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605Y1 - 핸드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핸드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05Y1
KR200220605Y1 KR2019980022602U KR19980022602U KR200220605Y1 KR 200220605 Y1 KR200220605 Y1 KR 200220605Y1 KR 2019980022602 U KR2019980022602 U KR 2019980022602U KR 19980022602 U KR19980022602 U KR 19980022602U KR 200220605 Y1 KR200220605 Y1 KR 200220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member
mobile phone
contact portio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365U (ko
Inventor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최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석 filed Critical 최은석
Priority to KR2019980022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0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05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충전기를 차량에 설치시 별도의 작업없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연결부재(40)에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편평한 평판부(42, 46)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멍(48)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 돌출부(38)와 동일한 각도로 등분되어 있으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외측 오목부(49)와, 제 2 연결부재(50)에는 일정거리 이동되는 접촉부(69)와, 상기 접촉부(69)의 외측에 배설되어 제 2 연결부재(50)의 본체와 결착되는 접촉부 가이드부(54)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외측을 벗어나서 여러 각도로 굴곡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시가잭 지지부(56)와, 상기 시가잭 지지부(56)의 선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562)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내측에 배설되어 있는 퓨즈(68)와, 상기 퓨즈(68)가 상기 접촉부(69)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66)와, 관통구멍(507)의 외측에 돌출되게 복수개의 돌기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509)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폰 충전기
본 고안은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 충전기를 차량에 설치시 별도의 작업없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폰 충전기는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하면서 전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기 때문에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차량에 충전기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차량에 핸드폰 충전기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볼트등으로 핸드폰 충전기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가잭(ciga jack)와 핸드폰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핸드폰 충전기를 차량에 설치시 별도의 작업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핸드폰 충전기는, 핸드폰 장착부의 일측에 결착되어 있는 후면 케이스의 외측에 결착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힌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제 1 연결부재와,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힌지수단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제 2 연결부재(50)로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제 1 연결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결착되도록 복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있는 힌지 가이드부와, 상기 복수개의 힌지 가이드부 사이에 절개되어 있는 전선 인입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재에는 상기 힌지 가이드부와 제 2 연결부재에 접촉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편평한 평판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멍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 돌출부와 동일한 각도로 등분되어 있으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외측 오목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재에는 일정거리 이동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외측에 배설되어 제 2 연결부재의 본체와 결착되는 접촉부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외측을 벗어나서 여러 각도로 굴곡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시가잭 지지부와, 상기 시가잭 지지부의 선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내측에 배설되어 있는 퓨즈와, 상기 퓨즈가 상기 접촉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관통구멍의 외측에 돌출되게 복수개의 돌기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핸드폰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핸드폰 충전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전선 10 : 핸드폰 장착부
20 : 후면 케이스 30 : 연결부재
32 : 힌지 가이드부 36 : 전선 인입부
38 : 내측 돌출부 39 : 관통구멍
40 : 제 1 연결부재 42, 46 : 평탄부
50 : 제 2 연결부재 54 : 접촉부 가이드부
56 : 시가잭 지지부 64, 65 : 힌지수단
66 : 탄성부재 68 : 퓨즈(FUSE)
69 : 접촉부 507 : 관통구멍
509 : 내측 돌출부 511 : 체결수단
513 : 나사부
본 고안의 핸드폰 충전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핸드폰 충전기에 대한 사시도로서, 핸드폰이 창착되는 핸드폰 장착부(10)와, 상기 핸드폰 장착부(10)의 일측에 결착되어 있는 후면 케이스(20)와, 상기 후면 케이스(20)의 외측에 다수개의 체결수단(34)에 의해 결착되어 있는 연결부재(30)와, 힌지수단(65)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3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제 1 연결부재(40)와, 상기 제 1 연결부재(40)에 힌지수단(6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제 2 연결부재(5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드폰 장착부(10)와 후면 케이스(2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기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5)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30)와 제 1 연결부재(40)를 회전가능하게 결착되도록 복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있는 힌지 가이드부(32)와, 상기 복수개의 힌지 가이드부(32) 사이에 일정한 크기로 절개되어 상기 핸드폰 장착부(10)와 후면 케이스(20)의 내부에 있는 기판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 인입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힌지 가이드부(32) 각각에는 그 중앙부에 상기 힌지수단(65)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40)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하도록 관통구멍(39)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39)의 외주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재(40)와 일정각도씩 사용자가 조절해가면서 회전가능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 내측 돌출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재(40)에는 상기 힌지 가이드부(32)에 접촉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양쪽 대칭되게 편평한 평판부(42)와, 상기 평판부(42)의 타단부에도 상기 제 2 연결부재(50)와 결착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양쪽이 대칭되게 편평한 평탄부(46)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판부(4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어 있는 상기 힌지 가이드부(32)의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수단(65)에 의해서 결착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8)과, 상기 관통구멍(48)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 돌출부(38)와 동일한 각도로 등분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내측 돌출부(38)와 결합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오목부(49)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관통구멍(48)과 외측 오목부(49)는 평탄부(46)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재(5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가잭에 삽입시 일정거리 이동되는 접촉부(69)와, 상기 접촉부(69)의 외측에 배설되어 상기 접촉부(69)가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하면서, 내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제 2 연결부재(50)의 본체와 결착되는 접촉부 가이드부(54)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외측을 벗어나서 여러 각도로 굴곡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시가잭 지지부(56)와, 상기 시가잭 지지부(56)의 선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내측으로 상기 시가잭 지지부(56)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562)와, 상기 접촉부 가이드부(54)와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513)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내측에 배설되어 있는 퓨즈(68)와, 상기 퓨즈(68)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퓨즈(68)가 상기 접촉부(69)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66)와, 상기 탄성부재(66)에 납땜등으로 인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5)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0)는 두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와 같이 두개로 나뉘어져 있는 제 2 연결부재(50)를 일체로 결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511)과, 상기 체결수단(511)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평탄부(46)에 결착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가능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507)과, 상기 관통구멍(507)의 외측에 돌출되게 복수개의 돌기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509)로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44는 원통모양으로 생긴 원통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핸드폰 충전기에 대한 작용, 효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차량에 핸드폰 충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 2 연결부재(50)의 접촉부(69)를 차량의 시가잭(CIGA JACK)에 삽입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69)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접촉부(69)에 접촉되는 퓨즈(68)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퓨즈(68)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퓨즈(68)의 좌측에 배설되어 탄성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66)의 일단에 납땜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5를 통해서 전원이 상기 핸드폰 장착부(10)와 후면 케이스(20)의 내부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기판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핸드폰을 충전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핸드폰 충전기를 차량의 시가잭에 접속한 후,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다양한 각도 즉, 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재(40)를 상하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상기 힌지 가이드부(32)에 형성된 관통구멍(39)과 제 1 연결부재(40)에 형성된 관통구멍(48)이 서로 일치된 후 힌지수단(65)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가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힌지 가이드부(32)의 내측과 제 1 연결부재(40)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8)이 서로 접촉되면서 즉, 돌출된 내측 돌출부(38)와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 관통구멍(48)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일정한 각도씩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미소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 가이드부(32)와 결착되는 부분이 아닌 제 1 연결부재(40)의 타단에도 상기 힌지 가이드부(32)와 결착되는 부분과 같이 외측 양측면에 관통구멍(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48)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외측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제 2 연결부재(50)와 일정각도씩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선(5)은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내측과 제 1 연결부재(40)의 내측으로 통해서 핸드폰 장착부(10)와 후면 케이스(20)의 내측에 설치된 기판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핸드폰 충전기는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으로 차량의 시가잭에 장착할 수 있으며, 사용중에도 간단히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핸드폰 장착부(10)의 일측에 결착되어 있는 후면 케이스(20)의 외측에 결착되어 있는 연결부재(30)와, 힌지수단(65)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3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제 1 연결부재(40)와, 상기 제 1 연결부재(40)에 힌지수단(6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제 2 연결부재(50)로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부재(30)와 제 1 연결부재(40)를 회전가능하게 결착되도록 복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있는 힌지 가이드부(32)와, 상기 복수개의 힌지 가이드부(32) 사이에 절개되어 있는 전선 인입부(3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재(40)에는 상기 힌지 가이드부(32)와 제 2 연결부재(50)에 접촉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편평한 평판부(42, 46)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멍(48)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 돌출부(38)와 동일한 각도로 등분되어 있으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외측 오목부(4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부재(50)에는 일정거리 이동되는 접촉부(69)와, 상기 접촉부(69)의 외측에 배설되어 제 2 연결부재(50)의 본체와 결착되는 접촉부 가이드부(54)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외측을 벗어나서 여러 각도로 굴곡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시가잭 지지부(56)와, 상기 시가잭 지지부(56)의 선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562)와, 상기 제 2 연결부재(50)의 내측에 배설되어 있는 퓨즈(68)와, 상기 퓨즈(68)가 상기 접촉부(69)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66)와, 관통구멍(507)의 외측에 돌출되게 복수개의 돌기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돌출부(509)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기.
KR2019980022602U 1998-11-19 1998-11-19 핸드폰 충전기 KR200220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02U KR200220605Y1 (ko) 1998-11-19 1998-11-19 핸드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02U KR200220605Y1 (ko) 1998-11-19 1998-11-19 핸드폰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65U KR20000010365U (ko) 2000-06-15
KR200220605Y1 true KR200220605Y1 (ko) 2001-05-02

Family

ID=6950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602U KR200220605Y1 (ko) 1998-11-19 1998-11-19 핸드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65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31046A (ja) 電源プラグ
KR200220605Y1 (ko) 핸드폰 충전기
JP2001062399A (ja) 振動発生装置を内蔵した電子機器
US6128197A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ccumulator and a power supply contact and equipment including such a device
EP1284028B1 (en) Battery holder with integrated switch
JP5065002B2 (ja) 充電台
US20190355946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al product using same
US5383104A (en) Renovated flashlight
MXPA03004278A (es) Dispositivo electrico con mecanismo para impedir la separacion de la caja del tomacorriente electrico.
KR200286625Y1 (ko) 데스크 충전기의 바테리 팩 록킹장치
KR100370649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JP3110205U (ja) バイブレータ用モータのハウジング及び電気コネクタ
CN213421009U (zh) 一种灯座结构
JPH064554Y2 (ja) 片口金ランプ用ソケット
KR200493053Y1 (ko) 배터리 장착 홀더
CN110454754B (zh) 灯头及其灯座
JP3374611B2 (ja) 片口金蛍光灯ソケット
KR0134502Y1 (ko) 핸드폰용 충전밧데리 구조
JP3939018B2 (ja) パック電池
KR100256924B1 (ko) 휴대전화 충전장치의 충전물 고정판 구조와 고정 브라켓트 구조
KR200239059Y1 (ko) 초소형 램프 고정구
KR20000001203U (ko) 절첩식 플러그
JP2530035Y2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374898Y1 (ko) 외부 충격에 강한 플러그 연결 소자
JPH07320522A (ja) 電球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