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51B1 -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51B1
KR101053651B1 KR1020100042188A KR20100042188A KR101053651B1 KR 101053651 B1 KR101053651 B1 KR 101053651B1 KR 1020100042188 A KR1020100042188 A KR 1020100042188A KR 20100042188 A KR20100042188 A KR 20100042188A KR 101053651 B1 KR101053651 B1 KR 10105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ion
plug
polar terminal
intaglio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진
Original Assignee
곽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진 filed Critical 곽동진
Priority to KR102010004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음각홈 내에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핀 삽입공을 형성하며, 이 음각홈을 세로 방향으로 여러 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이에 접속되는 외부 플러그의 밀집도를 높이고, 외부 플러그를 핀 삽입공 1개씩만 이동시켜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Multi-Concen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로 방향으로 긴 음각홈 내에 외부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핀 삽입공을 형성하며, 이 음각홈을 세로 방향으로 여러 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이에 접속되는 외부 플러그의 밀집도를 높이고, 외부 플러그를 핀 삽입공 1개씩만 이동시켜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과 직장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 기존의 멀티 콘센트는 일자형의 긴 형상을 갖는 제품으로서, 접속시킬 수 있는 플러그의 수는 통상 2~5개 내외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10~15개를 접속시킬 수 있는 긴 제품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콘센트는 접속할 수 있는 플러그의 수가 많아질수록 콘센트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긴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긴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긴 공간이 주어지지 않는 장소에서 많은 수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짧은 콘센트 여러 개를 병렬 접속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편, 콘센트에는 외부 플러그의 형상에 맞는 음각홈이 형성되는데, 하나의 음각홈 내에는 외부 플러그의 2개의 접속핀이 끼워지는 2개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그런데, 전원 플러그는 표준화에 따라 크기가 일정하여야 하지만, 중간 전선을 없앤 플러그 일체형의 충전기나 어댑터 등의 제품은 플러그를 포함하는 몸체의 크기가 각각 다르게 제작된다.
따라서 하나의 긴 콘센트 중 하나의 음각홈에 부피가 규격보다 큰 플러그를 접속시키면, 그 옆에는 다른 플러그를 접속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플러그의 부피가 규격에서 조금이라도 크게 되면, 다른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음각홈을 건너뛰고서 다른 음각홈에 결합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플러그가 약간 클 뿐인데도 하나의 음각홈을 건너뛴다는 것은 콘센트의 비효율적인 사용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 방향으로 긴 음각홈 내에 외부 플러그를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핀 삽입공을 형성하며, 이 음각홈을 세로 방향으로 여러 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이에 접속되는 외부 플러그의 밀집도를 높이고, 외부 플러그를 핀 삽입공 1개씩만 이동시켜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플러그의 둘레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음각홈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음각홈은 세로 방향으로 2 열 이상이 나열되며, 각각의 상기 음각홈 내에는 상기 플러그의 핀을 삽입하기 위한 3개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핀이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핀홀더와 상기 핀홀더가 접속되는 긴 판형의 단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상기 핀홀더는 다수 열에 걸쳐서 상기 음각홈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대응되는 제 1극성 단자부;
상기 제 1극성 단자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극성 단자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2극성 단자부;
상기 제 1극성 단자부와 상기 제 2극성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입력 플러그;
상기 전원입력 플러그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버튼을 가지며, 자체적으로 과부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 음각홈은 상기 외부 플러그를 삽입공 1개 간격으로 이동시켜 접속하더라도 상기 외부 플러그를 가이드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외부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긴 음각홈을 세로 방향으로 여러 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이에 접속되는 외부 플러그의 밀집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플러그를 핀 삽입공 1개씩만 이동시켜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배선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배선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배선 사시도이고,
도 8은 상부 케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제 사용예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는 상부 케이스(100), 제 1극성 단자부(200), 제 2극성 단자부(300), 하부 케이스(400), 전원공급을 ON/OFF시키기 위한 스위치(500), 전원입력 플러그(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400)는 스크류(122)를 체결하여 결합시킨다.
상부 케이스(100)에는 외부 플러그의 둘레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음각홈(112)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음각홈(112)은 세로 방향으로 3열로 나열되며, 각각의 음각홈(112) 내에는 외부 플러그의 핀을 삽입하기 위한 5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된다.
음각홈(112)은 외부 플러그를 삽입공(110) 1개 간격으로 이동시켜 접속할 수 있도록 외부 플러그를 가이드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상기 제 2극성 단자부(300)는
Figure 112010028998663-pat00001
Figure 112010028998663-pat00002
형으로 배치되며 핀홀더(310)가 접속된다. 핀홀더(310)는 핀홀더영역(330)에 해당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핀홀더(310)의 상세한 형상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한다.
제 1극성 단자부(200)의 핀홀더(310)와 제 2극성 단자부(300)의 핀홀더(310)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연결소켓(340)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400)는 절연체의 재질로 구성되는데,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제 2극성 단자부(300)는 도체이며 주로 황동 재질을 사용한다. 핀홀더(310)는 도 3의 형태로 가공하여 가전제품의 플러그가 멀티 콘센트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외부전원을 멀티 콘센트에 입력하는 전원입력 플러그(600)를 두어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공급을 ON/OFF시키기 위한 스위치(500)를 멀티 콘센트 상단부 뒷면에 두어 가전제품의 플러그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고, 과도한 전력 사용으로 과부하가 걸릴 경우를 대비해 스위치(500)는 과부하시 자동 차단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400)의 안쪽으로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제 2극성 단자부(300)를 배치하여 전원입력 플러그(600)의 일방 극성의 전선을 제 1극성 단자부(200)의 끝단 전원부 고정홈(320)에 연결하고, 나머지 극성의 전선을 제 2극성 단자부(300)의 끝단 전원부 고정홈(320)에 연결한다.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제 2극성 단자부(300)를 하부 케이스(400)에 장착시킨 후 스크류(122)로 고정하며, 상부 케이스(100)를 하부 케이스(400)에 덮은 후 고정홈(120)으로 스크류(122)를 통과시켜 하부 케이스(400)의 돌기부에 체결한다.
하부 케이스(400)의 내측 바닥면에는 도 2와 같이,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제 2극성 단자부(300)를 끼우기 위한 하부 고정홈(410)이 형성된다.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제 2극성 단자부(300)를 하부 고정홈(4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스크류(122)를 전원부고정홈(320)으로 통과시켜 하부 케이스(400)에 체결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00)의 저면에는 도 8과 같이, 핀홀더(310)의 상부를 가이드 하기 위한 밑면 가이드홈(1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실시예의 멀티 콘센트는, 사각 형상의 상부 케이스(100)에 다수 열로 음각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플러그를 인접한 거리에 집중화시켜 콘센트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음각홈(112)에 부피가 규격보다 다소 큰 외부 플러그를 접속시키더라도, 다른 외부 플러그는 큰 외부 플러그로부터 삽입공(110) 하나만 건너뛰고 콘센트에 접속시킴으로써, 콘센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2실시예는 음각홈(112) 내에 3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되고, 이 음각홈(112)은 3열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상기 제 2극성 단자부(300)는
Figure 112010028998663-pat00003
Figure 112010028998663-pat00004
형으로 배치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3실시예는 음각홈(112) 내에 7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되고, 이 음각홈(112)은 3열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1극성 단자부(200)와 상기 제 2극성 단자부(300)는
Figure 112010028998663-pat00005
Figure 112010028998663-pat00006
형으로 배치되며 핀홀더(310)가 접속된다. 핀홀더(310)는 핀홀더영역(330)에 걸쳐 크게 형성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00 : 상부 케이스 110 : 삽입공
112 : 음각홈 114 : 밑면 가이드홈
120 : 상부 고정홈 122 : 스크류
200 : 제 1극성 단자부
300 : 제 2극성 단자부 310 : 핀홀더
320 : 전원부고정홈 330 : 핀홀더영역
340 : 연결소켓 400 : 하부 케이스
410 : 하부 고정홈 500 : 스위치
600 : 전원입력 플러그

Claims (2)

  1. 외부 플러그의 둘레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음각홈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음각홈은 세로 방향으로 2 열 이상이 나열되며, 각각의 상기 음각홈 내에는 상기 외부 플러그의 핀을 삽입하기 위한 3개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핀이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다수의 핀홀더와 상기 핀홀더가 접속되는 긴 판형의 단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상기 핀홀더는 다수 열에 걸쳐서 상기 음각홈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대응되는 제 1극성 단자부;
    상기 제 1극성 단자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극성 단자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2극성 단자부;
    상기 제 1극성 단자부와 상기 제 2극성 단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입력 플러그;
    상기 전원입력 플러그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버튼을 가지며, 자체적으로 과부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멀티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은 상기 외부 플러그를 삽입공 1개 간격으로 이동시켜 접속하더라도 상기 외부 플러그를 가이드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KR1020100042188A 2010-05-04 2010-05-04 멀티 콘센트 KR10105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88A KR101053651B1 (ko) 2010-05-04 2010-05-04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88A KR101053651B1 (ko) 2010-05-04 2010-05-04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651B1 true KR101053651B1 (ko) 2011-08-05

Family

ID=4493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88A KR101053651B1 (ko) 2010-05-04 2010-05-04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285Y1 (ko) * 2002-09-25 2002-12-31 박희명 콘센트
KR20080004818U (ko) * 2007-04-18 2008-10-22 장성인 다방향의 플러그 삽입이 가능한 콘센트
KR101028102B1 (ko) 2009-02-02 2011-04-08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멀티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285Y1 (ko) * 2002-09-25 2002-12-31 박희명 콘센트
KR20080004818U (ko) * 2007-04-18 2008-10-22 장성인 다방향의 플러그 삽입이 가능한 콘센트
KR101028102B1 (ko) 2009-02-02 2011-04-08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343B2 (en) Socket assembly
US8226444B2 (en) Modular power strip
KR100780456B1 (ko) 전기 배선용 커넥터
MY136448A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N110137760B (zh) 插拔式计量端子排
US20120052742A1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KR100881202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KR101200287B1 (ko) 멀티탭
JP6457651B2 (ja) 端子台
WO2014016540A1 (en) Cable connec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1053651B1 (ko) 멀티 콘센트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CN201041800Y (zh) 电源电路保护装置
CN203910981U (zh) 一种接线柱
KR101585111B1 (ko)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
KR200462112Y1 (ko)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CN205646371U (zh) 插入式汇流排组件及其所应用装置和终端电器箱
CN205141244U (zh) 一种安全排插
KR101591187B1 (ko) 멀티탭 콘센트
KR101311484B1 (ko) 원터치 온/오프형 구조를 갖는 전기플러그와 멀티 탭
JP2012074374A (ja) コネクタを最適配置できる装置
EP4325669A1 (en) Connecting assembly, cable plug and cable assembly
WO2024051745A1 (zh) 插座
KR100773518B1 (ko)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속구조
KR200282469Y1 (ko)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