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831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831Y1
KR200387831Y1 KR20-2005-0008729U KR20050008729U KR200387831Y1 KR 200387831 Y1 KR200387831 Y1 KR 200387831Y1 KR 20050008729 U KR20050008729 U KR 20050008729U KR 200387831 Y1 KR200387831 Y1 KR 20038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wire insertion
wire
outlet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홍기
Original Assignee
신동아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아전기(주) filed Critical 신동아전기(주)
Priority to KR20-2005-0008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삽입공(110)이 형성된 뚜껑부(100)와, 삽입된 플러그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플러그접속단자(240)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부에 결합되는 몸체부(200)가 구비된 기존의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는, 개별전선삽입공(211)과 복수전선삽입공(212)이 별도로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일측에 탄성접속되도록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 상측에 S형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220)과; 상기 판스프링(220)의 저면부에 접촉되는 가압돌기(231)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10) 외부로 돌출설치되는 전선삽입보조버튼(230)과; 상기 판스프링(220)의 상면부 및 둘레를 감싸며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타측에 접속되는 접속박스부(241)와, 상기 복수전선삽입공(212)을 통해 삽입된 전선을 볼트(245)에 의해 조임고정시키도록 볼트결합공(242a)이 형성된 접속판부(242)가 구비된 2개의 플러그접속단자(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콘센트의 내부를 개방하여 내측에서 전원 및 접지전선을 접속단자와 조임연결시키거나, 콘센트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접속단자에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접속시킬 수 있어, 콘센트의 설치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방법으로 전선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concen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의 내부를 개방하여 내측에서 전원 및 접지전선을 접속단자와 연결시킬 수도 있고, 콘센트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외부에서 접속단자에 전선을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어, 내, 외측에서 전선접속이 모두 가능하여 설치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전선설치 및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와,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에서 콘센트에 연결하여 다른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센트 등 여러가지 구조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 좌,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전선 삽입구(1a)가 형성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단자 삽입부(1b)에 끼워져 나사에 의해 고정된 접속단자(2)와, 플러그 삽입부(3a)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상부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콘센트에 전선을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 몸체(1)에 뚜껑(3)을 결합시키는 나사를 풀어 몸체(1)로부터 뚜껑(3)을 분리시킨 후 접속단자(2)를 고정시키는 나사의 일부를 풀어 그 나사의 몸체에 전선의 피복이 제거된 부위를 감은 다음 다시 조여 나사머리에 의해 접속단자(2)상에 전선의 피복이 제거된 부위를 압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전선을 전선 삽입구(1a) 내에 배치시킨 후 몸체(1)에 뚜껑(3)을 나사로써 다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접속단자(2)에 전선을 연결시킬 시, 공구를 사용하여 몸체(1)와 뚜껑(3)을 결합시킨 나사를 해제하고 작업 후 다시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배선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소모 또한 발생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뚜껑(3)을 개방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선을 삽입하도록 안출된 여러 고안들이 있으나, 이러한 삽입식 구조는 건설 중 단선을 주로 사용하는 배선작업을 할 시에는 유용하나 일반적으로 연선을 사용하고 있는 실내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콘센트의 설치 및 사용환경에 따라, 콘센트의 내부를 개방하여 내측에서 전원 및 접지전선을 접속단자와 연결시키거나, 콘센트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외부에서 접속단자에 전선을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플러그삽입공이 형성된 뚜껑부와, 삽입된 플러그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플러그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부에 결합되는 몸체부가 구비된 기존의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개별전선삽입공과 복수전선삽입공이 별도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일측에 탄성접속되도록 상기 개별전선삽입공 상측에 S형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부에 접촉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설치되는 전선삽입보조버튼과; 상기 판스프링의 상면부 및 둘레를 감싸며 상기 개별전선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타측에 접속되는 접속박스부와, 상기 복수전선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전선을 볼트에 의해 조임고정시키도록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접속판부가 구비된 2개의 플러그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센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한쌍의 플러그접속단자 사이에 상기 플러그접속단자와 분리되어 상기 판스프링 및 전선에 접속되며, 상기 뚜껑부의 접지돌기에 접속되는 접지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별전선삽입공 및 판스프링은, 2개가 한쌍으로 각각의 플러그접속단자 및 접지접속단자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러그접속단자 및 접지접속단자는, 각각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센트의 내부를 개방하여 내측에서 전원 및 접지전선을 접속단자와 조임연결시키거나, 콘센트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접속단자에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접속시킬 수 있어, 콘센트의 설치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방법으로 전선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3은 각각 2구 멀티콘센트에 적용시킨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와 저면사시도이고, 도 4, 5는 상기 1실시예에서 각각 개별전선삽입공과 복수전선삽입공으로 도입된 전선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사시도이며, 도 6, 7은 각각 3구 멀트콘센트에 적용시킨 본 고안의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와 저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는,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110)이 형성된 뚜껑부(100)와, 상기 뚜껑부(100) 하측으로 삽입된 플러그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플러그접속단자(240)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부(100)의 하측에 볼트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200)가 구비된 기존의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를 본체(210), 판스프링(220), 전선삽입보조버튼(23), 플러그접속단자(240)로 구성하여, 상기 콘센트의 내, 외부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몸체부의 본체(210)는 상기 몸체부(200)의 다른 구성요소인 판스프링(220), 전선삽입보조버튼(23), 플러그접속단자(240)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단선 전선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통공된 개별전선삽입공(211)과, 2개이상의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통공된 복수전선삽입공(212)이 별도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1,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은 상기 본체(210)의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전선삽입공(212)은 상기 뚜껑부(100)와 접하는 측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220)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에 탄성접속되는 구성요소로, 상하방 및 측방향으로의 탄성을 가지는 S자형상으로 굴곡형성되어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전선과 측면부에서 접속되도록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220)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으로 삽입된 전선을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이하설명)측으로 탄성압박함에 따라,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으로 삽입된 전선과 연결되는 안정된 전류경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210) 상측으로 삽입되어 접속된 전선이 다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전선삽입보조버튼(23)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으로 삽입되는 전선의 상기 판스프링(220) 측면까지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판스프링(220)의 저면부에 접촉되는 가압돌기(231)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10) 외부로 돌출설치된다.
외부에서 상기 전선삽입보조버튼(23)을 누르면 상기 판스프링(220)의 저면부가 상측으로 더욱 휘어져 들어올려지고, 측면에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확장되어 전선의 상기 판스프링(220) 측면까지의 도입이 쉽게 이루어지며, 전선의 도입 후에는 상기 전선삽입보조버튼(23)을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판스프링(220)이 상기 전선을 탄성압박시키며 상기 전선 일측에 견고하게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는 상기 본체(210)로 삽입된 전선을 상기 뚜껑부(100)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단자 내지는 상기 뚜껑부(100)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로,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박스부(241)와, 상기 복수전선삽입공(212)을 통해 삽입된 전선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판부(242)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박스부(241)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판스프링(220)의 상면부 및 측면둘레를 감싸며 상기 판스프링(220)에 접속되며,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은 상기 접속박스부(241)의 내측면과 상기 판스프링(22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판스프링(220)이 상기 전선을 상기 접속박스부(241)측으로 탄성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전선의 일측은 상기 판스프링(220)에 타측은 상기 접속박스부(241)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접속판부(242)는 전선을 볼트(245)에 의해 조임고정시킬 수 있도록 평면한 접속면과 볼트결합공(242a)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전선삽입공(212)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단부를 상기 볼트(245)와의 사이에 끼운 후 조임고정하여 접속시키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245)에 평판형의 보조접속판을 추가로 체결하여 상기 접속판부(242)와 상기 보조접속판 사이에 전선의 단부를 끼운 후 조임고정하여 접속시킨다.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는 플러그의 양극과 음극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상호 분리되게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플러그접속단자(240) 사이에는 상기 본체(210)로 삽입된 전선을 상기 뚜껑부의 접지돌기(120) 내지는 상기 접지돌기(120)와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인 접지접속단자(250)가 설치된다.
상기 접지접속단자(250) 또한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 및 복수전선삽입공(212)에 모두 접속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와 동일한 접속구조를 가지며,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부의 전후좌우부가 하측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에 상기 판스프링(220)이 끼워져 접속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양단부에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245)가 체결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는 상기 접속박스부(241)와 접속판부(242)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키기 용이하며, 상기 접지접속단자(250) 또한 금속판재의 절단 및 절곡에 의해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시키기 용이함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한 접속을 보다 간결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어 기존의 삽입식 전선접속구조를 가지는 콘센트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 및 판스프링(220)은 두쌍의 전원 및 접지전선이 접속될 수 있도록 2개가 한쌍으로 각각의 플러그접속단자(240) 및 접지접속단자(250)에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 내부로 도입되는 전선 뿐만 아니라 상기 콘센트로부터 전선을 도출하여 다수의 콘센트를 병렬로 연결시키거나 다른 전선과 연결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콘센트의 내부를 개방하여 내측에서 전원 및 접지전선을 접속단자와 조임연결시키거나, 콘센트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 외부에서 접속단자에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접속시킬 수 있어, 콘센트의 설치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방법으로 전선설치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 일반적인 콘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도1의 저면사시도.
도 4 - 개별전선삽입공에 끼워진 전선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사시도.
도 5 - 복수전선삽입공으로 도입된 전선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사시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
도 7 - 도 5의 저면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뚜껑부 110 : 플러그삽입공
120 : 접지돌기 200 : 몸체부
210 : 본체 211 : 개별전선삽입공
212 : 복수전선삽입공 220 : 판스프링
230 : 전선삽입보조버튼 231 : 가압돌기
240 : 플러그접속단자 241 : 접속박스부
242 : 접속판부 242a : 볼트결합공
245 : 볼트 250 : 접지접속단자

Claims (4)

  1. 플러그삽입공(110)이 형성된 뚜껑부(100)와, 삽입된 플러그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플러그접속단자(240)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부(100)에 결합되는 몸체부(200)가 구비된 기존의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는,
    개별전선삽입공(211)과 복수전선삽입공(212)이 별도로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일측에 탄성접속되도록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 상측에 S형상으로 설치된 판스프링(220)과;
    상기 판스프링(220)의 저면부에 접촉되는 가압돌기(231)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10) 외부로 돌출설치되는 전선삽입보조버튼(230)과;
    상기 판스프링(220)의 상면부 및 둘레를 감싸며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타측에 접속되는 접속박스부(241)와, 상기 복수전선삽입공(212)을 통해 삽입된 전선을 볼트(245)에 의해 조임고정시키도록 볼트결합공(242a)이 형성된 접속판부(242)가 구비된 2개의 플러그접속단자(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는,
    상기 한쌍의 플러그접속단자(240) 사이에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와 분리되어 상기 판스프링(220) 및 전선에 접속되며, 상기 뚜껑부의 접지돌기(120)에 접속되는 접지접속단자(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 및 판스프링(220)은,
    2개가 한쌍으로 각각의 플러그접속단자(240) 및 접지접속단자(25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 및 접지접속단자(250)는,
    각각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20-2005-0008729U 2005-03-30 2005-03-30 콘센트 KR20038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29U KR200387831Y1 (ko) 2005-03-30 2005-03-30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29U KR200387831Y1 (ko) 2005-03-30 2005-03-30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831Y1 true KR200387831Y1 (ko) 2005-06-23

Family

ID=4368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29U KR200387831Y1 (ko) 2005-03-30 2005-03-30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8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100B1 (ko) 2022-07-27 2023-11-30 정재호 점자안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100B1 (ko) 2022-07-27 2023-11-30 정재호 점자안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880B1 (en) Electric outlets
KR101204230B1 (ko) 전기 커넥터 콘센트
US7804026B2 (en) Enclosure for wiring devices
US6514093B1 (en) Wall mounting power adapter socket
US20060216988A1 (en) Electrical receptacle and junction box free of wire-nuts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100114365A (ko) 조인트 커넥터
US20040253854A1 (en) Multipurpose electric adapter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US5452175A (en) Construction of a panel
KR102256729B1 (ko) 피복 절개수단이 결합된 멀티 콘센트
CN212968301U (zh) 一种接线快速的电连接器及插接式电连接器组件
US5595491A (en) 240 volt receptacle module for modular electrical system
JP2010073351A (ja) 配線装置
KR101811357B1 (ko) 전원 플러그의 전기접속용 단자 어셈블리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JP4001128B2 (ja) コンセント
US7915543B2 (en) Isolator assembly, receptacle and method of operation
US20240213708A1 (en) Connection devices, cable plugs, and cable assemblies
KR200462112Y1 (ko)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JP2000223200A (ja) コンセントおよび配線器具
CN211508015U (zh) 一种带接线端子的开关插座底盒
JP3058433U (ja) 差し込みプラグ装置
WO2024051745A1 (zh) 插座
TWI424636B (zh) 直流電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