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444B1 - 이중 결합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중 결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444B1
KR100871444B1 KR1020060105846A KR20060105846A KR100871444B1 KR 100871444 B1 KR100871444 B1 KR 100871444B1 KR 1020060105846 A KR1020060105846 A KR 1020060105846A KR 20060105846 A KR20060105846 A KR 20060105846A KR 100871444 B1 KR100871444 B1 KR 10087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connector housing
latch
latc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668A (ko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44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이중 체결판(Double Lock Plate)과 같은 동작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이중 결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작동부(20)와 제1커넥터 하우징(10)을 포함한 제1 커넥터와, 제2 작동부(30)와 제2 커넥터 하우징(40)을 포함한 제2커넥터로 구성되며 단자 간의 전기적 결합을 이루는 이중 결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상기 제1 작동부(20)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내측면에 상기 제1 작동부의 제1 체결부(22)과 결합되는 제1 래치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작동부(2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체결부(22)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2 작동부(30)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안착홈(26)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의 제2 체결부(32)와 결합되는 제2 래치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작동부(30)는 상기 제1 작동부(20)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체결부(32)를 상기 제1 작동부(20)로의 장착 방향으로의 외측면에 구비하고, 제2 커넥터 하우징(40)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3 체결부(36)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40)은 상기 제2 작동부(30)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의 제3 체결 부(36)와 결합되는 제3 래치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이중 결합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이중 결합, 커넥터 하우징, 체결부

Description

이중 결합 커넥터 {Dual Engagement Connector}
도1 은 본 발명의 이중 결합 구조를 갖는 커넥터 구조를 도시하는 절개도.
도2 는 본 발명 중 상기 체결부와 래치부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 은 본 발명의 1단계 결합 후의 모습을 도시한 절개도.
도4 는 본 발명의 2단계 결합 후의 모습을 도시한 절개도.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제2 커넥터 간 이중 체결판(Double Lock Plate)과 같은 동작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이중 결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전자부품들은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들과 와이어들은 연결시 배선작업의 편리성 등을 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부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되며 전원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로 나뉘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단자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제1 커넥터에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탭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리셉터클단자로 나뉘어진다. 즉,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시에 상기 제1 커넥터에 내장된 탭단자가 상기 제2 커넥터에 내장된 리셉터클단자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부터 제안되어진 커넥터 하우징은 수형 하우징에 걸림 체결부를 설치하고 암형 하우징에는 걸림 돌출부와 걸어 맞추어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래치부를 형성한 것들이 일반적이다. 커넥터의 결합시에 커넥터 간의 결합의 견고하게 유지되는 정도에 따라서 단자간의 전기적 접속의 안정성이 결정되는데, 단일의 체결부 및 래치부로는 극한 작동 상황에서의 커넥터 하우징간의 체결력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체결부 및 래치부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구조라면 커넥터의 작동 환경에 따라 외력에 의한 손상 또는 변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체결부 및 래치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하면 되지만, 암수형 하우징이 결합되어 체결부와 래치부가 걸어 맞춰진 상태로부터 이 걸어맞춤을 풀어서 암수형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작업이 어려워지 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 체결판을 사용하는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의 분리시에 이중 체결판까지 커넥터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되어 재결합시 단자의 결합 및 얼라인먼트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하우징의 내부에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를 추가하여 커넥터 간의 이중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커넥터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커넥터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체결부 및 래치부가 외력에 의해 손상 또는 변형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동시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호간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체결과정에서 모든 체결부가 한꺼번에 결합,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이중 체결판과 같은 동작부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완전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 및 분리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하우징간의 결합 및 분리는 상기 이중 체 결판과 같은 동작부 상호만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작동부(20)와 제1커넥터 하우징(10)을 포함한 제1 커넥터와, 제2 작동부(30)와 제2 커넥터 하우징(40)을 포함한 제2커넥터로 구성되며 단자 간의 전기적 결합을 이루는 이중 결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상기 제1 작동부(20)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내측면에 상기 제1 작동부의 제1 체결부(22)과 결합되는 제1 래치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작동부(2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체결부(22)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2 작동부(30)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안착홈(26)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의 제2 체결부(32)와 결합되는 제2 래치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작동부(30)는 상기 제1 작동부(20)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체결부(32)를 상기 제1 작동부(20)로의 장착 방향으로의 외측면에 구비하고, 제2 커넥터 하우징(40)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3 체결부(36)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40)은 상기 제2 작동부(30)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의 제3 체결부(36)와 결합되는 제3 래치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결합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제1 래치부(12)를 포함하고, 제1 작동부(20)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홈으로 구성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은 제1 작동부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작동부(20)의 외형과 일체되는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작동부(20)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체결부(22)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후술할 제2 작동부(30)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안착홈(26)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30)의 제2 체결부(32)와 결합되는 제2 래치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1 작동부(20)의 제1 체결부(22)가 형성된 부분이 블레이드 형상을 가진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의 용도에 따라 그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 작동부(30)는 상기 제1 작동부(20)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체결부(32)를 상기 제1 작동부로의 장착 방향으로의 외측면에 구비하고, 후술할 제2 커넥터 하우징(40)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3 체결부(36)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작동부(30)는 상 기 제1 작동부(20)와 후술할 제2 커넥터 하우징(40)과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40)은 상기 제2 작동부(30)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의 제3 체결부(36)와 결합되는 제3 래치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넥터 하우징(40)의 내측면은 제2 작동부(30)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작동부(30)의 외형과 일체되는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본 발명 중 상기 체결부와 래치부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도식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부(22)는 상기 제1 래치부(12)에 계지되는 후크부(23)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23)에 있어서의 선단부면(24)은 상기 제1 래치부(12)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23)에 있어서의 계지면(25)은 상기 제1 래치부(12)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32)와 제2 래치부(28), 상기 제3 체결부(36)와 제3 래치부(42)도 동일한 구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후크부(23)의 계지면(25)이 래 치부의 계지면에 걸림으로서 견고한 결속을 유지하는 구성이다.
상술된 커넥터 하우징 및 작동부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체결부 및 래치부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래치부(12)에 연속하여 제1 추가 래치부(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래치부(12)의 계지면(121)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추가 래치부(14)의 계지면(141)의 각도는 상기 제2 래치부(28)의 계지면(281)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래치부의 계지면의 각도는 래치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벽과 계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3 래치부(42)에 연속하여 제3 추가 래치부(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래치부(42)의 계지면(421)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추가 래치부(44)의 계지면의 각도(441)는 상기 제2 래치부(28)의 계지면(281)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래치부의 계지면(281)의 각도는 60도를 형성하고, 제1 추가 래치부(14) 및 제3 추가 래치부(44)의 계지면(141, 441)의 각도는 45도를 형성한 것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중 결합 커넥터의 순차적 결합관계의 과정을 보여주는 절개도이다.
1단계의 체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2 체결부(32)와 상기 제2 래치부(28)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부(22)와 상기 제1 래치부(12), 상기 제3 체결부(36)와 상기 제3 래치부(42)도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1단계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래치부(12) 및 제3 래치부(42)의 계지면(121, 421)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이기 때문에 반 결합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쉽게 분리가 되지 않는다. 즉, 도3의 상태가 된다.
이후, 계속적으로 결합방향으로 가압을 하게 되면, 상기 제1 체결부(22)와 상기 제1 추가 래치부(14), 상기 제3 체결부(36)와 상기 제3 추가 래치부(44)의 결합이 완료되어 2단계의 체결이 성립된다. 즉, 도4의 상태가 된다.
상기 결합된 커넥터의 분리를 위해 반 결합방향(분리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1 추가 래치부(14) 및 상기 제3 추가 래치부(44)의 계지면(141, 441)의 각도가 상기 제2 래치부(28)의 계지면(281)의 각도보다 작기 때문에, 먼저 분리된다. 즉 도3의 상태가 된다.
이후 계속적으로 결합된 커넥터의 분리를 위해 반 결합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제2 래치부(28)의 계지면(281)의 각도가 상기 제1 래치부(12) 및 상기 제3 래치부(42)의 계지면(121, 421)의 각도보다 작기 때문에, 먼저 분리된다. 즉, 도1의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즉, 본 이중 결합 커넥터는 초기의 부품들을 결합을 하고 나면, 커넥터 하우징과 작동부는 상시 결합상태에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높다. 본 발명은 종래에 존재하는 이중 결합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커넥터의 분리시 작동부와 커넥터 하우징까지 모두 분리되어 재결합시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째, 본 발명은 체결부 및 래치부가 외력에 의해 손상 또는 변형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동시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호간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둘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체결과정에 서 모든 체결부가 한꺼번에 결합,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이중 체결판과 같은 동작부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완전분리되지 않고 결합 및 분리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하우징간의 결합 및 분리는 상기 이중 체결판과 같은 동작부 상호만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Claims (8)

  1. 제1 작동부와 제1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 제1 커넥터와, 제2 작동부와 제2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 제2커넥터로 구성되며 단자 간의 전기적 결합을 이루는 이중 결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작동부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내측면에 상기 제1 작동부의 제1 체결부와 결합되는 제1 래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1 체결부를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2 작동부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안착홈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의 제2 체결부와 결합되는 제2 래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작동부는 상기 제1 작동부와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체결부를 상기 제1 작동부로의 장착 방향으로의 외측면에 구비하고, 제2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제3 체결부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과의 장착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2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작동부가 슬라이딩으로 운동할 수 있는 내측면에 상기 제2 작동부의 제3 체결부와 결합되는 제3 래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중 결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래치부에 계지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기 제1 래치부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제1 래치부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이중 결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래치부에 계지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기 제2 래치부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제2 래치부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이중 결합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부는 상기 제3 래치부에 계지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면은 상기 제3 래치부로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에 있어서의 계지면은 상기 제3 래치부로의 반 장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이중 결합 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 래치부에 연속하여 제1 추가 래치부가 형성된, 이중 결합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3 래치부에 연속하여 제3 추가 래치부가 형성된, 이중 결합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부의 계지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추가 래치부의 계지면의 각도는 상기 제2 래치부의 계지면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된, 이중 결합 커넥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래치부의 계지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추가 래치부의 계지면의 각도는 상기 제2 래치부의 계지면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된, 이중 결합 커넥터.
KR1020060105846A 2006-10-30 2006-10-30 이중 결합 커넥터 KR10087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46A KR100871444B1 (ko) 2006-10-30 2006-10-30 이중 결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46A KR100871444B1 (ko) 2006-10-30 2006-10-30 이중 결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668A KR20080038668A (ko) 2008-05-07
KR100871444B1 true KR100871444B1 (ko) 2008-12-03

Family

ID=3964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846A KR100871444B1 (ko) 2006-10-30 2006-10-30 이중 결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88895U (zh) * 2019-06-28 2020-01-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3627A (ko) * 1994-05-25 1997-07-03 헤크트 루이스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Dual housing board to board connector)
KR19980024612A (ko) * 1996-09-12 1998-07-06 루이스 에이. 헥트 일체식 동력 리드를 갖는 표면 장착 커넥터
KR200183163Y1 (ko) 1999-12-14 2000-05-15 한국몰렉스주식회사 이중 록킹 전기접속용 커넥터 결합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3627A (ko) * 1994-05-25 1997-07-03 헤크트 루이스 기판 결합용 이중 하우징 커넥터(Dual housing board to board connector)
KR19980024612A (ko) * 1996-09-12 1998-07-06 루이스 에이. 헥트 일체식 동력 리드를 갖는 표면 장착 커넥터
KR200183163Y1 (ko) 1999-12-14 2000-05-15 한국몰렉스주식회사 이중 록킹 전기접속용 커넥터 결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668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695B2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8137142B1 (en) Connector assembly
US7682181B1 (en) Latch securing member
US8206170B2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8221142B2 (en) Lever-type connector
JP3074644U (ja) 改良されたラッチ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7422466B1 (en) Connector with cover for a latching part
US9812813B1 (en) Lever-type connector
JPH0565073U (ja) 合体式コネクタ
JPH04306573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US947890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3247053A (ja) コネクタ
JP2000058199A (ja) コネクタモジュ―ル
CA250230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20030096527A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JP3741351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6250945B1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US20100304587A1 (en) Connector cover
KR100871444B1 (ko) 이중 결합 커넥터
US7862368B1 (en) Socket assembly
US1162151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housing joined by a flexible joining member
JP3433690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TWI705623B (zh) 連接器
WO2014111133A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6190496A (ja) 合体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