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298Y1 -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298Y1
KR200309298Y1 KR20-2002-0038976U KR20020038976U KR200309298Y1 KR 200309298 Y1 KR200309298 Y1 KR 200309298Y1 KR 20020038976 U KR20020038976 U KR 20020038976U KR 200309298 Y1 KR200309298 Y1 KR 200309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af spring
plunger
spr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20-2002-0038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2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등에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위치 케이스(5)내에 플런저(3), 탄발스프링(8), 덮개(7)를 기 조립한 상태로 온,오프 록킹수단(40)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5)의 저면에는 중앙으로 캠작동바(20)를 삽입하기 위한 작동바 삽입공(52)과, 그 일측내부에 바조립공(53a)을 수직으로 형성하는 지지블럭(53)을 구비하고, 측면에는 하부로 판스프링(30)을 삽입하기 위한 스프링 삽입공(55)과, 그 저면에 판스프링의 절곡부(31)가 감싸도록 지지되는 지지블럭(56)을 구비하여 상기 캠작동바(20)와 판스프링(30)을 케이스(5)의 외부에서 작동바 삽입공(52)과 스프링 삽입공(55)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되, 상기 캠작동바(20)는 양측의 절곡부(21)(22)가 지지블럭(53)의 바조립공(53a)과 플런저(3)의 캠부(3a)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하부의 판스프링(30)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조립구조를 제공하므로서, 록킹수단의 부품교체는 물론 조립 작업을 간편하게 제공하므로 조립불량을 방지함은 물론 조립생산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PUSH LOCK SWITCH FOR CAR ROOM LAMP}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등에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노브의 누름작동에 따른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의 조립 구조를 간편하게 개선하므로서 부품교체 및 조립생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는 점, 소등(온,오프)의 작동을 위한 푸쉬록 스위치가 결합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쉬록 스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노브(2)와; 상기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케이스(5) 및 상기 케이스 상부로 결합되되 전원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6)를 갖는 상부 덮개(7)로 대별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판스프링(11)과, 그 상부에서 탄발지지되되 일측의 절곡부(13)가 판스프링에 회전가능케 결합되고, 타측의 절곡부(13')는 플런저(3)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12)로 된 록킹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푸쉬록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밀어주면,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하며 전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캠작동바(12)는 그 절곡부(13')가 플런저(3) 저면의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여 상기 플런저(3)가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에 접지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을 온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또 다시 밀어주면, 상기 캠작동바(12)의 절곡부(13')가 플런저(3)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원위치로 캠작동함과 동시에 탄발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상기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과 어긋나면서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을 오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푸쉬록 스위치에서 록킹수단(10)을 구성하는 판스프링(11)과, 캠작동바(12)는 케이스(5)내부의 저면에 기 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3)를 결합하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더우기, 상기 캠작동바(12)의 절곡부(13')가 플런저(3)의 캠부(3a)로 일정하게 삽입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조립하는 작업의 어려움과, 그 조립 과정에서 상기 캠작동바(12)의 조립 상태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결국, 이러한 조립 작업의 어려움은 조립 불량을 증가시킴은 물론 조립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조립구조는 상기 판스프링(11)과, 캠작동바(12)가 케이스 내부에 기 조립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일단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1)이나 캠작동바(12)를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록킹수단의 부품교체는 물론 조립구조를 간편하게 제공하므로서 조립불량을 방지함은 물론 조립생산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푸쉬록 스위치의 케이스 내에 플런저와 탄발스프링 및 덮개를 기 조립한 상태로 록킹수단을 구성하는 캠작동바 및 판스프링을 상기 케이스의 작동바 삽입공 및 스프링 삽입공을 통해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립하도록 하는 조립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푸쉬록 스위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스위치의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도 6은 본 고안의 케이스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판스프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3: 플런저 5: 케이스
20: 캠작동바 21,22,31: 절곡부
30: 판스프링 33: 걸림홈
52: 작동바 삽입공 53,56: 지지블럭
55: 스프링 삽입공 57: 걸림턱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노브(2)와; 상기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케이스(5) 및 상기 케이스 상부로 결합되고 저면의 고정접지판과 상부의 연결단자를 갖는 상부 덮개(7)로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판스프링(20)과, 그 상부에서 탄발지지되고 플런저(3)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30)로 된 록킹수단(4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40)은 양측이 절곡된 절곡부(21)(22)에 의해 "U"자 형태로 형성된 캠작동바(20)와, 일측단이 "ㄷ"자로 절곡된 절곡부(31)를 형성하는 판스프링(30)으로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5)의 저면에는 중앙으로 캠작동바(20)를 삽입하기 위한 작동바 삽입공(52)과, 그 일측내부에 바조립공(53a)을 수직으로 형성하는 지지블럭(53)을 구비하고, 측면에는 하부로 판스프링(30)을 삽입하기 위한 스프링 삽입공(55)과, 그 저면에 판스프링의 절곡부(31)가 감싸도록 지지되는 지지블럭(56)을 구비하여 상기 캠작동바(20)와 판스프링(30)을 케이스(5)의 외부에서 작동바 삽입공(52)과 스프링 삽입공(55)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되, 상기 캠작동바(20)는 양측의 절곡부(21)(22)가 지지블럭(53)의 바조립공(53a)과 플런저(3)의 캠부(3a)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하부의 판스프링(30)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블럭(56)의 저면에는 걸림턱(57)을 돌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판스프링(30)의 절곡부(31)에는 상기 걸림턱(57)이 삽입 지지되는 걸림홈(33)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 스위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케이스(5)내에 전방에 노브(2)가 조립되는 플런저(3)를 탄발스프링(8)과 함께 삽입하고, 그 상부로 덮개(7)를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스(5)의 외부에서 본 고안의 록킹수단(40)을 조립하게 된다.
이는 먼저 캠작동바(20)를 케이스(5) 저면의 작동바 삽입공(52)을 통해 삽입하되, 일측 절곡부(21)는 지지블럭(53)의 핀조립공(53a)에 , 타측 절곡부(22)는 플런저(3)의 캠부(3a)에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측면의 스프링 삽입공(55)을 통해 판스프링(30)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30)은 기 조립된 캠작동바(20)의 하부로 삽입되게 위치하면서 상기 캠작동바(20)를 탄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30)는 그 절곡부(31)가 지지블럭(56)을 감싸는 상태로 이탈방지게 되게 조립되어 지지된다.
더우기, 상기 지지블럭(56)에 형성된 걸림턱(57)으로 상기 판스프링(30)의 걸림홈(33)이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상기 판스프링(30)의 분리 및 이탈은 물론상기 판스프링(30)에 지지된 캠작동바(20)의 분리 및 이탈을 더욱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케이스(5)에 플런저(3), 덮개(7)를 기 조립한 상태로 록킹수단(40)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불량을 최소화함은 물론 조립 생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판스프링(30)이나 캠작동바(20)의 고장 또는 작동불량시에 이 부분만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한 조립의 역순으로 상기 판스프링(30)을 먼저 분리한 상태로 캠작동바(20)을 분리하여, 각각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탄발스프링(8)을 압축하며 밀어주면, 캠작동바(20)의 절곡부(22)가 플런저(3)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여 상기 플런저(3)가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에 접지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을 온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또 다시 밀어주면, 상기 캠작동바(20)의 절곡부(13)가 플런저(3)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원위치로 캠작동함과 동시에 탄발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상기 덮개(7)의 고정접지판(미도시)과 어긋나면서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을 오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푸쉬록 스위치는 케이스내에 플런저와 스프링 및 덮개를 기 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외부에서 록킹수단을 구성하는 캠작동바와 판스프링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 구조를 제공하므로서, 부품교체 및 조립생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전방의 노브(2)와; 상기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케이스(5) 및 상기 케이스 상부로 결합되고 저면의 고정접지판과 상부의 연결단자를 갖는 상부 덮개(7)로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5)의 내부 저면에는 판스프링(20)과, 그 상부에서 탄발지지되고 플런저(3) 저면의 캠부(3a)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30)로 된 록킹수단(4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40)은 양측이 절곡된 절곡부(21)(22)에 의해 "U"자 형태로 형성된 캠작동바(20)와, 일측단이 "ㄷ"자로 절곡된 절곡부(31)를 형성하는 판스프링(30)으로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5)의 저면에는 중앙으로 캠작동바(20)를 삽입하기 위한 작동바 삽입공(52)과, 그 일측내부에 바조립공(53a)을 수직으로 형성하는 지지블럭(53)을 구비하고, 측면에는 하부로 판스프링(30)을 삽입하기 위한 스프링 삽입공(55)과, 그 저면에 판스프링의 절곡부(31)가 감싸도록 지지되는 지지블럭(56)을 구비하여 상기 캠작동바(20)와 판스프링(30)을 케이스(5)의 외부에서 작동바 삽입공(52)과 스프링 삽입공(55)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되, 상기 캠작동바(20)는 양측의 절곡부(21)(22)가 지지블럭(53)의 바조립공(53a)과 플런저(3)의 캠부(3a)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하부의 판스프링(30)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56)의 저면에는 걸림턱(57)을 돌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판스프링(30)의 절곡부(31)에는 상기 걸림턱(57)이 삽입 지지되는 걸림홈(3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 조립구조.
KR20-2002-0038976U 2002-12-30 2002-12-30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KR200309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976U KR200309298Y1 (ko) 2002-12-30 2002-12-30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976U KR200309298Y1 (ko) 2002-12-30 2002-12-30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298Y1 true KR200309298Y1 (ko) 2003-03-29

Family

ID=4933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976U KR200309298Y1 (ko) 2002-12-30 2002-12-30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2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501A (ko) * 2014-11-05 2016-05-13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푸쉬록 스위치
KR101752338B1 (ko) * 2015-05-27 2017-07-26 주식회사 일흥 푸시-록 스위치
KR101765820B1 (ko) * 2015-04-27 2017-08-10 전영환 회동커버를 갖는 푸시-록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501A (ko) * 2014-11-05 2016-05-13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푸쉬록 스위치
KR101712091B1 (ko) * 2014-11-05 2017-03-03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푸쉬록 스위치
KR101765820B1 (ko) * 2015-04-27 2017-08-10 전영환 회동커버를 갖는 푸시-록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52338B1 (ko) * 2015-05-27 2017-07-26 주식회사 일흥 푸시-록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2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4431879A (en) Illumination-type pushbutton switch construction
CN103299386A (zh) 交替转换开关
US6642823B2 (en) Contact block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tact block assembly
KR200309298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CN103370222B (zh) 车载室内照明设备
CN102479632B (zh) 按钮开关
KR101322365B1 (ko) 조명 푸쉬스위치
KR200311693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KR101086140B1 (ko) 차량용 백업램프 스위치
US5649759A (en) Lamp for fluorescent tubes
KR200423399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JPH0722133A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326686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판스프링 구조
KR100319214B1 (ko) 스위치
US6559400B2 (en) Switch structure for car electrical part
KR100679276B1 (ko) 로킹타입의 푸쉬버턴스위치
JPH0637591Y2 (ja) ウエッジベース電球のソケット
KR20050005253A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200326687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접지단자구조
JP3606314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KR200386680Y1 (ko) 로킹타입의 푸쉬버턴스위치
KR200247001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케이스구조
JPS6328812Y2 (ko)
JP3224966B2 (ja) 電気的接続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