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341A -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341A
KR20120075341A KR1020110119426A KR20110119426A KR20120075341A KR 20120075341 A KR20120075341 A KR 20120075341A KR 1020110119426 A KR1020110119426 A KR 1020110119426A KR 20110119426 A KR20110119426 A KR 20110119426A KR 20120075341 A KR20120075341 A KR 20120075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nector
contact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395B1 (ko
Inventor
다케하루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 장치 전체의 저배화를 실현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제 1 기판 구멍 (330) 을 갖는 제 1 기판 (300) 에 탑재되는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기판 (400) 에 탑재되는 제 2 커넥터 (200) 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 (100) 및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제 2 커넥터 (200) 의 외형은, 제 1 기판 구멍 (330) 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및 제 2 기판 (도시하지 않음) 을 서로 접속하는 카드 커넥터 (500) 로서, 카드 커넥터 (500) 가 제 1 기판 (T1) 에 탑재된 상태에서, 카드 커넥터 (500) 의 일부가 제 1 기판 (T1) 에 형성된 장착용 개구 (T1') 내에 배치되는 카드 커넥터 (500) 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11283호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선 기판 (T1) 에 탑재되는 암형 커넥터 (610) 와, 제 2 배선 기판 (T2) 에 탑재되는 수형 커넥터 (620) 로 구성되고, 커넥터 (610, 62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 (620) 의 일부가 제 1 배선 기판 (T1) 에 형성된 장착 구멍 (T1') 내에 삽입되는 스태킹 커넥터 (600) 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83238호 (특허문헌 2) 참조).
그런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커넥터 사이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의, 커넥터 사이의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 전체의 치수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장치 전체의 저배화 (低背化) 를 실현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 1 기판 구멍을 갖는 제 1 기판에 탑재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탑재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의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상기 제 2 커넥터의 외형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는, 제 1 기판 구멍을 갖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탑재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기판에 탑재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의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상기 제 2 커넥터의 외형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커넥터의 외형을 제 1 기판 구멍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사이의 끼워 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 전체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단면에서 보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제 1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과 상이한 시점으로부터 제 1 커넥터를 보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와 상이한 시점으로부터 제 2 커넥터를 보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제 1 커넥터 및 제 1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2 커넥터 및 제 2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핀부 및 핀 수용부의 근방 부분을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카드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스태킹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 장치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300) 과, 제 2 기판 (400) 과, 제 1 기판 (300) 에 탑재되는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기판 (400) 에 탑재되는 제 2 커넥터 (200)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는, 제 1 기판 (300) 및 제 2 기판 (400) 의 기판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이하,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서로 접근하여 끼워 맞춰지고, 제 1 기판 (300) 과 제 2 기판 (4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를 서로 접근시키는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으로 규정한다.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제 1 커넥터 (100) 는, 소위 플러그 커넥터이고,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컨택트 (110) 와, 제 1 컨택트 (110) 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 (120)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컨택트 (110) 와 제 1 하우징 (120) 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컨택트 (110) 는, 도전성 구리 합금으로 성형되고,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1 하우징 (120) 의 양측에 있어서, 제 1 방향 (X1) 에 소정 피치로 병렬한 상태로 각각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1 하우징 (120) 의 일방측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 1 컨택트 (110) 와,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1 하우징 (120) 의 타방측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 1 컨택트 (110) 는, 끼워 맞춤 방향 (X3) 및 제 1 방향 (X1) 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면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컨택트 (11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부 (111) 와, 제 1 단자부 (111) 에 연이어 형성된 제 1 직선부 (112) 와, 제 1 직선부 (112) 에 연이어 형성된 제 1 접촉부 (113) 와, 제 1 접촉부 (113) 의 단부 (端部) 에 형성된 권취 단부 (114) 를 일체로 갖고 있다.
제 1 단자부 (111) 는,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에 형성된 패드 (311) 에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도 2 참조). 제 1 단자부 (111) 는, 제 1 하우징 (120) 으로부터 제 2 방향 (X2) 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 1 하우징 (120) 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단자부 (111) 는,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상에 맞닿는 제 1 맞닿음면 (111a) 과, 끼워 맞춤 방향 (X3) 및 제 2 방향 (X2) 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내에서 만곡되어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으로부터 이간되는 만곡부 (111b) 를 갖고 있다. 만곡부 (111b) 는, 제 1 단자부 (111) 와 패드 (311) 사이의 납땜 작업시에, 만곡부 (111b) 와 패드 (311)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에 땜납을 들어가게 함으로써, 땜납 필렛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납땜 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직선부 (112)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 (X2) 을 따라 연장되고, 그 일부가 제 1 하우징 (120) 의 제 1 본체부 (121) 내에 매설되어 있다. 제 1 직선부 (112) 는, 전술한 만곡부 (111b) 를 제외한 제 1 단자부 (111) 의 직선 부분과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113) 는, 끼워 맞춤 방향 (X3) 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시에, 제 2 컨택트 (210) 의 제 2 접촉부 (215) 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1 접촉부 (113) 가 제 1 기판 구멍 (330) 을 넘어 제 1 기판 (300) 의 이면 (320) 측으로 돌출되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1 접촉부 (113) 가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들어가도록,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제 1 접촉부 (113) 의 치수는 설정되어 있다.
권취 단부 (114)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제 1 하우징 (120) 의 제 1 돌출부 (123) 내에 매설되고, 제 1 하우징 (120) 과 제 1 컨택트 (110) 사이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제 1 하우징 (120) 은, 절연성 수지로 성형되고, 도 3 이나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상의 제 1 본체부 (121) 와, 제 1 본체부 (121) 의 외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플랜지부 (122) 와, 제 2 방향 (X2) 으로 서로 이간되어 대향한 상태에서 제 1 본체부 (121) 로부터 끼워 맞춤 방향 (X3) 을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된 1 쌍의 제 1 돌출부 (123) 와, 제 1 방향 (X1) 으로 서로 이간되어 대향한 상태에서 제 1 본체부 (121) 로부터 끼워 맞춤 방향 (X3) 을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된 1 쌍의 핀부 (124) 와, 제 1 본체부 (121) 및 1 쌍의 제 1 돌출부 (123) 및 1 쌍의 핀부 (124) 에 의해 획정되고 제 2 커넥터 (200) 측에 개구된 수용부 (125) 를 갖고 있다.
제 1 본체부 (121) 는, 평면에서 본 경우에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1 기판 구멍 (330) 의 상방에서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 (121a) 과,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재치 (載置) 한 상태에서 제 1 기판 구멍 (330) 내에 위치하는 제 2 부분 (121b) 을 갖고 있다. 제 2 부분 (121b) 은, 제 1 기판 (300) 에 대한 제 1 커넥터 (100) 의 장착시에, 제 1 기판 (300) 에 제 1 커넥터 (100) 를 탑재한 상태 (즉, 제 1 컨택트 (110) 와 제 1 기판 (300) 사이의 납땜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 에서, 제 1 기판 구멍 (330) 의 내측면에 의해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으로 이동이 규제되는 피규제면 (121b-1) 을 외부 가장자리에 갖고 있다.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탑재한 상태 (즉, 제 1 컨택트 (110) 와 제 1 기판 (300) 사이의 납땜이 실시된 상태) 에서, 피규제면 (121b-1) 과 제 1 기판 구멍 (330) 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 간극이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본체부 (121) (제 1 부분 (121a)) 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구멍 (126)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면이 존재하고, 이 평탄면이, 제 1 기판 (300) 에 대해 제 1 커넥터 (100) 를 재치할 때, 제 1 커넥터 (100) 를 들어 올려 옮기는 운반 장치 (도시하지 않음) 의 흡착부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흡착 유지되는 피흡착부 (127) 로서 기능한다.
제 1 플랜지부 (12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본체부 (121) 의 제 1 부분 (121a) 의 외부 가장자리 (제 1 부분 (121a) 의 4 변) 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제 1 플랜지부 (122) 의 두께는,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제 1 본체부 (121) 의 제 1 부분 (121a) 의 두께와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재치한 상태에서, 제 1 플랜지부 (122) 와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제 1 하우징 (120) 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하우징 (120) 을 구성함으로써, 제 1 하우징 (120) 이나 제 1 컨택트 (110) 에 치수 상이나 형상 상의 다소의 제조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 1 기판 (300) 에 제 1 커넥터 (100) 를 재치한 상태에서, 제 1 컨택트 (110) 의 제 1 단자부 (111) 의 제 1 맞닿음면 (111a) 을 제 1 기판 (300) 의 패드 (311) 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플랜지부 (122) 가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에 대해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 1 플랜지부 (122) 는,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1 기판 구멍 (330) 을 제외한 제 1 기판 (300) 의 기판 부분에 대해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겹쳐진다. 즉, 제 1 기판 (300) 상에 투영한 제 1 플랜지부 (122) 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120) 의 외형은,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의 제 1 기판 구멍 (330) 의 외형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플랜지부 (122) 가 제 1 기판 구멍 (330) 을 제외한 제 1 기판 (300) 의 기판 부분에 대해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겹쳐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제 1 커넥터 (100) 에 대해 무엇인가의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 1 컨택트 (110) 에 과잉의 변형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회피하고, 소위 커넥터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플랜지부 (122) 가 제 1 본체부 (121) 의 제 1 부분 (121a) 의 4 변에 형성되어 있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 (120) 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기판 구멍 (330) 을 제외한 제 1 기판 (300) 의 기판 부분에 대해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겹쳐지도록 구성하면 된다.
제 1 돌출부 (123) 는, 제 1 컨택트 (110) 의 제 1 접촉부 (113) 를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1 돌출부 (123) 가 제 1 기판 (300) 의 이면 (320) 측으로 돌출되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1 돌출부 (123) 가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들어가도록,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 (123) 의 치수는 설정되어 있다.
핀부 (124) 는,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2 커넥터 (200) 의 제 2 하우징 (220) 에 형성된 핀 수용부 (223) 내 (도 5 참조) 에 들어가고, 핀 수용부 (223) 의 내측면에 의해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으로 이동이 규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를 제 1 기판 (3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핀부 (124) 가 제 1 기판 (300) 의 이면 (320) 측으로 돌출되고,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핀부 (124) 가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들어가도록,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핀부 (124) 의 치수는 설정되어 있다.
수용부 (125) 는, 도 4 나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200) 측에 개구되고,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시에, 제 2 하우징 (220) 및 제 2 컨택트 (210) 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나 도 7 에 나타내는 부호 126 은, 제 1 하우징 (120) 에 형성된 구멍이며, 제 1 컨택트 (110) 와 제 1 하우징 (120) 의 인서트 성형시에는, 금형의 돌기 등으로 제 1 컨택트 (110) 의 움직임을 억제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형성된 구멍이다.
제 2 커넥터 (200) 는, 소위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도 2,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컨택트 (210) 와, 제 2 컨택트 (210) 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 (220) 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컨택트 (210) 는, 제 2 하우징 (220) 에 끼워 넣어져 있다.
제 2 컨택트 (210) 는, 도전성의 구리 합금으로 성형되고, 도 2,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 (220) 의 양측에 있어서, 제 1 방향 (X1) 에 소정 피치로 병렬한 상태로 각각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 (220) 의 일방측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 2 컨택트 (210) 와,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2 하우징 (220) 의 타방측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제 2 컨택트 (210) 는, 끼워 맞춤 방향 (X3) 및 제 1 방향 (X1) 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을 기준으로 면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컨택트 (210)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부 (211) 와, 제 2 단자부 (211) 에 연이어 형성된 제 2 직선부 (212) 와, 제 2 직선부 (212) 로부터 끼워 맞춤 방향 (X3) 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피유지부 (213) 와, 제 2 직선부 (212) 에 연이어 형성된 스프링부 (214) 와, 스프링부 (214) 의 선단부에 제 2 방향 (X2) 으로 돌출된 제 2 접촉부 (215) 를 일체로 갖고 있다.
제 2 단자부 (211) 는,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에 형성된 패드 (411) 에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도 2 참조). 제 2 단자부 (211) 는, 제 2 하우징 (220) 으로부터 제 2 방향 (X2) 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 2 하우징 (220) 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 2 단자부 (211) 는,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상에 맞닿는 제 2 맞닿음면 (211a) 을 갖고 있다.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직교하는 평면 상 (제 1 기판 (300)) 에 투영한 제 2 단자부 (211) 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 (200) 의 외형은, 제 1 기판 구멍 (330) 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2 컨택트 (210) 및 제 2 하우징 (220) 의 일부에 더하여 제 2 단자부 (211) 의 일부도, 제 1 기판 구멍 (330) 내에 들어가도록,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제 2 단자부 (211) 의 치수는 설정되어 있다.
제 2 직선부 (212)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 (X2)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피유지부 (213)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직선부 (212) 로부터 끼워 맞춤 방향 (X3) 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제 2 하우징 (220) 에 형성된 유지부 (225) 에 압입되고 고정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스프링부 (214) 는, 제 2 직선부 (212) 에 연이어 형성되고 끼워 맞춤 방향 (X3) 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부분 (214a) 과, 제 1 부분 (214a) 에 연이어 형성되고 제 2 방향 (X2) 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부분 (214b) 과, 제 2 부분 (214b) 에 연이어 형성되고 끼워 맞춤 방향 (X3) 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3 부분 (214c) 으로 구성되고, 전체 형상으로 コ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3 부분 (214c) 의 일부가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위치함과 함께, 제 3 부분 (214c) 의 다른 일부가 제 2 기판 구멍 (430) 의 상방에서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측에 위치하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3 부분 (214c) 의 일부가 제 1 기판 구멍 (330) 내에 위치하도록,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제 3 부분 (214c) 의 치수는 설정되어 있다.
제 2 접촉부 (215)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측에 위치하는 제 3 부분 (214c) 의 선단부에서 제 2 방향 (X2) 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시에는, 스프링부 (214) 가 탄성 변형되고, 제 2 접촉부 (215) 가 제 1 컨택트 (110) 의 제 1 접촉부 (113) 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하우징 (220) 은, 절연성 수지로 성형되고, 도 5, 6,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본체부 (221) 와, 제 2 본체부 (221) 의 외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플랜지부 (222) 와, 제 1 방향 (X1) 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제 2 본체부 (221) 에 각각 형성된 1 쌍의 핀 수용부 (223) 와, 제 2 방향 (X2) 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제 2 본체부 (221) 에 오목 형성된 1 쌍의 수용 오목부 (224) 와,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수용 오목부 (224) 의 양 외측에 형성된 1 쌍의 유지부 (225) 를 갖고 있다.
제 2 본체부 (221)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2 기판 구멍 (430) 의 상방에서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 (221a) 과,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위치하는 제 2 부분 (221b) 을 갖고 있다. 제 2 부분 (221b) 은, 제 2 기판 (400) 에 대한 제 2 커넥터 (200) 의 장착시에, 제 2 기판 (400) 에 대해 제 2 커넥터 (200) 를 재치한 상태 (즉, 제 2 컨택트 (210) 와 제 2 기판 (400) 사이의 납땜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 에서, 제 2 기판 구멍 (430) 의 내측면에 의해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으로 이동이 규제되는 피규제면 (221b-1) 을 외부 가장자리에 갖고 있다.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 (즉, 제 2 컨택트 (210) 와 제 2 기판 (400) 사이의 납땜이 실시된 상태) 에서, 피규제면 (221b-1) 과 제 2 기판 구멍 (430) 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 간극이 형성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핀 수용부 (223) 및 1 쌍의 수용 오목부 (224) 에 둘러싸인 위치의 제 2 본체부 (221) (제 1 부분 (221a)) 의 표면은, 제 2 기판 (400) 에 대해 제 2 커넥터 (200) 를 재치할 때, 제 2 커넥터 (200) 를 들어 올려 옮기는 운반 장치 (도시하지 않음) 의 흡착부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흡착 유지되는 평탄상의 피흡착부 (226) 로서 기능한다.
제 2 플랜지부 (222) 는, 도 5 나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본체부 (221) 의 제 1 부분 (221a) 의 외부 가장자리 (구체적으로는,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1 부분 (221a) 의 2 변)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재치한 상태에서, 제 2 플랜지부 (222) 와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제 2 하우징 (220) 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하우징 (220) 을 구성함으로써, 제 2 플랜지부 (222) 나 제 2 컨택트 (210) 에 치수 상이나 형상 상의 다소의 제조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 2 기판 (400) 에 제 2 커넥터 (200) 를 재치한 상태에서, 제 2 컨택트 (210) 의 제 2 단자부 (211) 의 제 2 맞닿음면 (211a) 을 제 2 기판 (400) 의 패드 (411) 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플랜지부 (222) 가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에 대해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 2 플랜지부 (222) 는,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2 기판 구멍 (430) 을 제외한 제 2 기판 (400) 의 기판 부분에 대해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겹쳐진다. 즉, 제 2 기판 (400) 상에 투영한 제 2 플랜지부 (222) 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220) 의 외형은,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의 제 2 기판 구멍 (430) 의 외형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플랜지부 (222) 가 제 2 기판 구멍 (430) 을 제외한 제 2 기판 (400) 의 기판 부분에 대해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겹쳐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제 2 커넥터 (200) 에 대해 무엇인가의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 2 컨택트 (210) 에 과잉의 변형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회피하고, 소위 커넥터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플랜지부 (222) 가 제 2 본체부 (221) 의 제 1 부분 (221a) 의 2 변에 형성되어 있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하우징 (220) 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제 2 기판 구멍 (430) 을 제외한 제 2 기판 (400) 의 기판 부분에 대해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겹쳐지도록 구성하면 된다.
핀 수용부 (223) 는, 도 5 나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 (X1) 에 있어서의 제 2 본체부 (221) 의 양측에 있어서, 제 2 본체부 (221) 를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고,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1 하우징 (120) 에 형성된 핀부 (124) 를 수용하고,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핀부 (124) 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수용부 (223) 의 일부가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위치함과 함께, 핀 수용부 (223) 의 다른 일부가 제 2 기판 구멍 (430) 의 상방에서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측에 위치하고,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핀 수용부 (223) 의 일부가 제 1 기판 구멍 (330) 내에 위치하도록,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핀 수용부 (223) 의 치수는 설정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224) 는, 제 1 커넥터 (100) 측을 향하여 개구되고, 제 2 컨택트 (210) 의 스프링부 (214) 를 수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 (200) 를 제 2 기판 (400) 에 탑재한 상태에서, 수용 오목부 (224) 의 일부가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위치함과 함께, 수용 오목부 (224) 의 다른 일부가 제 2 기판 구멍 (430) 의 상방에서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측에 위치하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수용 오목부 (224) 의 일부가 제 1 기판 구멍 (330) 내에 위치하도록,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수용 오목부 (224) 의 치수는 설정되어 있다.
유지부 (225)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제 2 본체부 (221) 에 형성되고, 제 2 컨택트 (210) 의 피유지부 (213) 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300) 은, 패드 (311) 가 형성된 표면 (310) 과, 이면 (320) 과, 표리를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기판 구멍 (330) 을 갖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 (400) 은, 패드 (411) 가 형성된 표면 (410) 과, 이면 (420) 과, 표리를 끼워 맞춤 방향 (X3) 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2 기판 구멍 (430) 을 갖고 있다.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는, 제 1 기판 (300) 의 이면 (320) 과 제 2 기판 (400) 의 표면 (410) 을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서로 끼워 맞춰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기판 (300) 및 제 2 기판 (400) 은, 경질 프린트 기판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기판 (300) 및 제 2 기판 (400) 의 구체적 양태는 경질 프린트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FPC 등의 플렉시블 기판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기판 (300) 과 제 2 기판 (400) 사이에는, 스페이서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시에는, 제 1 기판 (300) 과 제 2 기판 (400) 사이에 소정의 간격 S 가 형성된다. 그러나, 제 1 기판 (300) 과 제 2 기판 (400) 사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기판 (300) 과 제 2 기판 (400) 이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예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제 2 단자부 (211) 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 (200) 의 외형이, 제 1 기판 구멍 (330) 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시에, 제 2 컨택트 (210) 및 제 2 하우징 (220) 의 일부에 더하여 제 2 단자부 (211) 의 일부도 제 1 기판 구멍 (330) 내에 들어가므로,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 전체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1 컨택트 (110) 및 제 1 하우징 (120) 의 일부가 제 1 기판 구멍 (330) 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컨택트 (210) 및 제 2 하우징 (220) 의 일부가 제 2 기판 구멍 (430) 내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 전체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120) 의 핀부 (124) 와 제 2 하우징 (220) 의 핀 수용부 (223) 가,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1 기판 구멍 (330) 내 및 제 2 기판 구멍 (430) 내의 양방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 장치 전체의 저배화를 저해하지 않고, 끼워 맞춤 방향 (X3) 에 있어서의 핀부 (124) 및 핀 수용부 (223) 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원활한 끼워 맞춤, 및 제 1 방향 (X1) 및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확실한 이동 규제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컨택트 (110) 의 제 1 접촉부 (113) 와 제 2 컨택트 (210) 의 스프링부 (214) 의 제 3 부분 (214c) 이, 제 1 커넥터 (100) 와 제 2 커넥터 (200) 사이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제 1 기판 구멍 (330) 및 제 2 기판 구멍 (430) 의 양방에 걸쳐 연장됨과 함께, 제 2 컨택트 (210) 의 제 2 접촉부 (215) 가 제 3 부분 (214c) 의 제 1 커넥터 (100) 측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 장치 전체의 저배화를 저해하지 않고, 제 1 컨택트 (110) 와 제 2 컨택트 (210) 사이의 접촉 유효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커넥터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도 1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컨택트 (110) 의 제 1 단자부 (111') 의 구성 및 제 1 기판 (300) 의 배치 상태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커넥터 장치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컨택트 (110) 의 제 1 단자부 (111') 의 구성 및 제 1 기판 (300) 의 배치 상태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300) 의 표리가,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패드 (도 11 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가 형성된 표면 (310) 을 제 2 기판 (400) 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 1 기판 (300) 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컨택트 (110) 의 제 1 단자부 (111') 가, 제 2 방향 (X2) 에 있어서의 제 1 직선부 (112) 의 단부로부터 제 1 기판 구멍 (330) 내를 통과하여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측까지 연장되고, 제 2 기판 (400) 에 대향하는 제 1 기판 (300) 의 표면 (310) 에 형성된 패드 (도 11 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에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100 : 제 1 커넥터 110 : 제 1 컨택트
111, 111' : 제 1 단자부 111a : 제 1 맞닿음면
111b : 만곡부 112 : 제 1 직선부
113 : 제 1 접촉부 114 : 권취 단부
120 : 제 1 하우징 121 : 제 1 본체부
121a : 제 1 부분 121b : 제 2 부분
121b-1 : 피규제면 (제 1 피규제부)
122 : 제 1 플랜지부 123 : 제 1 돌출부
124 : 핀부 125 : 수용부
126 : 구멍 127 : 피흡착부
200 : 제 2 커넥터 210 : 제 2 컨택트
211 : 제 2 단자부 211a : 제 2 맞닿음면
212 : 제 2 직선부 213 : 피유지부
214 : 스프링부 214a : 제 1 부분
214b : 제 2 부분 214c : 제 3 부분
215 : 제 2 접촉부 220 : 제 2 하우징
221 : 제 2 본체부 221a : 제 1 부분
221b : 제 2 부분 221b-1 : 피규제면 (제 2 피규제부)
222 : 제 2 플랜지부 223 : 핀 수용부
224 : 수용 오목부 225 : 유지부
226 : 피흡착부 300 : 제 1 기판
310 : 표면 311 : 패드
320 : 이면 330 : 제 1 기판 구멍
400 : 제 2 기판 410 : 표면
411 : 패드 420 : 이면
430 : 제 2 기판 구멍 X1 : 제 1 방향
X2 : 제 2 방향 X3 : 끼워 맞춤 방향

Claims (14)

  1. 제 1 기판 구멍을 갖는 제 1 기판에 탑재되는 제 1 커넥터와, 제 2 기판에 탑재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의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상기 제 2 커넥터의 외형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1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단자부를 갖고,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상기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외형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본체부는, 상기 제 1 커넥터를 상기 제 1 기판에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판 구멍의 내측면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는 제 1 피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2 컨택트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촉부를 지지하는 제 1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를 상기 제 1 기판에 탑재했을 때, 상기 제 1 접촉부의 일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일부의 각각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을 넘어 상기 제 1 기판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에 탑재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기판에 탑재된 상기 제 2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제 2 커넥터의 핀 수용부와 끼워 맞춰지는 핀부를 갖고, 상기 핀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기판 구멍에 수용되고, 상기 핀부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을 넘어 상기 제 1 기판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제 2 기판 구멍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2 본체부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제 2 기판에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판 구멍의 내측면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는 제 2 피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1 컨택트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갖는 스프링부를 갖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스프링부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제 2 기판에 탑재했을 때, 상기 스프링부의 일부와 상기 수용 오목부의 일부의 각각은, 상기 제 2 기판 구멍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다른 부분과 상기 수용 오목부의 다른 부분의 각각은, 상기 제 2 기판 구멍을 넘어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 탑재된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기판에 탑재된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상기 제 1 커넥터의 핀부를 수용하는 핀 수용부를 갖고, 상기 핀 수용부의 일부가 상기 제 2 기판 구멍에 위치하고, 상기 핀 수용부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2 기판 구멍을 넘어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제 1 기판의 표면에 탑재되는 제 1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에 탑재되는 제 2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 기판 구멍을 갖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탑재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기판에 탑재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 사이의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상기 제 2 커넥터의 외형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1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1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를 유지하는 제 2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단자부를 갖고,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투영한 상기 제 2 단자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외형은, 상기 제 1 기판 구멍의 외형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제 2 기판 구멍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10119426A 2010-12-28 2011-11-16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KR101326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1558A JP5732250B2 (ja) 2010-12-28 2010-12-28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装置
JPJP-P-2010-291558 201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41A true KR20120075341A (ko) 2012-07-06
KR101326395B1 KR101326395B1 (ko) 2013-11-11

Family

ID=4641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426A KR101326395B1 (ko) 2010-12-28 2011-11-16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32250B2 (ko)
KR (1) KR101326395B1 (ko)
CN (1) CN102570080B (ko)
TW (1) TWI446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8654B (zh) 2013-02-27 2019-06-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US9537244B2 (en) 2013-02-27 2017-0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having an attachment piece not aligned with a protrusion formed in a sidewall of the connector body
KR101809339B1 (ko) * 2013-02-27 2017-12-1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JP6045970B2 (ja) * 2013-04-12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EP3007279A1 (de) * 2014-10-09 2016-04-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erplattenanordnung
EP3890460A1 (en) * 2015-09-28 2021-10-06 Tactotek Oy Multilayer structure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for electronics
JP7037373B2 (ja) * 2018-01-19 2022-03-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2052D0 (en) * 1991-10-17 1991-11-27 Amp Holland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H0611283U (ja) * 1992-07-17 1994-02-10 デュポン・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カードコネクタ
DE650643T1 (de) * 1992-07-17 1996-01-18 Berg Tech Inc Kartenverbinder mit flacher rückseite.
JP3443864B2 (ja) * 1993-03-26 2003-09-08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JPH0817527A (ja) * 1994-06-28 1996-01-19 Nec Eng Ltd 連続連結式コネクタ
US5876217A (en) 1996-03-14 1999-03-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US6623281B2 (en) * 1999-06-29 2003-09-23 Vlt Corporation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on circuit boards
JP2002319441A (ja) * 2001-04-20 2002-10-31 Jst Mfg Co Ltd プリント配線板間接続構造
EP1523788B1 (en) * 2002-07-23 2011-03-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ow-profile connector
JP4011530B2 (ja) * 2003-08-22 2007-11-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45062B2 (ja) * 2005-08-03 2010-09-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EP1955411A1 (en) * 2005-12-01 2008-08-13 DDK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8146888A (ja) * 2006-12-07 2008-06-2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9217943A (ja) * 2008-03-07 2009-09-24 Jst Mfg Co Ltd コネクタ
CN201285839Y (zh) * 2008-08-21 2009-08-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0080B (zh) 2015-06-24
JP5732250B2 (ja) 2015-06-10
TW201244267A (en) 2012-11-01
JP2012138320A (ja) 2012-07-19
KR101326395B1 (ko) 2013-11-11
TWI446635B (zh) 2014-07-21
CN102570080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9969B2 (en) Connector
US2020035821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20160294082A1 (en) Connector
JP3200315U (ja) 電気コネクタ
US20130344710A1 (en) Circuit board-circuit board connector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EP2553768A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230042553A1 (en) Connector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US9112311B2 (en) Connector
JP2021174770A (ja) 基板側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50379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guide spring for precise contact guidance of a PCB
JP2023001183A (ja)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15516109A (ja) 印刷回路基板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090137140A1 (en) Floating-type connector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988029B2 (ja) コネクタ装置
CN117501550A (zh) 基板用连接器
TW202308242A (zh) 連接器
TWM459585U (zh) 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