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338B1 - 푸시-록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338B1
KR101752338B1 KR1020150136678A KR20150136678A KR101752338B1 KR 101752338 B1 KR101752338 B1 KR 101752338B1 KR 1020150136678 A KR1020150136678 A KR 1020150136678A KR 20150136678 A KR20150136678 A KR 20150136678A KR 101752338 B1 KR101752338 B1 KR 10175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le
contact
delete delete
slop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305A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흥
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흥, 전영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흥
Publication of KR2016014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H01H13/56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the contact also returning by some external action, e.g. interlocking, protection,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manual release of a latch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누름 동작 시 누름 상태가 유지되고, 2차 누름 동작에 의해 누름 상태가 해제되는 푸시-록 스위치에 있어서, 터미널의 상측 또는 하측, 어느 방향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며, 더불어 단자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미널 개선 구조를 도입한 푸시-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개구부를 출입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누름유지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측 접점과 하측 접점을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푸시-록 스위치{PUSH-LOCK SWITCH}
본 발명은 1차 누름 동작 시 누름 상태가 유지되고, 2차 누름 동작에 의해 누름 상태가 해제되는 푸시-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의 상측 또는 하측, 어느 방향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며, 더불어 단자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미널 개선 구조를 도입한 푸시-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푸시-록(Push-Lock) 스위치는 사용자가 버튼부재를 가압하여 누르면 '누름'상태가 유지되고, 다시 한 번 더 버튼부재를 누르면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를 말한다. 이 푸시-록 스위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름'상태가 유지되는 스위치와 관련한 종래기술에는,
공개특허 제10-2007-0075503호 (2007년07월24일) [누름 버튼 잠금 스위치](종래기술1)가 있는데, 정상적으로 동작중인 전기기기를 작업자의 실수로 오프스위치(200-1) 누름 버튼을 조작하여 전기기기가 정지 되는 것 방지하여 국가기관 산업 등의 조업 중단으로 경제적 피해를 방지하고 그리고 반대로 작업자가 보수를 하기 위해서 정지시킨 전기기기가 작업자 본인 또는 다른 작업자의 실수로 온스위치(20-2) 누름 버튼을 작동 시켜 전기기기가 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종 발생되어 전기사고 및 기계적사고등 그런 유형의 인사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누름 버튼 잠금 스위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에서는 터미널 단자 구조에 대한 설명 및 도시가 생략되어 있어 터미널의 방향성 제거에 따른 조립성 향상이라는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10-0872333 (2008년12월01일) [이알유체 내장형 푸쉬 락 스위치](종래기술2)에는 자동차에 탑재된 전장품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는 푸쉬 락 스위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켰을 때에 스위치가 스스로 오프되는 방향으로 리턴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ER유체 내장형 푸쉬 락 스위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에 제시된 기술에서, 부하 구동용 고정접점(180)과 부하 구동용 가동접점(182), 그리고 ER유체 제어용 고정접점(190)과 ER유체 제어용 가동접점(192)에 부하가 연결된 구조는 단 방향, 즉 일정 위치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조립을 위해 스위치 및 소자의 배치를 일률적으로 해야 한다는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조립의 용이성 및 다양한 제품 규격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성이 제거된 터미널 구조의 필요성이 재고되고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도면 참조 부호는 각 종래기술의 도면 참조 부호임)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의 상측 또는 하측, 어느 방향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며(단자 삽입 방향성 제거), 더불어 단자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미널 개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자의 길이에 관계없이 단자와 터미널 간의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촉 불량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단자와 접점 간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억제하고 이를 통한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터미널에 단자가 쉽게 삽입 및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위치와 주변 장치(단자를 갖는)간의 착탈 용이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조립 용이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개구부를 출입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누름유지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측 접점과 하측 접점을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측 접점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고정된 몸체, 상기 몸체와 일체를 이루며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자가 삽입되는 수용부 및 단자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측 접점은 상기 상측 접점과 상기 몸체를 공유하고,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상기 상측 접점과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격부에 의해 1분체 및 제2분체로 양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체는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된 제1고정체 및 상기 몸체의 타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된 제2고정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체 및 제2고정체는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체는 상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부의 폭을 좁히도록 경사진 제1슬로프 및 제1슬로프에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부의 폭을 넓히도록 경사진 제2슬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슬로프 및 제2슬로프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체는 상기 제1슬로프의 길이가 상기 제2슬로프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누름유지수단은 버튼부재 일 측면에 구비된 캠부 및 상기 캠부를 따라 안내되는 캠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장착공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회동조립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공은 상부에 형성된 제1장착공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공보다 폭이 큰 제2장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조립커버는 상기 제1장착공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장착공에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부보다 폭이 큰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는 후면 상부에 제2몸체부의 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조립커버는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의 내측벽에 접촉하는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장착공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단부에 형성된 경사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
터미널의 상측 또는 하측, 어느 방향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며(단자 삽입 방향성 제거), 더불어 단자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자의 길이에 관계없이 단자와 터미널 간의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촉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단자와 접점 간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억제하고 이를 통한 내구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터미널에 단자가 쉽게 삽입 및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위치와 주변 장치(단자를 갖는)간의 착탈 용이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조립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도(터미널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상세도(회동조립커버 실시).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1차 누름 동작 시 누름 상태가 유지되고, 2차 누름 동작에 의해 누름 상태가 해제되는 푸시-록 스위치에 있어서, 터미널(50)의 상측 또는 하측, 어느 방향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며, 더불어 단자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미널(50) 개선 구조를 도입한 푸시-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이하 본 스위치(S))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상태 그대로 상, 하, 좌, 우를 나누고, 일반적인 상식 선에서 내측 및 외측을 구분한다. 또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다.
도 1에서는 본 스위치(S)의 외부 노출 구성인 하우징(10), 버튼부재(20) 및 터미널(5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고, 도 2에서는 본 스위치(S)의 내부 구성인 누름유지수단(30)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스위치(S)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상측에 구비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는 버튼부재(20)가 출입하는 구성으로, 이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버튼부재(20)의 상부를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본 스위치(S)를 누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에 구비된 탄성부재(2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개구부를 출입하는 구성이다.
또한 누름유지수단(30)은 버튼부재(20)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1차 누름 동작 시 누름 상태를 유지하도록 락(Lock)하고, 사용자의 2차 누름 동작 시 누름 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버튼부재(20)의 동작을 특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한 외력에 의해 하강하고,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부재(21)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한다. 이 때 상기한 누름유지수단(30)에 의해 누름 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의 2차 누름 동작 시 누름유지수단(30)에 의해 누름 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누름유지수단(30)은 버튼부재(20) 일 측면에 구비된 캠부(31) 및 캠부(31)를 따라 안내되는 캠스틱(33)을 포함하는데, 구체적인 구성 및 특징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터미널(50)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기인하는데,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터미널(50)은 하우징(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터미널(50)이 구비된 '일면'은 하우징(10)의 측면 중 한 면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터미널(5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다.
이하 도 3을 통해, 터미널(5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50)은 상측 접점(50A)과 하측 접점(5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터미널(50)의 구조는 단자의 조립 방향(상측, 하측)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촉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단자를 터미널(50)의 상측으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단자와 상측 접점(50A)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단자를 터미널(50)의 하측으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단자와 하측 접점(50B) 간의 접촉이 이루어져, 단자 삽입의 방향성을 제거하여 본 스위치(S)를 제품에 적용할 때,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상측 접점(50A) 및 하측 접점(50B)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접점(50A)은 몸체(51) 및 고정체(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51)는 하우징(10)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측 접점(50A)과 하우징(10) 간의 결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53)는 몸체(51)와 일체를 이루며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자의 삽입 및 단자와의 접촉을 제공하고, 이러한 고정체(5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가 삽입되는 수용부(533) 및 단자가 접촉하는 접촉부(534)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본 스위치(S) 특징인 고정체(53)가 몸체(51)와 일체를 이룬다는 점은, 일체로 이루어진 몸체(51)와 고정체(53)를 절곡함으로써 상측 접점(50A)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상측 접점(50A)의 내구성 보장 및 제조 용이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특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접점(50B)은 상측 접점(50A)과 상기 몸체(51)를 공유하고, 몸체(51)를 중심으로 상측 접점(50A)과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체(53)의 절곡 형성'을 제공하고, 또한 터미널(50)의 구조를 상하 대칭되게 하여, 상기한 '단자 삽입 방향성 제거'에 기여한다. 아울러 단자의 길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촉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는 고정체(53)에 형성된 이격부의 실시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격부는 고정체(53)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고정체(53)는 제1분체(53A) 및 제2분체(53B)로 양분(兩分)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분체(53A) 및 제2분체(53B)로 이루어진 고정체(53), 그리고 제1분체(53A) 및 제2분체(53B)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를 통해, 고정체(53)의 탄성을 약화시켜 보다 쉽게 단자가 수용부(533)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이격부를 통해 단자가 수용부(533)로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은 사용자로 하여금 단자 출입을 위한 외력을 보다 적게 가해도 된다는 것(조립 용이성)뿐만 아니라, 단자와 고정체(53) 간의 마찰을 줄여주어 단자 또는 상 하측 접점(50A)(50B)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53)는 몸체(51)의 일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된 제1고정체(531) 및 몸체(51)의 타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된 제2고정체(532)를 포함하되, 제1고정체(531) 및 제2고정체(532)는 상호 대칭을 이루며 수용부(5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기준으로, 몸체(51)의 일면은 상면이고, 몸체(51)의 타면은 하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대칭 구조를 갖는 고정체(53)는 역시 제작 용이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고정체(53)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설계의 단순화를 통한 제조 원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작 용이성을 위해 상측 접점(50A)과 하측 접점(50B)을 동일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바, 하측 접점(50B)의 고정체(53) 역시 상호 대칭을 이루는 제1고정체(531) 및 제2고정체(532)로 이루어지되, 이 경우에 제1고정체(531) 및 제2고정체(532)는 몸체(51)로부터 상 방향이 아닌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체(531)는 상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부(533)의 폭을 좁히도록 경사진 제1슬로프(531a) 및 제1슬로프(531a)에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 방향으로 갈수록 수용부(533)의 폭을 넓히도록 경사진 제2슬로프(531b)를 포함하고, 접촉부(534)는 제1슬로프(531a) 및 제2슬로프(531b)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슬로프(531a) 및 제2슬로프(531b)의 구조는 접촉부(534)가 수용부(533) 측으로 돌출되면서 접촉부(534)가 구비된 위치의 수용부(533)의 폭을 좁게 하여, 단자와 접촉부(534) 간의 접촉을 면 접촉 형태가 아닌 선 접촉 형태로 이루어지게끔 한다.
따라서 단자와 접촉부(534) 간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게 되는데, 단자와 접촉부(534) 간의 접촉 면적은 저항 값에 비례하기 때문에, 접촉부(534)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특히 열의 형태로 방출됨)을 줄여주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선 접촉 형태의 접촉부(534)는 단자와 고정체(53)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역시 조립 용이성(단자의 착탈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체(531)는 제1슬로프(531a)의 길이가 상기 제2슬로프(531b)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길이 특징(제1슬로프(531a) > 제2슬로프(531b))은 수용부(533) 내 단자 삽입 시 단자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533)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단자의 길이에 관계없이 단자 및 상 하측 접점(50A)(50B)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동조립커버(40)의 실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회동조립커버(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회동조립커버(40)는 하우징(10)에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우징(10)의 측면에 구비된 장착공(13)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회동조립커버(40)의 구비는 하우징(10)의 사출 시 절개를 통해 상부에 위치한 회동축이 되는 힌지부(45)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우징(10)과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힌지부(45)는 회동조립커버(40)가 쉽게 회동하게 하기 위해 회동조립커버(40)의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께차이로 인해 회동조립커버(40)는 힌지부(45)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일체형 힌지부(45)를 갖는 회동조립커버(40)를 통해 캠스틱(33) 삽입 작업을 위한 별도의 커버를 도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셈블리(Assembly)형태가 갖는 조립의 견고성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는 과제의 해결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부품 수 감소로 인한 제조단가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장착공(13)은 상부에 형성된 제1장착공(131) 및, 하부에 형성되고 제1장착공(131)보다 폭이 큰 제2장착공(132)으로 이루어지고, 회동조립커버(40)는 제1장착공(131)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41) 및 제2장착공(132)에 결합되며 제1몸체부(41)보다 폭이 큰 제2몸체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조립의 용이성'이라는 기술적 과제의 해결이 가능한데, 이를 설명하면, 먼저 제1장착공(131) 및 제1몸체부(41)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좁은 폭을 갖는 장착공(13) 및 회동조립커버(40)의 도입)에는 자동화기계를 통해 캠스틱(33)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캠스틱(33)을 파지하는 집게손이 장착공(13)에 걸려 캠스틱(33)의 삽입이 어려워 결국 수작업을 선택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는 제2장착공(132) 및 제2몸체부(42)로만 구성하는 경우(넓은 폭을 갖는 장착공(13) 및 회동조립커버(40)의 도입)에는 회동동작(또는 힌지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사출 규격에 따라 결합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정위치 상태로 보정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회동동작을 위해 상측은 폭이 좁은 제1장착공(131) 및 제1몸체부(41)로 구성하고, 하측은 폭이 넓은 제2장착공(132) 및 제2몸체부(42)로 구성한 상기 구조는 상기한 문제점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조립커버(40)의 제2몸체부(42)는 후면 상부에 제2몸체부(42)의 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4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421)는 회동조립커버(40)와 장착공(13) 간의 결합 시 둘 간의 어긋난 결합위치를 정위치로 보정하여 결합 안정성 및 작업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즉, 경사부(421)는 회동조립커버(40)의 회동 폭이 작아 실제 결합위치보다 짧은 위치에 제2몸체부(42)가 안착되는 경우에 이를 보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한 상황과 같이 사출 규격의 오차에 의해 실제 결합 위치보다 짧은 위치에 제2몸체부(42)가 안착되는 경우, 장착공(13)의 벽면(장착공(13)과 하우징(10)의 경계)과 경사부(421)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이 후 회동조립커버(40)가 정 위치로 미끄러져 이동하여 결합 위치가 보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조립커버(40)는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13)의 내측벽에 접촉하는 끼움돌기(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돌기(43)는 하우징(10)과 회동조립커버(4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구성으로, 캠스틱(33) 삽입 후 장착공(13) 및 회동조립커버(40)의 결합 시 끼움돌기(43)가 형태가 변형 되면서(뭉개지면서) 장착공(13)과 회동조립커버(40)가 억지 끼움 식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하우징(10)과 회동조립커버(4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끼움돌기(43)는 제1몸체부(41), 제2몸체부(42)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데, 도 4 [B]에 도시된 실시에서 제1몸체부(41) 및 제2몸체부(42) 모두에 끼움돌기(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몸체부(41)에 형성된 끼움돌기(43)를 제1끼움돌기(43A)로, 제2몸체부(42)에 형성된 끼움돌기(43)를 제2끼움돌기(43B)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41)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43A)는 제1몸체부(41)(또는 제1장착공(131))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끼움돌기(43A)가 큰 폭을 갖는 특징을 통해 상기한 '끼움돌기(43)의 형태 변형을 통한 억지끼움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42)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43B)는 제2몸체부(42)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끼움돌기(43B)(43B)가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특징을 통해 '끼움돌기(43)의 형태 변형을 통한 억지끼움결합'도 이루어지지지만, 보다 주요한 특성으로는 제2끼움돌기(43B)가 '후크'로 작용하여 제2몸체부(42)가 끼움결합이 된 후 제2끼움돌기(43B)에 의해 개방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또한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43)는 장착공(13)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단부에 형성된 경사접촉부(534)(43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접촉부(534)(431)를 통해 상기한 '끼움돌기(43)의 형태 변형을 통한 억지끼움결합'(제1끼움돌기(43A)) 또는 '후크로 작용'(제2끼움돌기(43B))이 이루어질 때, 경사접촉부(534)(431)와 장착공(13)의 내측벽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제1몸체부(41) 및 제2몸체부(42)가 경사접촉부(534)(431)에 의해 장착공(13)의 내측벽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억지끼움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실시자에게 '결합 용이성'을 제공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인 캠스틱(33) 및 캠부(31)를 통한 스위치 운동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이를 설명하면, 도 5 [A]에 도시된 상태는 스위치를 누르지 않은 기본 상태이다.
이 후 도 5 [B] 및 도 5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를 가압하여 스위치를 '누름'상태로 전환하면 캠스틱(33)의 후크부(330)(또는 단부)가 '♡'유사 형상을 갖는 캠부(3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고(도 5 [B] 참조), 가압을 해제하면 버튼부재(20)가 탄성부재(21)에 의해 상승하는데,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스틱(33)의 후크부(330)가 캠부(31)의 안착부(310)에 걸려 버튼부재(20)의 상승을 제한하여 '누름'상태가 유지된다. (도 5 [C] 참조)
이 상태에서 버튼부재(20)를 재 가압(2차 누름 동작)하면 캠스틱(33)의 후크부(330)가 캠부(31)의 안착부(310)에서 이탈하고 다시 캠부(31)의 타 방향 외면을 따라 이동하여 원위치 되고, 버튼부재(20)는 '개방'상태로 전환된다.(도 5 [D], [E] 참조)
정리하면 캠스틱(33)은 캠부(31)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방향 회전을 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운동 구조는 일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캠부(31)의 형상에 따라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본 스위치
10: 하우징 13: 장착공
131: 제1장착공 132: 제2장착공
133: 내측벽(장착공)
20: 버튼부재 21: 탄성부재
30: 누름유지수단 31: 캠부
33: 캠스틱
40: 회동커버 41: 제1몸체부
42: 제2몸체부 421: 경사부
43: 끼움돌기 431: 경사접촉부
45: 힌지부

Claims (13)

  1. 개구부(11)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에 구비된 탄성부재(2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개구부(11)를 출입하는 버튼부재(20);
    상기 버튼부재(20)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누름유지수단(30); 및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측 접점(50A)과 하측 접점(50B)을 포함하는 터미널(50);
    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접점(50A)은,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 고정된 몸체(51), 그리고 상기 몸체(51)와 일체를 이루며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자가 삽입되는 수용부(533) 및 단자가 접촉하는 접촉부(534)를 구비한 고정체(53)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접점(50B)은 상기 상측 접점(50A)과 상기 몸체(51)를 공유하고, 상기 몸체(51)를 중심으로 상기 상측 접점(50A)과 대칭을 이루고,
    상기 고정체(53)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이격부에 의해 1분체(53A) 및 제2분체(53B)로 양분되고,
    상기 고정체(53)는, 상기 몸체(51)의 일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된 제1고정체(531) 및, 상기 몸체(51)의 타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된 제2고정체(5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체(531) 및 제2고정체(532)는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533)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체(531)는, 상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부(533)의 폭을 좁히도록 경사진 제1슬로프(531a) 및, 상기 제1슬로프(531a)에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부(533)의 폭을 넓히도록 경사진 제2슬로프(531b)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534)는 상기 제1슬로프(531a) 및 제2슬로프(531b)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체(531)는 상기 제1슬로프(531a)의 길이가 상기 제2슬로프(531b)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유지수단(30)은, 상기 버튼부재(20)의 일 측면에 구비된 캠부(31) 및, 상기 캠부(31)를 따라 안내되는 캠스틱(33)을 포함하고,
    상기 캠스틱(33)은 후크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31)는 '♡' 형상으로 상기 후크부(330)가 걸리는 안착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에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구비된 장착공(13)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회동조립커버(4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공(13)은 상부에 형성된 제1장착공(131)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공(131)보다 폭이 큰 제2장착공(1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조립커버(40)는, 상기 제1장착공(131)에 결합되는 제1몸체부(41) 및 상기 제2장착공(132)에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부(41)보다 폭이 큰 제2몸체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부(42)는 후면 상부에 제2몸체부(42)의 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421)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조립커버(40)는,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13)의 내측벽에 접촉하는 끼움돌기(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43)는 상기 회동조립커버(40)가 상기 장착공(13)에 결합될 때 형태가 변경되면서 억지끼움 결합을 제공하고,
    상기 끼움돌기(43)는 상기 장착공(13)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단부에 형성된 경사접촉부(431)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43)는 상기 제1몸체부(41)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43A) 및 상기 제2몸체부(42)에 형성된 제2끼움돌기(4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끼움돌기(43B)는 상기 제2몸체부(42)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36678A 2015-05-27 2015-09-25 푸시-록 스위치 KR101752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4263 2015-05-27
KR1020150074263 2015-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05A KR20160140305A (ko) 2016-12-07
KR101752338B1 true KR101752338B1 (ko) 2017-07-26

Family

ID=5757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678A KR101752338B1 (ko) 2015-05-27 2015-09-25 푸시-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17B1 (ko) * 2018-02-13 2019-04-10 김성은 푸시 버튼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98Y1 (ko) * 2002-12-30 2003-03-29 유철상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KR100940556B1 (ko) * 2008-10-14 2010-02-03 한일이화주식회사 웨빙 가이드 커버 일체형 리어 패키지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298Y1 (ko) * 2002-12-30 2003-03-29 유철상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KR100940556B1 (ko) * 2008-10-14 2010-02-03 한일이화주식회사 웨빙 가이드 커버 일체형 리어 패키지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05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697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4579083B2 (ja)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US9728896B2 (en)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ing assurance member
JP6335805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US9478911B2 (en) Locking mechanism for plug-in connectors
CN109787035B (zh) 连接器
JP4579082B2 (ja)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US9972936B2 (en) Connector member and connector
CN108063065B (zh) 开关装置的锁扣结构
JP200802769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レバー製造方法
US9065211B2 (en) Lever-type connector
KR101752338B1 (ko) 푸시-록 스위치
EP2889886B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9787015B (zh) 连接器
JPH0818093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765820B1 (ko) 회동커버를 갖는 푸시-록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37904A1 (en) Electrical plug connection
US5336861A (en) Switch with removable button frame
CN109074982B (zh) 开关及键盘
EP325288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lider
EP2911250B1 (en) Enclosur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 element
JP3835192B2 (ja) リード線接続構造
EP2919253B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2714578B (zh) 理线总成
CN109038053B (zh) 具有锁定部件的插拔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