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383B1 - 푸쉬록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푸쉬록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383B1
KR101436383B1 KR1020130040741A KR20130040741A KR101436383B1 KR 101436383 B1 KR101436383 B1 KR 101436383B1 KR 1020130040741 A KR1020130040741 A KR 1020130040741A KR 20130040741 A KR20130040741 A KR 20130040741A KR 101436383 B1 KR101436383 B1 KR 10143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m
coil spring
pus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전영환
주식회사 일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주식회사 일흥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102013004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면서 종래보다 비용절감이 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푸쉬록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캠스틱(70)의 절곡된 제1결합부(71a)가 코일스프링(60)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또한 코일스프링(60)에 의해서 캠스틱(70)의 수직부(71)가 가압되게 되므로, 캠스틱(70)이 케이스(30)의 조립공(31)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푸쉬록 스위치장치{A push-lock switch}
본 발명은 푸쉬록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면서 종래보다 비용절감이 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푸쉬록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쉬록 스위치장치로서는, 일본국 실개소 64-40134호 공보에 나타낸 것이 공지이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인 케이스(24) 내부를 미끄럼운동하는 가동부재(25)에 하트캠 형상의 캠홈(27)을 형성하고, 케이스(24)에 장착한 갈고리형의 캠스틱(28)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록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동부재(25)를 누르면 양 부재의 걸어맞춤에 의해 밀려들어간 위치를 유지하고, 다시 누르면 걸어맞춤이 벗어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전원을 ON/OFF 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스위치장치는 캠스틱(28)의 일단을 캠홈(27)에 결합하고 타단을 케이스(24)의 내측에서 결합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로워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캠스틱을 케이스의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립하고자 개선된 푸쉬록 스위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푸쉬록 스위치는 하트형상의 캠홈(3a)이 형성된 가동부재(3)가 케이스(5)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동부재(3)는 스프링(8)에 의해 케이스(5)로부터 돌출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캠스틱(11)의 일단이 케이스(5)의 바조립공(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홈(3a)에 결합되어 있다.
특히, 상기 푸쉬록 스위치는 상기 캠스틱(11)을 케이스(5)의 외부로부터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5)에 조립공(15)을 형성하였는데, 이 경우 조립공(15)을 통하여 캠스틱(11)이 이탈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판스프링(10)을 결합하여서 캠스틱(11)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푸쉬록 스위치는 별도의 판스프링(10)이 요구되므로 부품수 증가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조립공수가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국 실개소 64-40134호 한국특허등록 10-07157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면서 종래보다 비용절감이 되는 푸쉬록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트형상의 캠홈이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캠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캠스틱과,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를 구비하여서 상기 케이스에 대한 가동부재의 누름반복 조작에 의해 스위치 개폐를 행하는 푸쉬록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홈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케이스 측면부에 조립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돌출부와 상기 조립공 사이의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에 결합공을 가지는 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캠스틱은 상기 결합공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1,2돌출부 사이에 위치되어서 유동가능한 제1결합부와,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조립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캠홈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케이스(30)의 조립공(31)을 통하여서 외부에서 캠스틱(70)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므로 종래보다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캠스틱(70)의 절곡된 제1결합부(71a)가 코일스프링(60)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또한 코일스프링(60)에 의해서 캠스틱(70)의 수직부(71)가 가압되게 되므로, 캠스틱(70)이 케이스(30)의 조립공(31)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종래 스위치장치는 캠스틱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판스프링이 요구되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 스위치장치는 캠스틱(70) 자체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별도의 판스프링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종래 스위치장치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푸쉬록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다른 푸쉬록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푸쉬록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
도 6은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스위치의 개폐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 스위치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면서 종래보다 비용절감이 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 실시예의 푸쉬록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하트형상의 캠홈(41)이 형성된 가동부재(40)와, 상기 가동부재(4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30)와, 일단이 상기 캠홈(4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30)에 연결되는 캠스틱(70)과, 상기 가동부재(40)와 상기 케이스(30) 사이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60)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부재(40)에는 가동단자(45)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0)에 결합되는 덮개(50)에는 고정단자(55)가 결합되어 있다. 참조번호 80은 고정캡으로서 외부 전원단자가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상기 케이스(30)에 대한 가동부재(40)의 누름반복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단자(45)와 고정단자(55)의 접속상태에 따라 스위치를 개폐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위치장치는 상기 가동부재(40)와 케이스(30)를 결합시킨상태에서 상기 캠스틱(70)을 케이스(30)의 외부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보다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캠스틱(70)의 이탈방지를 위한 종래 판스프링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캠홈(41)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케이스(30) 측면부(30a)에 조립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0)의 바닥부(30b)에는 상기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2돌출부(33)(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돌출부(33)(34)와 상기 조립공(31) 사이의 상기 케이스(30)의 바닥부(30b)에는 결합공(32a)을 가지는 보스(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스틱(70)은 상기 보스(32)의 결합공(32a)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71)와, 상기 수직부(7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1,2돌출부(33)(34) 사이에 위치되어서 유동가능한 제1결합부(71a)와, 상기 수직부(71)의 타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조립공(31)과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수평부(72)와, 상기 수평부(7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캠홈(4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72a)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71a)는 상기 코일스프링(6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71)에는 상기 코일스프링(60)의 단부가 지지되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부재(40)가 1회 누름작동될때 가동단자(45)가 고정단자(55)에 슬라이딩 접촉되면서 스위치가 "ON"(도 8C)되고, 다시 1회 누름작동될때 스위치가 "OFF"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캠스틱(70)은 보스(32)를 중심으로 수직부(71)가 회전하게 되고, 제2결합부(72a)는 도 8a 내지 도 8d에서와 같이 하트형상의 캠홈(41)을 시계방향으로 순회하게 되며, 제1결합부(71a)는 한쌍의 제1,2돌출부(33)(34) 사이에서 좌우로 왕복 유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상기 케이스(30)의 조립공(31)을 통하여 상기 캠스틱(70)의 제1결합부(71a)를 상기 보스(32)의 결합공(32a)에 통과시켜서 제1결합부(71a)를 제1,2돌출부(33)(34)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일스프링(60) 및 가동부재(40)를 케이스(30)내에 결합시킨다.
이때 코일스프링(60)의 단부는 상기 제1,2돌출부(33)(34)에 결합되면서 상기 캠스틱(70)의 수직부(71)에 지지되고, 상기 제1결합부(71a)는 상기 코일스프링(60)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상기 캠스틱(70)의 제2결합부(72a)는 케이스(30)에 결합되는 가동부재(40)의 캠홈(41)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스틱(70)의 절곡된 제1결합부(71a)가 상기 코일스프링(60)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코일스프링(60)에 의해서 수직부(71)가 가압되게 되므로, 캠스틱(70)이 조립공(31)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캠스틱(70)의 제1결합부(71a)가 절곡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이격된 한쌍의 제1,2돌출부(33)(34) 사이에서 유동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제2결합부(72a)가 하트형상의 캠홈(41)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한다.
즉,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캠스틱(70)의 제2결합부(72a)는 캠홈(41)의 폭(A) 만큼 좌우로 유동되어야 하는데, 이때 제1결합부(71a)는 캠스틱(70)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절곡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이격된 한쌍의 제1,2돌출부(33)(34) 사이에서 유동가능하게 되므로 제2결합부(72a)의 좌우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케이스(30)의 조립공(31)을 통하여서 외부에서 캠스틱(70)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므로 종래보다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 푸쉬록 스위치장치는 캠스틱(70)의 절곡된 제1결합부(71a)가 코일스프링(60)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또한 코일스프링(60)에 의해서 캠스틱(70)의 수직부(71)가 가압되게 되므로, 캠스틱(70)이 케이스(30)의 조립공(31)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30...케이스 31...조립공
32...보스 33,34...제1,2돌출부
40...가동부재 41...캠홈
60...코일스프링 70...캠스틱

Claims (2)

  1. 하트형상의 캠홈이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캠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캠스틱과,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를 구비하여서 상기 케이스에 대한 가동부재의 누름반복 조작에 의해 스위치 개폐를 행하는 푸쉬록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홈(41)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케이스(30) 측면부(30a)에 조립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0)의 바닥부(30b)에 상기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서로 이격된 한쌍의 제1,2돌출부(33)(34)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돌출부(33)(34)와 상기 조립공(31) 사이의 상기 케이스(30)의 바닥부(30b)에 결합공(32a)을 가지는 보스(32)가 형성되며,
    상기 캠스틱(70)은 상기 결합공(32a)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71)와, 상기 수직부(7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1,2돌출부(33)(34) 사이에 위치되어서 유동가능한 제1결합부(71a)와, 상기 수직부(71)의 타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조립공(31)과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수평부(72)와, 상기 수평부(7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캠홈(4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72a)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록 스위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71a)는 상기 코일스프링(6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71)에는 상기 코일스프링(60)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록 스위치장치.
KR1020130040741A 2013-04-15 2013-04-15 푸쉬록 스위치장치 KR10143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741A KR101436383B1 (ko) 2013-04-15 2013-04-15 푸쉬록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741A KR101436383B1 (ko) 2013-04-15 2013-04-15 푸쉬록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383B1 true KR101436383B1 (ko) 2014-09-01

Family

ID=5175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741A KR101436383B1 (ko) 2013-04-15 2013-04-15 푸쉬록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201A (zh) * 2015-12-14 2017-06-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推锁开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161U (ja) * 1992-12-28 1994-07-22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のロック装置
JP2004273199A (ja) * 2003-03-06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9043A (ja) 2010-05-24 2011-12-08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161U (ja) * 1992-12-28 1994-07-22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のロック装置
JP2004273199A (ja) * 2003-03-06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9043A (ja) 2010-05-24 2011-12-08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201A (zh) * 2015-12-14 2017-06-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推锁开关装置
KR101755938B1 (ko) * 2015-12-14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US9847189B2 (en) 2015-12-14 2017-12-19 Hyundai Motor Company Push lock switch apparatus for vehicle
CN106876201B (zh) * 2015-12-14 2019-09-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推锁开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3887C (en) Push-button switch
US8160661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s
KR10063019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JP2012204341A (ja) スライド式ボタン
US8573717B2 (en) Front panel assembly having a sliding door mechanism
TW201443948A (zh) 按壓開關
KR101436383B1 (ko) 푸쉬록 스위치장치
TWI543221B (zh) 開關模組及壁開關
JP2007157644A (ja) スイッチ装置
JP2013239372A (ja) 押圧型スイッチ装置
KR101810213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US7517097B2 (en) Sliding lens cap for a lens unit of a projector
JP2015018605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JP4715694B2 (ja) スイッチ
CN210780747U (zh) 电子设备
CN221010487U (zh) 控制面板及家电设备
JP2002358850A (ja) スイッチ装置
KR101712091B1 (ko) 푸쉬록 스위치
JPH0722827Y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KR20060102975A (ko)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JPH0731473Y2 (ja) リミットスイッチ
KR101152850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1721578B1 (ko) 복합조작 구조를 가지는 리모트 스위치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