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934B1 -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34B1
KR101736934B1 KR1020160161865A KR20160161865A KR101736934B1 KR 101736934 B1 KR101736934 B1 KR 101736934B1 KR 1020160161865 A KR1020160161865 A KR 1020160161865A KR 20160161865 A KR20160161865 A KR 20160161865A KR 101736934 B1 KR101736934 B1 KR 10173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ccentric
vibration
eccentric body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택
Original Assignee
고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택 filed Critical 고정택
Priority to KR102016016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9Chain, wire or band s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내부에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며, 손잡이부가 형성된 핸드피스본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상단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제1편심체 및 상기 제1편심체의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편심체와 반대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편심체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편심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하는 제2편심체를 구비하여 상기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편심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편심부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체가 삽입되어 상기 제1편심체가 편심회전함에 따라 진동운동을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편심회전운동을 횡방향의 진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진동부와, 상기 편심부 및 상기 진동부를 수용하는 진동저감부를 구비하는 동력변환유닛, 상기 동력변환유닛의 진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진동운동을 양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유닛 및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저감부는 상기 편심부의 제1편심체 및 제2편심체의 편심회전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앙통공부, 상기 중앙통공부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에 구비된 돌출부의 진동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수평통공부 및 상기 수평통공부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부의 돌출부에 의한 진동충격을 저감하는 진동흡수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Vibration Reduce Type Oscillating Saw Device Having Safety Functions}
본 발명은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장치가 구비되며, 사용시 진동이 저감되는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에서 뼈를 절단하거나 구멍을 뚫는 경우, 수술용 오실레이팅 쏘우나 드릴 등이 사용된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수술용 오실레이팅 쏘우 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동력전달장치와 좌우로 회전되는 쏘우와의 동력전달 구조가 복잡하여 수술용 쏘우 장치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가의 수술용 쏘우 장치를 1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좌우로 진동되는 쏘우 장치의 구조상, 의료시술자의 손에 진동이 전달되어 수술과정이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31713호 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의료용 쏘우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나, 상기 핸드피스는 연결로드(320)에 편심추(321)가 하나밖에 연결되지 않아, 연결로드가 회전하는 경우, 심한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셋째, 고속으로 회전되는 쏘우 장치에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상기 쏘우 장치를 떨어뜨려서 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 임의로 작동이 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쏘우 장치를, 구동부가 구비된 핸드피스본체, 상기 구동부의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편심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편심부와 상기 편심회전운동을 진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동력변환유닛, 상기 진동부의 진동운동을 양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유닛, 상기 구동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의 작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안전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쏘우 장치의 작동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1회용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쏘우 장치에 진동저감부를 포함하여, 쏘우가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충격을 저감하여, 의료시술자가 핸드피스본체의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시술행위를 하는 경우, 손이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쏘우장치에 안전유닛을 포함하여, 차단부를 삽입통공에 삽입하여 상기 차단부가 트리거의 작동경로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쏘우 장치가 외부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내부에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며, 손잡이부가 형성된 핸드피스본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상단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제1편심체 및 상기 제1편심체의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편심체와 반대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편심체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편심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하는 제2편심체를 구비하여 상기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편심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편심부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체가 삽입되어 상기 제1편심체가 편심회전함에 따라 진동운동을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편심회전운동을 횡방향의 진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진동부와, 상기 편심부 및 상기 진동부를 수용하는 진동저감부를 구비하는 동력변환유닛, 상기 동력변환유닛의 진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진동운동을 양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유닛 및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저감부는 상기 편심부의 제1편심체 및 제2편심체의 편심회전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앙통공부, 상기 중앙통공부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에 구비된 돌출부의 진동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수평통공부 및 상기 수평통공부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부의 돌출부에 의한 진동충격을 저감하는 진동흡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돌출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편심체의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유닛은 상기 진동부의 몸체부 타단과 수직 방향으로 고정결합되는 수직축부, 상기 수직축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진동저감부의 전단과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직축부의 상단에 교체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쏘우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의 돌출부가 진동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수직축부 및 상기 쏘우는 양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거에 인접한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거의 작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안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유닛은 상기 트리거의 작동경로와 연통되는 손잡이부의 삽입통공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통공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당김부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에 삽입된 경우 상기 트리거의 작동이 차단되고,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상기 트리거의 작동이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통공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유닛은 상기 차단부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일단이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에 치합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에 삽입된 경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의 외부로 쉽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을 핸드피스본체, 동력변환유닛, 회전유닛, 트리거 및 안전유닛으로 구성하여 작동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진동저감부의 기능에 의해, 의료시술자가 핸드피스본체의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시술행위를 하는 경우, 손이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안전유닛의 기능에 의해, 쏘우 장치가 외부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동력변환유닛과 회전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진동저감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의 안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개략적으로, 핸드피스본체(100), 동력변환유닛(200), 회전유닛(300), 트리거(400) 및 안전유닛(500)으로 구성된다.
핸드피스본체(1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피스본체(100) 내부에는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동력변환유닛(200)은 편심부(230)와 진동부(270)로 구성되며, 이하, 상기 동력변환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심부(230)는 구동부(130)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130)로부터 일방향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편심(偏心)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편심부(230)는 회전축부(235), 제1편심체(231) 및 제2편심체(23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235)는 구동부(130)와 연결된 제1연결부재(150) 및 후술할 하우징(238) 내에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239)와 별도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연결부재(150, 239)는 구동부(130) 및 편심부(23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편심체(231)는 회전축부(235)의 상단에 편심되어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부(130)와 연결된 상기 회전축부(235)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편심체(231)는 편심(偏心)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제2편심체(232)는 상기 제1편심체(23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부(235)의 중심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편심체(231)와 반대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235)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1편심체(231)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제2편심체(232)는 제1편심체(231)가 편심회전을 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만약, 회전축부(235)에 제1편심체(231)만 결합되어 회전되는 경우, 회전축부(235)에 가해지는 무게중심이 한편으로 치우쳐서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회전축부(235)는 진동되면서 불안정하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편심체(232)를 상기 제1편심체(231)와 반대방향으로 편심되도록 회전축부(235)에 고정결합함으로써, 회전축부(235)에 가해지는 무게중심을 상기 제1,제2편심체(231, 232)의 외주면 양방향으로 분산함으로써, 회전축부(235)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안정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진동부(270)는 편심부(230)의 제1편심체(231)로부터 편심회전운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편심회전운동을 좌우 진동운동으로 변환한다.
진동부(270)는 몸체부(272) 및 상기 몸체부(272)의 일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75)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275) 사이에는 제1편심체(231)가 삽입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편심체(231)가 상기 돌출부(275)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편심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275)는 좌우로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편심체(231)가 상기 돌출부(275) 사이에서 끼워지거나 마찰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275)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편심체(231)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유닛(300)은 전술한 동력변환유닛(200)의 진동부(270)와 연결되며, 상기 진동부(270)로부터 진동운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진동운동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운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회전유닛(300)은 수직축부(320), 고정부(350) 및 쏘우(370, saw)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축부(320)는 진동부(270)의 몸체부(272) 타단과 수직 방향으로 고정결합된다.
고정부(350)에는 상기 수직축부(320)가 회전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350)의 일단은 후술할 진동저감부(290)의 전단과 결합된다.
쏘우(370)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쏘우(370)는 수직축부(320)의 상단에 별도로 연결된 고정장치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후술할 진동저감부(290)는 일단이 핸드피스본체(100)의 전단에 결합되고, 수직축부(320)가 삽입결합된 고정부(350)는 상기 진동저감부(290)의 전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진동부(270)의 돌출부(275)가 좌우로 진동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진동부(270)의 몸체부(272) 타단과 고정결합된 수직축부(320)와 상기 수직축부(320)의 상단에 고정결합된 쏘우(370)는 고정부(350) 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이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부(235)에 연결된 제1편심체(231) 및 제2편심체(232) 역시 시계방향으로 편심회전을 하게 된다.
제1편심체(231)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상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편심된 경우, 진동부(270)의 돌출부(275)는 좌측으로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270)의 몸체부(272) 타단은 수직축부(320)와 고정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직축부(320) 및 쏘우(370)는 우측(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편심체(231)가 회전을 계속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편심된 경우는 진동부(270)의 돌출부(275)는 우측으로 진동하게 되고, 수직축부(320) 및 쏘우(370)는 좌측(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구동부(130)는 빠르게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편심부(230)가 상기 일방향의 회전력을 편심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진동부(270)가 상기 편심회전운동을 진동운동으로 변환하고, 회전유닛(300)이 상기 진동운동을 양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므로, 상기 회전유닛(300)에 구비된 쏘우(370) 역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빠르게 회전되므로, 상기 쏘우(370)를 이용하여 뼈 등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력변환유닛(200)은 일단이 상기 핸드피스본체(100)에 결합되며, 편심부(230) 및 진동부(270)를 수용하는 진동저감부(2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저감부(290)의 타단에는 전술한 고정부(350)의 일단이 결합된다.
여기서, 편심부(230)의 회전축부(235) 및 제2연결부재(239)는 하우징(238) 내에 설치되므로, 진동저감부(290)는 상기 하우징(238)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핸드피스본체(100)에 상기 하우징(238)과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저감부(290)에 형성된 중앙통공부(292)는 편심부(230)의 제1편심체(231) 및 제2편심체(232)가 편심회전되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수평통공부(295)는 상기 중앙통공부(292)의 양측에 형성되며, 진동부(270)에 구비된 돌출부(275)가 좌우로 진동되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즉, 동력변환유닛(200)의 편심부(230)는 상기 중앙통공부(292) 내에서 편심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동력변환유닛(200)의 진동부(270)는 상기 수평통공부(295) 내에서 좌우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수평통공부(295)에는 진동흡수패드(297)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부(270)가 좌우로 진동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진동부(270)의 돌출부(275)가 수평통공부(295)에 충격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평통공부(295)에 진동흡수패드(297)를 부착하여, 상기 돌출부(275)의 진동에 의한 진동충격을 저감하여, 결과적으로, 의료시술자가 핸드피스본체(100)의 손잡이부(170)를 파지하고 시술행위를 하는 경우, 손이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흡수패드(297)는 합성고무, 실리콘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는, 전술하였듯이, 1차적으로, 제2편심체(232)를 제1편심체(231)의 하부에 반대방향으로 편심되도록 회전축부(235)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편심체(231)의 편심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하고, 2차적으로, 진동저감부(290)의 수평통공부(295)에 진동흡수패드(297)를 부착하여, 진동부(270)의 돌출부(275)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충격을 저감하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핸드피스본체(100)에는 손잡이부(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70)의 전단에는 구동부(130)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트리거(400)가 구비되어 있다.
안전유닛(500)은 트리거(400)에 인접한 손잡이부(170)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거(400)의 작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안전유닛(500)은 길이방향의 차단부(530) 및 상기 차단부(530)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당김부(570)로 구성된다.
손잡이부(170)에는 삽입통공(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통공(171)은 트리거(400)가 작동되는 경로와 연통되어 있다.
차단부(530)는 상기 트리거(400)의 작동경로와 연통되는 삽입통공(171)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당김부(570)는 상기 차단부(530)가 상기 삽입통공(17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통공(171)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안전유닛(500)의 차단부(530)가 삽입통공(171)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단부(530)가 트리거(400)의 작동경로를 차단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쏘우 장치가 외부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의료시술자가 당김부(570)를 파지하고 당겨서, 차단부(530)가 삽입통공(171)으로부터 인출된 경우는 트리거(400)의 작동이 허용되므로, 의료시술자는 트리거(400)를 당겨서 본 발명에 따른 쏘우 장치를 작동시키면 된다.
상기 안전유닛(500)에는 상기 안전유닛(500)이 손잡이부(170)의 삽입통공(171)으로부터 쉽게 인출되지 않도록 스프링(532) 및 걸림부재(537)가 더 포함된다.
삽입통공(171)의 일측에는 걸림홈(1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단부(530)가 상기 삽입통공(17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173)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차단부(530)의 일면에는 고정홈(5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531)에는 스프링(532)의 일단이 결합되며, 걸림홈(173)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구형의 걸림부재(537)가 차단부(530)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532)의 타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안전유닛(500)의 차단부(530)를 삽입통공(171)에 삽입하는 경우, 걸림부재(537)는 스프링(532)이 수축되면서 고정홈(531)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차단부(530)가 삽입통공(17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스프링(532)의 탄성력으로 걸림부재(537)가 고정홈(531)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재(537)는 걸림홈(173)에 안착된다.
위와 같이, 스프링(532)의 탄성력으로 걸림부재(537)가 걸림홈(173)에 일정한 힘으로 안착되어 있으므로, 안전유닛(500)이 삽입통공(171)으로부터 쉽게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차단부(530)가 트리거(400)의 작동경로를 차단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쏘우 장치가 외부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핸드피스본체 130: 구동부
150: 제1연결부재 170: 손잡이부
171: 삽입통공 173: 걸림홈
200: 동력변환유닛 230: 편심부
231: 제1편심체 232: 제2편심체
235: 회전축부 238: 하우징
239: 제2연결부재 270: 진동부
272: 몸체부 275: 돌출부
290: 진동저감부 292: 중앙통공부
295: 수평통공부 297: 진동흡수패드
300: 회전유닛 320: 수직축부
350: 고정부 370: 쏘우
400: 트리거 500: 안전유닛
530: 차단부 531: 고정홈
532: 스프링 537: 걸림부재
570: 당김부

Claims (9)

  1. 내부에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며, 손잡이부가 형성된 핸드피스본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상단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제1편심체 및 상기 제1편심체의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편심체와 반대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편심체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편심체의 편심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쇄하는 제2편심체를 구비하여 상기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편심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편심부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편심체가 삽입되어 상기 제1편심체가 편심회전함에 따라 진동운동을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편심회전운동을 횡방향의 진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진동부와, 상기 편심부 및 상기 진동부를 수용하는 진동저감부를 구비하는 동력변환유닛;
    상기 동력변환유닛의 진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진동운동을 양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유닛; 및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트리거;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저감부는
    상기 편심부의 제1편심체 및 제2편심체의 편심회전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앙통공부, 상기 중앙통공부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에 구비된 돌출부의 진동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수평통공부 및 상기 수평통공부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부의 돌출부에 의한 진동충격을 저감하는 진동흡수패드를 포함하는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편심체의 지름보다 큰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진동부의 몸체부 타단과 수직 방향으로 고정결합되는 수직축부;
    상기 수직축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진동저감부의 전단과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직축부의 상단에 교체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쏘우;
    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부의 돌출부가 진동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수직축부 및 상기 쏘우는 양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 인접한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거의 작동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안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유닛은
    상기 트리거의 작동경로 상에 연통되는 손잡이부의 삽입통공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통공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당김부;
    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에 삽입된 경우 상기 트리거의 작동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상기 트리거의 작동을 허용하는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공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유닛은
    상기 차단부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일단이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에 치합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에 삽입된 경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어, 상기 차단부가 상기 삽입통공의 외부로 쉽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KR1020160161865A 2016-11-30 2016-11-30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KR10173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65A KR101736934B1 (ko) 2016-11-30 2016-11-30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65A KR101736934B1 (ko) 2016-11-30 2016-11-30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934B1 true KR101736934B1 (ko) 2017-05-17

Family

ID=5904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865A KR101736934B1 (ko) 2016-11-30 2016-11-30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3075A (zh) * 2019-02-23 2019-06-04 郑传渭 一种摆动锯
CN117718531A (zh) * 2024-02-07 2024-03-19 河南嘉色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铝单板的定量裁切设备
WO2024076052A1 (ko) * 2022-10-05 2024-04-11 큐렉소 주식회사 의료용 툴의 충격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6244A (en) 1995-09-18 1998-12-08 Exactech, Inc. Counter-balanced oscillating surgical saw
KR100449657B1 (ko) 2001-05-16 2004-09-21 세진전자 주식회사 푸시록 스위치
KR101431713B1 (ko) 2013-04-01 2014-08-20 주식회사 알로텍 의료용 쏘우 핸드피스의 소음 저감 장치
KR101548253B1 (ko) 2014-12-24 2015-08-31 주식회사 지비엘에스 완구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6244A (en) 1995-09-18 1998-12-08 Exactech, Inc. Counter-balanced oscillating surgical saw
KR100449657B1 (ko) 2001-05-16 2004-09-21 세진전자 주식회사 푸시록 스위치
KR101431713B1 (ko) 2013-04-01 2014-08-20 주식회사 알로텍 의료용 쏘우 핸드피스의 소음 저감 장치
KR101548253B1 (ko) 2014-12-24 2015-08-31 주식회사 지비엘에스 완구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3075A (zh) * 2019-02-23 2019-06-04 郑传渭 一种摆动锯
CN109833075B (zh) * 2019-02-23 2023-11-03 郑传渭 一种摆动锯
WO2024076052A1 (ko) * 2022-10-05 2024-04-11 큐렉소 주식회사 의료용 툴의 충격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홀더
CN117718531A (zh) * 2024-02-07 2024-03-19 河南嘉色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铝单板的定量裁切设备
CN117718531B (zh) * 2024-02-07 2024-04-19 河南嘉色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铝单板的定量裁切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934B1 (ko)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JP2714462B2 (ja) 振動式かみそり
JP5405629B2 (ja) 電動ハンマー装置用の振動低減装置
ES2465474T3 (es) Máquina-herramienta de mano
US8327489B2 (en) Vibrating toothbrush
EP0139960A1 (en) Endodontic unit
JP2007168070A (ja) 把手および把手付き手工具装置
JP2001353668A (ja) 打撃電動手工具装置
KR101541778B1 (ko) 치과 치료용 핸드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핸드피스
JP6095460B2 (ja) ハンドルおよび動力工具
KR20160048425A (ko) 무게중심을 이용한 손잡이를 가진 이동용 소형 안마기
US9227290B2 (en) Power-driven hand tool
JP2008188759A (ja) 手持工具装置のための制振器
CA1164688A (en) Portable tool such as a rotary hammer or the like
EP2384859B1 (en) Power tool
EP3705373B1 (en) Stroller rocking device
CN110538062A (zh) 马达横置式手持肌肉放松设备
KR101730566B1 (ko) 진동저감이 가능한 전동공구
JP2018535038A (ja) 電動クリーニング器具に使用される、往復回転可能なヘッド部モジュール
US10890229B2 (en) Power tool
JPS61100381A (ja) 電動工具
KR20160022188A (ko) 전동식 진동연장
KR101431713B1 (ko) 의료용 쏘우 핸드피스의 소음 저감 장치
CN212308077U (zh) 一种根管荡洗机头
CN211430075U (zh) 手持式动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