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630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630B1
KR101928630B1 KR1020160165794A KR20160165794A KR101928630B1 KR 101928630 B1 KR101928630 B1 KR 101928630B1 KR 1020160165794 A KR1020160165794 A KR 1020160165794A KR 20160165794 A KR20160165794 A KR 20160165794A KR 101928630 B1 KR101928630 B1 KR 101928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ngaged
engagement
engag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389A (ko
Inventor
다카요시 엔도
다쿠야 다케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81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cable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장치(10)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를 구비한다. 제 1 커넥터(20)는, 제 1 계지부와, 제 2 계지부(40)와, 제 2 계지부(40)를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아암부(25R, 25L)를 구비한다. 제 2 커넥터(50)는, 제 1 계지부에 계지되는 제 1 피계지부와, 제 2 계지부(40)에 계지되는 제 2 피계지부(70)를 구비하며, 제 1 커넥터(20)에 끼워맞춤된다.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1 계지부가 제 1 피계지부에 계지되는 동시에,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안내되어 아암부(25R, 25L)가 휘고, 제 1 계지부와 제 1 피계지부의 계지 후,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되는 동시에 아암부(25R, 25L)의 휨이 해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커넥터 위치 보증 기능(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는, 계지 닙과 계지 견부로 이루어지는 제 1 계지 기구와, 제 1 계지 기구와는 다른 기구로 이루어지는 제 2 계지 기구를 구비한다. 소켓 커넥터 본체와 플러그 커넥터 본체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1 계지 기구가 계지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 2 계지 기구가 계지 상태가 된다. 2개의 계지 기구가 계지 상태가 됨으로써, 소켓 커넥터 본체와 플러그 커넥터 본체는 끼워맞춤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210723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를 조립하는 경우, 한쪽의 계지 기구의 계지 상태가 완료되면서도 다른 쪽의 계지 기구의 계지 상태가 완료되지 않은 중도 끼워맞춤의 상태가 생길 수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서는, 중도 끼워맞춤의 상태가 생겨도, 조립을 실행하는 유저가 중도 끼워맞춤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중도 끼워맞춤을 검출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제 1 계지부와, 제 2 계지부와, 상기 제 2 계지부를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아암부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계지부에 계지되는 제 1 피계지부와, 상기 제 2 계지부에 계지되는 제 2 피계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춤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상기 제 1 계지부가 상기 제 1 피계지부에 계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계지부가 상기 제 2 피계지부에 안내되어 상기 아암부가 휘고, 상기 제 1 계지부와 상기 제 1 피계지부의 계지 후, 상기 제 2 계지부가 상기 제 2 피계지부에 계지되는 동시에 상기 아암부의 휨이 해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계지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에의 상기 제 2 커넥터의 삽입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제 1 계지부를 안내하며,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에 평행한 제 1 평행면을 갖고,
상기 제 2 피계지부는, 상기 삽입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제 2 계지부를 안내하며,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 2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에 평행한 제 2 평행면을 갖고,
상기 제 1 계지부가 상기 제 1 평행면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계지부가 상기 제 2 평행면에 도달해도 좋다.
상기 제 2 피계지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평행면의 후단에 마련된 입면(立面)을 갖고,
상기 입면은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도 좋다.
상기 아암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봉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계지부는 상기 봉재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한쌍의 봉재는, 상기 제 1 계지부가 상기 제 1 피계지부에 계지되고 나서 상기 제 2 계지부가 상기 제 2 피계지부에 계지될 때까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기 제 2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의 위치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아암부의 선단의 위치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동일면 상에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에 전선이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여도 좋다.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는,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에 전선이 접속된 커넥터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아암부에 생긴 휨이 해소된다. 아암부의 휨의 해소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중도 끼워맞춤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커넥터 장치의 분해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제 1 계지부의 단면도,
도 6은 제 2 계지부의 단면도,
도 7은 암형 단자의 단면도,
도 8은 제 1 피계지부의 단면도,
도 9는 제 2 피계지부의 단면도,
도 10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그의 1),
도 10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그의 1),
도 11a는 도 10a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그의 1),
도 11b는 도 10b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그의 1),
도 12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그의 2),
도 12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그의 2),
도 13a는 도 12a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2),
도 13b는 도 12b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2),
도 14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그의 3),
도 14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그의 3),
도 15a는 도 14a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3),
도 15b는 도 14b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3),
도 16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그의 4),
도 16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그의 4),
도 17a는 도 16a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4),
도 17b는 도 16b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4),
도 18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그의 5),
도 18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그의 5),
도 19a는 도 18a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5),
도 19b는 도 18b의 부분 확대 단면도(그의 5),
도 20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0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1은 끼워맞춤 스트로크와, 제 1 계지부가 제 1 피계지부에 계지될 때의 삽입력 및 제 2 계지부가 제 2 피계지부에 계지될 때의 삽입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22a는 변형예 1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도 22b는 변형예 1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측면도,
도 23은 변형예 2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10)에 대해서, 도 1~도 20a, 도 20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XYZ 좌표를 설정하고 적절히 참조한다.
커넥터 장치(10)는, 예컨대, 자동차에 장비되는 전자 회로 부품에 이용된다. 커넥터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20)와, 제 1 커넥터(20)에 끼워맞춤되는 제 2 커넥터(50)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D1)은 -X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제 1 커넥터(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 기판(S)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제 1 커넥터(20)는 도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8개의 수형 단자(21)과, 수지로 이루어지는 아우터 하우징(22)을 구비한다. 제 1 커넥터(20)는,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 아우터 하우징(22)을 성형한 후, 수형 단자(21)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형 단자(2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측의 단부(21a) 및 -X측의 단부(21b)가 아우터 하우징(22)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형 단자(21)의 +X측의 단부(21a)는 아우터 하우징(22)의 내부의 공간으로 돌출해 있다. 수형 단자(21)의 -X측의 단부(21b)는 아우터 하우징(22)의 -X측의 후단면으로부터 노출하고, 대략 S자 형상으로 만곡하며, -X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형 단자(21)의 단부(21b)는 배선 기판(S)에 납땜되는 외부 리드부로서 이용된다.
아우터 하우징(22)은, +X 방향으로 개구되는 끼워맞춤 구멍(23)이 형성된 대략 상자 형상의 부재이다. 아우터 하우징(22)의 끼워맞춤 구멍(23)에는 제 2 커넥터(50)가 삽입된다. 아우터 하우징(22)을 구성하는 벽의 일부인 천정벽부(24)의 +X측 근방에는 제 1 계지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계지부(3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벽부(24)의 하면(24a)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계지부(30)는, 삽입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단측(+X측)으로부터 차례로, 경사면(31)과 평행면(32)과 입면(33)을 갖는다. 경사면(31)은 삽입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면(32)은 삽입 방향(D1)에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면(33)은 Z축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22)에는, 끼워맞춤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한쌍의 아암부(25R, 25L)와, 아암부(25R, 25L)의 선단에 마련된 2개의 제 2 계지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5R, 25L)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22)을 구성하는 벽의 일부인 측벽부(26)의 단면으로부터 +X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봉재이다. 아암부(25R, 25L)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을 실행하는 유저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끼워맞춤 상태로 외부에 노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5R, 25L)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2 계지부(4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아암부(25R, 25L)의 내측으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계지부(4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단측(+X측)으로부터 차례로, 경사면(41)과 평행면(42)과 입면(43)을 갖는다. 경사면(41)은 삽입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면(42)은 삽입 방향(D1)에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면(43)은 Y축 방향으로 경사지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선(W)이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제 2 커넥터(50)는 8개의 암형 단자(51)와,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너 하우징(52)을 구비한다.
암형 단자(5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도전성의 판재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암형 단자(51)의 -X측의 단부에는 수형 단자(21)의 단부(21a)가 삽입되는 대략 각통 형상의 칼집 형상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칼집 형상부(51a)에 삽입된 수형 단자(21)의 단부(21a)는 탄성 접촉편(51c)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암형 단자(51)의 +X측의 단부에는, 전선(W)이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는 결속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하우징(5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약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너 하우징(52)의 후단면(+X측의 단면)에는, 암형 단자(51)를 삽입하는 삽입구(53)가 8개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5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52)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실(54)에 통해 있다.
이너 하우징(52)에는, 아암부(55)와, 아암부(55)에 마련된 제 1 피계지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55)는, 이너 하우징(52)을 구성하는 벽의 일부인 천정벽부(56)의 선단측(-X측)의 근방 부분(56a)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55)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1 피계지부(60)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가 끼워맞춤되었을 때에, 제 1 계지부(30)가 계지하는 계지 대상이다. 제 1 피계지부(6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55)의 상면(55a)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피계지부(60)는, 제 2 커넥터(50)의 삽입 방향(D1)에 있어서의 선단측(-X측)으로부터 차례로, 경사면(61)과 평행면(62)과 입면(63)을 갖는다. 경사면(61)은 삽입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지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61)의 경사 각도는 제 1 계지부(30)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와 동등하다. 평행면(62)은 삽입 방향(D1)에 거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61)과 평행면(62)은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1 계지부(30)를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이용된다. 입면(63)은 삽입 방향(D1)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면(Z축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면(63)이 제 1 계지부(30)의 입면(33)과 대향하면, 제 1 피계지부(60)는 제 1 계지부(30)에 계지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52)의 아암부(55)의 선단부 근방에는, 제 1 계지부(30)와 제 1 피계지부(60)의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 해제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하우징(52)에는, 2개의 제 2 피계지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피계지부(70)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2 계지부(40)가 계지하는 계지 대상이다. 제 2 피계지부(70)는 이너 하우징(52)의 측면(52R, 52L)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피계지부(7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50)의 삽입 방향(D1)에 있어서의 선단측(-X측)으로부터 차례로, 경사면(71)과 평행면(72)과 입면(73)을 갖는다. 경사면(71)은 삽입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행면(72)은 삽입 방향(D1)에 거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면(73)은 삽입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지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71)과 평행면(72)은,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2 계지부(40)를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이용된다. 입면(73)은, 그 경사 각도(θ2)가 경사면(71)의 경사 각도(θ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입면(73)이 제 2 계지부(40)의 입면(43)과 대향했을 때에, 제 2 피계지부(70)는 제 2 계지부(40)에 계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장치(10)의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 방법에 대해서, 도 10a, 도 10b 내지 도 19a, 도 19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50)를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키면서,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되어 가면,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접촉한다.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접촉하면, 제 2 계지부(40)도 제 2 피계지부(70)에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접촉하는 타이밍은,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접촉하는 타이밍과 일치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되어 가면, 도 12a 및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의 경사면(61)에 안내됨으로써 아암부(55)가 휘고,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피계지부(60)가 하측(-Z측)으로 밀린다. 마찬가지로, 도 12b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의 경사면(71)에 안내되고, 아암부(25R, 25L)가 휘어, 화살표(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계지부(40)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려 나온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되어 가면,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30)는 제 1 피계지부(60)의 평행면(62)에 도달한다.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의 평행면(62)에 도달하면,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계지부(40)도 제 2 피계지부(70)의 평행면(72)에 도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계지부(30)가 평행면(62)에 도달하는 타이밍은, 제 2 계지부(40)가 평행면(72)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일치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되어 가면, 도 14a, 도 14b,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30)는 제 1 피계지부(60)의 평행면(62)을 따라서 안내되는 동시에, 제 2 계지부(40)는 제 2 피계지부(70)의 평행면(72)을 따라서 안내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되어 가면, 도 16a, 도 16b,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계지부(30)는 제 1 피계지부(60)의 입면(63)에 도달한다. 제 1 계지부(30)가 입면(63)에 도달하면, 아암부(55)의 휨이 해소되고, 제 1 피계지부(60)는 아암부(55)의 탄성 회복에 근거하여, 화살표(A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Z측)으로 되돌려진다. 그 결과, 제 1 계지부(30)의 입면(33)과 제 1 피계지부(60)의 입면(63)이 대향하고,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계지된다. 또한, 제 1 계지부(30)가 입면(63)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제 2 계지부(40)는 제 2 피계지부(70)의 입면(73)에 도달해 있지 않고, 평행면(72)에 안내되고 있는 도중이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되어 가면, 도 18a, 도 18b,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계지부(40)는 제 2 피계지부(70)의 입면(73)에 도달한다. 제 2 계지부(40)가 입면(73)에 도달하면, 아암부(25R, 25L)의 휨이 해소되고, 제 2 계지부(40)는 아암부(25R, 25L)의 탄성 회복에 근거하여, 화살표(A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한다. 그 결과, 제 2 계지부(40)의 입면(43)과 제 2 피계지부(70)의 입면(73)이 대향하고,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된다. 또한, 제 1 피계지부(60)는 한층 더 삽입 방향(D1)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계지부(30)의 입면(33)과 제 1 피계지부(60)의 입면(63)의 간격이 벌어진다.
이상에 의해,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은 완료된다. 끼워맞춤이 완료되었을 때의, 제 2 커넥터(50)의 삽입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단의 위치와, 제 1 커넥터(20)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아암부(25R, 25L)의 선단의 위치는,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방향(D1)에 직교하는 동일면(P) 상에 있다.
다음에, 커넥터 장치(10)의 제 1 커넥터(20)로부터 제 2 커넥터(50)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0a 및 도 20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커넥터(20)로부터 제 2 커넥터(50)를 뽑아내는 분리 방향(D2)은 +X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경우,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제 2 커넥터(50)의 계지 해제부(57)를 화살표(A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리누른다. 그러면, 아암부(55)가 휘고, 제 1 피계지부(60)가 하측(-Z측)으로 밀린다. 그 결과, 제 1 계지부(30)와 제 1 피계지부(60)의 계지가 해제된다.
다음에, 제 2 커넥터(50)를 분리 방향(D2)으로 이동시켜서, 제 1 커넥터(20)로부터 뽑아낸다. 그러면,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의 입면(73)으로 안내되고, 아암부(25R, 25L)가 휘어, 화살표(A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계지부(40)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난다. 입면(73)은, X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계지부(40)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아암부(25R, 25L)가 휘기 쉽다. 그 결과, 제 2 계지부(40)와 제 2 피계지부(70)의 계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 2 커넥터(50)가 뽑아내져 제 1 커넥터(20)로부터 분리된다.
도 21은, 끼워맞춤 스트로크와, 제 1 계지부(30)를 제 1 피계지부(60)에 계지시킬 때의 삽입력(F1) 및 제 2 계지부(40)를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시킬 때의 삽입력(F2)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50)를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키면서, 제 2 커넥터(50)가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끼워맞춤 스트로크(S0)(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50)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접촉하는 동시에,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접촉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 스트로크(S0)로부터 끼워맞춤 스트로크(S1)로 이동시켜 가면,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의 경사면(61)에 안내되는 동시에,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의 경사면(71)에 안내된다(도 12a, 도 12b, 도 13a 및 도 13b 참조). 이 때문에, 삽입력(F1, F2)은 경사면(31, 61)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고, 거의 비례해서 상승을 개시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 스트로크(S1)(도 12a, 도 12b, 도 13a 및 도 13b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50)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 1 계지부(30)가 평행면(62)에 도달하고, 제 2 계지부(40)가 평행면(72)에 도달한다. 이때, 삽입력(F1, F2)은 피크 삽입력(F1P, F2P)까지 상승한다. 또한, 제 1 계지부(30)가 평행면(62)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제 2 계지부(40)가 평행면(72)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일치하기 때문에, 삽입력(F1, F2)이 피크 삽입력(F1P, F2P)이 되는 타이밍은 일치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 스트로크(S1)로부터 끼워맞춤 스트로크(S2)(도 16a, 도 16b, 도 17a 및 도 17b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50)의 위치)로 이동시켜 가면,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의 평행면(62)을 따라서 이동하는 동시에,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의 평행면(72)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삽입력(F1, F2)은 피크 삽입력(F1P, F2P)으로부터 감소하고, 피크 삽입력(F1P, F2P)보다 약간 작은 삽입력(F1A, F2A)으로 추이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 스트로크(S2)까지 이동시키면, 제 1 계지부(30)는 제 1 피계지부(60)의 입면(63)에 도달하여, 제 1 피계지부(60)에 계지된다. 이에 의해, 삽입력(F1)은 제로가 된다.
나아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 스트로크(S3)(도 18a, 도 18b, 도 19a 및 도 19b에 있어서의 제 2 커넥터(50)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제 2 계지부(40)가 입면(73)에 도달하여,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된다. 이에 의해, 삽입력(F2)은 제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아암부(25R, 25L)에 생긴 휨이 해소된다. 아암부(25R, 25L)의 휨의 해소를, 유저는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중도 끼워맞춤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할 때에,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이 불충분한 상태인 중도 끼워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계지된 후에,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된다. 이 때문에, 제 1 계지부(30)와 제 1 피계지부(60)가 계지되어 있지 않고, 제 2 계지부(40)만이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되어 있는 중도 끼워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계지부(30)만이 제 1 피계지부(60)에 계지되고,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되어 있지 않은 중도 끼워맞춤은, 아암부(25R, 25L)의 휨 상태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계지부(30)가 비계지 상태인 중도 끼워맞춤 및 제 2 계지부(40)가 비계지 상태인 중도 끼워맞춤 중 어느 중도 끼워맞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계지부(30)의 입면(33) 및 제 1 피계지부(60)의 입면(63)이 계지 상태를 유지하는 「웨지(wedge)」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장치(10)를 이용한 기기에 생기는 진동에 의해,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가 중도 끼워맞춤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도 끼워맞춤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는 다른 부재를 그들에 조립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 증가나 조립 공정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커넥터(50)를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해 나갈 때,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접촉하면,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도 21에 나타내는 삽입력(F1, F2)이 커지는 타이밍은 일치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단일의 계지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와 다르지 않은 감각으로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커넥터(50)를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해 나갈 때,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의 평행면(62)에 도달하면,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의 평행면(72)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도 21에 나타내는 삽입력(F1, F2)이 피크 삽입력(F1P, F2P)이 되는 타이밍은 일치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단일의 계지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와 다르지 않은 감각으로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를 끼워맞춤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이 완료되었을 때의, 제 2 커넥터(50)의 삽입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단의 위치와, 제 1 커넥터(20)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아암부(25R, 25L)의 선단의 위치는, 삽입 방향(D1)에 직교하는 동일면(P) 상에 있다. 이 때문에, 유저가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확인을 실행하기 쉽고,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중도 끼워맞춤을 검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이 불충분한 상태인 중도 끼워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암부(25R, 25L)는,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계지되고 나서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계지될 때까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가, 예컨대, 커넥터 장치(10)의 상측(+Z측)으로부터 아암부(25R, 25L)의 휨 상황을 확인하기 쉽기 때문에,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이 불충분한 상태인 중도 끼워맞춤을 발견하기 쉽다. 이에 의해,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중도 끼워맞춤을 검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중도 끼워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피계지부(70)의 입면(73)은 삽입 방향(D1)에 대해서 경사지는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계지부(40)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아암부(25R, 25L)가 휘기 쉽다. 이에 의해, 제 2 계지부(40)와 제 2 피계지부(70)의 계지의 해제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결과적으로, 제 2 커넥터(50)가 뽑아내져, 제 1 커넥터(20)로부터의 제 2 커넥터(50)의 분리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아암부(25R, 25L)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10A)와 같이, 아암부(25R, 25L)는 동일한 방향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아암부(25R, 25L)의 구성이 다른 변형예 1에 따른 커넥터 장치(10A)에 대해서, 도 22a 및 도 22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커넥터 장치(10A)는 제 1 커넥터(20)와, 제 1 커넥터(20)에 끼워맞춤되는 제 2 커넥터(50)를 구비한다.
제 1 커넥터(20)는 도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8개의 수형 단자와, 수지로 이루어지는 아우터 하우징(22)을 구비한다. 아우터 하우징(22)에는, 한쌍의 아암부(25R, 25L)와, 아암부(25R, 25L)의 선단에 설치된 2개의 제 2 계지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5R, 25L)는 아우터 하우징(22)을 구성하는 벽의 일부인 천정벽부(24)와 측벽부(26)가 이루는 코너부 근방의 단면으로부터 +X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봉재이다. 아암부(25R, 25L)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을 실행하는 유저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끼워맞춤 상태로 외부에 노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25R, 25L)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상측으로 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2 계지부(40)는 한쌍의 아암부(25R, 25L)의 하측(-Z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0)는 8개의 암형 단자와,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너 하우징(52)을 구비한다. 이너 하우징(52)에는 2개의 제 2 피계지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피계지부(70)는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수반하여 제 2 계지부(40)가 계지하는 계지 대상이다. 제 2 피계지부(70)는 이너 하우징(52)의 양 측면(-Y측의 측면 및 +Y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 1에 따른 커넥터 장치(10A)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1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만, 유저의 시인 용이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아암부(25R, 25L)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20)는 2개의 아암부(25R, 25L)를 구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다만, 제 1 커넥터(20)와 제 2 커넥터(50)의 끼워맞춤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이, 아암부(25R, 25L)는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20)는 배선 기판(S)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제 2 커넥터(50)는 전선(W)이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23에 나타내는 변형예 2에 따른 커넥터 장치(10B)와 같이, 쌍방의 커넥터가 단자를 갖고, 그 단자에 전선(W)이 접속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커넥터(50)를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해 나갈 때, 제 1 계지부(30)가 평행면(62)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제 2 계지부(40)가 평행면(72)에 도달하는 타이밍은 일치한다. 그렇지만,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양 타이밍은 거의 일치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커넥터(50)를 제 1 커넥터(20)의 끼워맞춤 구멍(23)에 삽입해 나갈 때, 제 1 계지부(30)가 제 1 피계지부(60)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제 2 계지부(40)가 제 2 피계지부(70)에 도달하는 타이밍은 일치한다. 그렇지만,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양 타이밍은 거의 일치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제 1 커넥터(20)에 제 1 계지부(30) 및 제 2 계지부(40)가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인 제 2 커넥터(50)에 제 1 피계지부(60) 및 제 2 피계지부(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커넥터(20)에 피계지부가 형성되고, 제 2 커넥터(50)에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아암부(25R, 25L)가 아우터 하우징(22)의 본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아암부(25R, 25L)가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마찬가지로, 아암부(55)는 이너 하우징(5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아암부(55)가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여겨지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 10A, 10B: 커넥터 장치, 20: 제 1 커넥터, 21: 수형 단자, 21a, 21b: 단부, 22: 아우터 하우징, 23: 끼워맞춤 구멍, 24: 천정벽부, 24a: 하면, 25R, 25L: 아암부, 26: 측벽부, 30: 제 1 계지부, 31, 41, 61, 71: 경사면, 32, 42, 62, 72: 평행면, 33, 43, 63, 73: 입면, 40: 제 2 계지부, 50: 제 2 커넥터, 51: 암형 단자, 51a: 칼집 형상부, 51b: 결속부, 51c: 탄성 접촉편, 52: 이너 하우징, 52R, 52L: 측면, 53: 삽입구, 54: 단자 수용실, 55: 아암부, 55a: 상면, 56: 천정벽부, 56a: 근방 부분, 57: 계지 해제부, 60: 제 1 피계지부, 70: 제 2 피계지부, S: 배선 기판, W: 전선, A1, A2, A3, A4, A5, A6: 화살표, D1: 삽입 방향, D2: 분리 방향, F1, F2: 삽입력, P: 동일면

Claims (8)

  1. 제 1 계지부와, 제 2 계지부와, 상기 제 2 계지부를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아암부를 구비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계지부에 계지되는 제 1 피계지부와, 상기 제 2 계지부에 계지되는 제 2 피계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맞춤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계지부의 상기 제 1 피계지부에의 계지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제 2 계지부의 상기 제 2 피계지부에의 계지가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계지부의 상기 제 1 피계지부에의 계지가 완료된 시점에서는, 상기 아암부는 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더 진행하여, 상기 제 2 계지부의 상기 제 2 피계지부에의 계지가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아암부의 휨이 해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계지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에의 상기 제 2 커넥터의 삽입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제 1 계지부를 안내하며,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에 평행한 제 1 평행면을 갖고,
    상기 제 2 피계지부는, 상기 삽입 방향의 선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제 2 계지부를 안내하며,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제 2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에 평행한 제 2 평행면을 갖고,
    상기 제 1 계지부가 상기 제 1 평행면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계지부가 상기 제 2 평행면에 도달하는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계지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평행면의 후단에 마련된 입면을 갖고,
    상기 입면은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커넥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봉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계지부는 상기 봉재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봉재는, 상기 제 1 계지부가 상기 제 1 피계지부에 계지되고 나서 상기 제 2 계지부가 상기 제 2 피계지부에 계지될 때까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기 제 2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의 위치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아암부의 선단의 위치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동일면 상에 있는
    커넥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에 전선이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인
    커넥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는, 단자를 갖고, 상기 단자에 전선이 접속된 커넥터인
    커넥터 장치.
KR1020160165794A 2015-12-09 2016-12-07 커넥터 장치 KR101928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0529 2015-12-09
JP2015240529A JP6319280B2 (ja) 2015-12-09 2015-12-09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389A KR20170068389A (ko) 2017-06-19
KR101928630B1 true KR101928630B1 (ko) 2018-12-12

Family

ID=5748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794A KR101928630B1 (ko) 2015-12-09 2016-12-07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59657B2 (ko)
EP (1) EP3179570A1 (ko)
JP (1) JP6319280B2 (ko)
KR (1) KR101928630B1 (ko)
CN (1) CN1068562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30A (ko) 2022-04-22 2023-10-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1654B2 (ja) * 2017-03-14 2021-01-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コネクタ
TWI828624B (zh) 2017-06-13 2024-01-11 美商山姆科技公司 電連接器系統及其使用方法
USD964291S1 (en) * 2017-07-21 2022-09-20 Samtec, Inc. Electrical connector
TW202306256A (zh) 2017-07-21 2023-02-01 美商山姆科技公司 具有鎖扣的電連接器以及包含電連接器的系統
ES2931303T3 (es) * 2017-09-07 2022-12-28 Hirschmann Automotive Gmbh Conector de enchufe con pasador secundario para la fijación de piezas de contacto en su soporte de contacto
KR102160852B1 (ko) * 2017-09-18 2020-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잠금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TWI813591B (zh) 2017-10-24 2023-09-01 美商山姆科技公司 直角電連接器、用於直角連接器的接地屏蔽和電接點、組裝有角度的電連接器之方法、導線架組件、形成用於有角度的電連接器的電接點之方法
USD896183S1 (en) 2018-01-08 2020-09-15 Samtec, Inc. Electrical cable connector
BE1026334B1 (de) * 2018-05-30 2020-01-13 Phoenix Contact Gmbh & Co Steckverbinderbaugruppe mit akustischem Feedback
JP2019212416A (ja) * 2018-06-01 2019-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合体コネクタ
BR112020025098A2 (pt) * 2018-07-03 2021-03-23 Trojan Technologies Group Ulc criação de um produto de ferro para o tratamento de águas residuais
JP7367300B2 (ja) * 2018-09-28 2023-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261044B6 (ja) * 2019-03-08 2023-05-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雄端子
DE102019208994A1 (de) * 2019-06-19 2020-12-24 BSH Hausgeräte GmbH Kaltgerätesteckerbuchse mit Verriegelungselement, Gehäusestecker und Kaltgerät
JP7480718B2 (ja) * 2021-01-25 2024-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GB202112405D0 (en) * 2021-08-31 2021-10-13 Scolmore Int Ltd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9536A1 (en) * 2009-04-30 2010-11-04 Eric James Paulus Low Resistan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244A (en) * 1980-08-11 1984-02-14 Anhalt John W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latch
JPH08180933A (ja) 1994-12-26 1996-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3047159B2 (ja) * 1995-11-09 2000-05-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3127825B2 (ja) * 1996-05-21 2001-01-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0840398B1 (en) 1996-11-04 2007-01-24 Molex Incorporated Housing adapted to a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US6024594A (en) * 1998-01-13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latch with tubular hinge
US6244889B1 (en) * 1998-01-20 2001-06-1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mechanically controlled electronic interface plug
JP3724703B2 (ja) 2000-06-05 2005-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2184522A (ja) * 2000-12-12 2002-06-28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US6537099B2 (en) * 2001-08-22 2003-03-25 Delphi Technologies, Inc. Tamper proof electrical connector
JP3997858B2 (ja) * 2002-07-24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5116293A (ja) * 2003-10-07 2005-04-28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08140571A (ja) * 2006-11-30 2008-06-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004318A (ja) * 2007-06-25 2009-01-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7549887B1 (en) * 2008-04-29 2009-06-23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US7682181B1 (en) * 2008-09-09 2010-03-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atch securing member
US8052458B2 (en) * 2009-09-25 2011-11-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398464B2 (ja) * 2009-10-16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043106B1 (en) * 2010-03-30 2011-10-25 Delphi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socket connector with flexing lock arm
US8968021B1 (en) * 2013-12-11 2015-03-03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automotive harness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9536A1 (en) * 2009-04-30 2010-11-04 Eric James Paulus Low Resistan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30A (ko) 2022-04-22 2023-10-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56279A (zh) 2017-06-16
KR20170068389A (ko) 2017-06-19
US9859657B2 (en) 2018-01-02
JP6319280B2 (ja) 2018-05-09
EP3179570A1 (en) 2017-06-14
JP2017107734A (ja) 2017-06-15
US20170170604A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JP5660756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242936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1886959B1 (ko) 커넥터
US10498077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JP2012049015A (ja) 電気コネクタ
US9997881B2 (en) Electric connector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120075341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US11594839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TWI628881B (zh) Connector device for substrate connection
TWI707504B (zh) 端子以及連接器
US20160248190A1 (en) Connector assembly
US20190020143A1 (en) Poke-in connector
US10998668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ase that has a connection stopping portion that prevents stopping contact between first and second connectors
US9196993B2 (en) Connector unit
JP2013030381A (ja) コネクタ
JP5737446B1 (ja) 電気コネクタの嵌合構造
CN216055502U (zh) 连接器组件和连接器
KR20080095758A (ko) 커넥터용 흡착커버
JP2009295366A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TW202131568A (zh) 連接器、對接連接器及電氣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