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386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386B1
KR101517386B1 KR1020130148524A KR20130148524A KR101517386B1 KR 101517386 B1 KR101517386 B1 KR 101517386B1 KR 1020130148524 A KR1020130148524 A KR 1020130148524A KR 20130148524 A KR20130148524 A KR 20130148524A KR 101517386 B1 KR101517386 B1 KR 101517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astic
switch
connection lin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희
Original Assignee
이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희 filed Critical 이숙희
Priority to KR1020130148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2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8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 H01H23/3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with stable centre positions and one or both end positions unstable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내부 부품이 간소화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되 전원 라인의 온/오프 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노출된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는 가동탄성단자; 상기 가동탄성단자의 하부에 접촉되어 시소운동을 지지하는 시소지지부와, 상기 시소지지부로부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일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에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촉면부가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단자; 상기 베이스단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전환단자;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단자 및 상기 전환단자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압지지돌기가 구비된 상부덮개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부품이 간소화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되 전원 라인의 온/오프 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전기회로를 개폐 또는 전환하는 기구로, 끈을 당겨서 조작하는 풀(pull) 스위치, 코드 사이에 들어가는 코드 스위치, 문의 개폐에 사용되는 도어 스위치, 손잡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여서 조작하는 텀블러(tumbler) 스위치, 손잡이를 돌리는 로터리 스위치 및 버튼을 눌러 조작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위치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제1고정단자(13a)와 제2고정단자(13b)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고정단자(13a)의 일단부에는 가동단자(15)의 중심측이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단자(15)의 상면에는 플린저(18)가 접촉되며, 상기 플린저(18)가 상기 가동단자(15)의 상면을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단자(15)가 시소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단자(13a) 및 상기 제2고정단자(13b)는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과 각각 접속되는데, 상기 가동단자(15)가 상기 제2고정단자(13b)에 접촉/비접촉됨에 따라 전원측과 부하측 연결라인이 상호 접속되거나 단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린저(18)는 케이스(11) 상측으로 노출된 노브(17)의 내측에 삽입되며 코일스프링(19)에 의해 탄발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브(17)를 조작하여 플린저(18)를 유동시킴에 따라 스위치의 온/오프를 전환하게 된다. 상세히, 노브(17)의 좌단부측을 누르면 플린저(18)가 가동단자(15)의 우단부측을 하측으로 눌러 가동단자(15)와 제2고정단자(13b)가 접촉되며, 노브(17)의 우단부측을 누르면 플린저(18)가 가동단자(15)의 좌단부측을 하측으로 눌러 가동단자(15)와 제2고정단자(13b)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각 삽입홀은 각 고정단자와 각 고정단자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편 사이 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홀로 삽입된 각 연결라인은 상기 제1고정단자(13a)와 탄성편 사이, 그리고 상기 제2고정단자(13b)와 탄성편 사이에 물려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연결라인을 각 고정단자측으로 가압하여 연결라인과 각 고정단자의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탄성편과 상기 고정단자 사이로 연결라인이 삽입될 때, 상기 탄성편과 상기 고정단자가 상기 연결라인의 가압 마찰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 상기 탄성편 및 상기 고정단자 사이로 정확하게 끼워지지 못하고 불완전하게 접속되는 경우에 많이 발생했다.
이에, 각 고정단자의 상단부를 연장함으로써 상기 탄성편의 상측을 둘러싸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닿아 가압될 수 있는 지지부를 형성하여, 상부 케이스를 덮을 때 고정단자와 탄성편이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로 인해, 고정단자는 부피가 크고 복잡한 형태로 형성될 수 밖에 없었고 투입되는 원자재가 증가됨에 따라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조립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299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이 간소화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생산경제성이 향상되되 전원 라인의 온/오프 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노출된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는 가동탄성단자; 상기 가동탄성단자의 하부에 접촉되어 시소운동을 지지하는 시소지지부와, 상기 시소지지부로부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일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에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촉면부가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단자; 상기 베이스단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전환단자;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단자 및 상기 전환단자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압지지돌기가 구비된 상부덮개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각 삽입홀의 측부에는 삽입된 각 연결라인의 단부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하는 탄성접촉편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덮개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 결합시 상기 각 탄성접촉편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연장 돌출된 고정지지돌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지지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환단자의 상측을 가압 고정하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연결라인의 단부를 구속하는 스토퍼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탄성단자는 상기 시소지지부에 접촉되어 통전되며, 상기 시소지지부의 상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시소홈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단자는 2단으로 분할되어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제1전환단자와 제2전환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부의 상하 이동시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측에 돌설된 접속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동탄성단자는 상기 시소지지부의 상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시소홈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측이 상기 시소홈부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도록 절곡된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상부덮개부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되, 하측에 돌설된 가동돌기에 상기 탄성부의 상향 절곡된 단부가 삽입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상부덮개부는 하측으로 돌출된 가압지지돌기를 통해 베이스단자 및 전환단자를 가압 고정하므로, 각 단자는 상단에 별도의 지지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연결라인 삽입시 마찰로 인한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소형화를 통한 생산단가 절감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상부덮개부는 케이스부 결합시 고정지지돌기를 통해 각 탄성접촉편의 상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각 탄성접촉편은 단자의 내측에 지지되지 않더라도 연결라인 삽입시 마찰로 인한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단자의 단순화로 생산단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립으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가압지지돌기는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면부를 통해 삽입홀에 삽입된 연결라인의 단부를 구속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결라인의 삽입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연결라인의 과도한 삽입에 따른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가동탄성단자는 단부가 상기 가동돌기의 구속홈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시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으며 탄성부의 탄성력이 일부 저하되더라도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오작동 없이 조작노브의 조작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어 조작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케이스부의 내측에 각각의 부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케이스부의 내측에 각각의 부품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상부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상부덮개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상부덮개부가 케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된 부품을 가압 고정하는 모습을 점선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상부덮개부가 케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된 부품을 가압 고정하는 모습을 점선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상부덮개부가 케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된 부품을 가압 고정하는 모습을 점선으로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00)는 케이스부(20), 가동탄성단자(50), 베이스단자(60), 전환단자(70), 그리고 상부덮개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00)는 조작노브(40)의 동작에 따라 전원측과 부하측의 연결라인이 선택적으로 상호 통전 및 단전되도록 구비되어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하측에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2개의 전기장치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노브(40)의 시소운동에 따라 하나의 전기장치와 다른 하나의 전기장치가 상호 교번하여 상기 전원측과 통전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스위치(100)가 하나의 부하측 전기장치와 전원측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전환단자(70)는 한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조작노브(40)의 작동에 따라 전원측 연결라인과 접속된 베이스단자(6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전환단자(70)와 접촉되어 통전되거나 상기 전환단자와 이격되어 단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00)가 두개의 부하측 전기장치와 전원측 연결라인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전환단자(70)는 두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조작노브(40)의 작동에 따라 하나의 전환단자(70a) 및 다른 하나의 전환단자(70b)와 상호 교번하여 통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조작노브(40)의 작동에 따라 전원측 연결라인과 접속된 베이스단자(60)에 접촉된 상태로 하나의 전환단자(70a)와 접속되거나, 하나의 전환단자(70a)와 이격되고 다른 하나의 전환단자(70b)와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환단자(70)가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100)는 전원측 연결라인과 하나의 전기장치에 연결된 부하측 연결라인 사이에 한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전환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일측 스위치의 전환단자는 타측 스위치의 전환단자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되, 일측 스위치의 베이스단자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연결되고, 타측 스위치의 베이스단자는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20)는 전원측 연결라인과 부하측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도 5의 25 참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20)는 절연 재질로 구비되어 내부 부품 간의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의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삽입홀로 삽입된 각 연결라인은 베이스단자(60) 및 전환단자(70)에 각각 접속된다. 이때,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베이스단자(60)의 일측에 집촉 및 지지되어 시소운동되며 전환단자(70)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탄성단자(50)와 접속된 전환단자(70)에 접속된 부하측 연결라인이 전원측 연결라인과 통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케이스부(20)의 상측에 노출된 조작노브(40)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노브(4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케이스부(20)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덮개부(30)의 상면 일측에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전원측 연결라인과 접속된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시소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40)의 일측 혹은 타측을 누르면,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하로 시소운동되어 상기 전환단자(7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전원측 연결라인과 상기 전환단자(70)에 접촉된 부하측 연결라인을 통전 및 단전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조작노브(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시소운동됨과 함께 상기 조작노브(40)의 전환시 클릭감을 부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베이스단자(60)와 전환단자(70) 사이의 전기 저항이 감소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가지되, 탄성적인 황동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단자(60)는 시소지지부(63), 접촉면부(61), 그리고 연장부(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소지지부(63)는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하부에 접촉되어 시소운동을 지지하며, 상기 연장부(62)는 상기 시소지지부(63)와 상기 접촉면부(61)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즉, 상기 연장부(62)는 상기 시소지지부(63)로부터 상기 케이스부(20)의 내부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접속되는 상기 접촉면부(6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면부(61)는 상기 케이스부(20)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홀측으로 배치되어, 삽입홀로 삽입된 전원측 연결단자가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단자(60)는 높은 전도성을 가진 황동이나 구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환단자(70)는 상기 베이스단자(60)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내부에서 전달되는 전류의 저항 소실을 최소화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단자(70)는 상기 베이스단자(60)와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20)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이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접속된다는 말은, 삽입홀에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과 상기 전환단자는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상기 가동탄성단자(50)와 상기 전환단자(70)가 접속될 때에만 전류가 유동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부(30)는 상기 케이스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단자(60) 및 상기 전환단자(70)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압지지돌기(도 7의 130 참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돌기는 상기 상부덮개부(30)의 하면을 따라 복수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덮개부(30)는 상기 케이스부(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절연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20) 내부의 각 단자와 각 연결라인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돌기(도 7의 130 참조)는 상기 베이스단자(60) 및 상기 전환단자(70)를 가압 고정하므로 상기 베이스단자(60) 및 상기 전환단자(70)가 상기 상부덮개부(30)의 내측에 닿는 크기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케이스부(2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단자(60,70)의 상단에 별도의 지지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케이스부(2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각 단자(60,70)의 소형화를 통해 생산단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상기 스위치(100)의 각 부분을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케이스부의 내측에 각각의 부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케이스부의 내측에 각각의 부품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20)는 내측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복수개의 구획돌기(22,23,24,26,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구획돌기(22,23,24,26,27)는 상기 케이스부(20)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전환단자(70) 및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20)의 하면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삽입홀(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홀(25b,25c)에는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20)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홀(25a,25d)에는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하측 삽입홀(25a,25d)은 두개의 전기장치에 연결된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부(2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측 삽입홀(25b,25c)은 상기 각 부하측 삽입홀(25a,25d)과 대향되도록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20)의 일측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두개의 삽입홀(25b,25c) 중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두개의 삽입홀(25b,25c) 중 하나의 삽입홀에만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2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삽입홀 사이에는 각 삽입홀로 삽입된 각각의 연결라인을 분리하는 구획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부하측 삽입홀(25a,25d) 사이는 각 삽입홀로 삽입된 각각의 부하측 연결라인을 분리하는 구획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돌기(24)는 전환단자(70a)의 측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부하측 삽입홀(25a,25d)의 전방측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한쌍의 전환단자(70a,70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환단자(70)는 2단으로 분할되어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제1전환단자(70b)와 제2전환단자(70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부하측 삽입홀(25a,25d)의 후방측에는 삽입된 각 연결라인의 단부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하는 탄성접촉편(80a,80b)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접촉편(80a,80b)은 일측이 상기 케이스부(20)의 후방측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부하측 삽입홀(25a,25d) 측으로 배치됨이 일측과 타측 단부 사이의 절곡된 형태로 인한 탄성복원력으로 각 연결라인의 단부를 타측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접촉편(80a,80b)은 상기 부하측 삽입홀(25a,25d)로 삽입된 각 부하측 연결라인의 단부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각 전환단자(70a,70b)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2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각 탄성접촉편(80a,80b) 사이에는 연결라인의 삽입홀 삽입시 탄성접촉편의 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단부와 상기 전환단자(7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풀러(9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풀러(90)는 상기 케이스부(20)의 하면에 형성된 풀러홀을 통해 하면이 노출되며, 사용자의 가압시 상측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러(90)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면(도 9의 91 참조)이 형성되어 상기 각 탄성접촉편의 타측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러의 상측 이동시 상기 삽입홀 사이에 형성된 구획돌기(24) 후방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탄성접촉편의 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전원측 삽입홀(25b,25c)의 후방측에는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접촉면부(6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측 삽입홀(25b,25c)의 전방측에는 삽입된 각 연결라인의 단부를 탄발지지하여 가압하는 탄성접촉편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접촉편의 단부는 상기 전원측 삽입홀로 삽입된 각 전원측 연결라인의 단부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각 접촉면부(61)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전환단자(70) 및 상기 베이스단자(60)는 상기 케이스부(20)의 내측에 돌설된 복수개의 구획돌기(22,23,24,26,27)에 의해 측부가 지지되며, 각 구획돌기(22,23,24,26,27) 사이에 끼워져 유동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상부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상부덮개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상부덮개부가 케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된 부품을 가압 고정하는 모습을 점선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부(30)에는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단자(60) 및 상기 전환단자(70)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지지돌기(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덮개부(30)의 상면에는 조작노브(40)가 힌지결합되는 결합부(32)가 형성되되, 상기 조작노브(40)의 하면을 따라 돌설된 가동돌기(42)가 관통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40)는 상기 상부덮개부(30)의 상측에 결합되어 시소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노브(40)의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가동돌기(42)가 진자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돌기(42)는 상기 가동탄성단자(50)를 구동하여 시소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덮개부(3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압지지돌기(130)는 상기 베이스단자(60) 및 상기 전환단자(70)의 위치에 대향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덮개부(30)는 상기 케이스부(20)의 상부에 결합됨에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각 가압지지돌기(130)가 각 단자(60,70)의 상측을 눌러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부(30)의 중앙측에 배치된 한쌍의 가압지지돌기(130d,130c)는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상측을 가압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중앙측 가압지지돌기(130d,130c)는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연장부(62)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단자(60)는 구획돌기에 의해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가압지지돌기(130d,130c)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부(20)의 내측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상단부에 별도의 지지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연결라인의 삽입시 마찰로 인해 상기 베이스단자(60)가 상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케이스부(20)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단자(60)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생산시 소모되는 원자재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제품의 생산경제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부(30)의 후방측에 배치된 한쌍의 가압지지돌기(130a,130b)는 상기 전환단자(70)의 상단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가압지지돌기(130a,130b)는 상기 제1전환단자(70b) 및 상기 제2전환단자(70a)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각 전환단자(7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 가압지지돌기(130a,130b)의 하단부에는 상기 부하측 삽입홀(25a,25d)에 삽입된 연결라인의 단부를 구속하는 스토퍼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가압지지돌기(130a,130b)의 스토퍼면부는 일측이 상기 상기 전환단자의 상단부를 가압하며, 타측이 상기 부하측 삽입홀(25a,25d)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결라인이 삽입될 때 일정이상의 깊이로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라인의 단부를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라인의 삽입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연결라인이 과도하게 삽입됨에 따라 연결라인이 케이스부(20) 내측에서 유동되어 발생될 수 있는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덮개부(30)의 전방측에는 상기 전원측 삽입홀(25c,25b)에 삽입된 연결라인의 단부를 구속하는 스토퍼돌기(131,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131,132)는 상기 각 전원측 삽입홀(25c,25b)의 상측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측 삽입홀(25c,25b)에 연결라인이 삽입되면 연결라인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돌기(131,132)의 하면에 구속됨에 따라 일정이상의 깊이로 삽입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부(30)의 전방측 및 후방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케이스부(20)의 상부 결합시 상기 각 탄성접촉편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연장 돌출된 고정지지돌기(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덮개부(30)는 상기 케이스부(20)의 상부에 결합됨에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지지돌기(11)가 각 탄성접촉편의 상면을 눌러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돌기(110)는 상기 탄성접촉편(8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110e,110f,110c,110d,110a,110b)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접촉편(80)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연결라인의 삽입시 상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단자(60,70)의 상단부에 각 탄성접촉편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단자가 단순화될 수 있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립으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돌기(110) 사이에는 상기 풀러(90)의 상측을 구속하는 보조지지돌기(120a,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풀러(90)가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탄성접촉편의 단부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벌릴 때 상측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는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에서 상부덮개부가 케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된 부품을 가압 고정하는 모습을 점선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시소홈부(51), 탄성부(52), 그리고, 단자부(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탄성단자(50)에는 중심측에 상기 시소지지부(63)의 상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시소홈부(5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시소홈부(51)는 상측으로 구배진 형태로 내측에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시소지지부(63)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시소운동 중심점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시소홈부(51)의 내측에 상기 시소지지부(63)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시소운동시 일측이나 타측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상기 베이스단자(60)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52)는 상기 시소홈부(51)로부터 상기 케이스부(20)의 일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측이 상기 시소홈부(51)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도록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곡된 탄성부(52)는 상기 조작노브(40)의 가동돌기(42)와 상기 시소홈부(51) 사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40)는 상기 상부덮개부(3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되, 하면에 가동돌기(42)가 돌설되며, 상기 탄성부(52)의 단부측에는 상기 가동돌기(42)가 삽입되는 가동홈부(5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홈부(53)는 하측으로 구배진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가동돌기(42)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동돌기(42)가 상기 가동홈부(53)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40)의 조작시 상기 가동돌기(42)의 진자운동이 상기 가동탄성단자(5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시소홈부(51)가 상기 베이스단자(60)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홈부(53)가 상기 가동돌기(42)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52)가 상기 시소홈부(51)와 상기 가동돌기(42) 사이를 탄발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홈부(53)는 상기 가동돌기(4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가동돌기(42)와 분리되지 않고 상기 가동돌기(42)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시소홈부(5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된 단자부(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환단자(70)는 2단으로 분할되어 상기 케이스부(2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제1전환단자(70b)와 제2전환단자(7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단자(70)는 상기 단자부(54)의 상하 이동시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측에 돌설된 접속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환단자(70b)는 상기 단자부(54)의 상측 이동시 접속되도록 상단부측에 접속부가 돌설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환단자(70a)는 상기 단자부(54)의 하측 이동시 접속되도록 하단부측에 접속부가 돌설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작노브(40)의 후방측(41)을 하방 가압하면, 상기 조작노브(40)는 상기 결합부(32)를 중심으로 시소운동되며, 상기 가동돌기(42)가 상기 케이스부(20)의 전방측으로 진자운동된다.
이때,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시소홈부(51)를 중심으로 탄성부(52)가 하측으로 시소운동되며, 단자부(54)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환단자(70b)의 상부측 접속부와 상기 단자부(54)의 상측이 접속되어 제1전환단자(70b) 및 상기 베이스단자(60) 사이가 통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52)는 상기 가동홈부(53) 및 상기 시소홈부(51)가 상호 이격되도록 탄발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52)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홈부(53)는 상기 가동돌기(42)를 상측 및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40)를 하방 가압하는 힘이 사라지더라도 상기 가동돌기(42)가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노브(40)의 전방측을 하방 가압하면, 상기 조작노브(40)는 상기 결합부(32)를 중심으로 시소운동되며, 상기 가동돌기(42)가 상기 케이스부(20)의 후방측으로 진자운동된다.
이때,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시소홈부(51)를 중심으로 탄성부(52)가 상측으로 시소운동되며, 단자부(54)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전환단자(70a)의 하부측 접속부와 상기 단자부(54)의 하측이 접속되어 제2전환단자(70a) 및 상기 베이스단자(60) 사이가 통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52)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홈부(53)는 상기 가동돌기(42)를 상측 및 상기 케이스부(20)의 후방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40)를 하방 가압하는 힘이 사라지더라도 상기 가동돌기(42)가 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100)는 전원측 연결라인(2)과 부하측 연결라인(3) 사이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스위치(100a,100b)에 의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 및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이 선택적으로 통전 및 단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스위치(100a)의 베이스단자(a)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2)과 연결되고, 타측 스위치(100b)의 베이스단자(f)는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3)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일측 스위치(100a)의 전환단자(b,c)는 타측 스위치(100a)의 전환단자(d,e)와 각각 연결(4a,4b)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스위치 내에 전환단자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각 스위치의 전환단자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측 스위치(100a)의 제1전환단자(b)와 타측 스위치(100b)의 제1전환단자(d)가 상호 연결(4b)되고, 일측 스위치(100a)의 제2전환단자(c)와 타측 스위치(100b)의 제2전환단자(e)가 상호 연결(4a)될 수 있다. 물론, 일측 스위치(100a)의 제2전환단자(c)와 타측 스위치(100b)의 제1전환단자(d)가 상호 연결되고, 일측 스위치(100a)의 제1전환단자(b)와 타측 스위치(100b)의 제2전환단자(e)가 상호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스위치(100)는 하나의 전기장치(1)의 전원을 스위칭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한쌍의 스위치(100a,100b)로 구비되어, 일측 스위치(100a)를 조작하여 상기 전기장치(1)의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으며, 타측 스위치(100b)를 조작하여 상기 전기장치(1)의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란다의 전등을 상기 전기장치라고 가정하면, 일측 스위치는 베란다에 구비되고 타측 스위치는 거실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측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전등을 켜고 끌 수 있으며, 타측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다. 즉, 베란다에 들어갈 때는 베란다측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등을 켜고, 베란다에서 나올 때는 거실측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등을 끌 수 있다.
상세히, 도 9 내지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시소홈부(51)가 상기 베이스단자(60)의 시소지지부(63)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탄성단자(50)와 상기 베이스단자(60)는 통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일측 베이스단자(a)는 전원측 연결라인(2)과 통전된 상태로 구비되고, 타측 베이스단자(f)는 부하측 연결라인(3)과 통전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00)의 조작노브(4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시소운동되어 제1전환단자(70b)와 상기 베이스단자(60) 사이를 통전시키거나 제2전환단자(70a)와 상기 베이스단자(60)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타측 스위치(100b) 내의 가동탄성단자가 베이스단자(f)와 제1전환단자(d)를 통전시키도록 배치된 경우에, 일측 스위치(100a)를 조작하여 베이스단자(a)와 제1전환단자(b)를 통전시키면, 각 제1전환단자(b,d)가 상호 통전되어 상기 전기장치(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 스위치(100a) 내의 가동탄성단자가 베이스단자(a)와 제1전환단자(b)를 통전시키도록 배치된 경우에, 타측 스위치(100b)를 조작하여 베이스단자(f)와 제1전환단자(d)를 통전시키면 상기 전기장치(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일측 스위치(100a) 및 타측 스위치(100b)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전원측 연결라인과 부하측 연결라인을 통전시켜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반면, 도 11b를 참조하면, 타측 스위치(100b) 내의 가동탄성단자가 베이스단자(f)와 제1전환단자(d)를 통전시키도록 배치된 경우에, 일측 스위치(100a)를 조작하여 가동탄성단자를 제1전환단자(b)에서 이격시키면, 상기 전기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 스위치(100a) 내의 가동탄성단자가 베이스단자(a)와 제2전환단자(c)를 통전시키도록 배치된 경우에, 타측 스위치(100a)를 조작하여 가동탄성단자를 제2전환단자(e)에서 이격시키면, 상기 전기장치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처럼, 각 스위치의 전환단자가 상호 통전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 스위치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전원측 연결라인과 부하측 연결라인 사이의 통전을 끊고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상부덮개부가 케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된 부품을 가압 고정하는 모습을 점선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노브(140)의 구속홈부(143)와 구속홈부(143)에 삽입되는 탄성부(152)의 단부(153)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140)는 하측에 돌설된 가동돌기(142)에 구속홈부(143)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탄성단자(150)의 탄성부(152) 단부(153)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구속홈부(143)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동탄성단자(150)는 상측으로 구배진 형태로 형성된 시소홈부(151)에 상기 베이스단자의 시소지지부(63)가 삽입되어 시소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52)는 상측으로 접혀 단부측이 상기 시소홈부(151)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조작노브(140)의 가동돌기(142)와 상기 시소홈부(151) 사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152)의 단부(153)가 상향 절곡되어 상기 구속홈부(143)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의 단부(153)는 상기 구속홈부(143)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돌기(142)를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의 단부(153)는 구속홈부(143)의 내측면에 둘러싸이도록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가동돌기(142)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구속홈부(143)는 상기 가동돌기(142)의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의 단부(153)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152)의 탄성력이 일부 감소되더라도 조작노브(140)의 조작시 가동돌기(142)에서 상기 탄성부의 단부(153)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탈에 따른 오작동 없이 조작노브(140)의 조작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전원 공급 및 차단이 전환되므로 제품의 조작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스위치 20: 케이스부
21: 수용공간 22,23,24,26,27: 구획돌기
25: 삽입홀 30: 상부덮개부
31: 관통홀 32: 결합부
110: 고정지지돌기 120: 보조지지돌기
130: 가압지지돌기 40: 조작노브
42: 가동돌기 43: 구속홈부
50: 가동탄성단자 51: 시소홈부
52: 탄성부 54: 단자부
60: 베이스단자 61: 접촉면부
62: 연장부 63: 시소지지부
70: 전환단자 70a: 제2전환단자
70b: 제1전환단자

Claims (5)

  1.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노출된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는 가동탄성단자;
    상기 가동탄성단자의 하부에 접촉되어 시소운동을 지지하는 시소지지부와, 상기 시소지지부로부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일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에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촉면부가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단자;
    상기 베이스단자와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전환단자;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단자 및 상기 전환단자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측으로 연장 돌출된 가압지지돌기가 구비된 상부덮개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홀의 측부에는 삽입된 각 연결라인의 단부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하는 탄성접촉편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덮개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 결합시 상기 각 탄성접촉편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연장 돌출된 고정지지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환단자의 상측을 가압 고정하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연결라인의 단부를 구속하는 스토퍼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탄성단자는 상기 시소지지부에 접촉되어 통전되며, 상기 시소지지부의 상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시소홈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단자는 2단으로 분할되어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제1전환단자와 제2전환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부의 상하 이동시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일측에 돌설된 접속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탄성단자는 상기 시소지지부의 상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시소홈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측이 상기 시소홈부의 상측에 대향 배치되도록 절곡된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상부덮개부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되, 하측에 돌설된 가동돌기에 상기 탄성부의 상향 절곡된 단부가 삽입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130148524A 2013-12-02 2013-12-02 스위치 KR10151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524A KR101517386B1 (ko) 2013-12-02 2013-12-02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524A KR101517386B1 (ko) 2013-12-02 2013-12-02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386B1 true KR101517386B1 (ko) 2015-05-04

Family

ID=5339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524A KR101517386B1 (ko) 2013-12-02 2013-12-02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38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98B1 (ko)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KR101655977B1 (ko) *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101686086B1 (ko) * 2016-11-11 2016-12-13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KR101800731B1 (ko) * 2017-09-08 2017-11-2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00730B1 (ko) * 2017-08-21 2017-12-2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50145B1 (ko) * 2016-07-27 2018-05-31 (주)미경전자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KR20190094018A (ko) * 2018-02-02 2019-08-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 하우징을 갖는 직류 릴레이
KR102111690B1 (ko) * 2020-02-14 2020-06-04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스위치 장치
KR20210000575U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프라임전기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955A (ja) * 2000-01-07 2001-07-19 Omron Corp シーソスイッチ
KR100829906B1 (ko) * 2007-01-24 2008-05-1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200451195Y1 (ko) * 2009-01-12 2010-12-01 정백웅 매입형 와이드스위치의 단자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5955A (ja) * 2000-01-07 2001-07-19 Omron Corp シーソスイッチ
KR100829906B1 (ko) * 2007-01-24 2008-05-1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200451195Y1 (ko) * 2009-01-12 2010-12-01 정백웅 매입형 와이드스위치의 단자구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98B1 (ko)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KR101655977B1 (ko) *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101850145B1 (ko) * 2016-07-27 2018-05-31 (주)미경전자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KR101686086B1 (ko) * 2016-11-11 2016-12-13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00730B1 (ko) * 2017-08-21 2017-12-2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00731B1 (ko) * 2017-09-08 2017-11-2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20190094018A (ko) * 2018-02-02 2019-08-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 하우징을 갖는 직류 릴레이
KR102032517B1 (ko) * 2018-02-02 2019-10-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영구자석 하우징을 갖는 직류 릴레이
KR20210000575U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프라임전기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KR200493667Y1 (ko) * 2019-09-02 2021-05-14 주식회사 프라임전기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KR102111690B1 (ko) * 2020-02-14 2020-06-04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386B1 (ko) 스위치
JP4302091B2 (ja) スナップボタン装置及びスナップボタン装置―回路アセンブリ
KR101641598B1 (ko) 스위치
JP4367407B2 (ja) 引出形遮断器の制御回路接続装置
KR100829906B1 (ko) 스위치
KR101655977B1 (ko) 스위치
CN210722852U (zh) 双电路船型开关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1514121B1 (ko) 스위치 장치
JP4149907B2 (ja) 電源コンセント
KR101810213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SG177098A1 (en) Push-button as a house and building systems engineering control element
JP2006331888A (ja) スイッチ付きコンセント
KR20170069118A (ko) 어댑터 어셈블리
CN105826117A (zh) 滑动开关
KR101017580B1 (ko) 전원 일괄제어 장치
CN210129444U (zh) 一种按键开关
KR20080050666A (ko)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KR101800731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WO2018123224A1 (ja) スイッチ
CN218004689U (zh) 一种脚踏按钮开关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CN111211004B (zh) 压动式开关结构
KR200461085Y1 (ko) 로커 스위치
KR101800730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