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285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285Y1
KR200299285Y1 KR2020020028682U KR20020028682U KR200299285Y1 KR 200299285 Y1 KR200299285 Y1 KR 200299285Y1 KR 2020020028682 U KR2020020028682 U KR 2020020028682U KR 20020028682 U KR20020028682 U KR 20020028682U KR 200299285 Y1 KR200299285 Y1 KR 200299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wires
plugs
inser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명
Original Assignee
박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명 filed Critical 박희명
Priority to KR2020020028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285Y1/ko

Links

Abstract

다방향으로의 플러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콘센트에 대해 개시한다. 이 콘센트(30)는 플러그들의 접속핀이 꽂아지는 삽입공(3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들 플러그들의 접속핀은 콘센트의 삽입공을 통하여 (+),(-)전선들과 접속되어 전류를 전자제품에 공급한다. 플러그(1)(2)들의 접속핀은 두개 마련되고, 콘센트의 삽입공은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통상 사용되는 플러그 및 콘센트의 규격품으로는 8개 정도의 삽입공(31)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 서로 대향되는 원주방향상의 삽입공(31)들은 각각 (+),(-)단자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플러그의 접속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콘센트(30)몸체에는 각 플러그의 전선이 결합고정되는 결합홈(32)과 전선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고정돌기(32a)가 형성되어서, 콘센트에 꽂아진 플러그(1)(2)의 전선들이 해당위치에서 콘센트몸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센트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플러그 상호간 간섭을 피할 수 있어서 안정된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러그의 전선을 결합홈에 고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선들의 꼬임을 방지하고 주변정리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콘센트 {A concen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플러그를 필요에 따라 여러방향으로 꽂을 수 있도록 삽입공이 여러방향으로 형성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배선에서 전류를 얻기위하여 플러그가 꽂아지는 콘센트는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와, 이동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여러 플러그의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콘센트(10)(도 3참조)가 있다.
또한,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는 플러그 손잡이의 형태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플러그(1)와 수직형플러그(2)가 있다. 수직형플러그(2)는 콘센트와 전자제품과의 간격이 좁을 경우 유리하며, 이 경우 전선(2a)을 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함으로써 장기사용시 전선의 단락을 방지한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센트(10)는 두개의 삽입공(11)(12)이 획일적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자제품과 콘센트의 간격 또는 플러그(1)(2)의 꽂음위치에 따라 각 플러그간 상호 간섭이 발생되어 플러그의 접속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콘센트(10)에 수직형플러그(2)만이 접속되는 경우 각 수직형플러그(2)의 손잡이들이 상호 간섭됨으로써 콘센트(1)에의 접속이 불안전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접속된 플러그의 접속을 단락시키는 위험이 있다.
또한, 이미 콘센트(10)에 수평형플러그(1)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직형플러그(2)을 접속시킬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플러그(2)를 최하단에 접속하여 전선의 자연스런 안내를 위해서는 이미 접속된 수평형플러그(1)를 자리바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각 플러그의 전선들이 콘센트에 접속된 후에는 하방향으로 늘어지게 위치됨으로써 각 전선들이 꼬이게 되어 어느 제품의 플러그인지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제품으로부터 인출된 플러그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접속되어야 하는 경우, 전선이 꺽이게 되므로 그만큼 전선길이가 길어져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플러그를 원하는 방향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에 접속된 후 플러그로부터 인출된 전선들이 콘센트 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통상의 수평형플러그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통상의 수직형플러그를 나타낸 평며도,
도 3은 종래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콘센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콘센트 31...삽입공
32...결합홈 32a...고정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옥내배선에서 전류를 얻기위하여 플러그의 접속핀이 꽂아지는 삽입공이 형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두개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은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센트몸체에는 상기 각 플러그의 전선이 결합고정되는 결합홈과 전선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서, 콘센트에 꽂아진 플러그의 전선들이 해당위치에서 콘센트몸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호간 간섭을 피할 수 있어서 안정된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플러그의 전선을 결합홈에 고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선들의 꼬임을 방지하고 주변정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콘센트를 나타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 콘센트(30)는 통상의 콘센트와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1)(2)들의 접속핀이 꽂아지는 삽입공(3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들 플러그(1)(2)들의 접속핀은 콘센트(30)의 삽입공(31)을 통하여 (+),(-)전선들과 접속되어 전류를 전자제품에 공급한다.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플러그(1)(2)들의 접속핀은 두개 마련되고, 상기 콘센트(30)의 삽입공(31)은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통상 사용되는 플러그 및 콘센트의 규격품으로는 8개 정도의 삽입공(31)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 서로 대향되는 원주방향상의 삽입공(31)들은 각각 (+),(-)단자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플러그(1)(2)의 접속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콘센트(30)몸체에는 상기 각 플러그(1)(2)의 전선이 결합고정되는 결합홈(32)과 전선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고정돌기(32a)가 형성되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30)에 꽂아진 플러그(1)(2)의 전선들이 해당위치에서 콘센트(30)몸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플러그(1)(2)로부터 인출되는 전선들을 정리가능하게 함으로써, 콘센트(30) 주변정리를 깨끗하게 하고 전선들간의 꼬임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콘센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수직형플러그(2)만을 콘센트(30)에 꽂고자 하는 경우에도 플러그(2) 상호간 간섭되지 아니하고 꽂음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 플러그(2)의 손잡이 방향을 지그재그로 위치시킴으로써 플러그(2) 상호간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각 플러그(1)(2)들은 전자제품과의 간격 또는 위치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하여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콘센트는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호간 간섭을 피할 수 있어서 안정된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러그의 방향전환이 가능함으로써 플러그몸체 길이에 해당하는 전선길이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전선을 결합홈에 고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선들의 꼬임을 방지하고 주변정리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2)

  1. 옥내배선에서 전류를 얻기위하여 플러그의 접속핀이 꽂아지는 삽입공이 형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두개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은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몸체에 상기 각 플러그의 전선이 결합고정되는 결합홈과 전선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2020020028682U 2002-09-25 2002-09-25 콘센트 KR200299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82U KR200299285Y1 (ko) 2002-09-25 2002-09-25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82U KR200299285Y1 (ko) 2002-09-25 2002-09-25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285Y1 true KR200299285Y1 (ko) 2002-12-31

Family

ID=7312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82U KR200299285Y1 (ko) 2002-09-25 2002-09-25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2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42B1 (ko) 2004-07-07 2006-12-13 강성화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KR101053651B1 (ko) * 2010-05-04 2011-08-05 곽동진 멀티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42B1 (ko) 2004-07-07 2006-12-13 강성화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KR101053651B1 (ko) * 2010-05-04 2011-08-05 곽동진 멀티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2401Y1 (ko) 커넥터어셈블리
US5395264A (en) Electrical connector/adapter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KR200299285Y1 (ko) 콘센트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US6139341A (en) Universal adapter equipped with retractable pins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KR20220132843A (ko) 멀티탭 어셈블리
US6561846B2 (en) Coupler for banana plug connectors and coupled banana plug connectors
US6547578B2 (en) Multi-direction insertion socket with conductor structure
KR200212544Y1 (ko) 테이블 탭
KR100504103B1 (ko) 커넥터
KR200270384Y1 (ko) 플러그 일체형 다중콘센트
KR200189080Y1 (ko) 전원연결용 콘센트를 일체로 형성한 전기제품
KR200203521Y1 (ko) 멀티탭
JP2541248Y2 (ja) コネクタ
KR200304077Y1 (ko) 멀티탭
KR200243844Y1 (ko) 다중콘센트
KR200343601Y1 (ko) 복수의 콘센트 소켓을 가지는 멀티탭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CN107925232A (zh) 电力布线装置
KR200370569Y1 (ko) 단락스위치가 구비되는 멀티 콘센트
KR200183102Y1 (ko) 전원 콘센트
KR0118136Y1 (ko) 전원플러그의 코드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