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118A - 어댑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어댑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118A
KR20170069118A KR1020160008550A KR20160008550A KR20170069118A KR 20170069118 A KR20170069118 A KR 20170069118A KR 1020160008550 A KR1020160008550 A KR 1020160008550A KR 20160008550 A KR20160008550 A KR 20160008550A KR 20170069118 A KR20170069118 A KR 2017006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ocking portion
adapter
locking
conn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준
박성호
우원명
이지원
정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76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79576A1/en
Priority to US15/283,996 priority patent/US20170170614A1/en
Priority to CN201610883928.8A priority patent/CN106981801A/zh
Publication of KR2017006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6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one or more balls engaging in a hole or a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Abstract

락킹 구조에 의해 플러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어댑터 어셈블리는 접속 핀을 포함하는 어댑터와, 접속 핀에 접촉되는 단자가 마련되고, 어댑터에 결합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와 어댑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락킹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댑터 어셈블리{Adapter Assembly}
본 발명은 어댑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락킹 구조에 의해 플러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들은 전자 기기의 종류 및 사용처에 따라 사용되는 전압이 서로 다르며 전원을 제공받는 입력부의 모양 또한 각 제품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 입력부에 적합한 모양을 가진 커넥터를 통해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적절한 전압의 전원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전원 변환 공급장치인 전원 어댑터이다.
특히, 전원 어댑터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노트북, PC, 디스플레이 모니터, 휴대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해주는 장치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로 입력 전원으로부터 필요한 출력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 어댑터는 교류/직류 변환 및 변압 회로가 내장된 본체에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전자 장치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콘센트를 통해 입력된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적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분리 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락킹 구조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어댑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순한 구조로 플러그와 어댑터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어댑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댑터 어셈블리는 접속 핀을 포함하는 어댑터; 상기 접속 핀에 접촉되는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어댑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락킹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락킹 구조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와, 상기 어댑터에 마련되며, 상기 제1락킹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락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접속 핀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단자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이동 시 탄성을 발생시켜 상기 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탄성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접속 핀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답터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구형, 마름모형, 사각형, 삼각형, 반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제2락킹부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의 중심에 마련되는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어댑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기 위한 접촉 핀이 마련되는 어댑터 본체; 상기 플러그와 어댑터 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락킹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구조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와, 상기 제1락킹부에 의해 고정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 핀과 상기 어댑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접속 핀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단자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이동 시 탄성을 발생시켜 상기 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탄성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홀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답터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구형, 마름모형, 사각형, 삼각형, 반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제2락킹부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의 중심에 마련되는 이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돌기를 관통하는 탄성지지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락킹 구조에 의해 플러그와 어댑터 사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단순한 구조로 어댑터와 플러그 사이의 분해를 방지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의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결합시키는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분리 가능하게 하는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결합된 어댑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락킹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에 의해 결합된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에 의해 어댑터로부터 분리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의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사디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 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 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 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의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결합시키는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는 본체(1a)와, 본체(1a)에 마련되는 접속 핀(1b)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110V와 220V 겸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AC/DC 어댑터(이하, 어댑터 라 함)는 AC 110V/220V의 상용 전압을 소정의 DC 전압으로 변환해 주는 정류기이다. 이러한, 어댑터는 대부분이 스위치 전환(미도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AC 110V 와 220V 전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1) 본체(1a)에는 기본적으로 110V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한 쌍의 110V 형 접속 핀(1b)이 돌출되어 있다.
어댑터(1)의 본체(1a)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a)는 절연성의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110V 형 접속 핀(1b)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접속 핀(1b)은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핀과,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핀(1b)은 본체(1a) 내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본체(1a)에는 100V 형 접속 핀(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홀(1c)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a)의 관통홀(1c)을 통해 100V 형 접속 핀(1b)이 본체(1a)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1)는 220V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 110V형 접속 핀(1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댑터(1)와 플러그(2)는 락킹 구조(1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러그(2)는 플러그 바디(2a)와, 플러그 바디(2a)의 일측에 마련되어 220V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한 쌍의 플러그 핀(2b)이 돌출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2a)는 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의 내부에는 플러그 단자(4)가 마련된다. 플러그 단자(4)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 핀(2b)는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핀과,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의 외측에 노출되는 플러그 핀(2b)은 콘센트(미도시)에 삽입되어 전원의 공급을 받게 된다.
플러그 바디(2a)의 일측 단부는 개구되어 마련되고, 그 내부에는 어댑터(1)의 접속 핀(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4)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러그 단자(4)는 플러그 핀(2b)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의 개구에는 플러그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버(3)에는 어댑터(1)의 110V형 접속 핀(1b)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3a)이 형성된다. 삽입홀(3a)은 100V 형 접속 핀(1b)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락킹 구조(100)는 플러그(2)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110)와, 제1락킹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기 위해 어댑터(1)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는 플러그(2) 내부의 플러그 단자(4)에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4)는 플러그 바디(2a) 내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4)는 삽입홀(3a)을 통해 플러그 바디(2a) 내부로 삽입되는 어댑터(1)의 접속 핀(1b)과 접촉되는 접촉부(4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단자(4)의 접촉부(4c)는 접속 핀(1b)에 접촉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 단자(4)의 접촉부(4c)는 접촉 핀(2b)의 삼면을 감싸도록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락킹 구조(100)의 제1락킹부(110)는 플러그 단자(4)의 접촉부(4c)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는 플러그 단자(4)의 상단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는 플러그 단자(4)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접촉 핀(2b)에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는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편(111)이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의 한 쌍의 탄성편(111)은 제2락킹부(120)에 탄성 지지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락킹부(120)는 접속 핀(1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는 접속 핀(1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는 접속 핀(1b)의 상부 적어도 일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락킹부(120)는 제1락킹부(110)의 탄성편(111)이 결합되도록 어댑터(1)의 접속 핀(1b)에 형성되는 홀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락킹부는 탄성편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2)와 어댑터(1)의 결합 시, 플러그(2)를 어댑터(1)의 접속 핀(1b)에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플러그(2)의 커버(3)에 형성된 삽입홀(3a)을 통해 결합시킨다.
접속 핀(1b)은 플러그 바디(2a) 내부 단자(4)의 접촉부(4c)에 의해 안내된다.
이때, 접촉부(4c)의 상측에 형성된 제1락킹부(110)의 탄성편(111)은 접속 핀(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외측으로 이동하다 접속 핀(1b)의 제2락킹부(120) 즉, 홀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는 제1락킹부(110)와 제2락킹부(120)에 의해 어댑터(1)의 접속 핀(1b)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플러그(2)와 어댑터(1)의 분리 시에는, 플러그(2)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접속 핀(1b)을 탄성 지지하는 제1락킹부(110)는 접속 핀(1b)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플러그(2)와 어댑터(1)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플러그(2)와 어댑터(1)는 락킹 구조(100)에 의해 사용 또는 유동에 의한 분리의 위험이 없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를 분리 가능하게 하는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결합된 어댑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5 내지 도 7 를 참조하면, 어댑터(1)는 본체(1a)와, 본체(1a)에 마련되는 접속 핀(1b)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110V와 220V 겸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AC/DC 어댑터(이하, 어댑터 라 함)는 AC 110V/220V의 상용 전압을 소정의 DC 전압으로 변환해 주는 정류기이다. 이러한, 어댑터는 대부분이 스위치 전환(미도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AC 110V 와 220V 전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1) 본체(1a)에는 기본적으로 110V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한 쌍의 110V 형 접속 핀(1b)이 돌출되어 있다.
어댑터(1)의 본체(1a)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a)는 절연성의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는 구성요소 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110V 형 접속 핀(1b)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접속 핀(1b)은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핀과,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핀(1b)은 본체(1a) 내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본체(1a)에는 100V 형 접속 핀(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홀(1c)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a)의 관통홀(1c)을 통해 100V 형 접속 핀(1b)이 본체(1a)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1)는 220V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 110V형 접속 핀(1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댑터(1)와 플러그(2)는 락킹 구조(1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러그(2)는 플러그 바디(2a)와, 플러그 바디(2a)의 일측에 마련되어 220V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한 쌍의 플러그 핀(2b)이 돌출되어 있다.
플러그 바디(2a)는 절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4)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 핀(2b)는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핀과,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의 외측에 노출되는 플러그 핀(2b)은 콘센트(미도시)에 삽입되어 전원의 공급을 받게 된다.
플러그 바디(2a)의 일측 단부는 개구되어 마련되고, 그 내부에는 어댑터(1)의 접속 핀(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단자(4)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4)는 플러그 핀(2b)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의 개구에는 플러그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버(3)에는 어댑터(1)의 110V형 접속 핀(1b)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3a)이 형성된다. 삽입홀(3a)은 100V 형 접속 핀(1b)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2)의 플러그 커버(3)에는 어댑터(1)와의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락킹 구조(100A)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락킹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에 의해 결합된 플러그와 어댑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에 의해 어댑터로부터 분리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8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구조(100A)는 플러그(2)의 플러그 바디(2a)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110A)와, 제1락킹부(110A)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기 위해 어댑터(1)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A)는 플러그 커버(3)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A)는 플러그 커버(3)에 마련되는 푸쉬버튼(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A)는 플러그 커버(3)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A)는 플러그 바디(2a)의 일면에 형성되어 플러그(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플러그 바디(2a)에는 제1락킹부(110A)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설치구(2c)가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의 설치구(2c)는 제1락킹부(110A)의 푸쉬버튼(111A)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A)는 푸쉬버튼(111A)에 의해 이동하는 경사면을 갖는 가압부(11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14A)는 어댑터(1)의 단자(4)에 형성되는 이동부(130A)를 이동시켜 어댑터(1)의 접속 핀(1b)으로부터 단자(4)를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접속 핀(1b)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단자(4)와 결합을 위한 제2락킹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락킹부(120A)는 플러그(2)의 단자(4)가 삽입되도록 어댑터(1)의 접속 핀(1b)에 형성되는 홀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플러그(2)를 어댑터(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플러그 바디(2a)의 푸쉬버튼(111A)을 누르면 푸쉬버튼(111A)의 가압부(114A)에 의해 가압되어 단자(4)의 이동부(130A)가 플러그 바디(2a)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130A)의 이동에 의해 어댑터(1)의 접속 핀(1b)에 형성된 제2락킹부(120A)로부터 단자(4)의 결합이 해제된다.
어댑터(1) 접속 핀(1b)과 플러그(2) 단자(4)의 결합이 해제되면, 플러그(2)를 어댑터(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와 어댑터(1)는 락킹 구조(100)에 의해 사용 또는 유동에 의한 분리의 위험이 없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어댑터의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13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와 어댑터(1)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한 락킹 구조(100B)는 플러그(2)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110B)와 어댑터(1)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120B)를 포함 할 수 있다.
플러그(2)는 플러그 바디(2a)와 플러그 커버(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는 하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하단에는 플러그 커버(3)가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 커버(3)에는 어댑터(1)의 접속 핀(1b)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홀(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B)는 플러그 바디(2a)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B)는 플러그 바디(2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버튼(112B)과, 버튼(112B)을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113b)를 포함한다. 버튼(112B)은 플러그 바디(2a)의 외측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가압하면 내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버튼(112B)의 적어도 일부는 플러그 바디(2a)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플러그 바디(2a)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2a)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112B)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푸쉬 되어 플러그 바디(2a)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버튼(112B)은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1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1B)는 어댑터(1)에 형성되는 제2락킹부(120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버튼(112B)의 돌기(111B)는 플러그 커버(3) 중심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락킹부(120B)는 제1락킹부(110B)의 버튼(112B)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락킹부(120B)는 어댑터(1) 본체(1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B)는 어댑터(1)의 접속 핀(1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B)는 버튼(112B) 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11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홈(12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의 삽입홀(3a)에 어댑터(1)의 접속 핀(1b)이 삽입됨과 동시에 제1락킹부(110B)와 제2락킹부(120B)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어댑터(1)와 플러그(2)의 분리 시에는 플러그(2)의 제1락킹부(110B)의 버튼(112B)을 가압하여 제2락킹부(120B)의 홈(121B)으로부터 버튼(112B)을 분리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16 내지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와 어댑터(1)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한 락킹 구조(100C)는 플러그(2)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110C)와 어댑터(1)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120C)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C)는 플러그(2)에 마련된다. 제1락킹부(110C)는 플러그 바디(2a) 중심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 바(113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113C)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손잡이(111C)가 마련되고, 회전 바(113C)의 하단에는 회전 손잡이(111C)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돌기(112C)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C)는 플러그 커버(3)의 설치홀(3a) 사이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C)는 제1락킹부(110C)에 회전돌기(112C)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C)는 어댑터(1) 본체(1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C)는 어댑터(1)의 접속 핀(1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C)는 회전돌기(112C)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홈(121C)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와 어댑터(1)의 결합은 플러그(2)의 삽입홀(3a)에 어댑터(1)의 접속 핀(1b)이 삽입됨과 동시에 제1락킹부(110C)와 제2락킹부(120C)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락킹부(110C)의 회전 돌기(112C)와 제2락킹부(120C)의 홈(121C)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러그(2)와 어댑터(1)의 고정 시에는 사용자가 제1락킹부(110C)의 회전 손잡이(111C)를 회전시켜 회전 돌기(112C)를 제2락킹부(120C)의 홈(121C)에 어긋나는 형상으로 대응시키고, 플러그(2)와 어댑터(1)의 분리 시에는 사용자가 제1락킹부(110C)의 회전 손잡이(111C)를 회전시켜 회전돌기(112C)를 제2락킹부(120c)의 홈(121C)에 일치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19 내지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와 어댑터(1)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한 락킹 구조(100D)는 플러그(2)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110 D)와 어댑터(2)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120D)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D)는 플러그(2)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버(3)에 마련된다. 제1락킹부(110D)는 플러그 커버(3) 중심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 형상의 돌기(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D)는 플러그 커버(3)의 설치홀(3a) 사이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D)는 제1락킹부(110D)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락킹부(120D)는 어댑터(1) 본체(1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D)는 어댑터(1)의 접속핀(1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D)는 구 형상의 돌기(111D)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구 형상의 홈(121D)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의 삽입홀(3a)에 어댑터(1)의 접속 핀(1b)이 삽입됨과 동시에 제1락킹부(110D)와 제2락킹부(120D)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 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4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22 내지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와 어댑터(1)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한 락킹 구조(100E)는 플러그(2)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110 E)와 어댑터(2)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120E)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E)는 플러그(2)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버(3)에 마련된다. 제1락킹부(110E)는 플러그 커버(3) 중심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 형상의 돌기(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락킹부(100E)는 후크 형상의 돌기(111E) 중심을 관통하는 이격부(140E)를 포함한다. 후크 형상의 돌기(111E)는 이격부(140E)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 형상의 돌기(111E)는 이격부(140E)를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돌기(111Ea)와 제1돌기(111Ea)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돌기(111E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11Ea)와 제2돌기(111Eb)는 중심의 이격부(140E)를 통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E)는 플러그 커버(3)의 설치홀(3a) 사이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E)는 제1락킹부(110E)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락킹부(120E)는 어댑터(1) 본체(1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E)는 어댑터(1)의 접속핀(1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E)는 후크 형상의 돌기(111E)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의 홈(121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2)의 삽입홀(3a)에 어댑터(1)의 접속 핀(1b)이 삽입됨과 동시에 제1락킹부(110E)와 제2락킹부(120E)는 결합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E)가 제2락킹부(120E)의 홈(121E)에 삽입 시, 제1돌기(111Ea)와 제2돌기(111Eb)는 이격부(140E) 측으로 이동하여 삽입 된 후에는 탄성적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7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락킹 구조의 제1락킹부와 제2락킹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와 어댑터(1)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한 락킹 구조(100F)는 플러그(2)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110 E)와 어댑터(2)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120F)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F)는 플러그(2)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버(3)에 마련된다. 제1락킹부(110F)는 플러그 커버(3) 중심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름모 형상의 돌기(111F)를 포함할 수 있다.
마름모 형상의 돌기(111F)는 중심을 관통하는 탄성지지홀(150F)을 포함한다. 마름모 형상의 돌기(111F)는 중심의 탄성지지홀(150F)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락킹부(110F)는 플러그 커버(3)의 설치홀(3a) 사이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F)는 제1락킹부(110F)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락킹부(120F)는 어댑터(1) 본체(1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F)는 어댑터(1)의 접속 핀(1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락킹부(120F)는 마름모 형상의 돌기(111F)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의 홈(121F)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2)의 삽입홀(3a)에 어댑터(1)의 접속 핀(1b)이 삽입됨과 동시에 제1락킹부(110F)와 제2락킹부(120F)는 결합될 수 있다.
제1락킹부(110F)가 제2락킹부(120F)의 홈(121F)에 삽입 시, 마름모 형상의 돌기(111F)는 탄성지지홀(150F)에 의해 중심으로 이동하고, 삽입 된 후에는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어댑터 1a : 어댑터 본체
1b : 접속 핀 2 : 플러그
2a : 플러그 바디 2b : 플러그 핀
3 : 플러그 커버 3a : 삽입홀
4 : 단자 4c : 접촉부
100 : 락킹 구조 110 : 제1락킹부
111: 돌기 120 : 제2락킹부
121 : 홈

Claims (18)

  1. 접속 핀을 포함하는 어댑터;
    상기 접속 핀에 접촉되는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어댑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락킹 구조;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구조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와,
    상기 어댑터에 마련되며, 상기 제1락킹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락킹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접속 핀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단자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이동 시 탄성을 발생시켜 상기 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접속 핀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답터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구형, 마름모형, 사각형, 삼각형, 반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제2락킹부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의 중심에 마련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0. 플러그;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기 위한 접촉 핀이 마련되는 어댑터 본체;
    상기 플러그와 어댑터 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락킹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구조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제1락킹부와,
    상기 제1락킹부에 의해 고정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 핀과 상기 어댑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락킹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접속 핀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단자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핀의 이동 시 탄성을 발생시켜 상기 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마련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홀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답터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플러그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구형, 마름모형, 사각형, 삼각형, 반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제2락킹부와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의 중심에 마련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셈블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는,
    상기 돌기를 관통하는 탄성지지홀을 더 포함하는 어댑퍼 어셈블리.
KR1020160008550A 2015-12-10 2016-01-25 어댑터 어셈블리 KR20170069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6558.1A EP3179576A1 (en) 2015-12-10 2016-06-28 Adapter assembly
US15/283,996 US20170170614A1 (en) 2015-12-10 2016-10-03 Adapter assembly
CN201610883928.8A CN106981801A (zh) 2015-12-10 2016-10-10 适配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65524P 2015-12-10 2015-12-10
US62/265,524 2015-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118A true KR20170069118A (ko) 2017-06-20

Family

ID=5928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550A KR20170069118A (ko) 2015-12-10 2016-01-25 어댑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69118A (ko)
CN (1) CN106981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61B1 (ko) * 2017-02-08 2018-07-19 (주)데바텍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07B1 (ko) * 2018-08-16 202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61B1 (ko) * 2017-02-08 2018-07-19 (주)데바텍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81801A (zh)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5932B (zh) 通用电池充电器和/或电源适配器
US7946868B1 (en) Power adapter having a replaceable and rotatable plug
US8076603B2 (en) Axially-movable rotary switch
KR101015494B1 (ko) 전기 어댑터
US9112326B2 (en) Power adapter with a combinational plug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US7815471B2 (en) Rotata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JP5048825B2 (ja) 入れ替え可能で位置決め可能なプラグを有する電源アダプタ
JP3173949U (ja) 回転可能のプラグモジュール付き電源アダプタ
US9196996B2 (en) Safe outlet
US8215976B2 (en)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KR101517386B1 (ko) 스위치
KR101641598B1 (ko) 스위치
TWI564697B (zh) 電源適配器
EP3179576A1 (en) Adapter assembly
JP2007311196A (ja) 設置方向を変える電源プラグ
US7931482B2 (en) Safety socket structure
KR20170069118A (ko) 어댑터 어셈블리
JPH0876898A (ja) 着脱自在な電池パックを備えた携帯型コンピューター
US11097935B2 (en) Transitional electric can opener
KR20140147244A (ko) 전자 기기의 키 장치
TWM584993U (zh) 第一連接器及電連接器組件
US20070211029A1 (en) Wireless mouse
US8378971B2 (en) Wireless mouse
US6733316B1 (en) Lamp socket for holding lamp 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