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987B1 - 회전접힘식 플러그 - Google Patents

회전접힘식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987B1
KR101717987B1 KR1020140163226A KR20140163226A KR101717987B1 KR 101717987 B1 KR101717987 B1 KR 101717987B1 KR 1020140163226 A KR1020140163226 A KR 1020140163226A KR 20140163226 A KR20140163226 A KR 20140163226A KR 101717987 B1 KR101717987 B1 KR 10171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terminal
terminals
rot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962A (ko
Inventor
이영일
Original Assignee
이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일 filed Critical 이영일
Priority to KR102014016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9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는,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상기 각 전원단자가 장착되는 단자케이스로 구성된 단자유닛과, 상기 각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회전단자와, 상기 각 회전단자가 장착되는 회전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유닛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각 회전단자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전원케이블의 동선으로부터 이어지는 제1 및 제2 폴딩단자와 상기 각 폴딩단자가 장착되는 폴딩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과 일정 각도만큼 접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편 및, 상기 제1 접속편의 하방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폴딩유닛은 제1 및 제2 폴딩단자의 선단이 회전케이스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입된 각 폴딩단자의 선단에 힌지핀이 관통됨으로써 회전유닛에 대하여 접힘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전원케이블을 따라 자유회전 및 접힘회동되기 때문에 전기제품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협소공간에서 전원콘센트에 전원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접힘식 플러그{Rotatable And Foldable Plug}
본 발명은 전원콘센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회전 및 접힘회동 가능한 회전접힘식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전기제품에 구비된 플러그를 건물에 마련된 붙박이 전원콘센트 등에 연결하는 이른바 플러그인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나 것과 같이 종래의 플러그(5)는 전기제품의 전원케이블(3) 선단에 구성되어 있으며, 전원케이블(3) 내부의 동선(銅線)과 연결되는 한쌍의 전원단자(7) 및, 이를 감싸는 몰딩부(8)로 이루어져 있다.
몰딩부(8)의 선단에는 몰딩부(8) 보다 가늘고 두께가 얇은 형태로서 표면에 다수개의 노치홈(9a)이 형성되어 완만하게 구부러짐 가능한 벤딩가이드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벤딩가이드부(9)는 몰딩부(8)와 이어지는 전원케이블(3)의 선단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함으로써 전원케이블(3)이 과도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벤딩가이드부(9)가 없는 것으로 가정하여 보면, 몰딩부(8)와 전원케이블(3)의 이음매가 과도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케이블(3)의 피복이 파단되어 동선이 노출되거나, 심하게는 동선이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감전이나 단락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벤딩가이드부(9)가 갖추어진 특성상 전원케이블(3)의 구부러지는 정도가 급격하지 않고 완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원케이블(3)의 파손이 방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벤딩가이드부(9)에 의해 전원케이블(3)의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기다리미나 전기청소기 등과 같은 이른바 가동성(可動性) 전기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케이블(3)이 꼬이는 등 전기제품의 움직임에 제약이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종래기술에 따르면, 벤딩가이드부(9)의 구부러짐이 원만하지 않기 때문에 협소공간에서 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연결하는 것이 어려우며, 협소공간에서 무리하게 벤딩가이드부(9)를 구부려서 플러그를 연결한 상태가 지속되면, 벤딩가이드부(9)가 파단될 위험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 제10-2014-009902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케이블의 움직임에 맞추어 자유회전 및 접힘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전기제품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협소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전원콘센트와 연결될 수 있는 회전접힘식 플러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가 장착되는 단자케이스로 구성된 단자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회전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가 장착되는 회전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유닛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전원케이블 내부의 동선으로부터 이어지는 제1 및 제2 폴딩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폴딩단자가 장착되는 폴딩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과 일정 각도만큼 접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케이스는 자유회전 가능하게 단자케이스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편 및, 상기 제1 접속편의 하방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속편 및 제2 접속편은 링형태로서 상기 단자케이스 내에 입설(立設)된 지지축에 끼움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제1 및 제2 접속편은 각각 제1 및 제2 접속코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지지축은 중공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제1 접속편을 연결하는 제1 접속코드는 상기 지지축의 내부를 통해 배선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는 탄성적으로 만곡 가능한 박판 플레이트 구조로서,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링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딩유닛은 상기 폴딩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및 제2 폴딩단자의 선단이 상기 회전케이스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입된 제1 및 제2 폴딩단자의 선단에 절연재질의 힌지핀이 관통되어 힌지 체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는 그 상단이 상기 힌지핀에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폴딩단자와 각각 접하고, 그 하단이 상기 단자케이스 내에 입설된 지지축에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접속편과 각각 접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전원케이블을 따라 자유회전 및 접힘회동 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제품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협소공간에서 전원콘센트에 전원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의 각 단자 접속구조를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에 적용되는 회전단자의 소재 및 형태에 따른 기능적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의 자유회전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의 접힘회동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부터 도 7b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10)는 전원콘센트에 결합되는 단자유닛(20)과, 상기 단자유닛(20)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유닛(30)과, 상기 회전유닛(30)에 접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딩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유닛(20)은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전원단자(24)(24‘)와 상기 각 전원단자(24)(24’)가 장착되는 단자케이스(22)로 구성되는데, 상기 단자케이스(22)는 예시적으로 납작한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유닛(30)은 상기 각 전원단자(24)(24‘)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회전단자(34)(34’)와, 상기 각 회전단자(34)(34‘)가 장착되는 회전케이스(32)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케이스(32)는 예시적으로 그 하부가 상기 단자케이스(22)의 상면과 합치되도록 원반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는 굴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회전단자(34)(34‘)는 탄성적으로 만곡 가능한 박판 플레이트 구조로서, 그 상단(341)(341’)과 하단(342)(342‘)이 각각 링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딩유닛(40)은 상기 각 회전단자(34)(34‘)와 전기적으로 그 선단이 각각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전원케이블(3) 내부의 동선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폴딩단자(44)(44’)와, 상기 각 폴딩단자(44)(44‘)가 장착되는 폴딩하우징(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유닛(20)과 회전유닛(30)의 연결구조는 상기 회전케이스(32)의 하부가 360ㅀ자유회전 가능하게 단자케이스(22)의 상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유닛(30)이 단자유닛(20)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상, 각 회전단자(34)(34‘) 역시 각 전원단자(24)(24’)에 대하여 그 접속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이 같은 각 전원단자(24)(24‘)와 각 회전단자(34)(34’)의 접속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자케이스(22) 내에는 그 바닥면(221)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절연재질의 지지축(28)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축(28)은 중공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된 바와 같이 그 내부공간을 통하여 접속코드(25)(25‘)의 배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축(28)에는 링형태의 제1 접속편(26) 및 제2 접속편(26‘)이 상하로 이격되어 끼움장착되며, 상기 제1 접속편(26)과 제2 접속편(26’)은 각각의 접속코드(25)(25‘)에 의해 각각 제1 전원단자(24) 및 제2 전원단자(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전체인 각 접속편(26)(26')이 절연체인 지지축(28)에 직접 결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지지축(28)에 서로 이격되는 상하부 돌출부를 형성하고, 각 접속편(26)(26')을 각각 상하부 돌출부 상에 배치하여 상하부 돌출부가 별도로 각 접속편(26)(26')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각 접속편(26)(26')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편(26‘)은 단자케이스(22)의 바닥면(221)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원단자(24)와 제1 접속편(26)을 연결하는 제1 접속코드(25)는 지지축(28)의 하부(단자케이스의 바닥면과 제2 접속편 사이)에 형성된 인입홀(28a)을 통해 지지축(28)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어 지지축(28)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접속편(26)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인출홀(28b)을 통해 제1 접속편(26)과 이어지는 구조로 배선된다.
상기 제2 전원단자(24‘)와 제2 접속편(26‘)을 연결하는 제2 접속코드(25’)는 상기 지지축(28)의 외부에서 상기 제1 접속코드(25)와 겹치지 않도록 배선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편(26)과 제2 접속편(26‘)에는 각 회전단자(34)(34’)의 하단(342)(342‘)이 지지축(28)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각각 접촉된다.
즉, 각 회전단자(34)(34‘)의 하단(342)(342’)이 상기 지지축(28)을 공통의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각 접속편(26)(26‘)과 각각 접촉됨으로써 각 회전단자(34)(34’)의 회전이동궤적이 상호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유닛(30)의 회전작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30)과 폴딩유닛(40)의 연결구조는, 상기 각 폴딩단자(44)(44‘)의 선단이 상기 폴딩하우징(4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케이스(32)내로 인입된 상태에서, 각 폴딩단자(44)(44‘)의 선단에 절연재질의 힌지핀(36)이 관통되어 힌지 체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케이스(32)의 돌출된 상부에는 한쌍의 관통슬롯(32a)이 형성되고, 상기 각 폴딩단자(44)(44‘)는 그 선단이 상기 각 관통슬롯(32a)을 통해 회전케이스(32) 내로 인입되어 상기 힌지핀(36)과 체결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각 폴딩단자(44)(44‘)의 힌지핀(36)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작동은 자유롭게 가능한 반면, 각 폴딩단자(44)(44‘)의 수평방향의 유동은 관통슬롯(32a)의 폭만큼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폴딩단자(44)(44‘)가 힌지핀(36)을 따라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각 폴딩단자(44)(44‘)의 선단은 힌지핀(36)의 관통연결이 용이토록 패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회전단자(34)(34‘)는 그 상단(341)(341’)이 상기 힌지핀(36)에 끼워져 상기 각 폴딩단자(44)(44‘)와 접하게 되며 그 하단(342)(3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28)에 끼워져 상기 각 접속편(26)(26‘)과 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접속상태에서는 각 회전단자(34)(34’)가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 회전단자(34)(34‘)의 하단(342)(342’)은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축(28)에 끼워지는 특성상 그 위치가 고정되는 반면 상단(341)(341‘)은 수평방향의 힌지핀(36)에 끼워져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어느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각 회전단자(34)(34‘)의 상단은 수평 외측방향(폴딩단자측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폴딩유닛(40)의 접힘회동에 의해 각 폴딩단자(44)(44‘)가 회동되더라도, 각 회전단자(34)(34‘)의 상단(341)(341’)은 각 폴딩단자(44)(44‘)의 선단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회전단자(34)의 이러한 기능적인 특성은 회전단자(34)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만곡 가능한 박판 플레이트형태로서 원래 평평한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이를 구부리는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려는 탄성적인 반발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단자(34)는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및 강도가 높은 도전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폴딩단자(44)(44‘)는 각 회전단자(34)(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힌지핀(36)과 연계되는 구조상 힌지구조물로서의 역할도 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단자(34)(34‘)와 각 폴딩단자(44)(44’)가 하나의 힌지핀(36)에 의해 공통적으로 지지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힌지핀(36)이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간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전기적으로 안정된 지지구조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힘식 플러그에 의하면, 단자유닛(20)의 전원단자(24)(24‘)가 전원콘센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도 7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회전유닛(30)이 전원케이블(3)에 이끌려 움직임으로써 전원콘센트와 평행하게 자유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폴딩유닛(40)은 회전유닛(30)의 회전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내에서 접힘회동 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유닛(30)과 폴딩유닛(40)이 서로 각기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특성상, 전원케이블(3)의 움직임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전원케이블(3)이 꼬이지 않기 때문에, 전기다리미나 전기청소기 같은 가동성 전기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기제품의 보다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원콘센트의 전방에 냉장고나 TV 혹은 가구 등이 배치됨으로써 전원콘센트에 대하여 여유공간이 넉넉하지 않은 경우에도, 폴딩유닛(40)이 접힘회동 되는 특성상 전원콘센트와의 연결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유닛(30)의 자유회전 및 폴딩유닛(40)의 접힘회동 작동에도 불구하고 전원단자(24)(24‘)와 회전단자(34)(34’)의 접촉구조 및 회전단자(34)(34‘)와 폴딩단자(44)(44’)의 접촉구조가 쇼트서킷(short-circuit)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제품으로의 전원공급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10: 회전접힘식 플러그
20: 단자유닛 22: 단자케이스 24,24‘: 제1 및 제2 전원단자
25,25’: 제1 및 제2 접속코드
26: 제1 접속편 26‘: 제2 접속편
30: 회전유닛 32: 회전케이스 32a: 관통슬롯
34,34': 제1 및 제2 회전단자
36: 힌지핀
40: 폴딩유닛 42: 폴딩하우징 44,44': 제1 및 제2 폴딩단자

Claims (8)

  1.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가 장착되는 단자케이스로 구성된 단자유닛과, 상기 각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회전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가 장착되는 회전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유닛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전원케이블 내부의 동선으로부터 이어지는 제1 및 제2 폴딩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폴딩단자가 장착되는 폴딩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과 일정 각도만큼 접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딩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회전케이스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단자케이스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단자유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편 및, 상기 제1 접속편의 하방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편에는 제1 회전단자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제2 접속편에는 제2 회전단자의 하단이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속편 및 제2 접속편은 각각 링형태로서 상기 단자케이스 내에 입설(立設)된 지지축에 끼움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와 제1 및 제2 접속편은 각각 제1 및 제2 접속코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는 탄성적으로 만곡 가능한 박판 플레이트 구조로서, 그 상단과 하단이 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힘식 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중공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제1 접속편을 연결하는 상기 제1 접속코드는 상기 지지축의 내부를 통해 배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힘식 플러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유닛은
    상기 폴딩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및 제2 폴딩단자의 선단이 상기 회전케이스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입된 제1 및 제2 폴딩단자의 각각의 선단에 절연재질의 힌지핀이 관통되어 힌지 체결됨으로써
    회전유닛에 대하여 접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힘식 플러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단자는
    각각 그 상단이 상기 힌지핀에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폴딩단자와 각각 접하고, 그 하단이 상기 단자케이스 내에 입설된 지지축에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접속편과 각각 접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만곡됨으로써 그 상단이 상기 제1 및 제2 폴딩단자측으로 각각 밀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힘식 플러그.
KR1020140163226A 2014-11-21 2014-11-21 회전접힘식 플러그 KR10171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26A KR101717987B1 (ko) 2014-11-21 2014-11-21 회전접힘식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26A KR101717987B1 (ko) 2014-11-21 2014-11-21 회전접힘식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62A KR20160060962A (ko) 2016-05-31
KR101717987B1 true KR101717987B1 (ko) 2017-03-20

Family

ID=5609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226A KR101717987B1 (ko) 2014-11-21 2014-11-21 회전접힘식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311B1 (ko) * 2020-09-24 2021-04-01 조유정 각도조절이 가능한 전기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641Y1 (ko) * 1988-07-18 1992-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형 콘센트
JPH0658585U (ja) * 1993-01-21 1994-08-12 株式会社仲野電機製作所 差し込みプラグ
KR200225332Y1 (ko) * 1997-10-17 2001-06-01 이정태 방향전환이 가능한플러그
KR20140099028A (ko) 2013-02-01 2014-08-11 유태승 단자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311B1 (ko) * 2020-09-24 2021-04-01 조유정 각도조절이 가능한 전기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62A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22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388352B1 (en) Duck head connector
KR101403889B1 (ko) 전원어댑터플러그
US6935878B2 (en) Electrical plug with pivotable and retractable terminals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US4040696A (en) Electric device having rotary current collecting means
US6793499B1 (en) Rotatable electrical plug
JP2008521202A (ja) リオリエンタブル電気レセプタクル
KR20100043215A (ko) 전기 연결장치
KR101717987B1 (ko) 회전접힘식 플러그
KR20140065886A (ko) 전기플러그
KR102551599B1 (ko) 어댑터
KR200398891Y1 (ko) 회동식 접속부를 갖는 안전 콘센트
KR101263113B1 (ko) 안전 콘센트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JP5138485B2 (ja) 電源プラグおよび電源プラグ装置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TWI384694B (zh) Coaxial rotating power connector
KR101100257B1 (ko) 2극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콘센트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101656309B1 (ko) 전선 꼬임 방지 장치
KR101763340B1 (ko)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KR20170037076A (ko) 플러그
US20240097388A1 (en) Extension socket and ground-electrode conductive structure thereof
KR102083187B1 (ko) 잔여 전선 처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