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112Y1 -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112Y1
KR200462112Y1 KR2020100013286U KR20100013286U KR200462112Y1 KR 200462112 Y1 KR200462112 Y1 KR 200462112Y1 KR 2020100013286 U KR2020100013286 U KR 2020100013286U KR 20100013286 U KR20100013286 U KR 20100013286U KR 200462112 Y1 KR200462112 Y1 KR 200462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let
lead
pai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765U (ko
Inventor
정완석
Original Assignee
정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완석 filed Critical 정완석
Priority to KR2020100013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11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1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01R4/42Clamping area to one side of screw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삽입 홈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및 상기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를 구비한 콘센트가 개시된다. 상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구멍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각각 양단의 접촉 단자가 상기 단자구멍에 끼워지는 U 형상의 한 쌍의 도전 리드; 및 양단에 상기 플러그 삽입 홈으로 돌출되는 접지 단자가 결합한 접지 리드를 포함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도전 리드와 접지 리드에는 각각 상기 리드에 끼워지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지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선(stranded cable) 연결유닛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Consent for connecting withdrawal wire easily}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각종 전기기구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의 일종으로서, 실내외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매립형 콘센트와 노출형 콘센트로 구분된다.
콘센트는 커버와 본체 및 베이스로 이루어지는데, 커버에는 각종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플러그 삽입 홈이 형성되고, 본체에는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가 고정되어 있다.
리드는 한 쌍의 도전 리드와 접지 리드로 구성되며, 접지 리드와 연결되는 접지 단자는 플러그 삽입 홈으로 돌출되어 플러그의 접지 단자에 접촉한다.
이러한 구조의 콘센트를 벽체에 설치한 후, 이 콘센트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콘센트의 커버를 분리하고 인출 전선을 각 리드에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를 분해하지 않고 인출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출 전선이 단심선 또는 연선을 가리지 않고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플러그 삽입 홈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및 상기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를 구비한 콘센트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구멍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각각 양단의 접촉 단자가 상기 단자구멍에 끼워지는 U 형상의 한 쌍의 도전 리드; 및 양단에 상기 플러그 삽입 홈으로 돌출되는 접지 단자가 결합한 접지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도전 리드와 접지 리드에는 상기 도전 리드 또는 상기 접지 리드 각각에 끼워지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지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선(stranded cable)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이면에는 상기 연선 연결유닛에 대응하는 연선 연결블록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선 연결블록은 상기 스크류가 노출되는 노출구멍과 상기 리드와 지지 너트 사이에 끼워지는 연선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릴리즈 키와 상기 릴리즈 키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심선(single core cable) 연결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이면에는 상기 단심선 연결유닛에 대응하는 단심선 연결블록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심선 연결블록은 상기 릴리즈 키의 단부가 노출되는 노출구멍과 상기 판 스프링 단자에 끼워지는 단심선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콘센트를 분해하지 않고도, 전원 공급선이나 인출 저선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원 공급선이나 인출 도선이 단심선 또는 연선에 관계없이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센트에서 본체의 모델링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센트에서 본체의 모델링 이미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 홈(310)이 형성된 커버(300)와, 이 커버(3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100), 및 커버(300)와 베이스(100)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200)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100)
베이스(100)는 단일의 몸체로 구성되며, 커버(3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구멍(102, 104)이 상하로 형성되고, 벽체에 설치된 브라켓에 콘센트를 고정하기 위해서 대향하는 모서리에 결합 구멍(106, 108)이 형성된다.
베이스의 이면(100)에는 후술하는 단심선 연결유닛(250, 260, 270)에 대응하는 단심선 연결블록(150, 160, 170)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단심선(single core cable)은 말 그대로 하나의 심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단심선 연결블록(150, 160, 170)은 후술하는 릴리즈 키(256, 266, 276)의 단부가 노출되는 노출구멍(156, 166, 176)과 판 스프링 단자(252, 254, 262, 264, 272, 274)에 끼워지는 단심선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멍(152, 154)(162, 164)(172, 174)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구멍(152, 154)(162, 164)(172, 174)은 각 단심선 연결블록(150, 160, 170)에 대해 하나만 구성하여도 무방하지만, 확장성을 고려하면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구멍(152, 154)(162, 164)(172, 174) 중 하나는 전원 공급선을 연결하는데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인출 전선을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베이스의 이면(100)에는 후술하는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에 대응하는 연선 연결블록(120, 130, 140)이 추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선(stranded cable)은 말 그대로 다수의 세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연선 연결블록(120, 130, 140)은 후술하는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의 스크류(222, 232, 242)가 노출되는 노출구멍(122, 132, 142)과 후술하는 리드(220, 230, 240)와 지지 너트(224, 234, 244) 사이에 끼워지는 연선(12, 13, 14)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멍(124, 134, 144)을 구비한다.
본체(200)
본체(200)는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구멍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210, 212)(도 2의 갈색), 각각 양단의 접촉 단자(225, 226)(235, 236)(도 2의 연두색)가 지지 플레이트(210, 212)의 단자구멍에 끼워지는 U 형상의 한 쌍의 도전 리드(220, 230)(도 2의 노란색), 및 양단에 플러그 삽입 홈(310)으로 돌출되는 접지 단자(247, 248)가 결합한 접지 리드(240)(도 2의 청색)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선(미도시)은 각각 도전 리드(220, 230)에 연결되고 접지선(미도시)은 접지 리드(240)에 연결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으면 플러그의 단자는 지지 플레이트(210, 212)의 단자구멍을 통하여 도전 리드(220, 230)의 접촉 단자(225, 226)(235, 236)에 접촉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본체(200)에 설치된 한 쌍의 도전 리드(220, 230)와 접지 리드(240)에는 각각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과 단심선 연결유닛(250, 260, 270)이 설치된다.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은 외부에서 끼워지는 연선을 효과적으로 리드(220, 230, 240)에 고정하기 위한 유닛이고, 단심선 연결유닛(250, 260, 270)은 외부에서 끼워지는 연선을 효과적으로 리드(220, 230, 240)에 고정하기 위한 유닛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선은 다수의 세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이고, 단심선은 하나의 심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이기 때문에 이들을 리드(220, 230, 240)에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상이하다.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은 리드(220, 230, 240)에 끼워지는 스크류(222, 232, 242)와 이 스크류(222, 232, 242)에 나사 결합하는 지지 너트(224, 234, 244)로 이루어진다. 이 구조에 의하면, 다수의 세선으로 이루어진 연선이 지지 너트(224, 234, 244)와 리드(220, 230, 240) 사이의 간극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222, 232, 242)를 돌려 조이면 간극이 좁아지면서 연선은 지지 너트(224, 234, 244)와 리드(220, 230, 240) 사이에 고정된다.
단심선 연결유닛(250, 260, 270)은 릴리즈 키(256, 266, 276)와 이 릴리즈 키(256, 266, 276)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 단자(252, 254)(262, 264)(272, 274)로 이루어진다. 이 구조에 의하면, 릴리즈 키(256, 266, 276)를 누르면 판 스프링 단자(252, 254)(262, 264)(272, 274)가 릴리즈 키(256, 266, 276)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판 스프링 단자(252, 254)(262, 264)(272, 274)와 이에 인접한 지지대 사이의 간극이 벌어지며, 이 간극에 하나의 심선으로 이루어진 단심선을 끼운 다음, 릴리즈 키(256, 266, 276)를 놓으면, 판 스프링 단자(252, 254)(262, 264)(272, 274)의 복원력에 의해 간극이 좁아지면서 단심선이 고정된다.
커버(300)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300)의 전면에는 플러그 삽입 홈(310)이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 홈(310)의 저면에는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구멍(307, 30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100)의 결합 구멍(102, 104)에 대응하여 보스(302, 304)가 돌출되고, 베이스(100)의 결합 구멍(106, 108)에 대응하여 결합 구멍(306, 30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콘센트는 본체(200)의 지지 플레이트(210, 212)가 플러그 삽입 홈(310)의 이면에 적절하게 접촉함과 동시에 접지 단자(247, 248)가 커버(300)의 플러그 삽입 홈(310) 내측으로 튀어나오도록 본체(200)를 커버(300)에 안착한다.
이어, 본체(200)의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과 단심선 연결유닛(250, 260, 270)이 베이스(100)의 연선 연결블록(120, 130, 140)과 단심선 연결블록(150, 160, 170)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정합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100)의 연선 연결블록(120, 130, 140)의 노출구멍(122, 132, 142)을 통하여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의 스크류(222, 232, 242)가 노출되어 외부에서 스크류를 돌릴 수 있게 되며, 각 연선 연결블록(120, 130, 140)의 한 쌍의 삽입구멍(124, 134, 144)은 연선 연결유닛(221, 231, 241)의 지지 너트(224, 234, 244)와 리드(220, 230, 240) 사이의 간극에 대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100)의 단심선 연결블록(150, 160, 170)의 노출구멍(156, 166, 176)을 통하여 단심선 연결유닛(250, 260, 270)의 릴리즈 키(256, 266, 276)가 노출되어 외부에서 누를 수 있게 되며, 각 단심선 연결블록(150, 160, 170)의 한 쌍의 삽입구멍(152, 154)(162, 164)(172, 174)은 판 스프링 단자(252, 254)(262, 264)(272, 274)와 이에 인접한 지지대 사이의 간극에 대향하게 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콘센트를 분해하지 않고도, 전원 공급선이나 인출 저선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원 공급선이나 인출 도선이 단심선 또는 연선에 관계없이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는 벽면상에 노출되는 노출형 콘센트에 적용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매립형 콘센트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
120, 130, 140: 연선 연결블록
150, 160, 160: 단심선 연결블록
200: 본체
210, 212; 지지 플레이트
220, 230: 도전 리드
221, 231, 241: 연선 연결유닛
222, 232, 242: 스크류
225, 226, 235, 236: 접촉 단자
224, 234, 244: 지지 너트
240: 접지 리드
250, 260, 270: 단심선 연결유닛
252, 254, 262, 264, 272, 274: 판 스프링 단자
256, 266, 276: 릴리즈 키
300: 커버
310: 플러그 삽입홈

Claims (4)

  1. 플러그 삽입 홈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 및 상기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본체를 구비한 콘센트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구멍이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각각 양단의 접촉 단자가 상기 단자구멍에 끼워지는 U 형상의 한 쌍의 도전 리드; 및
    양단에 상기 플러그 삽입 홈으로 돌출되는 접지 단자가 결합한 접지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도전 리드와 접지 리드에는 상기 도전 리드 또는 상기 접지 리드 각각에 끼워지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지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선(stranded cable)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이면에는 상기 연선 연결유닛에 대응하는 연선 연결블록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선 연결블록은 상기 스크류가 노출되는 노출구멍과 상기 리드와 지지 너트 사이에 끼워지는 연선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릴리즈 키와 상기 릴리즈 키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심선(single core cable) 연결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이면에는 상기 단심선 연결유닛에 대응하는 단심선 연결블록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심선 연결블록은 상기 릴리즈 키의 단부가 노출되는 노출구멍과 상기 판 스프링 단자에 끼워지는 단심선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KR2020100013286U 2010-12-22 2010-12-22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KR200462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86U KR200462112Y1 (ko) 2010-12-22 2010-12-22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86U KR200462112Y1 (ko) 2010-12-22 2010-12-22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65U KR20120004765U (ko) 2012-07-02
KR200462112Y1 true KR200462112Y1 (ko) 2012-08-27

Family

ID=4685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286U KR200462112Y1 (ko) 2010-12-22 2010-12-22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1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79Y1 (ko) 2018-08-13 2019-10-22 조경군 케이블 연결유닛의 릴리즈 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287Y1 (ko) 2005-09-20 2006-01-10 김경은 방수 콘센트
JP2006066228A (ja)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差込接続器
KR100609439B1 (ko) 2004-09-08 2006-08-0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6228A (ja)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差込接続器
KR100609439B1 (ko) 2004-09-08 2006-08-0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KR200405287Y1 (ko) 2005-09-20 2006-01-10 김경은 방수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65U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8982B2 (en) Wiring device having a housing with multiple portions and low voltage ports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US20170187155A1 (en) Wiring device with connector integrated into pcb substrate
CN103036106A (zh) 连接器插头与连接器插座
US6910903B2 (en) Receptacle mounting bracket attached to frame
KR200462112Y1 (ko)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GB2422056A (en) Back box having terminals for cable connection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US20160276815A1 (en) Faux electrical socket-outlet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JP2007241633A (ja) 端子変換ユニット
JP7133780B2 (ja)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RU2666748C2 (ru) Сдвоенная настенная розетка
CN220023275U (zh) 一种舞台盒外壳
KR200490279Y1 (ko) 케이블 연결유닛의 릴리즈 키
KR200387831Y1 (ko) 콘센트
US20240213708A1 (en) Connection devices, cable plugs, and cable assemblies
KR20100100102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파워소켓
KR101053651B1 (ko) 멀티 콘센트
CN211290254U (zh) 无线有源开关
CN220710794U (zh) 可拆卸插头
WO2024051745A1 (zh) 插座
WO2014120017A1 (en) Assembly for socket outlet
KR101812316B1 (ko)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에 삽입되는 pcb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AU2011205067B2 (en) An External Power Poin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