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641Y1 - 가변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가변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641Y1
KR920002641Y1 KR2019880011653U KR880011653U KR920002641Y1 KR 920002641 Y1 KR920002641 Y1 KR 920002641Y1 KR 2019880011653 U KR2019880011653 U KR 2019880011653U KR 880011653 U KR880011653 U KR 880011653U KR 920002641 Y1 KR920002641 Y1 KR 920002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ver
rotary
mandre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813U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1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641Y1/ko
Publication of KR900003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형 콘센트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콘센트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가변형콘센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콘센트복스의 내부 단면도.
제 4a,b 도는 플러그삽입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복스 2 : 라운드형판스프링
3 : 적연물 4, 5 : 링형단자편
8 : 회정굴대 9, 10 : 회전단자
본 고안은 전기기구와 배선간을 접속하는 콘센트복스에 있어서 특히 덮개에 부설된 콘센트를 전기기구의 설치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시키거나 절첩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구를 꽂는 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실내 기물을 벽면에 밀착시킬 경우 벽콘센트에 플러크를 꽂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벽콘센트에 플러그를 손쉽게 꽂기 위하여는 콘센트에 꽂는 멀티아답타의 경우에는 잘 빠지기 때문에 콘센트복스에 기구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콘센트를 부설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기구와 배선간을 접속하는 코너센트에 있어서 콘센스복스 내부에 판스프링 탄성에 의해 쿳숀을 받는 절연물과, 이 절연물의동심원 리브상에 고정시킨 링형단자편과, 콘센트 복스의 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굴대와, 상기 회전굴대의 원중심으로 부터 편심되게 몰딩되어 상기 링형단자편에 점접속되는 한쌍의 회전전극과, 상기한 회전굴대의 리브상에 노출된 회전전극의 반원형 접점과, 상기 회전굴대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카바와 이 콘센트카바 내부의 접속단자에 돌추되어 상기 회전 전극의 접점에 접속되는 힌지진극과, 콘센트카바의 힌지전극을 고정하는 회전굴대카바를 구비하여 플러그의 삽지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된 가변형 콘센트를 나타낸다.
콘센트복스(1)에 스크류로 체결된 덮개(7)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회전굴대(8)에 콘센트카바(11)가 힌지단자를 이용하여 축설됨으로써 플러그 삽입방향을 360°회전할 수 있고 콘센트카바(11)만을 90°로 절첩할 수 있다.
제 2 도는 상술한 가변형 콘센트의 조립상태를 분해한 것이다.
상자형의 콘센트복스(1) 내면에는 스프링홈(1a)이 있고 이곳에 라운드형 판스프링(2)을 삽입하게 되며 스프링 상측으로 스프링홈으로 내입되는 절연물(3)의 동심원리브(3a)상에 링형단자편(4) (5)을 고정함과 동시에 그의 리드부(4', 5')를 단자 삽입구명(17, 17')에 끼운다음 콘센트(6) 콘센트 복스(1) 외부에서 체결함으로써 링형 단자편(4) (5)에 쿳숀을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 콘센트복스(1)에 분할된 덮개(7)를 체결하되 상기 덮개(7)는 반원교출부(7a, 7b)가 원을 이루도록 2개로 분할되어 대접되게 된 구조로 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콘센트복스의 덮개에는 원통표면에 회전홈(8a)이 형성된 회전굴대(8)를 그림과 같이 조립한다.
상기한 회전굴대(8)는 그 중심으로 부터 각기 다른 위치에 각각의 중심이 위치되게 몰딩시킨 회전전극(9) (10)이 있고 이 회전전극(9) (10)의 하단에 있는 라운드부는 콘센트복스내에 고정된 링형단자편(4) (5)에 각기 접속된다.
또한 회전굴대(8)의 회전전극(9) (10) 상단은 회전 굴대의 리브(8b)위로 노출되도록 하여 반원상태의 접점(9a) (10a)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점(9a) (10a)에는 회전굴대에 절첩가능하게 축설되는 콘센트카바(11)의 양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한 접속단자(12)의 힌지단자(12a) (12a')가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콘센트카바(1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콘세트카바(11)를 고정해 주는 회전굴대카바(13)가 결합된다.
이 회전굴대카바(13)의 개방부 양측면에는 콘센트카바(11)의 힌지단자(12a) (12a')를 수용하면서 유동을 억제하는 힌지받이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14)는 콘센트카바를 결합하는 나사이다.
제 3 도는 콘센트복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복스(1) 내면의 단층면을 이루는 스프링삽입홈(1a)내에는 라운드형 판스프링(2)이 있고 이 스프링(2)의 탄성에 의해 유동하는 절연물(3)의 동심원 상단에 고정된 링형단자편(4) (5)은 외측으로 절곡된 리드부(4', 5')가 콘센트복스(1)에 관통되어진 관통공(17, 17')으로 돌출되어져 전원과 연결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상기한 링형단자편(4) (5)에는 콘센트복스(1)의 덮개(7)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회전굴대(8)에 몰딩시킨 회전단자(9) (10)가 각기 접속되며 이때 판스프링(2)은 접점상태를 양호하게 해준다.
제 4 도는 가변형 콘센트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낸다.
그림 (a) 도에서와 같이 벽면등에 기몰이 놓여있는 상태에서는 콘센트카바(11)를 접어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면서 회전굴대(8)만을 회전시켜 전기기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러그의 코드가 꺽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그림 (b)와 같이 콘센트카바(11)를 점선과 같이 90°각도로 펼치면 플러그를 전방에서도 꽂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의 삽지방향이 자유롭고 전기기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콘센트를 가변시켜 실내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기기구와 배선간을 접속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복스 내부의 판스프링(2) 탄성에 의해 쿳숀을 받는 절연물(3)과, 이 절연물(3)의 동심원 리브(3a)상에 고정시킨 링형단자편(4) (5)과, 콘센트 복스의 덮개의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굴대(8)와, 상기 회전굴대(8)의 중심으로 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몰딩되어 상기 링형 단자편에 점접속되는 한쌍의 회전전극(9) (10)과, 상기한 회전굴대(8)의 리브상에 노출된 회전전극(9) (10)의 반원형접점(9a) (10a)과, 회전굴대(8)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콘센트카바(11)와, 이 콘센트카바(11) 내부의 접속단자에 돌출되어 회전전극(9) (10)의 접점에 접속되는 힌지전극(12a) (12a')과, 콘센트카바(11)의 힌지전극(12a) (12a')을 고정하는 회전굴대카바(13)를 구비하여 플러그의 삽지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콘센트복스(1)의 덮개(7)는 2개로 분할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콘센트.
KR2019880011653U 1988-07-18 1988-07-18 가변형 콘센트 KR920002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653U KR920002641Y1 (ko) 1988-07-18 1988-07-18 가변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653U KR920002641Y1 (ko) 1988-07-18 1988-07-18 가변형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13U KR900003813U (ko) 1990-02-08
KR920002641Y1 true KR920002641Y1 (ko) 1992-04-27

Family

ID=1927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653U KR920002641Y1 (ko) 1988-07-18 1988-07-18 가변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6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987B1 (ko) * 2014-11-21 2017-03-20 이영일 회전접힘식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813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522B1 (en) Electrical socket
US7156673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n electrical source
JP3444866B2 (ja) 回転式プラグを有するアダプタ
KR880006496A (ko) 조절가능한 램프하우징을 구비한 회중전등
KR920002641Y1 (ko) 가변형 콘센트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398891Y1 (ko) 회동식 접속부를 갖는 안전 콘센트
KR200283186Y1 (ko)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GB2094564A (en) Lamp socket for a push-in type lamp assembly
WO2020140468A1 (zh) 卡扣式旋转开关基座
KR200315680Y1 (ko) 2극 스위치
JPS6022883Y2 (ja) ヘア−ドライヤ
KR840001733Y1 (ko) 전화기용 중간 콘넥터
KR20000001203U (ko) 절첩식 플러그
KR200168702Y1 (ko) 콘센트
KR200150467Y1 (ko)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KR900000462Y1 (ko) 전기 플러그
KR200183098Y1 (ko) 콘센트
KR850001270Y1 (ko) 110v/220v겸용 플러그
JPS629663Y2 (ko)
JPS63143766A (ja) 差込みプラグ
JP3064228U (ja) リレ―回転可能コンセント
JP3014527U (ja) 電器用安全プラグ
US4050774A (en) Cap and connector for five-wire applications
KR890001075Y1 (ko)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