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998Y1 - 전원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998Y1
KR200324998Y1 KR2019980015737U KR19980015737U KR200324998Y1 KR 200324998 Y1 KR200324998 Y1 KR 200324998Y1 KR 2019980015737 U KR2019980015737 U KR 2019980015737U KR 19980015737 U KR19980015737 U KR 19980015737U KR 200324998 Y1 KR200324998 Y1 KR 200324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battery
cov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051U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5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99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Y02E60/1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와 이 커버에 단자가 끼움 결합되어 있고 단자와 케이스가 탄성 힌지 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탄성 힌지 핀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함으로써 힌지 결합부의 틈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기 위한 전선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 힌지 핀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는 전선이 커버의 개폐시에 이동되는 거리가 작아져 응력이 줄어들게 되어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자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케이스와 커버의 탄성 힌지 핀은 외주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힌지 결합부의 틈새가 없도록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전원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연결 장치
본 고안은 전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덮개 등 이동부에 형성된 단자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류 등을 취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컴팩트 카메라, 카셋트 라디오, 기타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 케이스를 가지는 여러 가지 전자기기에 이용될 수 있는 전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수납 케이스는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 수납 케이스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101), 이 케이스(101)의 덮개 역할을 하는 커버(103)가 케이스(101)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101)는 내부에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한쪽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기 위한 단자(105)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03)에도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할 수 있는 단자(107)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자(105, 107)는 한쪽이 양의 단자이면 다른 한쪽은 음의 단자로 구성되고 있다. 케이스(101)는 외측으로 연장부(10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장부(101a)에는 힌지 핀(109)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03)에 결합되어 있는 단자(107)는,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한 부분이 연장되는 연장부(107a)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장부(107a)에는 케이스(101)의 연장부(101a)에 형성되는 구멍과 일치되도록 또 다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장부(101a, 107a)에 힌지 핀(109)이 끼워져 케이스(101)와 커버(103)의 결합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커버(103)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107)로부터 전원을 인출하기 위하여 연장부(107a)에 전선(111)이 납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물론 케이스(101)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105)에도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기 위한 전선(113)이 납땜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 연결 장치는 케이스(101)에 배터리를 수납하고 커버(103)를 닫으면 케이스(101)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113) 및 커버(103)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107)가 배터리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단자(도시생략)와 밀착되어 전선(111, 113)을 통하여 전원이 인출된다.
이때 반복적으로 커버(103)를 개폐하게 되면 이 커버(103)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단자(107)에 고정되어 있는 전선(111)에 응력이 증가하여 전선(111)이 끊어지게 되고 정상적으로 전원이 필요한 곳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111)이 힌지 핀(109)에 고정 결합되는 경우에는 전선(111)에 작용하는 응력이 거의 없어 끊김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도 7과 같이 힌지 핀(109)과 단자(107)의 연장부(107a)에 형성된 구멍 사이에 틈새(t)가 있어 단선되거나 접촉 불량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선을 힌지 핀 등의 고정부에 결합하여 전선의 이동을 없앰으로서 응력을 줄여 끊김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힌지 핀 등의 고정부와 이 힌지 핀을 감싸는 이동부의 구멍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를 없앰으로서 단선이나 접촉 불량을 억제하여 안정된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는 전원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인 탄성 힌지 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탄성 힌지 핀에 도선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전원 연결 장치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에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기 위한 단자가 끼움 결합되어 있고 이 단자와 케이스는 케이스와 단자의 연결 및 연결 틈새 방지 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케이스와 단자의 연결 및 연결 틈새 방지 수단은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힌지 결합된 부분의 틈새를 없앨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일측은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은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는 전선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를 반복적으로 개폐하여도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는 전선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배터리 수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로써, 내부에 수납 공간을 마련하고 있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3)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케이스(1)의 수납 공간에는 배터리(도시 생략)가 삽입될 수 있으며, 케이스(1)의 일측에는 케이스(1)의 수납 공간에 삽입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단자(5)가 결합되어 있다. 이 단자(5)에는 전선(6)의 한쪽 끝이 납땜 등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배터리의 전원이 사용되는 부품 (도시 생략)등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의 외측에는 연장부(1a)를 마련하여 이 연장부(1a)에 힌지 결합공(1b)을 형성하고 있다.
커버(3)에는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할 수 있는 또 다른 단자(7)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자(7)는 전기가 잘 통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을 연장한 연장부(7a)를 마련하고 있다. 이 연장부(7a)에는 케이스(1)의 힌지 결합공(1b)과 대응하는 위치에 또 다른 힌지 결합공(7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힌지 결합공(1b)에는 탄성 힌지 핀(9)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또 다른 힌지 결합공(7b)에는 탄성 힌지 핀(9)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커버(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 힌지 핀(9)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절개(9a)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 탄성 힌지 핀(9)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자체의 직경보다 작은 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그 구멍에 밀착되어 구멍과의 틈이 없게 되어 항상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탄성 힌지 핀(9)은 도전성이 우수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탄성 힌지 핀(9)이 길이 방향으로 엇갈리게 절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탄성 힌지 핀(9)의 상단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의 전원이 필요한 부품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11)이 납땜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용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배터리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배터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커버(3)를 오픈시키면 커버(3)에 고정된 단자(7)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탄성 힌지 핀(9)은 항상 같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이 탄성 힌지 핀(9)에 결합되어 있는 전선(11)역시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탄성 힌지 핀(9)은 외주로 가압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단자(7)의 힌지 결합공(7b)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단자(7)와 탄성 힌지 핀(9)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선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연결 장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하는 전원 연결부가 회전부와 연결된 고정부에 위치함으로써 커버의 회전에 의한 전원의 단선을 방지하며, 단자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케이스와 커버의 연결 및 연결 틈새 방지 수단은 외주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힌지 결합부의 틈새가 없도록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전원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커버에 끼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단자,
    상기 케이스와 상기 단자를 힌지 결합으로 연결시키고 힌지 결합된 부분의 틈새를 탄성력에 의하여 줄이는 케이스와 단자의 연결 및 연결 틈새 방지 수단
    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단자의 연결 및 연결 틈새 방지 수단은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외주의 접촉부가 힌지 결합부의 홈에 밀착되도록 탄성 핀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단자의 연결 및 연결 틈새 방지 수단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인출할 수 있는 전선이 결합되는 전원 연결 장치.
KR2019980015737U 1998-08-21 1998-08-21 전원 연결 장치 KR200324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37U KR200324998Y1 (ko) 1998-08-21 1998-08-21 전원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37U KR200324998Y1 (ko) 1998-08-21 1998-08-21 전원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51U KR20000005051U (ko) 2000-03-15
KR200324998Y1 true KR200324998Y1 (ko) 2003-10-17

Family

ID=4941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737U KR200324998Y1 (ko) 1998-08-21 1998-08-21 전원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9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51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7394A (en) Folding type telephone containing a wound electrical connection
KR100812902B1 (ko)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JP2891440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6126465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dual purpose jack
US631227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4679884A (en) Fused electrical plug
US4932882A (en) Rotary plug
EP0923215A3 (en) Hinge device of mobile telephone
US5989046A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KR200324998Y1 (ko) 전원 연결 장치
US4699592A (en) Rotatable connector
US5626496A (en) Cigarette lighter adapter with flexible diameter
JP4833036B2 (ja) ジャック
JP2002270323A (ja) 電気接続装置
JP2001144837A (ja) 携帯通信機
KR100904802B1 (ko)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US20050124207A1 (en) Electrical plug with protection structure
US20050085132A1 (en) Connector pin
JP2002246097A (ja) 電気接続装置、電気接続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US6109974A (en) Electrical connector
JP3129955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3658872B2 (ja) 電池収納装置及び携帯用電子機器
EP1093975A3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0150467Y1 (ko)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KR100531890B1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