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467Y1 -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 Google Patents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467Y1
KR200150467Y1 KR2019960047109U KR19960047109U KR200150467Y1 KR 200150467 Y1 KR200150467 Y1 KR 200150467Y1 KR 2019960047109 U KR2019960047109 U KR 2019960047109U KR 19960047109 U KR19960047109 U KR 19960047109U KR 200150467 Y1 KR200150467 Y1 KR 200150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169U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60047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46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터미널을 직접 설치하고 플러그가 터미널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회동되도록 함으로서, 구조를 간소화한 충전기의 플러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케이스 외부에 회동되는 플러그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내측단에 이동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상기 이동단자와 연속적으로 점접촉되는 터미널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제1도는 종래 플러그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플러그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플러그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인쇄회로기판
12 : 플러그 13 : 터미널
15 : 이동단자 16 : 레일
17 : 돌기 18 : 홈
본 고안은 충전기의 플러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와 연결된 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과 직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구성을 간소화한 충전기의 플러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를 구성하는 케이스(1)의 일측단에 플러그(2)가 절첩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플러그(2) 내측단의 단자(2a)가 케이스(1) 내부에 터미널(4)과 연결되고 터미널(4)은 케이스(1) 내부에 인쇄회로기판(3)에 설치된다. 또한 터미널(4)과 인쇄회로기판(3)은 와이어(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충전기는 케이스(1)의 일측단에 설치된 플러그(2)를 90°회전시켜 콘센트에 꼽는다. 이때 전원이 플러그(2)와 터미널(4) 및 와이어(5)를 거쳐 인쇄회로기판(3)에 설치된 회로부품으로 전달되고 배터리가 충전된다. 그러나 전원에서 교류전원을 끌어들이는 플러그(2)와 그 전류를 인쇄회로기판(3)으로 전달하는 터미널(4) 사이에 플러그(2)를 회전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회전체가 구비되어야 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외이어(5)가 필요함으로 재료비가 상승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터미널을 직접 설치하고 플러그가 터미널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회동되도록 함으로서, 구조를 간소화한 충전기의 플러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고 케이스 외부에 회동되는 플러그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내측단에 이동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상기 이동단자와 연속적으로 점접촉되는 터미널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플러그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고 제3도는 본 고안 플러그장치의 단면도 이다. 충전기를 구성하는 케이스(10) 내부 일측에 힌지핀(14)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플러그(12)가 구비되고 플러그(12)의 내측단에 이동단자(15)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 내부에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10이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11)의 일측에 터미널(13)이 설치된다.
터미널(13)은 상부에 이동단자(15)와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원호형의 레일(16)이 마련되어 플러그(12) 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이동단자(15)와 레일(16)을 거쳐 인쇄회로기판(11)으로 전달된다. 또한 이동단자(15)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기(17)가 형성되고 레일(16)에는 돌기(17)가 단계적으로 걸리는 홈(18)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일측에 플러그(12)가 묻히는 플러그자리(10a)가 구비되어 플러그(12)가 접어진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케이스(1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11)에 터미널(13)이 직접 설치되어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터미널(13)의 상부에 형성된 원호형의 레일(16)에 플러그(12) 내측단의 이동단자(15)가 끼워져 연속적으로 점접촉 된다. 즉 플러그(12)가 플러그자리(10a)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보관하기 편리하다. 또한 플러그(12)를 90°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면 이동단자(15)가 레일(16)과 접촉되어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세워진 상태에서 돌기(17)가 홈(18)에 끼워져 유동억제 됨으로 플러그(12)를 콘센트에 꼽을 때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터미널이 구비되고 이의 직 상부에 힌지핀을 준심으로 회동되는 플러그가 구비된다. 또한 플러그의 내측단에 이동단자가 형성되고 이동단자와 연속적으로 점접촉되는 레일이 터미널에 구비된다. 따라서 플러그를 회동시켜 세우면 이동단자가 레일과 연속적으로 점접촉되면서 회로적으로 연결됨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터미널과 인쇄회로기판이 직접 연결됨으로 구조가 간소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스(10) 내부에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1)이 구비되고 케이스(10) 외부에 회동되는 플러그(12)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2)의 내측단에 이동단자(15)가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1)의 상부에 상기 이동단자(15)와 연속적으로 점접촉되는 터미널(1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자(12)에 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13)에 레일(16)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16)에 상기 돌기(17)에 선택적으로 홈(18)이 다수개 형성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충전의 플러그 장치.
KR2019960047109U 1996-12-10 1996-12-10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KR200150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109U KR200150467Y1 (ko) 1996-12-10 1996-12-10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109U KR200150467Y1 (ko) 1996-12-10 1996-12-10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69U KR19980034169U (ko) 1998-09-05
KR200150467Y1 true KR200150467Y1 (ko) 1999-07-01

Family

ID=1947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109U KR200150467Y1 (ko) 1996-12-10 1996-12-10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4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369B1 (ko) * 2004-10-2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플러그를 갖는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69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884A (en) Fused electrical plug
KR950026066A (ko) 건전기 충전기를 위한 접철식 플러그
JP2008176989A (ja) プラグアダプタ
GB2319655A (en) A variable geometry battery compartment
US5834919A (en) Structure of cellular telephone battery charger
CA3124225C (en) Wireless hair dryer system and rechargeable socket thereof
KR200150467Y1 (ko)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KR200260860Y1 (ko)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US6250939B1 (en) Adapter with diversified plugs and rectifying function
US20020090983A1 (en)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unit of a mobile telephone handset
KR20050058809A (ko) 어댑터용 플러그 구조
KR101282944B1 (ko) 로터리 콘센트
KR20000001203U (ko) 절첩식 플러그
KR100389806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220605Y1 (ko) 핸드폰 충전기
ATE183024T1 (de) Zwischenstecker mit zusatzfunktion
KR200260858Y1 (ko)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KR200324998Y1 (ko) 전원 연결 장치
EP1024646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e embase pour terminal sans fil à une prise murale
US4740933A (en) Flexible band with electrical circuit for a time piece
KR920002641Y1 (ko) 가변형 콘센트
JP3120330U (ja) コンセント付き電池充電器
JP3395321B2 (ja) 充電器一体型バッテリー
KR200268942Y1 (ko) 충전지 내장형 휴대폰 충전기
KR200173819Y1 (ko) 커넥터의 퓨즈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