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091B1 - 푸쉬록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091B1
KR101712091B1 KR1020140152601A KR20140152601A KR101712091B1 KR 101712091 B1 KR101712091 B1 KR 101712091B1 KR 1020140152601 A KR1020140152601 A KR 1020140152601A KR 20140152601 A KR20140152601 A KR 20140152601A KR 101712091 B1 KR101712091 B1 KR 10171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lock pin
guide groov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501A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0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H01H13/5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convertible to momentary push 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 수직 이동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가동접지부가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접지부와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고정접지부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샤프트의 상하 수직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캠작동부의 안내로를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하면서 상기 가동접지부와 상기 고정접지부의 접지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락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하 수직이동할 때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록 스위치{A Push Lock Switch}
본 발명은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실내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는 점등 또는 소등의 작동을 위한 푸쉬록 스위치가 결합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쉬록 스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와,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된 플런저(3)와,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케이스(5) 및, 케이스(5)의 상부에 결합되 전원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6)를 갖는 상부 덮개(7)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판스프링(11)과, 판스프링(11)에 탄발지지되되 일측단은 회전 작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단은 플런저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12)를 갖는 록킹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푸쉬록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도 3에서와 같이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밀어주면,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 전진하면서 캠작동바(12)의 타측단이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여 플런저(3)가 전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에 접지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이 점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또 다시 밀어주면, 캠작동바(12)의 타측단이 플런저(3)의 캠부(3a)를 따라 원위치로 캠작동함과 동시에 탄발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3)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과 어긋나며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이 소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푸쉬록 스위치는 록킹수단(10)을 구성하는 판스프링(11)과, 캠작동바(12)가 케이스(5) 내부의 저면에 먼저 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3)를 결합하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고, 조립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1)과 캠작동바(12) 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5)의 저면에 캠작동바(12')를 삽입하기 위한 작동바 삽입공(15)과, 그 일측 내부에 바조립공(16)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측면에는 판스프링 삽입공(17)을 형성하여 캠작동바(12')와 판스프링(11')을 케이스(5)의 외부에서 작동바 삽입공(15)과 스프링 삽입공(17)을 통해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하였다.
즉, 케이스(5)에 플런저(3), 상부덮개(7) 등이 먼저 조립된 상태에서 캠작동바(12'), 판스프링(11')을 조립, 교체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푸쉬록 스위치는 금속판재로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11')을 케이스(5)의 판스프링 삽입공(17)을 통해 삽입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판스프링(11')을 케이스(5)의 판스프링 삽입공(17)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판스프링(11')이 절곡 변형되어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푸쉬록 스위치는 노브(2)의 가압작동에 따라 플런저(3)가 케이스(5) 내부에서 이동 안내 작동될 때 플런저(3)의 본체(3b)가 케이스(5) 내에서 안내 작동하게 되나, 플런저(3)의 노브(2)가 조립되는 전방 조립부(3c)는 별도의 안내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노브(2)의 가압작동에 따른 플런저(3)의 이동 작동시 전방 조립부(3c)가 노브(2)와 함께 심한 유동을 발생하게 되어 조작 및 작동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샤프트의 상하 수직 이동에 따라 락핀의 핀부가 캠작동부의 안내로를 따라 설정된 방향을 따라 캠이동됨과 동시에 락핀의 머리부가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좌ㆍ우 수평이동을 함으로써 락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푸쉬록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샤프트가 텐션바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하 수직 이동되기 때문에 샤프트의 전ㆍ후 및 좌ㆍ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 및 작동의 품질이 향상시킬 수 있는 푸쉬록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 수직 이동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가동접지부가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접지부와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고정접지부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샤프트의 상하 수직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캠작동부의 안내로를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하면서 상기 가동접지부와 상기 고정접지부의 접지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락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하 수직이동할 때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록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양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텐션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락핀의 머리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게 하는 개구부가 상기 안내홈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면에는 상기 락핀의 핀부가 상기 캠작동부의 안내로에 삽입되게 하는 삽입홈이 상기 캠작동부의 안내로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락핀을 상기 캠작동부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의 상하 수직 이동에 따라 락핀의 핀부가 캠작동부의 안내로를 따라 설정된 방향을 따라 캠이동됨과 동시에 락핀의 머리부가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을 함으로써 락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가 텐션바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하 수직 이동되기 때문에 샤프트의 전ㆍ후 및 좌ㆍ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 및 작동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푸쉬록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쉬록 스위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푸쉬록 스위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종래 푸쉬록 스위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샤프트의 정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샤프트의 상하 수직 이동에 따른 락핀과 가동접지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의 평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샤프트의 정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샤프트의 상하 수직 이동에 따른 락핀과 가동접지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100)는 하우징(110), 샤프트(120), 덮개(130), 락핀(14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부(112)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114)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샤프트(120)는 공간부(112)에 설치된 탄성스프링(116)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 수직 이동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가동접지부(122)가 구비된다.
또한, 샤프트(12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텐션바(124)가 형성되는데, 이 한 쌍의 텐션바(124)는 하우징(1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114)에 삽입되어, 샤프트(120)의 상하 수직 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더불어, 샤프트(120)는 한 쌍의 가이드홈(114)에 삽입된 한 쌍의 텐션바(124)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공간부(112)에 설치된 샤프트(120)가 전ㆍ후 및 좌ㆍ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덮개(13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샤프트(120)의 이동에 따라 가동접지부(122)와 선택적으로 접지되어 온, 오프 작동을 하는 고정접지부(132)가 구비된다.
락핀(140)은 샤프트(120)의 상하 수직 이동에 의해 샤프트(120)에 형성된 캠작동부(126)의 안내로(126a)를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하면서 가동접지부(122)와 고정접지부(132)의 접지상태를 유지 즉, 스위치(100)의 온, 오프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락핀(140)은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18)에 결합되어 샤프트(120)가 상하 수직 이동할 때 안내홈(118)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안내홈(118)에는 안내홈(118)에 결합된 락핀(140)을 캠작동부(126)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118b)가 안내홈(118)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락핀(140)의 머리부(142)가 안내홈(118)에 삽입되게 하는 개구부(118a)가 안내홈(118)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샤프트(120)의 일측면에는 락핀(140)의 핀부(144)가 캠작동부(126)의 안내로(126a)에 삽입되게 하는 삽입홈(126b)이 캠작동부(126)의 안내로(126a)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락핀(140)의 머리부(142)와 핀부(144)가 개구부(118a)와 삽입홈(126b)을 통해 각각 안내홈(118)과 캠작동부(126)의 안내로(126a)에 삽입되기 때문에 락핀(140)의 파손 또는 마모시 덮개(130)를 분리하지 않고도 손쉽게 락핀(140) 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100)의 온, 오프 작동을 위해 샤프트(120)를 밀어줌에 따라 샤프트(120)가 공간부(112) 상에서 탄성스프링(116)을 압축하면서 전ㆍ후진되어 가동접지부(122)를 고정접지부(132)에 선택적으로 온, 오프 상태로 접지되게 작동한다.
이와 더불어, 샤프트(120)가 공간부(112) 상에서 탄성스프링(116)을 압축하면서 전ㆍ후진 작동하면,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18)에 결합된 락핀(140)의 머리부(142)는 안내홈(118)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고, 핀부(144)는 캠작동부(126)의 안내로(126a)를 따라 a에서 b로, b에서 a로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샤프트(120)의 상하 수직 이동에 따라 핀부(144)가 캠작동부(126)의 안내로(126a)를 따라 a에서 b로 이동한 후 걸림되어 가동접지부(122)와 고정접지부(132)의 접지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온 상태가 되고, 다시 샤프트(120)가 상하 수직 이동하면 핀부(144)가 캠작동부(126)의 안내로(126a)를 따라 b에서 a로 이동하면서 걸림이 해제되어 가동접지부(122)와 고정접지부(132)의 접지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쉬록 스위치에 의하면, 샤프트의 상하 수직 이동에 따라 락핀의 핀부가 캠작동부의 안내로를 따라 설정된 방향을 따라 캠이동됨과 동시에 락핀의 머리부가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을 함으로써 락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가 텐션바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상하 수직 이동되기 때문에 샤프트의 전ㆍ후 및 좌ㆍ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 및 작동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하우징
112; 공간부
114; 가이드홈
116; 탄성스프링
118; 안내홈
118a; 개구부
118b; 가압부
120; 샤프트
122; 가동접지부
124; 한 쌍의 텐션바
126; 캠작동부
126a; 안내로
126b; 삽입홈
130; 덮개
132; 고정접지부
140; 락핀
142; 머리부
144; 핀부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 수직 이동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가동접지부가 구비된 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접지부와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고정접지부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샤프트의 상하 수직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캠작동부의 안내로를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하면서 상기 가동접지부와 상기 고정접지부의 접지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락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하 수직이동할 때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양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한 쌍의 텐션바가 각각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락핀의 머리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게 하는 개구부가 상기 안내홈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면에는 상기 락핀의 핀부가 상기 캠작동부의 안내로에 삽입되게 하는 삽입홈이 상기 캠작동부의 안내로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록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락핀을 상기 캠작동부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록 스위치.
KR1020140152601A 2014-11-05 2014-11-05 푸쉬록 스위치 KR10171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01A KR101712091B1 (ko) 2014-11-05 2014-11-05 푸쉬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01A KR101712091B1 (ko) 2014-11-05 2014-11-05 푸쉬록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01A KR20160053501A (ko) 2016-05-13
KR101712091B1 true KR101712091B1 (ko) 2017-03-03

Family

ID=5602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601A KR101712091B1 (ko) 2014-11-05 2014-11-05 푸쉬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98Y1 (ko) * 2002-12-30 2003-03-29 유철상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743B1 (ko) * 2002-11-25 2005-08-25 주식회사 신창전기 누름 작동형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98Y1 (ko) * 2002-12-30 2003-03-29 유철상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01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1903B2 (en) Trigger switch
US20170114892A1 (en) Shift lever device
KR102229437B1 (ko)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US7217897B2 (en) Backpanel insertion switch
CN107428224B (zh) 汽车的通风口把手
US9583286B2 (en) Switch carrier with one contact point with a switch including second contact point
JP5811678B2 (ja) スイッチ
WO2016190045A1 (ja) トリガスイッチ
KR101712091B1 (ko) 푸쉬록 스위치
KR20080056130A (ko) 래치해제 조작장치
TWI543221B (zh) 開關模組及壁開關
JP6245503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102131945B1 (ko) 푸시 스위치 유닛
WO2015122122A1 (en) Switch module, switch, and switch assembly
US9257871B1 (en) Transfer switch
WO2015129149A1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壁スイッチ
KR200423399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101827938B1 (ko) 도어 로크 장치
KR101436383B1 (ko) 푸쉬록 스위치장치
JP2009024328A (ja) ドアストライク装置
US20030010616A1 (en) Switch apparatus
GB2240879A (en) Electric switch
KR20050034696A (ko) 로킹타입의 푸쉬버턴스위치
KR200422724Y1 (ko) 푸시 버튼 구조
KR200386680Y1 (ko) 로킹타입의 푸쉬버턴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