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889B1 - 전원어댑터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어댑터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889B1
KR101403889B1 KR1020120132910A KR20120132910A KR101403889B1 KR 101403889 B1 KR101403889 B1 KR 101403889B1 KR 1020120132910 A KR1020120132910 A KR 1020120132910A KR 20120132910 A KR20120132910 A KR 20120132910A KR 101403889 B1 KR101403889 B1 KR 10140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terminal
plug
cas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890A (ko
Inventor
박채선
Original Assignee
박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채선 filed Critical 박채선
Priority to KR102012013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8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끼워져 전자/전기기기에 정격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어댑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360도 자유 회전 가능한 전원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a)이 일측 면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11a) 각각과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타측 면으로 연장되어 인서트되는 플러그(20)의 접속단자에 대한 접지력과 구속력을 제공하는 플러그접속구(11b)가 마련된 원판형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30)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1a)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의 일부와 접속단자(12a)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수용하되,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접속부(12)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와 결합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11)를 접속부(12) 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12)를 케이스(13) 방향으로 밀어서 접속부(12)가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15)가 마련된 덮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 터미널(11a)이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에 대해 탄성접지력을 제공하는 가운데, 콘센트(30)에 끼워져 고정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를 포함한 케이스(13)와 덮개(14) 및 접속된 플러그(20)가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전기기기의 잦은 위치 이동 및 움직임에도 플러그(20)의 전선(1)이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면(12b)이 마련되는 부분에 환턱(12c)을 마련함으로써, 터미널(11a) 간의 쇼트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전원어댑터플러그{POWER SUPPLY ADAPTOR PLUG}
본 발명은 전원어댑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전기기기의 전기플러그의 단자와 결합되어, 전기플러그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원어댑터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360도 자유 회전 가능한 전원어댑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댑터의 사전적 의미는 기계나 기구 따위를 여러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덧붙이는 기구이며 특히, 전원어댑터플러그는 전자/전기기기의 전기플러그의 단자와 결합되어, 전기플러그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구를 총칭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어댑터플러그는 2개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어댑터플러그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와 일체로 이루어진 콘센트 접속단자가 어댑터플러그 본체의 하부면 일측 방향에 돌출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원어댑터플러그는 콘센트에 꽂혀진 상태에서는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전자/전기기기가 움직임 내지는 이동을 요할 경우, 전선의 꼬임 내지는 꺾임으로 인해 해당 부위의 전선이 단선(斷線)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자/전기기기의 전기플러그의 단자와 결합되어, 전기플러그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원어댑터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360도 자유 회전 가능한 전원어댑터플러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a)이 일측 면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11a) 각각과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타측 면으로 연장되어 인서트되는 플러그(20)의 접속단자에 대한 접지력과 구속력을 제공하는 플러그접속구(11b)가 마련된 원판형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30)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1a)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의 일부와 접속단자(12a)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수용하되,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접속부(12)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와 결합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11)를 접속부(12) 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12)를 케이스(13) 방향으로 밀어서 접속부(12)가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15)가 마련된 덮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 터미널(11a)이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에 대해 탄성접지력을 제공하는 가운데, 콘센트(30)에 끼워져 고정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를 포함한 케이스(13)와 덮개(14) 및 접속된 플러그(20)가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전기기기의 잦은 위치 이동 및 움직임에도 플러그(20)의 전선(1)이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면(12b)이 마련되는 부분에 환턱(12c)을 마련함으로써, 터미널(11a) 간의 쇼트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성 및 탄성 접지 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러그와 콘센트를 접속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a)이 일측 면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11a) 각각과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타측 면으로 연장되어 인서트되는 플러그(20)의 접속단자에 대한 접지력과 구속력을 제공하는 플러그접속구(11b)가 마련된 원판형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30)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1a)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의 일부와 접속단자(12a)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수용하되,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접속부(12)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와 결합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11)를 접속부(12) 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12)를 케이스(13) 방향으로 밀어서 접속부(12)가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15)가 마련된 덮개(1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회전부(11)는 중앙이 관통된 원판체로서, 일체로 이루어진 상기 터미널(11a)과 플러그접속구(11b)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결합된 것일 수도 있고, 나사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1)를 구성하는 터미널(11a)은 금속과 같은 도전체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한 쌍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1)를 구성하는 플러그접속구(11b) 역시 금속과 같은 도전체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한 쌍의 접속단자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접속부(12)는 상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단턱진 블록체로서, 하부에는 콘센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12)를 구성하는 접속단자(12a)는 접지를 위한 단자가 하나 더 포함되어 3개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12)를 구성하는 접지면(12b)은 접속부(12)의 상부면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부분과 간격을 두고 림 형태로 마련되는 도전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12a)와 전선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중앙부분과 외곽부분의 접지면(12b)은 각각 환턱(12c)에 의해 상호격리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케이스(13)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면을 관통하는 접속부(12)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통공(13a)이 형성된 함체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접속부(12)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구조는 접속부(12)의 플랜지(12a) 부분이 통공(13a) 상방에 걸리고, 접속부(12) 하단 부분만 케이스(13) 하부로 노출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덮개(14)는 케이스(13)와 결합(나사 결합 또는/및 홈과 돌기에 의한 결합)되면서 회전부(11) 및 접속부(12)를 수용하고 외부에 대해 밀폐시키는 하부 개방형 함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14) 상방 내측의 하부면(케이스(13)의 통공(13a)에 대응되는 방향의 면)에 가압부(15)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가압부(15)는 덮개(14)의 내부 일측 방향의 면에 끼움 고정되는 원통체로서, 상기 접속부(12)에 대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환턱(15a); 상기 가압환턱(15a) 내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주고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11)의 고정면을 제공하면서 접속부(12)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환테(1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15)를 구성하는 가압환턱(15a)의 선단부 주연부분에는 접속부(12)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반구 형상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a)이 일측 면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11a) 각각과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타측 면으로 연장되어 인서트되는 플러그(20)의 접속단자에 대한 접지력과 구속력을 제공하는 플러그접속구(11b)가 마련된 원판형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30)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1a)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의 일부와 접속단자(12a)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수용하되,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접속부(12)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와 결합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11)를 접속부(12) 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12)를 케이스(13) 방향으로 밀어서 접속부(12)가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15)가 마련된 덮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회전부(11)는 중앙이 관통된 원판체로서, 일체로 이루어진 상기 터미널(11a)과 플러그접속구(11b)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11)를 구성하는 터미널(11a)은 금속과 같은 도전체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한 쌍의 판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11)를 구성하는 플러그접속구(11b) 역시 금속과 같은 도전체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한 쌍의 접속단자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접속부(12)는 상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단턱진 블록체로서, 하부에는 콘센트(30)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고정되고, 상부면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부분과 간격을 두고 림 형태로 마련되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접지면(12b)이 마련된다. 상기에서 중앙부분과 외곽부분의 접지면(12b)은 각각 환턱(12c)에 의해 상호격리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케이스(13)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의 일측 방향에 상기 접속부(12)가 관통되면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통공(13a)이 형성된 함체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덮개(14)는 케이스(13)와 결합(나사 결합 또는/및 홈가 돌기에 의한 결합)되면서 회전부(11) 및 접속부(12)를 수용하고 외부에 대해 밀폐시키는 하부 개방형 함체이다. 이때, 상기 덮개(14)의 내부 일측 방향의 면(케이스(13)의 통공(13a)에 대응되는 방향의 면)에 가압부(15)가 돌출 마련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가압부(15)는 덮개(14)의 내부 일측 방향의 면에 끼움 고정되는 원통체로서, 상기 접속부(12)에 대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환턱(15a); 상기 가압환턱(15a) 내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주고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11)의 고정면을 제공하면서 접속부(12)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환테(15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가압부(15)를 구성하는 가압환턱(15a)의 선단부 주연부분에는 접속부(12)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반구 형상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의 접속단자를 덮개(14)의 단자구멍을 통해 끼우면 플러그(20)의 접속단자가 플러그접속구(11b)에 끼워지면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플러그(20)가 접속된 전원어댑터플러그(10)를 콘센트(30)에 끼워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그리하면, 접속부(12)는 콘센트(30)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케이스(13)와 덮개(14) 및 이들의 내부에 수용된 회전부(11)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 각각에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터미널(11a)이 각각 접촉한 상태로 360도 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된다.
즉, 접속부(12)의 접속단자(12a)가 콘센트에 끼워져 접속 고정된 상태에서 전자/전기기기의 움직임(이동)이 발생하여 전선이 당겨지게 되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12)를 중심으로 케이스(13)와 덮개(14)로 이루어진 어댑터본체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덮개(14)의 가압부(15)에 고정된 회전부(11)의 한 쌍의 터미널(11a)이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 각각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 터미널(11a)이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에 대해 탄성접지력을 제공하는 가운데, 콘센트(30)에 끼워져 고정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를 포함한 케이스(13)와 덮개(14) 및 접속된 플러그(20)가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전기기기의 잦은 위치 이동 및 움직임에도 플러그(20)의 전선(1)이 꼬이거나 꺾이지 않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접속부(12) 중앙부분과 외곽부분의 접지면(12b)은 각각 환턱(12c)에 의해 상호격리되어, 상기 접지면(12b)에 대해 회전부(11)의 터미널(11a)의 접속 시 상호 접촉에 의한 쇼트를 방지하고, 정 위치에서 회전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되면, 판체 형태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터미널(11a)이 휘어지면서 다른 접지면(12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쇼트를 방지하고 정위치 회전 접촉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원어댑터 11 : 회전부
11a : 터미널 11b : 플러그접속구
12 : 접속부 12a : 접속단자
12b : 접지면 12c : 환턱
13 : 케이스 13a : 통공
14 : 덮개 15 : 가압부
15a : 가압환턱 15b : 가압환테
20 : 플러그 30 : 콘센트
1 : 전선

Claims (5)

  1.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a)이 일측 면에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11a) 각각과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타측 면으로 연장되어 인서트되는 플러그(20)의 접속단자에 대한 접지력과 구속력을 제공하는 플러그접속구(11b)가 마련된 원판형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30)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1a)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
    상기 접속부(12)의 일부와 접속단자(12a)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수용하되,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접속부(12)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와 결합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11)를 접속부(12) 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12)를 케이스(13) 방향으로 밀어서 접속부(12)가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15)가 마련된 덮개(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1)는 중앙이 관통된 원판체로서, 일체로 이루어진 상기 터미널(11a)과 플러그접속구(11b)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결합되고, 회전부(11)에 포함된 터미널(11a)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판스프링이며, 상기 플러그접속구(11b) 역시 도전체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접속단자로서 터미널(11a)과 플러그접속구(11b)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2)는 상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단턱진 블록체로서, 하부에는 콘센트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고정되고, 상부면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부분과 간격을 두고 림 형태로 마련되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접지면(12b)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단자(12a)와 접지면(12b)은 전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3)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의 일측 방향에 상기 접속부(12)가 관통되면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통공(13a)이 형성된 함체이고, 상기 덮개(14)는 케이스(13)와 결합되면서 회전부(11) 및 접속부(12)를 수용하고 외부에 대해 밀폐시키는 하부 개방형 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어댑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5)는 덮개(14)의 내부 일측 방향의 면에 끼움 고정되는 원통체로서, 상기 접속부(12)에 대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환턱(15a); 상기 가압환턱(15a) 내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단차를 주고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11)의 고정면을 제공하면서 접속부(12)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환테(15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가압부(15)를 구성하는 가압환턱(15a)의 선단부 주연부분에는 접속부(12)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반구 형상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어댑터.
KR1020120132910A 2012-11-22 2012-11-22 전원어댑터플러그 KR10140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10A KR101403889B1 (ko) 2012-11-22 2012-11-22 전원어댑터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10A KR101403889B1 (ko) 2012-11-22 2012-11-22 전원어댑터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90A KR20140065890A (ko) 2014-05-30
KR101403889B1 true KR101403889B1 (ko) 2014-06-09

Family

ID=5089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910A KR101403889B1 (ko) 2012-11-22 2012-11-22 전원어댑터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61B1 (ko) 2017-02-08 2018-07-19 (주)데바텍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KR102304650B1 (ko) 2021-02-01 2021-09-24 이종찬 교류 전원 코드 보호용 전원 어댑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7018B (zh) * 2015-05-20 2017-10-20 莫西元 一种方向可选的高压大电流连接器
KR102557923B1 (ko) * 2016-01-12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러그 일체형 어댑터
KR101992433B1 (ko) * 2017-12-06 2019-06-25 김민철 회전용 소켓
KR102129452B1 (ko) * 2019-08-01 2020-07-02 조용호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KR102192391B1 (ko) *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KR102195704B1 (ko) * 2020-09-28 2020-12-2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원판접촉형 회전플러그
KR102192383B1 (ko) *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연보 일체형 회전플러그
KR102192389B1 (ko) *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샌드위치형 회전플러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22Y1 (ko) * 1999-08-20 2000-02-15 신영성 회전 기능을 갖는 플러그
KR20000031973A (ko) * 1998-11-11 2000-06-05 김형호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
KR20030019714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가전기기용 플러그 어댑터
KR100826430B1 (ko) 2006-11-02 2008-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전원 플러그를 갖는 전원공급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973A (ko) * 1998-11-11 2000-06-05 김형호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
KR200169322Y1 (ko) * 1999-08-20 2000-02-15 신영성 회전 기능을 갖는 플러그
KR20030019714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가전기기용 플러그 어댑터
KR100826430B1 (ko) 2006-11-02 2008-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전원 플러그를 갖는 전원공급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61B1 (ko) 2017-02-08 2018-07-19 (주)데바텍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KR102304650B1 (ko) 2021-02-01 2021-09-24 이종찬 교류 전원 코드 보호용 전원 어댑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90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889B1 (ko) 전원어댑터플러그
US9281638B2 (en) Connectors
JP2010536140A (ja) 電気接続装置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JP3153232U (ja) 回転式プラグ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KR101411288B1 (ko) 전기플러그
CN107069351B (zh) 适配器
KR20150089861A (ko) 멀티 탭 콘센트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US20200059055A1 (en) Socket capable of pulling off plug with one hand
EP3255738B1 (en) Smart plug socket device
KR101810535B1 (ko)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WO2008108739A1 (en) Omni-directional power outlet cover
KR20000005637U (ko) 멀티콘센트
KR101717987B1 (ko) 회전접힘식 플러그
KR101473379B1 (ko) 전기콘센트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KR101435154B1 (ko) 전원연결장치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CN210576665U (zh) 隐蔽式电插座
JP3164427U (ja) コンセント
KR102195704B1 (ko) 원판접촉형 회전플러그
KR101185347B1 (ko) 콘센트 손상방지용 전기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