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017B1 - 푸시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017B1
KR101939017B1 KR1020180017531A KR20180017531A KR101939017B1 KR 101939017 B1 KR101939017 B1 KR 101939017B1 KR 1020180017531 A KR1020180017531 A KR 1020180017531A KR 20180017531 A KR20180017531 A KR 20180017531A KR 101939017 B1 KR101939017 B1 KR 101939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terminal
button
terminal
suppor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18001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푸시 버튼 스위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는, 버튼의 운동에 의하여 누름부재가 함께 운동하면서 스위치부의 가동단자를 시소 형태로 운동시킨다. 그리고, 시소 형태로 운동한 가동단자는 스위치부의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버튼과 가동단자 및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본체에 설치된 제1고정단자와 제2고정단자를 상호 접속시키고, 비접속시킨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 {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시킨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란 전기회로를 개폐(開閉)하거나, 전기회로의 접속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이며, 끈을 당겨서 조작하는 풀(Pull) 스위치, 노브(Knob)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서 조작하는 텀블러(Tumbler) 스위치 및 버튼은 눌러서 조작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등이 있다.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직선운동하는 버튼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많은 탄성부재 등과 같은 부품이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푸시 버튼 스위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1322호(2015년 04월 14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호 소정 간격을 가지며 어느 하나는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측과 접속되는 제1고정단자와 제2고정단자; 일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를 출입하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된 버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1고정단자측 및 상기 제2고정단자측에 각각 위치되고 중앙부측은 상기 제1고정단자에 접촉 지지되어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시소 형태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고정단자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상기 제1고정단자와 상기 제2고정단자를 접속 또는 비접속시키는 가동단자를 가지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고정단자에 상기 가동단자의 타단부측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2고정단자에 상기 가동단자의 타단부측이 비접촉되게 하고, 상기 제2고정단자에 상기 가동단자의 타단부측이 비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2고정단자에 상기 가동단자의 타단부측이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는, 버튼의 운동에 의하여 누름부재가 함께 운동하면서 스위치부의 가동단자를 시소 형태로 운동시킨다. 그리고, 시소 형태로 운동한 가동단자는 스위치부의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버튼과 가동단자 및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본체에 설치된 제1고정단자와 제2고정단자를 상호 접속시키고, 비접속시킨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본체와 스위치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버튼과 제1탄성부재와 누름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개략 정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본체와 스위치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는 본체(110), 고정단자(120), 버튼(130) 및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성 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상측 방향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이라 하고, 하측 방향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본체(110)는 상호 결합된 제1본체(111)와 제2본체(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본체(111)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본체(115)는 제1본체(1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형태로 제1본체(11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단자(120)는 제1본체(111)의 내부에 설치 고정될 수 있으며,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단자(121)는 제1본체(111)의 내부 우측 부위에 설치 고정될 수 있고, 제2고정단자(125)는 제1본체(111)의 내부 좌측 부위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는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대향할 수 있으며, 후술할 상기 스위치부의 가동단자(150)를 매개로 상호 접속 또는 비접속될 수 있다.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 중, 어느 하나는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사용처인 부하측과 접속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동단자(150)를 매개로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가 상호 접속되면, 외부의 전원이 부하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가 상호 비접속되면, 외부의 전원이 부하측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제1고정단자(121)는 제1본체(111)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면서 고정 설치된 제1고정편(122)과 제1고정편(122)에서 벤딩 형성된 제1접촉편(1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단자(125)는 제1본체(111)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면서 고정 설치된 제2고정편(126)과 제2고정편(126)에서 벤딩 형성된 제2접촉편(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촉편(123)에는 가동단자(150)가 항상 접촉되고, 제2접촉편(127)에는 가동단자(150)가 접촉 또는 비접촉된다. 즉, 가동단자(150)는 제1고정단자(121)와는 항상 접촉하고, 제2고정단자(125)와는 접촉 또는 비접촉한다.
버튼(13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타원형 또는 오면체 이상의 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부위는 제1본체(111)와 제2본체(115)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측 부위는 제2본체(115)를 관통하여 제2본체(115)의 상부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버튼(130)은 상하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141)(도 4 참조)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즉, 버튼(130)은 본체(110)를 출입하는 형태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탄성부재(141)에 의하여 제2본체(115)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41)의 하측 부위는 제1본체(115)에 지지될 수 있고, 상측 부위는 버튼(130)측에 지지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탄성부재(141)의 상측 부위는 버튼(130)에 결합되어 버튼(130)과 함께 운동하는 후술할 누름부재(160)의 하측 부위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130)의 하측 부위에는 제1탄성부재(141)의 상측 부위가 삽입 지지되는 제1지지공(131)(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공(131)은 버튼(130)의 운동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인 버튼(1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탄성부재(141)는 버튼(130)을 제2본체(115)의 상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본체(115)에는 버튼(130)이 관통하는 관통공(115a)이 형성될 수 있고, 버튼(130)의 하측 부위 외면에는 단면(段面)(133)이 형성될 수 있다. 단면(133)은 관통공(115a)과 접하는 제2본체(115)의 부위에 걸려서, 버튼(130)이 관통공(115a)을 통하여 제2본체(115)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가동단자(150), 누름부재(160), 지지부재(170) 및 제2탄성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15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동단자(150)의 우측 부위는 제1고정단자(121)측에 위치될 수 있고,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는 제2고정단자(125)의 제2접촉편(127)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단자(150)의 중앙부측 하면은 제1접촉편(123)의 단부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가동단자(150)는 제1접촉편(123)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가동단자(150)는, 버튼(130)이 상하로 직선운동함에 따라, 시소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가동단자(150)의 중앙부측 하면에는 제1접촉편(123)의 단부측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로가 상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가동단자(150)가 시소 형태로 운동함에 따라,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가 중앙부측 보다 상측에 위치(도 8d 참조)되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제2고정단자(125)의 제2접촉편(127)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가 중앙부측 보다 하측에 위치(도 8a 참조)되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제2고정단자(125)의 제2접촉편(127)과 이격되어 비접촉한다.
가동단자(150)는 중앙부측이 제1고정단자(121)의 제1접촉편(123)에 항상 접촉되어 있으므로,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제2접촉편(127)에 접촉되면,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는 상호 접속된다. 그리고,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제2접촉편(127)에 비접촉되면,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는 상호 비접속된다.
가동단자(150)는, 버튼(130)이 운동함에 따라, 시소 형태로 운동한다. 그리하여,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제2고정단자(125)와 접촉된 상태에서 버튼(130)을 하측으로 누르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제2고정단자(125)와 비접촉한다. 그리고,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제2고정단자(125)와 비접촉된 상태에서 버튼(130)을 하측으로 누르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제2고정단자(125)와 접촉한다.
누름부재(160)는 버튼(130)에 지지될 수 있으며, 버튼(130)과 함께 운동하면서 가동단자(150)를 시소 형태로 운동시킬 수 있다. 누름부재(160)는 상단부측은 버튼(1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하측 부위는 가동단자(150)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160)는 버튼(130)이 운동함에 따라 버튼(130)과 함께 운동할 수 있으며, 버튼(130)에 지지된 상단부측을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누름부재(160)는 버튼(130)이 가동단자(150)측으로 운동함에 따라 하측 부위가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 또는 좌단부측을 하측으로 눌러서 가동단자(150)를 시소 형태로 운동시킬 수 있다. 누름부재(160)의 하측 부위 우단부측 및 좌단부측이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 및 좌단부측을 각각 하측으로 누른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제2고정단자(125)에 비접촉된 상태에서 버튼(130)을 하측으로 누르면 누름부재(160)의 하측 부위 우단부측이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을 하측으로 누른다. 그러면, 가동단자(150)가 시소 형태로 운동하므로,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제2고정단자(125)에 접촉된다. 그리고,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제2고정단자(125)에 접촉된 상태에서 버튼(130)을 하측으로 누르면 누름부재(160)의 하측 부위 좌단부측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을 하측으로 누른다. 그러면, 가동단자(150)가 시소 형태로 운동하므로,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중앙부측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이 제2고정단자(125)에 비접촉된다.
누름부재(160)는 대략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 위치된 꼭지점측이 버튼(1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버튼(130)의 상측 부위에는 누름부재(160)의 상단부측이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지지공(135)에 형성될 수 있고, 누름부재(160)의 상단부측에는 제2지지공(135)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바(161)가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공(135)은 버튼(130)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인 버튼(130)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160)의 우측 꼭지점측 및 좌측 꼭지점측은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 및 좌단부측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누름부재(160)의 우측 꼭지점측 및 좌측 꼭지점측은, 버튼(130)이 운동함에 따라,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 및 좌단부측을 각각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누름부재(160)에 의하여 가동단자(150)가 안정되게 하측으로 눌릴 수 있도록, 누름부재(160)의 우측 꼭지점과 좌측 꼭지점 사이인 하변(下邊)의 양단부에는 단면(段面)(163)이 각각 형성되고,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 측면 및 좌단부측 측면에는 단면(163)에 의하여 하측으로 눌리는 눌림편(15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눌림편(153) 사이의 간격(D)(도 6 참조)은 누름부재(160)의 하변(下邊)의 길이(L)(도 6 참조) 보다 넓을 수 있고, 누름부재(160)는 눌림편 (153)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그리고, 누름부재(160)의 하변(下邊) 양단부에는 형성된 단면(段面)(163)은 각진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70)는 상단부측은 후술할 제2탄성부재(180)를 매개로 제2본체(115)측에 지지될 수 있고, 하단부는 가동단자(15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70)는 제2본체(115)측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에서 좌단부측 방향 및 좌단부측에서 우단부측 방향을 따라 진자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누름부재(160)에 의하여 가동단자(150)가 시소 형태로 운동하므로, 가동단자(150)는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우측 부위의 높이와 좌측 부위의 높이가 상이하게 된다. 그러면, 누름부재(160)는 시소 형태로 운동하여 경사진 가동단자(15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동단자(150)가 시소 형태로 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70)는 제2탄성부재(180)를 매개로 제2본체(115)측에 지지된다.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부측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2본체(115)에는 지지관(117)(도 4 참조)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본체(115)와 접하는 지지관(117)의 내경은 제2탄성부재(18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부측이 삽입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에서 좌단부측을 향하는 지지관(117)의 내경은 가동단자(150)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게 형성(도 8a 참조)될 수 있다. 그러면, 제2탄성부재(180)는 지지관(117)에 지지된 상단부측을 기준으로,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에서 좌단부측을 향하는 지지관(117)의 내경을 따라 진자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탄성부재(180)의 하단부측에 지지된 지지부재(170)도 제2탄성부재(180)의 상단부측을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지지부재(170)는, 누름부재(160)에 의하여 가동단자(150)가 시소 형태로 운동함에 따라, 가동단자(15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가동단자(150)가 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지지부재(170)는 지지관(117)의 내부 형상으로 인하여 진자 형태로 운동할 수 있고, 제2탄성부재(180)에 의하여 가동단자(150)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그러므로, 가동단자(150)가 시소 형태로 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170)는 가동단자(150)의 상면과 접촉하여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에서 우단부측 및 우단부측에서 좌단부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가동단자(15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지지부재(170)의 하단부가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 및 좌단부측을 안정되게 하측으로 눌러서 지지할 수 있도록, 가동단자(150)의 상면 우단부측 및 좌단부측에는 걸림턱(155)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130)과 제1탄성부재(141)와 누름부재(16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버튼과 제1탄성부재와 누름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30)에 형성된 제1지지공(131)과 제2지지공(135)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160)의 지지바(161)의 단부측에는 지지바(161)가 제2지지공(135)에 삽입되었을 때, 제1지지공(131)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돌기(16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돌기(161a)로 인하여 누름부재(160)가 버튼(1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지지공(131)에 삽입된 지지돌기(161a)의 하면은 제1탄성부재(141)의 상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탄성부재(141)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지지돌기(161a)의 하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161a)의 하면은 제1탄성부재(141)와 가까워질수록 점점 크기가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161a)은 하면은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지지돌기(161a)는, 제1탄성부재(141)로 인하여, 하면 중앙부가 항상 가상의 수직선(ℓ-ℓ) 상에 위치되려고 하므로, 누름부재(160)가 상단부측을 기준으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누름부재(160)가 가동단자(150)의 눌림편(153)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 누름부재(160)는 제1탄성부재(141)에 의하여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도 8a에 도시된 상태는, 버튼(130)은 제1탄성부재(141)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해 있고, 누름부재(160)는 제1탄성부재(141)에 의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단자(150)는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좌측 부위는 하측에 위치되고, 우측 부위는 상측에 위치된 상태이다.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가 하측에 위치되므로, 지지부재(170)는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로 슬라이딩되어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를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그러면, 제2고정단자(125)로부터 가동단자(150)가 이격되므로, 제2고정단자(125)와 가동단자(150)는 비접속된다. 따라서,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는 비접속된다.
도 8a에 도시된 상태에서, 버튼(130)에 외력을 가하여 버튼(130)을 하측으로 하측으로 누르면, 버튼(130)에 의하여 누름부재(160)도 하측으로 운동한다. 그러면, 누름부재(160)의 하측 부위 우단부측에 형성된 단면(163)이 가동단자(150)의 우단부측 측면에 형성된 눌림편(153)(도 6 참조)을 하측으로 누르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150)의 우측 부위가 하측으로 운동한다. 그러면, 가동단자(150)는 대략 수평 상태가 된다. 이때, 누름부재(160)는, 상단부측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상태에서, 버튼(130)을 하측으로 더 누르면, 누름부재(160)도 하측으로 더 운동하므로, 가동단자(150)의 우측 부위가 중앙부측 보다 더 하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70)가 가동단자(150)의 우측 부위로 슬라이딩되면서 가동단자(150)의 우측 부위를 하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150)의 우측 부위가 지지부재(170)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되면,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는 상측에 위치되어 제2고정단자(125)와 접촉된다. 그러면,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는 가동단자(150)를 매개로 상호 접속된다.
그후, 버튼(13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30)은 제1탄성부재(141)에 의하여 상승하며, 버튼(130)에 의하여 누름부재(160)도 상승한다. 이때, 누름부재(160)의 하변의 길이(L)(도 6 참조) 보다, 가동단자(150)의 눌림편(153) 사이의 간격(D)(도 6 참조)이 넓으므로, 누름부재(160)는 눌림편(153) 사이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상승한다.
누름부재(160)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누름부재(160)가 상승할 때, 누름부재(160)의 경사면이 눌림편(153)과 접촉하므로, 누름부재(160)가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160)는 제1탄성부재(141)에 의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도 8d에 도시된 상태에서, 버튼(130)에 외력을 가하여 버튼(130)을 하측으로 누르면, 버튼(130)에 의하여 누름부재(160)도 하측으로 운동한다. 그러면, 누름부재(160)의 하측 부위 좌단부측에 형성된 단면(163)이 가동단자(150)의 좌단부측 측면에 형성된 눌림편(153)을 하측으로 누르므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가 하측으로 운동한다. 이때, 누름부재(160)는, 상단부측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도 8e에 도시된 상태에서, 버튼(130)을 하측으로 더 누르면, 누름부재(160)도 하측으로 더 운동하므로,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가 중앙부측 보다 더 하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70)가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로 슬라이딩되면서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를 하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가 지지부재(170)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되면, 가동단자(150)의 좌측 부위는 제2고정단자(125)와 이격된다. 그러면,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는 상호 비접속된다.
그후, 버튼(13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버튼(130)은 제1탄성부재(141)에 의하여 상승하며, 버튼(130)에 의하여 누름부재(160)도 상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는, 버튼(130)의 운동에 의하여 누름부재(160)가 함께 운동하면서 가동단자(150)를 시소 형태로 운동시킨다. 그리고, 시소 형태로 운동한 가동단자(150)는 지지부재(170)에 지지되어, 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버튼(130)과 가동단자(150) 및 지지부재(170)를 이용하여 제1고정단자(121)와 제2고정단자(125)를 상호 접속시키고, 비접속시키므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다. 그러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20: 고정단자
130: 버튼
141: 제1탄성부재
150: 가동단자
160: 누름부재
170: 지지부재
180: 제2탄성부재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호 소정 간격을 가지며 어느 하나는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측과 접속되는 제1고정단자와 제2고정단자;
    일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를 출입하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된 버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1고정단자측 및 상기 제2고정단자측에 각각 위치되고 중앙부측은 상기 제1고정단자에 접촉 지지되어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시소 형태로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고정단자에 접촉 또는 비접촉되면서 상기 제1고정단자와 상기 제2고정단자를 접속 또는 비접속시키는 가동단자 및 일측은 상기 버튼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단자측에 위치되며, 상기 버튼과 함께 운동하고, 상기 버튼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를 가지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단자에 상기 가동단자의 타단부측이 비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누름부재의 타측 일단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일단부를 누르고, 상기 제2고정단자에 상기 가동단자의 타단부측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누름부재의 타측 타단부가 상기 가동단자의 타단부를 눌러서 상기 가동단자를 시소 형태로 운동시키며,
    상기 누름부재는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꼭지점측이 상기 버튼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꼭지점측 및 또 다른 하나의 꼭지점측이 상기 가동단자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가동단자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을 각각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다른 하나의 꼭지점과 상기 또 다른 하나의 꼭지점 사이의 변(邊)의 양단부에는 단면(段面)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동단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 측면 및 타단부 측면에는 상기 누름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기 단면에 접촉되어 눌리는 눌림편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편 사이의 간격은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다른 하나의 꼭지점과 상기 또 다른 하나의 꼭지점 사이의 변의 길이 보다 넓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눌림편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는 상기 버튼의 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버튼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제1지지공 및 제2 지지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연통되고,
    일측은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1지지공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제2지지공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단부측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바가 상기 제2지지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지지공에 삽입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돌기의 부위는 제1탄성부재와 가까워질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일측은 상기 본체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가동단자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측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단자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일단부측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동단자가 시소 형태로 운동하면 상기 가동단자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가동단자가 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측이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본체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가동단자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동단자측으로 돌출된 지지관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단자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지지관의 내경은 상기 가동단자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접하는 상기 지지관의 부위에는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측이 지지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측 부위는 상기 가동단자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을 향하는 상기 지지관의 내경을 따라 진자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17531A 2018-02-13 2018-02-13 푸시 버튼 스위치 KR10193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531A KR101939017B1 (ko) 2018-02-13 2018-02-13 푸시 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531A KR101939017B1 (ko) 2018-02-13 2018-02-13 푸시 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17B1 true KR101939017B1 (ko) 2019-04-10

Family

ID=6616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531A KR101939017B1 (ko) 2018-02-13 2018-02-13 푸시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557A (zh) * 2021-08-09 2021-11-05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按钮开关
CN113823520A (zh) * 2021-10-11 2021-12-21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开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32Y1 (ko) * 2002-09-03 2003-01-14 충-모우 유 과부하가 방지되는 스위치 구조
KR100829906B1 (ko) * 2007-01-24 2008-05-1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JP3175268U (ja) * 2012-02-16 2012-04-26 喬日電業股▲ふん▼有限公司 電力を消費しない表示装置を備える電源スイッチ
KR20160140305A (ko) * 2015-05-27 2016-12-07 전영환 푸시-록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32Y1 (ko) * 2002-09-03 2003-01-14 충-모우 유 과부하가 방지되는 스위치 구조
KR100829906B1 (ko) * 2007-01-24 2008-05-1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JP3175268U (ja) * 2012-02-16 2012-04-26 喬日電業股▲ふん▼有限公司 電力を消費しない表示装置を備える電源スイッチ
KR20160140305A (ko) * 2015-05-27 2016-12-07 전영환 푸시-록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557A (zh) * 2021-08-09 2021-11-05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按钮开关
CN113611557B (zh) * 2021-08-09 2024-04-26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按钮开关
CN113823520A (zh) * 2021-10-11 2021-12-21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开关
CN113823520B (zh) * 2021-10-11 2024-05-24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5497B1 (en) Switch
KR101939017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829906B1 (ko) 스위치
KR970003318A (ko) 다양한 전기 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KR101641598B1 (ko) 스위치
KR101517386B1 (ko) 스위치
KR101700690B1 (ko) 가압 스위치
EP1584096B1 (en) Push-button switch
US5657861A (en) Slide switch
US2870273A (en) Electrical switching mechanism
KR20120118402A (ko) 은 접점이 없는 고출력 스위치
US6504122B2 (en) Control device for a push-button type switch
US3349202A (en) Snap-action electric switches
US20020046933A1 (en) Interlocking type multi-push-switch device
US6797904B1 (en) Microswitch
KR101800731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GB2265255A (en) Electrical switch.
KR200461085Y1 (ko) 로커 스위치
JP2002358850A (ja) スイッチ装置
CA3131458C (en) Speed-control switch
TW420812B (en) Pushbutton switch
KR200246720Y1 (ko) 형광등용 소켓의 단자판 이동장치
JP3198871U (ja) 対向接点スイッチ
CN219738791U (zh) 一种双边自锁按钮开关
KR200236456Y1 (ko) 누름버튼식 스위치의 제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