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521Y1 -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521Y1
KR200152521Y1 KR2019960066023U KR19960066023U KR200152521Y1 KR 200152521 Y1 KR200152521 Y1 KR 200152521Y1 KR 2019960066023 U KR2019960066023 U KR 2019960066023U KR 19960066023 U KR19960066023 U KR 19960066023U KR 200152521 Y1 KR200152521 Y1 KR 200152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metal terminal
insertion hol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843U (ko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60066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5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2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콘센트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필요시 다수개의 전기 제품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량된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멀티 콘센트(10)의 각 부분을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 필요시 각 콘센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한 적절히 분리 가감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10)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구성은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갖는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전선(50)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금속단자(12)와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21)로 구성되는 메인 콘센트(20)와 상기 메인 콘센트에 졉속되고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금속단자(12)와 일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졉속된 플러그(21) 삽입공과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플러그(21)를 갖는 연결 콘센트(3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콘센트의 측면에 결합되고, 플러그(21)가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된 플러그 커버(40)를 갖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본 고안은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콘센트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필요시 다수개의 전기 제품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량된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센트는 그 설치된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임의의 위치에 있는 전기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콘센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멀티 콘센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기 제품의 위치와 수량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멀티 콘센트(10)가 생산되고 있는데 상기 멀티 콘센트에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공(11)의 수가 2개,3개,4개의 멀티 콘센트가 주로 생산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 콘센트(10)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6-012703호, 96-012719, 96-027827,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종래의 멀티 콘센트(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멀티 콘센트는 대체로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케이스에 다수개의 플러그(2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상기한 멀티 콘센트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멀티 콘센트의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21)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와 같은 형상의 요홈을 갖는 금속단자(1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단자는 케이스의 일측으로 인입되는 전선(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 콘센트(10)에 플러그(21)가 결합되면 전원에서 연결된 전선(50)에서 공급된 전기가 각 플러그(21)를 통해 인입되도록 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멀티 콘센트에서는 다수개의 플러그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하기는 하지만 각각의 콘센트가 서로 고정되어 있어 더 많은 수의 플러그 삽입공(11)이 필요할 때에는 별도의 멀티 콘센트(10)를 구입해서 배치해야 하고 또한 이럴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한곳에 많은 플러그 삽입공이 배치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멀티 콘센트(10)의 각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필요시 각 콘센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한 적절히 분리 가감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콘센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멀티 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멀티 콘센트 11: 플러그 삽입공
12:금속단자 20:메인 콘센트
21:플러그 30:연결 콘센트
31:측면 플러그 삽입공 40:플러그 커버
41:삽입공 50:전선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구성은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멀티 콘센트(10)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전선(50)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금속단자(12)와;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21)로 구성되는 메인 콘센트(20)와;
상기 메인 콘센트에 접속되고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금속단자(12)와;
일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측면 플러그 삽입공(31)과;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플러그(21)를 갖는 연결 콘센트(3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콘센트의 측면에 결합되고, 플러그(21)가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된 플러그 커버(40)를 갖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4에 따르면, 일측으로는 전선(50)에 연결된 메인 콘센트의 내부의 상측에는 전도체인 금속단자(12)가 수직으로 개구되어 플러그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금속단자(12)의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21)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메인 콘센트에 플러그(21)로써 접속되는 연결 콘센트(30)의 내부에는 역시 전도체인 금속단자(12)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플러그 삽입공(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메인 콘센트가 플러그(21)와 연결되는 쪽에도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측면 플러그 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플러그 삽입공의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플러그(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21)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콘센트(30)에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플러그 커버(4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의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메인 콘센트(20)와 다수개의 연결 콘센트(30)를 접속하게 되면 플러그(21)와 내부의 금속단자(12)에 의해 각 콘센트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되어 연결된 각 플러그 삽입공(11)을 통해 전원을 각 전기제품에 인가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효과는, 멀티 콘센트(10)의 각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시 각 콘센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또한, 적절히 분리 가감해서 사용할 수도 있게 하여 더 많은 수의 플러그 삽입공(11)이 필요할 때에는 별도의 멀티 콘센트(10)를 구입할 필요 없이 연결콘센트(30)만 연결하면 필요한 수의 플러그(21) 삽입공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멀티 콘센트(10)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전선(50)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금속단자(12)와;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21)로 구성되는 메인 콘센트(20)와;
    상기 메인 콘센트(20)에 접속되고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플러그 삽입공(11)을 갖는 금속단자(12)와;
    일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측면 플러그 삽입공(31)과;
    타측면에는 상기 금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플러그(21)를 갖는 연결 콘센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콘센트(30)의 측면에 결합되고, 플러그(21)가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된 플러그 커버(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2019960066023U 1996-12-31 1996-12-31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200152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023U KR200152521Y1 (ko) 1996-12-31 1996-12-31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023U KR200152521Y1 (ko) 1996-12-31 1996-12-31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43U KR19980052843U (ko) 1998-10-07
KR200152521Y1 true KR200152521Y1 (ko) 1999-07-15

Family

ID=1948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023U KR200152521Y1 (ko) 1996-12-31 1996-12-31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5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959A1 (ko) * 2014-07-31 2016-02-04 고광빈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842A (ko) * 2001-10-08 2003-03-20 김용호 멀티탭
KR20040000589A (ko) * 2002-06-21 2004-01-07 주식회사 텔리넷 접속 콘센트
KR100849484B1 (ko) * 2006-05-22 2008-08-04 권오주 측면 콘센트 및 플러그
KR100843665B1 (ko) * 2006-12-22 2008-07-04 박창연 가변형 멀티콘센트
KR101654566B1 (ko) * 2015-08-19 2016-09-06 서성호 다방향으로 플러그접속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및 길이가 다른 플러그심을 구비한 플러그와 상기 멀티콘센트와 플러그를 이용하는 전원공급 시스템
KR101973090B1 (ko) * 2017-09-11 2019-04-26 김성철 다단 조립식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959A1 (ko) * 2014-07-31 2016-02-04 고광빈 이동확장 가능한 막대형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43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746B1 (en) Multiple receptacle having a wireless coupling feature
US6328584B1 (en) Split circuit 120/240 volt adapter
KR200198508Y1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US6547578B2 (en) Multi-direction insertion socket with conductor structure
KR200299285Y1 (ko) 콘센트
KR200239736Y1 (ko) 분리 결합이 가능한 멀티탭
KR200256202Y1 (ko) 전원분배 컨넥터
KR200270384Y1 (ko) 플러그 일체형 다중콘센트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KR200243844Y1 (ko) 다중콘센트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0171700Y1 (ko) 적층 플러그
KR200346977Y1 (ko) 공간절약형 전원 콘센트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189080Y1 (ko) 전원연결용 콘센트를 일체로 형성한 전기제품
JP3070252U (ja) 多受口ソケットの改良
RU533U1 (ru)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штепсельными розетками
KR200175023Y1 (ko) 전기플러그 단자와 45각도 사선방향으로 전원코드배선이배치된 일체형 전기플러그 하우징
KR200252579Y1 (ko) 콘센트
KR200304077Y1 (ko) 멀티탭
KR200291681Y1 (ko) 도체 구조체를 구비하는 다방향 삽입 소켓
KR200305360Y1 (ko)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