향 접촉편(84)에 대해 정렬이 어긋나거나 접촉편의 하나 이상과 효과적으로 집촉하지 못할 가능성을 높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 하나의 납땜 꼬리와 접촉편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회로는 쓸모 없게 되며, 이는 커넥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납땜 꼬리의 정렬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극복한다.
도 14는 제 1 및 제 2 회로 기판(10 및 12)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 두 개의 숫형 및 암형 커넥터 조립체(16, 18)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 부재(20)의 측벽(22, 24) 및 받침(32)은 숫형 하우징 부재(60)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플러그부(62, 64)가 수용되는 홈 또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수용 공간(34)을 제공한다. 암형 하우징 부재(20)의 단자(38), 특히 접촉부(40)는 받침(32)의 내부면(33)에 형성된 홈(35) 내부에 수용되어 돌출 벽 플러그(62, 64)의 캐비티(70) 내에 유지되는 숫형 하우징 부재 단자(74)의 접촉부(75)와 대향 및 접촉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원칙과 부합하는, 연장된 커넥터 하우징(202)의 쌍이 독립된 이격 부재(204)로 상호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커넥터 하우징(202)은 독립되어 형성된 이격 부재(204)만 빼고,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한 구조로 결합된 숫형 커넥터 하우징의 적합한 구성의 플러그부를 수용한다. 하우징(202)은 소정의 간격으로 하우징(202)의 내부면(208)의 대향면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206)를 구비한다. 단자(20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캐비티(210)에 배치되거나, 또는 내부면(208)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단자(206)는 회로 기판(213)의 표면(212)에 형성된 선 또는 리드를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202)의 하부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꼬리부(211)를 구비한다.
하우징(202)은 회로 기판(213) 상에서 하우징(202)을 지지하는 장착 받침(218)을 갖춘 대향 단부(215, 217)의 돌출체(214)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체(214)는 결합 홈 또는 노치(220)를 구비하며, 가운데에 위치하며 외향으로 열린 T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각 이격 부재(204)는 단부에서 두 개의 하우징(202)을 상호 연결한다. 이격 부재(204)는 연장된 몸체부(222) 및 결합 노치(220)에 꼭 맞게 결합하는 형태의, 몸체부(222)에서 연장되는 결합 부재(224) 한 쌍을 구비한다. 결합 부재(224)는 T 형상 돌출체로 도시되었으며, 통상적인 눌러 삽입하는 배열체의 결합 노치(220) 내에 견고하게 수용된다.
사용에 있어서, 두 개의 하우징(202)은 회로 기판(213)에 설치되며, 하나의 이격 부재(204)는 결합 부재(224)를 눌러서 하우징의 대향 결합 노치(220)에 삽입하여 두 개의 하우징 상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다. 제 2 이격 부재(204)는 동일한방식으로 다른 쪽 단부(217)에 설치되며, 하우징(202)의 중심선을 동시에 정렬하며, 또한 단자의 대응하는 쌍의 중심선을 정렬한다. 유사하게 두 개의 하우징은 회로 기판에 설치하기 전에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본 발명의 원칙에 따른 표면 장착 이중 하우징 커넥터 조립체(300)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단일 커넥터 하우징(302)은 각각 다수의 단자(303)를 내부에 구비하며, 외향으로로 연장된 꼬리부(304)와 결합된다. 커넥터 하우징(3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T 형상인 결합 부재(308)를 구비하며, 독립적인 이격 부재(314)의 꼭 맞게 결합하는 형태의 결합 개구(312) 내에 수용되어 평행한 방식으로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정렬한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한 개의 커넥터 절반부의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이중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유리한 점 및 장점은 한쪽 커넥터 절반부가 암형과 숫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다른 쪽 커넥터 절반부가 상대짝 숫형과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 및 두 개 이상의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표면 장착 커넥터 조립체를 통해 획득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본 발명의 확장된 관점에서 이탈하지 않고도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함은 분명하며,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의 목표는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서의 이와 같은 모든 변경 및 변화를 보호하고자 하는 데 있다.

Claims (29)

  1. 커넥터 조립체를 회로 기판에 장착할 때 회로 기판의 표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단자의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절반부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절반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제 1 교락편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 교락편은 상기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균등하게 이격된 상기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절반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개의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제 2 교락편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2 교락편은 상기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균등하게 이격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며,
    상기 두 개의 소켓 커넥터 하우징 각각은 내부에 배치된 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는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단자는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 내에 배치된 접촉부 및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꼬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다수의 결합된 전기 단자 및 돌출 플러그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단자는 상기 돌출 플러그부에 배치된 접촉부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서 외향으로 및 상기 돌출 플러그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꼬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가 결합될 때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 내에 수용되어 상기 플러그부 단자 및 상기 캐비티 단자가 각각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교락편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단일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교락편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교락편은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수용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교락편에 행성된 노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T 형상이며,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 결합 부재는 T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교락편은 연장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며, 결합 부재는 상기 홈에 수용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교락편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를 일치시켜 상기 플러그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소켓 캐비티와 결합하도록 하는 일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막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단부벽에 상호 결합되어 대략 직사각형의 플러그부를 한정하는 연장된 플러그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는 내부에 배치된 받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은 다수의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받침으로부터 이격되어 홈을 한정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소켓 하우징 홈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홈은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받침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캐비티를 둘러싸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받침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 내에 결합되는 플러그부 수용 홈을 한정하며,
    상기 플러그부 수용 홈은 내부에 상기 직사각형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바닥면을 따라 배치된 베이스 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 단자 꼬리부는 베이스 흠에 수용되고 외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5. 대향하는 이격된 제 1 및 제 2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 전기 회로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는 제 1 회로 기판의 표면에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과 제 2 회로 기판의 표면에 장착되는 소켓 커넥터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부품은 상기 소켓 부품 내로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교락편에 의해서 연결되는 연장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교락편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균등하게 이격시키며,
    소켓 커넥터 부품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교락편에 의해서 연결되는 연장되는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교락편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균등하게 이격시키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은 결합 캐비티 및 다수의 결합된 전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단자는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결합 캐비티 내에 배치된 접촉부와,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로부터 멀리 떨어진 소켓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꼬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단자 꼬리부는 상기 제 2 회로 기판 상의의 대향 접촉 선과 결합하며,
    상기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다수의 결합된 전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여기서부터 돌출되는 플러그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단자는 돌출 플러그부에 배치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및 멀어지게 연장되는 꼬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돌출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 교락편에 의해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와 정렬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절반부가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돌출 플러그부는 정렬이 어긋나지 않고도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로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단자 및 상기 소켓 커넥터 단자는 서로 전기적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부품은 두 개의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 1 회로 기판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는 연장 플러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돌출 플러그부에 결함되는 단부벽을 추가로 구비하여 각각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서 연장되는 상자 형상의 플러그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플러그부의 길이는 상기 단부벽 보다 더 길며, 따라서 상기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직사각형의 플러그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를 한정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캐비티는 내부에 배치되며 상향으로 융기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측벽에서 이격되어,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부품이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외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수용하는 상기 캐비티 내의 연장된 공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교락편과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 교락편은 각각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소켓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 교락편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독립되고 연장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 교락편은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 단부에서 자각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4. 두 개의 대향 이격된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는 숫형 커넥터 조립체 및 암형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숫형 커넥터 조립체는 다수의 전기 전도 단자를 구비하는 두 개의 숫형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는 다수의 전기 전도 단자를 구비하는 두 개의 암형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 단자는 상기 숫형 및 암형 커넥터 조립체가 결합될 때 서로 면하는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 각각의 결합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숫형 하우징은 서로 이격되며 또한 숫형 하우징 조립체 이격 부재에 의해 제 1 간격으로 유지되며, 여기에서 상기 숫형 하우징의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숫형 하우징과 상호 연결되며,
    상기 암형 하우징은 서로 이격되며 또한 암형 하우징 조립체 부제에 의해 제 2 간격으로 유지되며, 여기에서 상기 암형 하우징의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암형 하우징과 상호 결합되며,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 조립체 이직 부재는 각각의 결합면에 대해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을 정렬하여 상기 각 결합면의 정렬 어긋남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 조립체 이격 부재는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 조립체 이격 부재는 독립된 부재이고, 또한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가진 연장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 조립체 부재는 각각 대향 단부에서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각각의 결합면에 대해서 숫형 및 암형 하우징을 따라서 연장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숫형 및 암형 하우징의 중심선에서 대략 수직으로 멀어지게 연장되는 꼬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숫형 및 암형 하우징 조립체 이격 부재는 정렬된 상태로 대향하는 숫형 및 암형 하우징 단자 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29. 표면 장착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커넥터 절반부 및 제 2 커넥터 절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커넥터 절반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개의 제 1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커넥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제 1 교락편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 교락편은 상기 두 개의 제 1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시켜 유지하며,
    상기 제 2 커넥터 절반부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개의 제 2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제 2 교락편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2 교락편은 상기 두 개의 제 2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시켜 유지하며,
    상기 두 개의 제 2 커넥터 하우징은 각각 내부에 배치된 제 2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 표면은 표면에 배치된 다수의 전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 단자는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 표면 상에 배치된 접촉부와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꼬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제 1 커넥터 하우징은 다수의 일차로 결합된 전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커넥터 하우징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표면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제 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및 상기 제 1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꼬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표면은 상기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 절반부가 결합될 때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 제 2 표면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커넥터 하우징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 하우징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
KR1019960706733A 1994-05-25 1995-01-19 기판결합용이중하우징커넥터 KR10033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15394A JP3293052B2 (ja) 1994-05-25 1994-05-25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
JP94-135153 1994-05-25
JP2155494 1994-07-19
JP94-21555 1994-07-19
JP94-21554 1994-07-19
JP2155594 1994-07-19
PCT/US1995/000641 WO1995032530A1 (en) 1994-05-25 1995-01-19 Dual housing board-to-boar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627A KR970703627A (ko) 1997-07-03
KR100332007B1 true KR100332007B1 (ko) 2002-09-27

Family

ID=2728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733A KR100332007B1 (ko) 1994-05-25 1995-01-19 기판결합용이중하우징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61024B1 (ko)
KR (1) KR100332007B1 (ko)
AU (1) AU1728195A (ko)
DE (1) DE69523452D1 (ko)
SG (1) SG46403A1 (ko)
WO (1) WO1995032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86B1 (ko) 2008-10-14 2013-03-1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보드간 컨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975A (en) * 1996-09-12 1999-06-29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with integrated power leads
KR100871444B1 (ko) * 2006-10-30 2008-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중 결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01441B (sv) * 1976-09-07 1978-05-02 Ellemtel Utvecklings Ab Festdon for kretskortkontakter
US5013263A (en) * 1985-11-22 1991-05-07 William Gordo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US4993965A (en) * 1988-05-10 1991-02-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pport for floated header/connector
US4971565A (en) * 1989-11-28 1990-11-20 Fox Jr Roy W Surface mount stacking connector
DE9102008U1 (de) * 1991-02-20 1991-05-16 Siemens AG, 80333 München Versteifungselement
US5306163A (en) * 1991-10-30 1994-04-26 Molex Incorporated Destaticized connector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86B1 (ko) 2008-10-14 2013-03-1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보드간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627A (ko) 1997-07-03
EP0761024B1 (en) 2001-10-24
EP0761024A4 (en) 1997-07-30
WO1995032530A1 (en) 1995-11-30
DE69523452D1 (de) 2001-11-29
MX9605789A (es) 1998-05-31
AU1728195A (en) 1995-12-18
SG46403A1 (en) 1998-02-20
EP0761024A1 (en) 199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106A (en) Surface mount, miniature connector
US6019613A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EP0657960B1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6425785B1 (en) Electric connector
US20080038939A1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842874A (en) Dual housing board-to-board connector
KR19980024612A (ko) 일체식 동력 리드를 갖는 표면 장착 커넥터
US662328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68548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04540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olded electrical contacts
KR100332007B1 (ko) 기판결합용이중하우징커넥터
US20030017744A1 (en) Electrical connector
GB2242579A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insulated boards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TWM642754U (zh) 混合式卡片邊緣連接器
JPH10302862A (ja) 電気コネクタ
US20220285873A1 (en) Board-to-board connecto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S61216278A (ja) 差込み結合部材と一体型の導電板
US633863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7553170B2 (en) Surface mount connectors
KR100236434B1 (ko) 둥근 납땜 미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단자(electric connector terminal having a round soldering tail)
US6179623B1 (en) Electrical socket
US6024613A (en) Socket conta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11265752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H06231839A (ja) Smt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