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702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702Y1
KR200168702Y1 KR2019970018090U KR19970018090U KR200168702Y1 KR 200168702 Y1 KR200168702 Y1 KR 200168702Y1 KR 2019970018090 U KR2019970018090 U KR 2019970018090U KR 19970018090 U KR19970018090 U KR 19970018090U KR 200168702 Y1 KR200168702 Y1 KR 200168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receptacle
present
plu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849U (ko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한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희 filed Critical 한영희
Priority to KR2019970018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7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센트공의 형성 방향에 있어서,콘센트공을 회전 가능한 원판상에 형성하여 콘센트공과 연결된 콘센트 접속단자가 콘센트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콘센트 몸체에 고정 설치된 원형의 접속편과 항상 접속되게 함으로써, 플러그를 어느 방향에서나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센트공의 형성 방향에 있어서, 콘센트공을 회전 가능한 원판상에 형성하여 콘센트공과 연결된 콘센트 접속단자가 콘센트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콘센트 몸체에 고정 설치된 원형의 접속편과 항상 접속되게 함으로써, 플러그를 어느 방향에서나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콘센트는 콘센트공의 위치가 수직이나 수평 또는 45。 각도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콘센트공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코드 방향이 콘센트공의 설정 방향과 다를 경우, 코드가 꺽이거나 꼬이게 됨으로써, 코드가 쉽게 손상되거나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게 되는 폐단이 있었고, 특히 ㄱ자 플러그의 경우에는 코드가 플러그와 직각 방향을 갖게 되어 그 불편이 더욱 커지는 실정에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은 콘센트공을 회전 가능한 원판상에 형성하여 콘센트공과 연결된 콘센트 접속단자가 콘센트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콘센트 몸체에 고정 설치된 원형의 접속편과 항상 접속되게 함으로써, 플러그를 어느 방향에서나 꽂아 간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외형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보인 부분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외형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본 고안의 콘센트는 콘센트공(1)(1')이 원판(2)상에 형성되어 결합턱(3)에 의하여 콘센트 뚜껑(4)과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공지된 안전커버(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판(2)의 하측에는 접속단자 지지체(6)가 감합부(7)(7')로 연결되어 있고, 이 지지체(6)의 일측에는 접점(8)(8')이 외측으로 돌출된 콘센트 접속단자(9)(9')가 상기 콘센트공(1)(1')과 일치되게 삽입되어 있다.
다시 그 하측의 콘센트 몸체(10)의 바닥면에는 원형의 접속편(11)(11')이 서로분리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편(11)(11')은 연결단자(13)(13')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접속편(11)(11')과 서로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코드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센트 사용시, 플러그의 접속핀을 콘센트공(1)(1')에 꽂으면, 접속핀이안전커버(5)를 거쳐 콘센트 접속단자(9)(9')에 삽입되면서, 그 하측의 접속편(11)(11')과 접속되어 전기가 통하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를 회전 시키면, 콘센트공(1)(1')이형성된 원판(2)과 그에 연결된 접속단자 지지체(6)의 콘센트 접속단자(9)(9')의 접점(8)(8')이 그 하측의 원형의 접속편(11)(11')과 접속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플러그와 그에 연결된 코드 방향을 목적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콘센트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플러그의 코드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코드가 꺽이거나 꼬이는 등의 폐단이 없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콘센트공이 원판상에 형성되어 콘센트 뚜껑과 결합되어 회전되고 그 하측에 장착된 접점이 콘세트 몸체에 고정된 접점과 접속되도록 한 공지된 콘세트에 있어서, 상기 접점(8)(8')이 콘센트 접속단자(9)(9')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몸체(10)상에 설치된 원형의 접속편(11)(11')과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11)(11')은 연결단자(13)(13')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접속편(11)(11')과 서로 연속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2019970018090U 1997-07-09 1997-07-09 콘센트 KR200168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090U KR200168702Y1 (ko) 1997-07-09 1997-07-09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090U KR200168702Y1 (ko) 1997-07-09 1997-07-09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49U KR19990004849U (ko) 1999-02-05
KR200168702Y1 true KR200168702Y1 (ko) 2000-02-01

Family

ID=1950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090U KR200168702Y1 (ko) 1997-07-09 1997-07-09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7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49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2088C (en) Ac adapter plug
US6296522B1 (en) Electrical socket
KR101015494B1 (ko) 전기 어댑터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KR200168702Y1 (ko) 콘센트
US5854456A (en) Line switch having a parallel arrangement between conducting plates with piercing tips and the electrical cord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491270Y1 (ko) 전구소켓 접속형 멀티 콘센트
US2777023A (en) Electric lock plug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200183098Y1 (ko) 콘센트
KR100389806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0375272B1 (ko) 안전콘센트 및 플러그장치
JPH03149771A (ja) 電線接続装置
KR100477530B1 (ko) 면광원이 구비된 안전형 전원 콘센트 장치
KR200225332Y1 (ko) 방향전환이 가능한플러그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KR0136803Y1 (ko) 안전용 콘센트
CN215579186U (zh) 插座组件及包含其的灯具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KR920002641Y1 (ko) 가변형 콘센트
KR200230921Y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192591Y1 (ko) 콘센트
JPS5941578Y2 (ja) コネクタ装置
KR200231223Y1 (ko) 플랙시블 와이어용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