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761B1 -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761B1
KR101869761B1 KR1020170017536A KR20170017536A KR101869761B1 KR 101869761 B1 KR101869761 B1 KR 101869761B1 KR 1020170017536 A KR1020170017536 A KR 1020170017536A KR 20170017536 A KR20170017536 A KR 20170017536A KR 101869761 B1 KR101869761 B1 KR 10186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in
hook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준
최창훈
Original Assignee
(주)데바텍
최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바텍, 최창훈 filed Critical (주)데바텍
Priority to KR102017001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플러그핀(12)과 접속부(16)가 구비된 제1플러그(10); 제2플러그핀(22)과 상기 제1플러그핀(12)이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26)를 구비한 제2플러그(20); 상기 제1플러그핀(12)이 상기 제2플러그(20)의 상기 연결 접속부(26)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10)와 상기 제2플러그(20)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러그 후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러그(10)는 제1바디(11)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1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16)가 내장되어 상기 접속홀(11CH)과 상기 접속부(16)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되고, 상기 제2플러그(20)는 제2바디(21)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2플러그핀(22)이 돌출되고, 상기 제2바디(21)의 후단부에는 연결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21)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접속부(26)가 내장되어 상기 연결 접속홀(11CH)과 상기 연결 접속부(26)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되며,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상기 제2바디(21)에 구비된 후크홀에 끼워지는 걸림 가동 후크편(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Plug exchange type adaptor}
본 발명은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어댑터 바디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전자제품이나 산업용 전기장치에는 상업적으로 급전되는 전원을 수전하기 위해 전원플러그가 필수적으로 채용되는데, 전원 플러그로서는 배전반을 통해 인가되는 110V 전원 또는 220V 전원에 전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원의 송전상태에서 초래되는 전원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대체로 220V 전원의 사용이 권장되는 추세이지만, 110V 전원이 정격전원으로 설정된 가정용 제품 또는 산업용 전기장치가 존재함으로 말미암아 110V 전원과 220V 전원을 선택적으로 수전하기 위한 플러그 어댑터(Adaptor)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 실정이다. 즉, 220V 전원을 110V 전원을 사용하는 제품(예를 들어, 상기 가정용 전자제품이나 산업용 전기장치 등)에 공급하기 위하여 플러그 어댑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플러그 어댑터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노트북, PC, 디스플레이 모니터, 휴대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해 주는 장치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어댑터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획득하는 단자핀과 획득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어댑터는 높은 볼트(Voltage)의 전류를 낮은 전압으로 전류로 낮추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110V나 220V의 전압을 1.5V~9V로 하강시키는 제품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가정용 전자제품이나 산업용 전기기기 등의 전원 사용제품은 220V용으로 나오는 경우 이외에 110V용으로 나오는 경우도 적지 않아서 110V 전원 사용제품에 110V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와 같이 전압을 1.5V~9V로 하강시키기 위한 플러그 어댑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즉, 220V 전압을 110V 전원 사용제품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어댑터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에 220V 전압을 110V 전원 사용제품에 적합한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에이씨(AC) 호환형 플러그 어댑터가 출시된 바 있다. 기존의 에이씨 호환형 플러그 어댑터는 220V용 플러그와 110V용 플러그가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기존에는 220V용 플러그의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연장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110V용 플러그에는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연장된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정렬한 다음, 상기 220V용 플러그를 110V용 플러그의 한쪽 면에서 다른쪽 면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서로 맞물림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220V용 플러그와 110V용 플러그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220V용 플러그의 플러그핀과 110V용 플러그의 플러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220V용 플러그의 플러그핀과 110V용 플러그의 플러그핀 사이에는 회로기판과 변압기와 같이 높은 전압을 낮은 직류 전압을 변환해주는 변압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110V용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사용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사용기기의 배터리 충전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에이씨 호환형 플러그 어댑터는 220V용 플러그와 110V용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어 전원 사용기기에 제대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220V용 플러그를 110V용 플러그의 한쪽 면에서 밀어넣어서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220V용 플러그와 110V용 플러그를 결합하는데, 상기 220V용 플러그나 110V용 플러그를 옆에서 건드리거나 밀어내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결합홈에서 결합돌기가 빠지는 경우가 많아서 220V용 플러그와 110V용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220V용 플러그와 110V용 플러그가 서로 분리됨으로 인하여 전원 사용기기에 제대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6780호(2006.07.24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03889호(2014.05.29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두 섹터의 어댑터 바디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두 섹터의 플러그핀이 쉽게 접속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플러그핀과 접속부가 구비된 제1플러그; 제2플러그핀과 상기 제1플러그핀이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를 구비한 제2플러그; 상기 제1플러그핀이 상기 제2플러그의 상기 연결 접속부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와 상기 제2플러그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러그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가 제공된다.
상기 제1플러그는 제1바디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1플러그핀이 돌출되고 상기 제1바디의 후단부에 접속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가 내장되어 상기 접속홀과 상기 접속부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되고, 상기 제2플러그는 제2바디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2플러그핀이 돌출되고, 상기 제2바디의 후단부에는 연결 접속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접속부가 내장되어 상기 연결 접속홀과 상기 연결 접속부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되며, 상기 플러그 후크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된 후크홀에 끼워지는 걸림 가동 후크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플러그는 상기 제2바디에 내장된 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핀캡에 상기 후크홀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후크는 상기 제1바디의 전단부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 후크의 상기 걸림 가동 후크편이 상기 핀캡의 상기 후크홀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 후크는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된 탄성부를 구비하여, 상기 플러그 후크가 눌려질 때에 상기 탄성부가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바디의 상기 연결 접속홀은 일자형 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플러그핀은 단면 일자형 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플러그핀이 상기 연결 접속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바디 내부에 구비된 상기 연결 접속부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디에 내장된 접속부는 유에스비 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접속홀은 일자형 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홀에 삽입된 유에스비가 상기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플러그에 제2플러그를 결합하면 플러그 후크에 의해 제1플러그에 제2플러그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2플러그(220V용 플러그)와 제1플러그(110V용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제2플러그와 제1플러그의 분리에 의해 전원 사용기기에 제대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의 주요부인 제1플러그의 탑커버와 바텀 커버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플러그의 미들 바디에 플러그 후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플러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플러그의 배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후크를 누른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1플러그의 미들 바디와 플러그 후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의 다른 주요부인 제2플러그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핀캡과 연결 접속핀의 결합된 상태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핀캡과 연결 접속핀의 결합된 상태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플러그와 제2플러그의 접속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배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플러그와 제2플러그의 접속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측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플러그 후크를 누른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플러그와 제2플러그의 접속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플러그와 제2플러그의 접속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플러그와 제2플러그의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는 제1플러그핀(12)과 접속부(16)가 구비된 제1플러그(10)와, 제2플러그핀(22)과 상기 제1플러그핀(12)이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26)를 구비한 제2플러그(20)와, 상기 제1플러그핀(12)이 제2플러그(20)의 연결 접속부(26)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10)와기 제2플러그(20)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러그 후크(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플러그(10)는 제1바디(11)와 제1플러그핀(12)과 접속부(16)를 구비한다.
상기 제1바디(11)는 미들 바디(11A)와 탑커버(11B) 및 바텀 커버(11C)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 바디(11A)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미들 바디(11A)는 상측 개방부와 하측 개방부를 구비한 루프 형상의 바디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들 바디(11A)가 상측 개방부와 하측 개방부를 구비한 사각 루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미들 바디(11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오목홈(11GR)이 구비된다. 상기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에는 돌출 블록부(11P)가 구비된다. 돌출 블록부(11P)는 단면 사각 블록 형상으로서,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 블록부(11P)의 후단부에는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이 구비된다.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은 돌출 블록부(11P)의 상하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돌출 블록부(11P)의 내부에는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이 구비된다.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은 플로그 후크 수용홀 쪽으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은 돌출 블록부(11P)의 전면으로도 연통되어 있다. 돌출 블록부(11P)가 미들 바디(11A)의 일부 구성이므로, 미들 바디(11A)에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과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이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미들 바디(11A)는 제1바디(11)의 구성이므로, 제1바디(11)에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과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은 하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L)과, 상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U)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L)은 제1바디(11)의 돌출 블록부(11P)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U)은 상기 돌출 블록부(11P)의 상면보다 위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U)의 전후단 사이의 폭은 하부 하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L)의 전후단 사이의 폭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의 안쪽면에는 탄성부 수용홈(11EG)이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은 미들 바디(11A)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부 수용홈(11EG)은 미들 바디(11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탄성부 수용홈(11EG)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라고 하면, 상기 탄성부 수용홈(11EG)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 수용홈(11EG)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의 주위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구비된다. 복수개의 탄성부 수용홈(11EG)이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의 주위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측 안쪽면에서 볼 때에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 방향에 탄성부 수용홈(11EG)이 구비된다.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의 주위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탄성부 수용홈(11EG)이 구비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의 주위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총 네 개의 탄성부 수용홈(11EG)이 구비된다.
상기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에는 제1플러그핀 결합홀이 구비된다. 제1플러그핀 결합홀은 미들 바디(11A)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일자형 홀 형상이다. 미들 바디(11A)의 양쪽 측면 사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하나씩 제1플러그핀 결합홀이 구비된다. 두 개의 제1플러그핀 결합홀이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제1플러그핀 결합홀이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 블록부(11P)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제1플러그핀 결합홀이 연통되어, 제1플러그핀 결합홀이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은 좌우 두 개의 제1플러그핀 결합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미들 바디(11A)의 후단부에는 접속홀(11CH)이 구비된다. 접속홀(11CH)은 미들 바디(11A)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일자형 홀 형상이다. 미들 바디(11A)의 양쪽 측면 사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하나씩 접속홀(11CH)이 구비된다. 두 개의 접속홀(11CH)이 미들 바디(11A)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접속홀(11CH)이 미들 바디(11A)의 후단부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탑커버(11B)는 미들 바디(11A)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미들 바디(11A)의 상측 개방부를 막아준다. 탑커버(11B)는 하부로 연장된 하향 테두리편(11CP)(11BP)이 구비된다. 상기 탑커버(11B)의 전단부에는 하향 테두리편(11CP)(11BP)보다 더 길게 아래로 연장된 프론트 하향 돌편(11FL)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하향 테두리편(11CP)(11BP)이 미들 바디(11A)의 상단부에 형성된 오목홈(11GR)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탑커버(11B)가 미들 바디(11A)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탑커버(11B)가 미들 바디(11A)의 상측 개방부를 막아주게 된다. 이때, 프론트 하향 돌편(11FL)의 일부가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측 안쪽면에 형성된 위쪽 탄성부 수용홈(11EG)의 일부와 중첩된다. 프론트 하향 돌편(11FL)의 일부가 위쪽 탄성부 수용홈(11EG)의 상단부에서 아래로 조금 더 내려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하향 돌편(11FL)의 전면에는 미들 바디(11A) 전단부의 돌출 블록부(11P)에 형성된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의 상단부와 연통된 상측 플러그 후크 가동홀이 구비된다.
상기 바텀 커버(11C)는 미들 바디(11A)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미들 바디(11A)의 하측 개방부를 막아준다. 바텀 커버(11C)는 상부로 연장된 상향 테두리편(11CP)이 구비된다. 상기 바텀 커버(11C)의 전단부에는 상향 테두리편(11CP)보다 더 길게 아래로 연장된 프론트 상향 돌편(11FU)이 더 구비된다.
상기 상향 테두리편(11CP)이 미들 바디(11A)의 하단부에 형성된 오목홈(11GR)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바텀 커버(11C)가 미들 바디(11A)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바텀 커버(11C)가 미들 바디(11A)의 하측 개방부를 막아주게 된다. 이때, 프론트 상향 돌편(11FU)의 일부가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측 안쪽면에 형성된 아래쪽 탄성부 수용홈(11EG)의 일부와 중첩된다. 프론트 상향 돌편(11FU)의 일부가 아래쪽 탄성부 수용홈(11EG)의 상단부에서 아래로 조금 더 내려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상향 돌편(11FU)의 전면에는 하측 플러그 후크 가동홈이 구비된다. 하측 플러그 후크 가동홈은 미들 바디(11A) 전단부의 돌출 블록부(11P)에 형성된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미들 바디(11A)를 측단면도로 보았을 때에 상측 플러그 후크 가동홈의 깊이가 하측 플러그 후크 가동홈의 깊이보다 더 깊다. 즉,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의 바깥면에서 상측 플러그 후크 가동홈의 안쪽면까지의 깊이가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의 바깥면에서 하측 플러그 후크 가동홈의 안쪽면까지의 깊이보다 더 깊다.
상기 제1플러그핀(12)은 단면 일자형의 핀 형상이다. 즉, 제1플러그핀(12)은 110V용 플러그핀의 형상과 동일하다. 상기 미들 바디(11A)와 탑커버(11B) 및 바텀 커버(11C)가 결합된 제1바디(11)의 제1플러그핀 결합홀에 제1플러그핀(12)이 삽입된다. 제1플러그핀(12)의 일부가 제1바디(11)의 내부로 들어가 있고, 제1플러그핀(12)의 나머지 부분은 제1바디(11)의 전단부에서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바디(11)의 내부에는 접속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제1플러그(10)는 제1바디(11)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1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내부에는 접속부(16)가 내장되어 상기 접속홀(11CH)과 접속부(16)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16)는 유에스비 소켓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홀(11CH)이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유에스비 소켓도 두 개이다. 두 개의 유에스비 소켓이 제1바디(11)의 두 개의 접속홀(11CH)과 동일 선상에서 만나도록 정렬되어 있다. 이때, 제1바디(11)에 내장된 접속부(16)는 유에스비 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구비된 접속홀(11CH)은 일자형 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홀(11CH)에 삽입된 유에스비가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두 개의 접속홀(11CH)이 나란하게 구비되고, 두 개의 접속홀(11CH)과 만나는 두 개의 유에스비가 제1바디(11)에 내장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상기 제1플러그핀(12)과 유에스비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과 변압기와 같이 110V나 220V의 전압을 1.5V~9V 정도의 낮은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변압기 장치가 연결된다. 상기 제1플러그핀(12)은 후술하는 제2플러그(20)의 연결 접속부(26)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제2플러그(20)의 제2플러그핀(22)과 제1플러그(10)의 제1플러그핀(12)에 220V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변압기 장치에 의해 유에스비에 1.5V~9V 정도의 낮은 전압이 인가된다. 이처럼 제1플러그핀(12)과 유에스비 사이의 변압기 장치는 통상의 어댑터에 구비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플러그(20)는 제2바디(21)와 제2플러그핀(22) 및 연결 접속부(26)를 구비한다. 연결 접속부(26)는 제2바디(21)에 내장된 핀캡(24)과 연결 접속핀(25)을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21)는 뒤쪽에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큰 확장 바디부를 구비한다. 제2바디(21)의 전방벽의 안쪽면에는 보강판이 더 구비된다. 보강판은 가운대의 십자형 보강 간살편과, 이 보강 간살편의 가로 간살바아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 보강 디스크를 포함한다. 보강판은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제2바디(21)의 전방벽 안쪽면에 부착되거나 전방벽의 안쪽면에 일체형으로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1)는 확장 바디부에서부터 안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홈을 구비한다.
상기 제2바디(21)의 내부에는 한 쌍의 체결구 결합보스가 구비된다. 체결구 결합보스는 둘레부에 상부 지지편과 하부 지지편 및 사이드 핀지지편(24BS)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는 확장 바디부의 후단부에서부터 제2바디(21)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데, 상기 사이드 핀지지편(24BS)은 제2바디(21)의 사이드 가이드홈을 따라 제2바디(21)의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상부 지지편과 하부 지지편은 각각 제2바디(21)의 상부 바디벽과 하부 바디벽의 안쪽면을 따라 제2바디(21)의 내부로 진입한다.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의 상부 지지편과 하부 지지편 및 사이드 핀지지편(24BS)은 접착제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제2바디(21)의 상부 바디벽과 하부 바디벽 및 사이드 가이드홈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의 전단부의 일부는 상기 보강판의 보강 디스크에 접촉된다.
상기 체결구 결합보스는 제2바디(21)의 좌우측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제2바디(21)의 내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한 쌍의 체결구 결합보스가 제2바디(21)의 내부에 구비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체결구 결합보스는 제2바디(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플러그핀(22)은 단면 원형의 핀 형상이다. 즉, 제2플러그핀(22)은 220V용 플러그핀의 형상과 동일하다. 상기 제2플러그핀(22)의 일부가 제2바디(21)의 내부로 들어가 있고, 제2플러그핀(22)의 나머지 부분은 제2바디(21)의 전방벽에서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두 개의 제2플러그핀(22)이 제2바디(21)의 앞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2플러그핀(22)의 뒤쪽 부분(제2플러그핀(22)의 후방부)이 상기 제2바디(21)의 전방벽에서 보강판의 보강 디스크를 관통하여 제2바디(21)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상기 핀캡(24)은 캡판(24A)과 핀지지부(24B) 및 연결 접속핀(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판(24A)은 제2바디(21)의 후단 개방부를 막아줄 수 있는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캡판(24A)의 형상은 후단 개방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캡판(24A)으로 제2바디(21)의 후단 개방부를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캡판(24A)에는 한 쌍의 제1플러그핀 삽입홀이 구비된다. 제1플러그핀(12)이 단면 일자형 판 형상이어서 제1플러그핀 삽입홀은 일자형 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캡판(24A)의 바깥면에는 플러그 후크 결합부가 구비된다. 플러그 후크 결합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플러그 후크 결합부는 상부 돌출 블록편과 좌우 측방 돌출 블록편과 하부 돌출 블록편이 서로 연결된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것이다. 플러그 후크 결합부의 후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플러그 후크 결합부의 전단부도 캡판(24A)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플러그 후크 결합부의 내부에 확보된 중공부는 캡판(24A)의 안쪽면에서 플러그 후크 결합부의 후단부로 개방된다. 상기 플러그 후크 결합부는 좌우 한 쌍의 제1플러그핀 삽입홀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후크 결합부에는 후크홀(20CH)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돌출 블록편과 하부 돌출 블록편 중에서 적어도 상부 돌출 블록편에 후크홀(20CH)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캡판(24A)에는 좌우 한 쌍의 체결구 관통홀이 구비된다.
상기 캡판(24A)의 안쪽면에는 보강부가 더 구비된다. 보강부는 플러그 후크(30) 결합홀 내부의 중공부와 한 쌍의 제1플러그핀 삽입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세로 보강 바아편과, 상기 세로 보강 바아편에 상하단부가 연결되어 제1플러그핀 삽입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인접 배치된 한 싸의 가로 보강 바아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지지부(24B)는 캡판(24A)의 안쪽면에서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두 개의 핀지지부(24B)가 캡판(24A)의 안쪽면에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핀지지부(24B)는 상부 핀지지편(24BU)과 사이드 핀지지편(24BS) 및 전방 핀지지편(24BF)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핀지지편(24BU)의 기단부가 캡판(24A)의 안쪽면에 연결된다. 상부 핀지지편(24BU)이 캡판(24A)의 안쪽면에서 앞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핀지지편(24BS)의 기단부는 캡판(24A)의 안쪽면에 연결되고 사이드 핀지지편(24BS)의 상단부는 상부 핀지지편(24BU)에 연결된다.
상기 전방 핀지지편(24BF)의 상단부와 한쪽 측단부가 각각 상부 핀지지편(24BU)과 사이드 핀지지편(24BS)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방 핀지지편(24BF)의 한쪽 측단부는 사이드 핀지지편(24BS)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전방 핀지지편(24BF)의 한쪽 측단부와 사이드 핀지지편(24BS) 사이에 프론트 핀스페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방 핀지지편(24BF)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핀통과홀이 구비된다.
상기 핀지지부(24B)는 후방 핀지지편(24BR)과 리니어 핀지지편(24BL)과 크로스 핀지지편(24BC)을 더 포함한다.
상기 후방 지지편은 캡판(24A)의 안쪽면에서 앞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후방 지지편의 상단부와 한쪽 측단부는 상부 핀지지편(24BU)과 사이드 핀지지편(24BS)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 핀지지편(24BL)의 상단부는 상부 핀지지편(24BU)의 저면에 연결된다. 리니어 핀지지편(24BL)의 후단부는 후방 핀지지편(24BR)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리니어 핀지지편(24BL)의 후단부와 후방 지지편의 전면 사이에 리어 핀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크로스 핀지지편(24BC)의 상단부와 내측단은 각각 상부 핀지지편(24BU)의 저면과 리니어 핀지지편(24BL)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크로스 핀지지편(24BC)의 외측단은 사이드 핀지지편(24BS)의 안쪽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크로스 핀지지편(24BC)의 외측단과 사이드 핀지지편(24BS)의 안쪽면 사이에 사이드 핀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핀지지부(24B)는 제1플러그핀 삽입홀의 옆에 구비된다. 캡판(24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하나씩 핀지지부(24B)가 구비된다. 제1플러그핀 삽입홀과 체결구 관통홀 사이에 두 개의 핀지지부(24B)가 구비된다. 캡판(24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대칭되도록 한 쌍의 핀지지부(24B)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한 쌍의 핀지지부(24B)가 캡판(24A)의 앞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구조이다.
상기 핀지지부(24B)에 연결 접속핀(25)이 결합된다. 연결 접속핀(25)은 전원이 통할 수 있는 통전성 재질로 구성된다. 연결 접속핀(25)은 통전성이 있는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접속핀(25)은 제1플러그(10)의 제1플러그핀(12)이 접촉되어 제1플러그핀(12)에 전원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 접속핀(25)은 결합 핀부(25CP), 연결 핀부(25CT), 콘택트 핀부(25CC), 접속 핀부(25CD)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핀부(25CP)는 양면 사이의 두께가 상하단 사이의 두께보다 더 얇은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 핀부(25CP)는 핀지지부(24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핀부(25CT)도 양면 사이의 두께가 상하단 사이의 두께보다 더 얇은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핀부(25CT)는 위에서 볼 때에 곡선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핀부(25CT)의 일단부가 결합 핀부(25CP)의 기단부에 연결된다. 연결 핀부(25CT)는 결합 핀부(25CP)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연결 핀부(25CT)는 결합 핀부(25CP)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콘택트 핀부(25CC)도 양면 사이의 두께가 상하단 사이의 두께보다 더 얇은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콘택트 핀부(25CC)의 기단부가 연결 핀부(25CT)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콘택트 핀부(25CC)는 위에서 볼 때에 결합 핀부(25CP)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상기 콘택트 핀부(25CC)는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일정 거리 들어온 부분이 외향 연장 핀부로 이루어진다. 콘택트 핀부(25CC)의 선단부측 일부가 외향 연장 핀부로 구성된 것이다. 외향 연장 핀부는 결합 핀부(25CP) 쪽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콘택트 핀부(25CC)의 길이 방향에서 결합 핀부(25CP) 쪽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외형 연장 핀부가 연장되어 있다. 콘택트 핀부(25CC)의 길이 방향과 외형 연장 핀부 사이의 각도는 90°보다 더 큰 둔각이다.
상기 접속 핀부(25CD)는 양면 사이의 두께가 상하단 사이의 두께보다 더 얇은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접속 핀부(25CD)의 내측단이 결합 핀부(25CP)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접속 핀부(25CD)는 결합 핀부(25CP)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 핀부(25CD)가 결합 핀부(25CP)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취한다. 접속 핀부(25CD)는 핀지지부(24B)의 전방 핀지지편(24BF)과 마주하도록 배열된다. 접속 핀부(25CD)가 핀지지부(24B)의 전방 핀지지편(24BF) 앞에 배열된다. 접속 핀부(25CD)에는 제2플러그핀(22)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제2플러그핀(22) 접속홀(11CH)은 상기 전방 핀지지편(24BF)에 형성된 핀통과홀과 마주하도록 배열된다. 제2플러그핀(22) 접속홀(11CH)의 중심부가 핀통과홀의 중심부와 동일 선상에 배열된다.
상기 결합 핀부(25CP)는 핀지지부(24B)의 내부에 형성된 핀수용부에 내장된다. 즉, 결합 핀부(25CP)는 상기 사이드 핀스페이스 및 프론트 핀스페이스에 끼워져서 핀지지부(24B)의 내부에 형성된 핀수용부에 내장된다. 사이드 핀스페이스는 크로스 핀지지편(24BC)의 외측단과 사이드 핀지지편(24BS)의 안쪽면 사이에 확보된 스페이스이고, 프론트 핀스페이스는 전방 핀지지편(24BF)의 외측단과 사이드 핀지지편(24BS)의 안쪽면 사이에 확보된 스페이스로서, 상기 결합 핀부(25CP)가 사이드 핀스페이스 및 프론트 핀스페이스에 끼워짐으로써 핀지지부(24B)의 내부에 형성된 핀수용부에 내장된 구조를 취한다. 바람직하게, 결합 핀부(25CP)의 양면 사이의 두께에 비하여 사이드 핀스페이스 및 프론트 핀스페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스의 폭이 더 작아서 결합 핀부(25CP)가 사이드 핀스페이스 및 프론트 핀스페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스에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결합 핀부(25CP)가 핀지지부(24B)의 내부의 핀수용부에 내장됨과 동시에 핀지지부(24B)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핀부(25CT)는 리어 핀스페이스에 끼워진다. 리어 핀스페이스는 리니어 핀지지편(24BL)의 후단부와 후방 핀지지편(24BR)의 전면 사이에 확보된 스페이스로서, 이러한 리어 핀스페이스에 연결 핀부(25CT)가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연결 핀부(25CT)의 양면 사이의 두께에 비하여 리어 스페이스의 폭이 더 작아서 연결 핀부(25CT)가 리어 핀스페이스에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 핀부(25CP)가 핀지지부(24B)에 내장됨으로써 상기 연결 접속핀(25)이 핀캡(24)의 핀지지부(24B)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핀부(25CP)는 핀지지부(24B)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연결 핀부(25CT)와 접속 핀부(25CD)는 핀지지부(24B)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콘택트 핀부(25CC)는 결합 핀부(25CP)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핀지지부(24B)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콘택트 핀부(25CC)의 일부인 외향 연장 핀부는 결합 핀부(25CP)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연결 핀부(25CT)의 일부(곡선형 연결 핀부(25CT)의 일부)가 상기 핀지지부(24B)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콘택트 핀부(25CC)도 핀지지부(24B)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접속핀(25)은 핀캡(24)의 좌우 양쪽에 배열된 한 쌍의 핀지지부(24B)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한 쌍의 연결 접속핀(25)이 핀캡(24)에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한 쌍의 연결 접속핀(25)의 콘택트 핀부(25CC)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핀지지부(24B)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핀캡(24)에서 핀지지부(24B)와 연결 접속핀(25)이 제1플러그핀(12)이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기 위한 연결 접속부(26)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연결 접속핀(25)은 통전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통전성 금속재)로 구성되어, 상기 핀지지부(24B)에 결합된 연결 접속핀(25)이 제1플러그(10)판과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결 접속부(26)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캡판(24A)과 핀지지부(24B) 및 연결 접속핀(25)을 포함하는 구성의 핀캡(24)은 제2바디(21)의 내부에 결합된다. 캡판(24A)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체결구 관통홀에는 체결구(볼트나 피스 등)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는 제2바디(21)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체결구 결합보스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핀캡(24)이 제2바디(21)의 내부에 결합된다. 핀캡(24)의 캡판(24A)은 제2바디(21)의 확장 바디부 앞의 개방부를 막아주게 된다. 상기 핀캡(24)이 체결구에 의해 제2바디(2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제2바디(21)의 확장 바디부의 확장 개방부는 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캡판(24A)의 뒤로 돌출된 플러그 후크 결합부는 확장 바디부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2플러그핀(22)은 220V용 플러그핀의 형상과 동일한 단면 원형의 핀 형상으로서, 제2플러그핀(22)의 뒤쪽 부분(제2플러그핀(22)의 후방부)이 상기 제2바디(21)의 전방벽에서 보강판의 보강 디스크를 관통하여 제2바디(21)의 내부에 들어가 있으므로, 상기 핀캡(24)이 제2바디(21)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접속핀(25)의 접속 핀부(25CD)에 형성된 제2플러그핀(22) 접속홀(11CH)에 제2플러그핀(22)의 후방부가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핀지지부(24B)의 전방 핀지지편(24BF)에 형성된 핀통과홀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2플러그핀(22)의 후방부가 연결 접속핀(25)에 형성된 제2플러그핀(22) 접속홀(11CH)에 결합되어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플러그핀(22)과 연결 접속핀(25)의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10)는 제1바디(11)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1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내부에는 접속부(16)가 내장되어 상기 접속홀(11CH)과 접속부(16)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되고, 상기 제2플러그(20)는 제2바디(21)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2플러그핀(22)이 돌출되고, 상기 제2바디(21)의 후단부에는 연결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21)의 내부에는 연결 접속부(26)가 내장되어 연결 접속홀(11CH)과 연결 접속부(26)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된다.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제2바디(21)에 구비된 후크홀에 끼워지기 위한 주요부인 걸림 가동 후크편(32)을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후크 바디(31)와, 걸림 가동 후크편(32)과 탄성부(34)를 포함한다. 플러그 후크(30)는 후크 헤드(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 바디(31)는 좌우 폭에 비하여 상하단 사이의 거리가 더 긴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 헤드(35)는 후크 바디(31)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후크 헤드(35)의 전후면 사이의 두께는 후크 바디(31)의 전후면 사이의 두께보다 더 크다.
상기 걸림 가동 후크편(32)의 기단부가 후크 바디(31)의 전면에 연결된다. 후크 바디(3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 가동 후크편(32)이 배열된다. 후크 바디(31)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이라 하면, 상기 걸림 가동 후크편(32)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후크 바디(31)의 옆에서 볼 때에 걸림 가동 후크편(32)이 후크 바디(31)의 전면에서 앞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후크 바디(31)를 세워서 옆으로 볼 때에 후크 바디(3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걸림 가동 후크편(3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림 가동 후크편(32)의 선단부에는 걸림 후크돌기가 구비된다. 걸림 후크 돌기는 걸림 가동 후크편(32)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 후크편은 걸림 가동 후크편(3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크 바디(31)를 세워서 옆에서 볼 때에 걸림 후크편이 후크 바디(31)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탄성부(34)는 후크 바디(31)의 측단부에서 옆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크 바디(31)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볼 때에 탄성부(34)가 옆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탄성부(34)는 브릿지 탄성부(34A)와 보강 탄성부(34B) 및 지지 탄성부(34C)를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탄성부(34A)의 기단부가 후크 바디(31)의 측단부에 연결된다. 브릿지 탄성부(34A)는 후크 바디(3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크 바디(31)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볼 때에 브릿지 탄성부(34A)가 후크 바디(31)의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보강 탄성부(34B)는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와 직선형 탄성부(34B2)와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의 일단부가 브릿지 탄성부(34A)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는 후크 바디(31)의 후면에서 볼 때에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의 일단부가 브릿지 탄성부(34A)의 선단부에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직선형 탄성부(34B2)의 일단부가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직선형 탄성부(34B2)는 후크 바디(31)의 후면에서 볼 때에 후크 바디(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후크(30)를 세워놓고 후면에서 볼 때에 직선형 탄성부(34B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상기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의 일단부가 직선형 탄성부(34B2)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는 후크 바디(31)의 후면에서 볼 때에 원주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탄성부(34C)의 내측단이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지지 탄성부(34C)는 직선형 탄성부(34B2)와 나란하게 배열된다. 지지 탄성부(34C)는 후크 바디(31)의 후면에서 볼 때에 후크 바디(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탄성부(34)는 후크 바디(31)의 측단부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후크 바디(31)의 후면에서 볼 때에 탄성부(34)가 후크 바디(31)의 양쪽 측단부에 복수개로 구비돈다. 본 발명에서는 후크 바디(31)의 후면에서 볼 때에 네 개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탄성부(34)가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제1바디(11)에 형성된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러그 후크(30)의 몸체인 후크 바디(31)는 제1바디(11)의 돌출 블록부(11P)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하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L)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U)에는 후크 바디(31) 상단부의 후크 헤드(3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34)는 제1바디(11)의 전단벽 안쪽면에 형성된 탄성부 수용홈(11EG)에 안착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는 제1플러그(10)와 제2플러그(20)를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결합할 사용할 수 있다.
제1플러그(10)와 제2플러그(2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플러그 후크(30)가 제1바디(11)에 결합된 탄성부(34)에 의해 정상 위치(즉, 플러그 후크(30)가 눌리지 않은 위치)로 올라가 있으며 동시에 걸림 가동 후크편(32)은 제1바디(11)의 전단벽에서 앞으로 돌출된 돌출 블록부(11P) 내부의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에 들어가 있게 된다.
제1플러그(10)와 제2플러그(20)가 결합시기기 위해서는 제2플러그(20)의 후단부에 형성된 연결 접속홀(11CH)에 제1플러그(10)의 앞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플러그핀(12)이 만나도록 정렬시킨다.
다음, 제1플러그(10) 쪽으로 제2플러그(20)를 밀어넣으면, 상기 제2플러그(20)의 후단부에 형성된 연결 접속홀(11CH)로 제1플러그(10)의 제1플러그핀(12)이 들어와서 상기 핀캡(24)의 핀지지부(24B)에 있는 연결 접속핀(25)이 접촉되어 제2플러그(20)의 제2플러그핀(22)과 제1플러그(10)의 제1플러그핀(12)이 연결 접속핀(25)을 매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플러그(20)의 후면에 구비된 플러그 후크 결합부가 제1플러그(10)의 앞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블록부(11P) 내부의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로 진입하고, 상기 걸림 가동 후크편 수용홀(11DH)에 들어와 있는 플러그 후크(30)의 걸림 가동 후크편(32) 선단부의 걸림 후크돌기가 상기 제2플러그(20)의 플러그 후크 결합부에 형성된 후크홀에 걸려지게 되며, 상기 플러그 후크(30)의 걸림 후크돌기가 제2플러그(20)에 형성된 후크홀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제1플러그(10)에 제2플러그(2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10)와 제2플러그(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플러그(10)의 후단에 구비된 접속홀(11CH)을 통해서 유에스피 코드의 유에스비 플러그를 삽입하여 제1플러그(10) 내부의 유에스비에 접속하며, 유에스비 코드에 연결된 충전 대상제품(예를 들어, 가정용 전자제품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의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플러그(10)에서 제2플러그(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후크(30)를 누른 상태에서 제1플러그(10)에서 제2플러그(20)를 빼내면 된다.
상기 플러그 후크(30)를 누르면, 플러그 후크(30)의 옆으로 돌출되어 있는 탄성부(34)가 제1플러그(10)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 수용홈(11EG)에서 위로 휘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플러그 후크(30)의 걸림 가동 후크편(32)에 구비된 걸림 후크돌기는 제2플러그(20)의 후방에 있는 플러그 후크 결합부의 상기 후크홀에서 빠져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제1플러그(10)의 앞으로 제2플러그(20)를 당겨주면 제1플러그(10)의 제1플러그핀(12)이 제2플러그(20) 내부의 핀지지부(24B)와 연결 접속홀(11CH)에서 빠지고 동시에 상기 핀지지부(24B)에 구비된 연결 접속핀(25)과 제1플러그핀(12)의 접속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제1플러그(10) 앞으로 제2플러그(20)를 빼낸 다음에 플러그 후크(30)의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위로 휘어져 있던 탄성부(34)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펴지면서 플러그 후크(30)를 원래의 정상 위치로 상승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1플러그(10)에 제2플러그(20)를 결합하면 플러그 후크(30)에 의해 제1플러그(10)에 제2플러그(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2플러그(20)( 220V용 플러그)와 제1플러그(10)(110V용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제2플러그(20)와 제1플러그(10)의 분리에 의해 전원 사용기기에 제대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20)의 핀캡(24)에 구비된 핀지지부(24B)에 제1플러그(10)에 구비된 제1플러그핀(12)을 삽입하여 연결 접속핀(25)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1플러그(10)와 제2플러그(20)의 접속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 후크(30)의 걸림 가동 후크편(32)에 구비된 걸림 후크돌기가 상기 제2플러그(20)의 핀캡(24) 후방에 구비된 플러그 후크 결합부에 후크홀에 걸려지게 되면서 상기 제1플러그(10)에 제2플러그(20)가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2플러그(20) 또는 제1플러그(10)를 옆에서 건드리거나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제1플러그(10)에서 제2플러그(20)가 빠지는 경우가 전혀 생지지 않으므로, 제2플러그(20)(220V용 플러그)와 제1플러그(10)(110V용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고, 제2플러그(20)와 제1플러그(10)가 서로 분리되어 전원 사용기기에 제대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핀캡(24)을 제2바디(21)에 결합하면, 핀캡(24)에 구비된 연결 접속핀(25)이 제2플러그핀(22)에 통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므로, 제2플러그핀(22)과 연결 접속핀(25)의 연결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핀캡(24)은 체결구에 의해 제2바디(21)에 결합되므로, 체결구를 풀어서 손쉽고 신속하게 핀캡(24)을 제2바디(21)에서 분리할 수 있고, 제2바디(21)의 내부에 핀캡(24)과 연결 접속핀(25)을 결합하는 작업 역시 신속하게 손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 후크(30)를 누를 때에 제1바디(11)의 내부의 탄성부 수용홈(11EG)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체가 위로 휘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는데, 상기 보강 탄성부(34B)가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와 직선형 탄성부(34B2)와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가 상기 탄성부(34) 수용홈의 상단 홈벽에 접촉되어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와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가 반경이 더 커지고 동시에 상기 직선형 탄성부(34B2)는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탄성부(34) 수용홈의 상단 홈벽과 하단 홈벽에 각각 접촉되므로, 상기 탄성부(34)의 탄성 복원력을 더 강하게 하면서도 탄성부(34)가 과도하게 위쪽으로 휘어져서 플러그 후크(30)의 후크 바디(31)에서 파단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거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플러그 후크(30)를 누를 때에 탄성부(34)가 위로 과도하게 휘어져서 후크 바디(31)에서 부러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부(34) 자체의 탄성 복원력은 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제1바디(11)의 전단벽 안쪽면에서 볼 때에 상하 좌우 균형 있게 배치되므로, 플러그 후크(30)가 균일하게 눌려지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 후크(3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될 때에 균일한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플러그 후크(30)가 눌려진 상태에서 원래 위치로 확실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 후크(30)의 후크 바디(31)는 제1바디(11)의 하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L)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크 바디(31) 상단부의 후크 헤드(35)는 제1바디(11)의 상측 플러그 후크 가동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바디(21)의 상면(정확하게는, 확장 바디부의 상면)보다 더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 후크(30)를 누를 때에 후크 헤드(35)의 하단부가 제2바디(21)의 상면(정확하게는 확장 바디부의 상면)에 걸려지게 되므로, 플러그 후크(30)가 제1바디(11)의 플러그 후크 수용홀(11H)에서 아래로 빠지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미들 바디(11A)에 탑커버(11B)와 바텀 커버(11C)를 결합하면, 탑커버(11B)의 프론트 하향 돌편(11FL)의 일부가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측 안쪽면에 형성된 위쪽의 탄성부 수용홈(11EG)의 일부와 중첩되어 상기 탑커버(11B)의 프론트 하향 돌편(11FL)이 플러그 후크(30)의 탄성부(34)의 일부를 안쪽에서 받쳐주고 동시에 바텀커버의 프론트 상향 돌편(11FU)의 일부가 미들 바디(11A)의 전단부측 안쪽면에 형성된 아래쪽의 탄성부 수용홈(11EG)의 일부와 중첩되어 상기 바텀커버의 프론트 상향 돌편(11FU)이 플러그 후크(30)의 탄성부(34)의 일부를 안쪽에서 받쳐주고 있으므로, 상기 플러그 후크(30)가 제1바디(11)의 전단벽에서 안쪽으로 밀려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러그 후크(30)의 탄성부(34)가 제1바디(11)의 전단벽에서 안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턱의 구조는 미들 바디(11A)에 탑커버(11B)와 바텀커버의 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 바디(11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11GR)에 탑커버(11B)의 하향 테두리편(11CP)(11BP)과 바텀 커버(11C)의 상향 테두리편(11CP)을 끼워줌으로써 미들 바디(11A)에 탑커버(11B)와 바텀 커버(11C)를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속핀(25)은 결합 핀부(25CP), 연결 핀부(25CT), 콘택트 핀부(25CC), 접속 핀부(25CD) 및 외향 연장핀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플러그(10) 앞의 제1플러그핀(12)을 제2플러그(20)의 후단부에 구비된 연결 접속홀(11CH)에 삽입하여 핀캡(24)의 핀지지부(24B)에 밀어넣으면, 상기 제1플러그핀(12)의 전진에 따라 연결 핀부(25CT)의 일부는 눌려지면서 제2플러그핀(22) 방향으로 전진하고 동시에 콘택트 핀부(25CC) 및 외향 연장핀부는 결합 핀부(25CP) 쪽으로 눌려지고 외형 연장핀부의 선단부는 결합 핀부(25CP)의 안쪽면에 접촉되므로, 상기 연결 핀부(25CT)의 일부와 콘택트 핀부(25CC) 및 외향 연장핀부가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 핀부(25CT)의 일부와 콘택트 핀부(25CC) 및 외향 연장핀부가 제1플러그핀(12)의 한쪽 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연결 접속핀(25)과 제1플러그핀(12) 사이의 접촉 불량으로 인하여 통전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핀부(25CT)는 위에서 볼 때에 곡선형 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플러그(10)의 제1플러그핀(12)이 제2플러그(20) 내부의 핀지지부(24B)에 결합되기 위해 밀려 들어올 때에 상기 제1플러그핀(12)의 선단부에 연결 핀부(25CT)의 곡선형 핀부로 인하여 제1플러그핀(12)의 보다 원활하게 제2플러그핀(2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상기 제2플러그(20)에 제1플러그(10) 앞의 제1플러그핀(12)으로 보다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핀캡(24)을 제2바디(21)의 내부에 밀어넣어서 결합하면, 상기 연결 접속핀(25)의 접속 핀부(25CD)에 형성된 제2플러그핀(22) 접속홀(11CH)에 제2바디(21)의 내부로 들어와 있는 제2플러그핀(22)의 일부가 결합되므로, 연결 접속핀(25)을 제2플러그핀(22)에 보다 확실하게 통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할 수 있고, 핀캡(24)을 밀어넣으면 연결 접속핀(25)의 접속 핀부(25CD)에 형성된 제2플러그핀(22) 접속홀(11CH)에 제2플러그핀(22)의 뒤쪽이 자동적으로 삽입되므로, 제2플러그핀(22)과 연결 접속핀(25) 사이의 통전 접속 작업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제1플러그 11. 제1바디
11A. 미들 바디 11B. 탑커버
11C. 바텀 커버 11GR. 오목홈
11EG. 탄성부 수용홈 11CH. 접속홀
11P. 돌출 블록부 11H. 플러그 후크 수용홀
11DH. 걸림 가동 후크 수용홀 11HL. 하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
11HU. 상부 플러그 후크 수용홀 11BP. 하향 테두리편
11FL. 프론트 하향 돌편 11FU. 프론트 상향 돌편
12. 제1플러그핀 16. 접속부
20. 제2플러그 21. 제1바디
22. 제2플러그핀 24. 핀캡
24A. 캡판 24B. 핀지지부
24BU. 상부 핀지지편 24BS. 사이드 핀지지편
24BF. 전방 핀지지편 24BR. 후방 핀지지편
24BL. 리니어 핀지지편 24BC. 크로스 핀지지편
25. 연결 접속핀 25CP. 결합 핀부
25CT. 연결 핀부 25CC. 콘택트 핀부
25CD. 접속 핀부 26. 연결 접속부
30. 플러그 후크 31. 후크 바디
32. 걸림 가동 후크편 34. 탄성부
35. 후크 헤드

Claims (6)

  1. 제1플러그핀(12)과 접속부(16)가 구비된 제1플러그(10);
    제2플러그핀(22)과 상기 제1플러그핀(12)이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26)를 구비한 제2플러그(20);
    상기 제1플러그핀(12)이 상기 제2플러그(20)의 상기 연결 접속부(26)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10)와 상기 제2플러그(20)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러그 후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플러그(10)는 제1바디(11)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1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부(16)가 내장되어 상기 접속홀(11CH)과 상기 접속부(16)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되고, 상기 제2플러그(20)는 제2바디(21)의 전단부에 한 쌍의 제2플러그핀(22)이 돌출되고, 상기 제2바디(21)의 후단부에는 연결 접속홀(11CH)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21)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접속부(26)가 내장되어 상기 연결 접속홀(11CH)과 상기 연결 접속부(26)가 만나도록 동일 선상에 정렬되며,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상기 제2바디(21)에 구비된 후크홀에 끼워지는 걸림 가동 후크편(32)을 구비하고,
    상기 제2플러그(20)는 상기 제2바디(21)에 내장된 핀캡(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핀캡(24)에 상기 후크홀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상기 제1바디(11)의 전단부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 후크(30)의 상기 걸림 가동 후크편(32)이 상기 핀캡(24)의 상기 후크홀에 걸려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후크(30)는 상기 제1바디(11)에 결합된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34)는 브릿지 탄성부(34A)와 보강 탄성부(34B) 및 지지 탄성부(34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릿지 탄성부(34A)의 기단부가 후크 바디(31)의 측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 탄성부(34A)는 상기 후크 바디(3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 탄성부(34B)는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와 직선형 탄성부(34B2)와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의 일단부가 상기 브릿지 탄성부(34A)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직선형 탄성부(34B2)의 일단부가 상기 내측 곡선형 탄성부(34B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직선형 탄성부(34B2)는 상기 후크 바디(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의 일단부가 상기 직선형 탄성부(34B2)의 타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탄성부(34C)의 내측단이 상기 외측 곡선형 탄성부(34B3)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탄성부(34C)는 상기 직선형 탄성부(34B2)와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34)는 상기 후크 바디(31)의 양쪽 측단부에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21)의 상기 연결 접속홀(11CH)은 일자형 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플러그핀(12)은 단면 일자형 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플러그핀(12)이 상기 연결 접속홀(11CH)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바디(11) 내부에 구비된 상기 연결 접속부(26)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11)에 내장된 접속부(16)는 유에스비 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후단부에 구비된 상기 접속홀(11CH)은 일자형 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홀(11CH)에 삽입된 유에스비가 상기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KR1020170017536A 2017-02-08 2017-02-08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KR10186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36A KR101869761B1 (ko) 2017-02-08 2017-02-08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36A KR101869761B1 (ko) 2017-02-08 2017-02-08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761B1 true KR101869761B1 (ko) 2018-07-19

Family

ID=6305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536A KR101869761B1 (ko) 2017-02-08 2017-02-08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7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146A (ja) * 2000-12-22 2002-07-12 Mitsumi Electric Co Ltd Acアダプタ用変換プラグ
KR100606780B1 (ko) 2004-05-31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JP2007052998A (ja) * 2005-08-17 2007-03-01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JP2009104881A (ja) * 2007-10-23 2009-05-14 Canon Inc Ac機器のロック機構
KR20120030426A (ko) * 2009-05-18 2012-03-28 피홍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연결가능한 전기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KR101403889B1 (ko) 2012-11-22 2014-06-09 박채선 전원어댑터플러그
JP3195400U (ja) * 2014-10-31 2015-01-15 ティ・アール・エイ株式会社 交流直流変換器
KR20170069118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146A (ja) * 2000-12-22 2002-07-12 Mitsumi Electric Co Ltd Acアダプタ用変換プラグ
KR100606780B1 (ko) 2004-05-31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JP2007052998A (ja) * 2005-08-17 2007-03-01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JP2009104881A (ja) * 2007-10-23 2009-05-14 Canon Inc Ac機器のロック機構
KR20120030426A (ko) * 2009-05-18 2012-03-28 피홍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연결가능한 전기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KR101403889B1 (ko) 2012-11-22 2014-06-09 박채선 전원어댑터플러그
JP3195400U (ja) * 2014-10-31 2015-01-15 ティ・アール・エイ株式会社 交流直流変換器
KR20170069118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댑터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95400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6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CN107181115B (zh) 自由更换插头的电源插座
US9112326B2 (en) Power adapter with a combinational plug
KR101214847B1 (ko)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CN109983648A (zh) 充电连接器及充电装置
CN110809912A (zh) 用于移动工作站的电力系统
KR101869761B1 (ko)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CN219322096U (zh) 一种充电器
CN211182748U (zh) 可替换式插头结构
EP3896801A1 (en) Power plug retention clip
JP2010055896A (ja) コンセント、プラグ及び配線装置
CN209641997U (zh) 插座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KR101204574B1 (ko) 콘센트
US8556647B2 (en) Wall receptacle cover plate with plug latch
CN214706532U (zh) 带有按钮的可拆卸插头的转换头
CN210156686U (zh) 一种拼接式插座
CN215419744U (zh) 无线充电装置
CN214706534U (zh) 可替换插头的转换头
CN217882924U (zh) 一种充电装置
CN210744225U (zh) 一种自动脱扣焊接插座
CN216903655U (zh) 电信号转接装置
CN217062705U (zh) 一种连接结构以及转换装置
CN218448807U (zh) 一种多功能排插
CN215777413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