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059Y1 - 초소형 램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초소형 램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59Y1
KR200239059Y1 KR2019990005680U KR19990005680U KR200239059Y1 KR 200239059 Y1 KR200239059 Y1 KR 200239059Y1 KR 2019990005680 U KR2019990005680 U KR 2019990005680U KR 19990005680 U KR19990005680 U KR 19990005680U KR 200239059 Y1 KR200239059 Y1 KR 200239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fixture
pcb
fixtur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263U (ko
Inventor
우용상
Original Assignee
우용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용상 filed Critical 우용상
Priority to KR2019990005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5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59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계기판이나 오디오(Audio)의 전면 패널(Pannel)을 밝혀주는 초소형 램프(이하, 램프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소형 램프(Sub miniature lamp)를 오디오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에 고정·설치함에 있어 간편·용이하면서도 정확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초소형 램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통형의 축상에 방사상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하단에 테이퍼 형상의 후크편이 형성되며 저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직경이 작은 통공이 관통되고 상면에는 안내용 요홈부가 형성된 램프 고정체와, 고무캡으로 구성된 램프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편을 형성하고, 램프 고정체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며 측방으로 연장되고 저면에는 돌기가 하향 돌출된 회동방지편이 양쪽측면에 형성되며, PCB에는 상기 회동방지편의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축받이공이 형성됨에 따라, PCB에 램프를 간편·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램프를 고온(납땜)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램프의 고정시 램프 고정체의 회동 및 리드선의 이탈을 방지와 일정한 납땜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 접점 불량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초소형 램프 고정구{A assembling part of sub miniature camp}
본 고안은 초소형 램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계기판이나 오디오(Audio)의 전면 패널(Pannel)을 밝혀주는 초소형 램프(이하, 램프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소형 램프(Sub miniature lamp)를 오디오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에 고정·설치함에 있어 간편·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초소형 램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는 사용자의 편의(음악감상이나 라디오 청취)를 위해 각종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가 장착되어 있고, 그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용 오디오로서, 이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많은 전자부품이 사용되며, 특히,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의 조작시 정확한 위치확인과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조명수단으로 전류의 소모가 적은 전구 직경 3㎜ 내외의 초소형 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의 램프 고정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통형의 축상에 방사상으로 절개부(2)가 형성되고 양측면 하단에 테이퍼 형상의 후크편(3)이 형성되며 저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직경이 작은 통공(4)이 관통되고 상면에는 안내용 요홈부(5)가 형성된 램프 고정체(1)와, 램프(LP)에 덮어 씌워지는 고무캡(6)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램프 고정구에서는 램프를 간단하게 취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PCB에 설치된 램프 고정체가 통공내에서 쉽게 회동되므로 램프로부터 인출된 리드선과 PCB상에 형성된 전도체와의 접점이 어긋나게 되어 정확한 접점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램프 고정체의 통공을 통하여 인출된 리드선이 요홈부로부터 쉽게 이탈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고무캡이 씌워진 고무캡이 램프 고정체에 견고하게 취부되지 못하게 되어 램프로부터 고무캡이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PCB에 설치되는 램프 고정체의 회동을 방지하고 요홈부로부터 리드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취부 및 설치가 정확하고도 간편·용이함과 동시에 램프를 감싸고 있는 고무캡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초소형 램프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형의 축상에 방사상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측면 하단에 테이퍼 형상의 후크편이 형성되며 저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직경이 작은 통공이 관통되고 상면에는 안내용 요홈부가 형성된 램프 고정체와, 고무캡으로 구성된 램프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편을 형성하고, 램프 고정체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며 측방으로 연장되고 저면에는 돌기가 하향 돌출된 회동방지편이 양쪽측면에 형성되며, PCB에는 상기 회동방지편의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축받이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램프 고정체의 하단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내향 절곡된 협지편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램프 고정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초소형 램프 고정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램프 고정구, 12;절개부,
13:후크편, 14:통공,
15:요홈부, 16:고무커버,
17:리드선, 21:이탈방지편,
22:돌기, 23:회동방지편,
24:협지편, 30:PCB,
31:축받이공, 32:삽입공,
33:전도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초소형 램프 고정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통형의 축상에 방사상으로 절개부(12)가 형성되고 양측면 하단에 테이퍼 형상의 후크편(13)이 형성되며 저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직경이 작은 통공(14)이 관통되고 상면에는 안내용 요홈부(15)가 형성된 램프 고정체(10)와, 고무캡(16)으로 구성된 램프 고정구(10)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5)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이탈방지편(21)과, 램프 고정체(10)의 양쪽 측면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며 측방으로 연장되고 저면에는 돌기(22)가 하향 돌출된 회동방지편(23)과, 상기 회동방지편(23)의 돌기(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PCB(20)에 형성된 축받이공(31)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도 3은 램프 고정체(10)의 양쪽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회동방지편(23)이 연장되어 하방으로 돌기(22)가 돌출되고 양쪽 하부 외주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후크편(13)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내향 절곡되어 협지편(2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램프 고정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15)와 연통되는 통공(14)이 관통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램프 고정체(10)에 형성된 통공(14)으로 램프(LP)의 리드선(17)을 끼워 요홈부(15)를 따라 절곡시켜 램프(LP)를 램프 고정체(10)에 결합한 다음, 램프 고정체(10)를PCB(30)상에 형성된 삽입공(32)에 끼워 설치한 것으로서, 이때, 통공(14)을 통하여 요홈부(15)를 따라 절곡된 리드선(17)의 단부는 PCB(30)상에 형성된 전도체(33)와 접촉된 상태로 납땜되고, 램프(LP)를 감싸며 고무캡(16)이 끼워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8은 밀편 손잡이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0)를 PCB(3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램프(LP)에 고무캡(16)을 끼워 감싸지도록 하고 리드선(17)을 램프 고정체(10)에 형성된 통공(14)에 끼워 요홈부(15)를 따라 절곡시킨 다음, 램프 고정체(10) 양쪽 측면에 형성된 회동방지편(23)에 형성된 돌기(22)를 PCB(30)에 형성된 축받이공(31)에 끼움과 동시에 협지편(24)이 형성된 램프 고정체(10)의 하부를 삽입공(32)에 끼워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때, 램프 고정체(10)는 절개부(12)에 의해 협지편(24)을 포함한 하부가 텐션을 갖게 되므로 삽입공(32)으로의 삽입시 후크편(13)이 텐션에 의해 내측방으로 밀려 들어간 후, 후크편(13)이 PCB(30)를 관통하게 되면서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후크편(13)의 상단부가 PCB(30)를 취부하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램프(LP)를 감싸고 있는 고무캡(16)은 램프 고정체(10)의 협지편(24) 단부가 소정의 곡률로 만곡진 상태이므로 협지편(24)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며, 통공(14)을 통하여 요홈부(15)를 따라 절곡된 리드선(17)은 그 단부가 PCB(30)에 형성된 전도체(33)와 접점을 이루게 됨은 물론, 요홈부(15)에 형성된 이탈방지편(21)에 의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거나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되어 정확한 전도체(33)와의 접점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램프(LP)를 고정한 상태에서 리드선(17)과 전도체(33)의 접점부위의 견고한 접합을 위해 납땜을 행하게 되면 PCB(30)에 램프(LP)의 고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이때, 램프 고정체(10)의 회동방지편(23)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돌기(22)가 PCB(30)상에 형성된 축받이공(31)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므로 램프 고정체(10)가 회동되지 않게 되므로 유동시 발생되는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램프 고정체(10)가 삽입공(32)내에서의 좌·우 회동에 따른 리드선(17)과 전도체(33)간의 접촉불량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램프 고정구를 이용함에 따라, PCB에 램프를 간편·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램프를 고온(납땜)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램프의 고정시 램프 고정체의 회동 및 리드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해진 위치에 일정하게 납땜되어 접점 불량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통형의 축상에 방사상으로 절개부(12)가 형성되고 양측면 하단에 테이퍼 형상의 후크편(13)이 형성되며 저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직경이 작은 통공(14)이 관통되고 상면에는 안내용 요홈부(15)가 형성된 램프 고정체(10)와, 고무캡(16)으로 구성된 램프 고정구(10)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5)에 서로 대향되는 이탈방지편(21)이 형성되고, 램프 고정체(10)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며 측방으로 연장되고 저면에는 돌기(22)가 하향 돌출된 회동방지편(23)이 양쪽측면에 형성되며, PCB(30)에는 상기 회동방지편(23)의 돌기(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축받이공(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램프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램프 고정체(10)의 하단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내향 절곡된 협지편(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램프 고정구.
KR2019990005680U 1999-04-07 1999-04-07 초소형 램프 고정구 KR200239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680U KR200239059Y1 (ko) 1999-04-07 1999-04-07 초소형 램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680U KR200239059Y1 (ko) 1999-04-07 1999-04-07 초소형 램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263U KR20000019263U (ko) 2000-11-06
KR200239059Y1 true KR200239059Y1 (ko) 2001-09-25

Family

ID=5476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680U KR200239059Y1 (ko) 1999-04-07 1999-04-07 초소형 램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749B1 (ko) * 2001-11-09 2004-03-30 장영환 백라이트용 초소형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263U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4315A (en) Bushing isolator for lead-through of electrical lines providing moisture sealing between two housings
JPH0935785A (ja) 端子ソケット組立体
JPH11176511A (ja) 電気コネクタ
JP3751769B2 (ja) 基板用コネクタの接続部構造
KR100468592B1 (ko) 직접장착용전기램프유닛
KR200239059Y1 (ko) 초소형 램프 고정구
KR100625260B1 (ko) 전기기기의 스위치 붙임구조
KR200217900Y1 (ko) 자동 삽입용 초소형 램프
KR200246885Y1 (ko) 인쇄회로기판용 벌브소켓
JP3199483B2 (ja) 照光装置
JPH08102350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850002264Y1 (ko) 형광램프 장치
JPS5843804Y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板の保持構造
JP3651830B2 (ja) 遊技機のランプ取付装置
JPH0494003A (ja) けい光ランプ装置
KR20160136804A (ko) 차량용 실내등에 사용되는 엘이디 램프장치
KR200170196Y1 (ko) 모니터의 엘이디 램프 고정 구조
JP3136856B2 (ja) ランプ保持装置
JP3530039B2 (ja) 計器のムーブメント組付構造
KR100457112B1 (ko) 형광램프장치 및 조명장치
JP2809839B2 (ja) ランプ保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95221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
JP3606347B2 (ja) 遊技機のランプ取付装置
KR100770999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H05103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