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439B1 -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39B1
KR100609439B1 KR1020040071782A KR20040071782A KR100609439B1 KR 100609439 B1 KR100609439 B1 KR 100609439B1 KR 1020040071782 A KR1020040071782 A KR 1020040071782A KR 20040071782 A KR20040071782 A KR 20040071782A KR 100609439 B1 KR100609439 B1 KR 10060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ese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978A (ko
Inventor
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eak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가 개시된다. 상기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는 차단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어셈블리화되고, 조립 부품을 적층식으로 구성하여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을 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 공정 품질, 부품의 조달과 관리 등 제품 생산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제품 사용시의 안정된 성능과, 결함 발생시의 분해 및 확인, 조치 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2 OPENINGS SOCKET OUTLET HAVING SHORT CIRCUIT INTERRUPT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들;
도 4는 차단부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5는 차단부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6은 차단부 어셈블리의 회로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리셋버튼이 눌러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9는 차단부 어셈블리의 LED의 빛 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베이스
120 : 차단부 어셈블리
130 : 미들 베이스
140 : 케이스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를 갖는 꽂음접속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립성이 뛰어나고, 육안으로 누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 차단기는 인체의 감전 사고와 누전에 의한 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누전 차단기는 가정용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누전 차단기와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직접 설치되는 꽂음 접속식 누전 차단기(GFCI;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ion)가 있다.
이러한,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는 벽면 내부의 설치공간이 제한되어 있어 한정된 크기 내에서 많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야 함에 따라 제품의 형상(구성)이 복잡해지며, 이로 인해 제품 생산(조립)에 안정적인 품질과 합리적인 제조 원가, 합리적인 부품 관리 및 결함 발생시의 신속한 대응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는 사용자가 누전 차단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누전 차단의 핵심 부품을 어셈블리와 하고, 각 부품들을 단계적으로 조립하여 전선의 연결이 불필요한 적층식 조립 형태를 구성함으로써 제한된 제품의 설치 공간 내에서 제품 크기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품 생산성 및 안정된 생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전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습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는 내부 공간을 갖는 그리고 바깥 밑면에 고정브라켓이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공간에는 누전차단기능 동작부가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단부 어셈블리와, 전선이 결합되는 두 개의 전선삽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의 덮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윗면에는 플러그가 결합되는 두 개의 칼받이와, 두 개의 접지칼받이, 그리고 콘센트를 통전 상태로 만드는 작동 조작 버튼인 리셋버튼과, 상기 리셋버튼 지지판이 설치되는 미들베이스와; 상기 두 개의 칼받이는 일단에 각각 고정접점이 설치되며, 상기 미들베이스의 윗면 요홈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접지 칼받이는 나사에 의해 가장 아래에 배치된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고정되며, 상기 미들베이스 상부에 결합되는 그리고 두 개의 플러그삽입구와 상기 리셋버튼이 돌출되는 제1관통공 그리고 테스트 버튼이 설치되는 제2관통공을 갖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는 두 개의 전원터미널과 트랜스 포머, 트립장치, 리셋 가이드, 두 개의 가동단자, 테스트 플레이트 및 테스트 핀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셋 가이드는 상기 리셋버튼이 삽입되는 버튼삽입구가 형성된 기둥형태의 몸통으로 이루어지고, 이 몸통의 중간에 좌우로 두 개의 돌기, 그 돌기 아래에 상기 버튼삽입구와 연결되는 홈 그 홈에 삽입되고 상기 리셋버튼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홀을 갖는 얇은 판모양의 래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전원터미널은 상기 두 개의 전선삽입구 중 입력 전원측과 접촉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원을 인쇄회로기판으로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가동단자는 하단이 상기 트랜스 포머의 중심축을 따라서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단은 가동접점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셋가이드의 돌기 상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립 장치는 전기공급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와, 그 중심축에 삽입되는 그리고 일단이 상기 래치에 걸려지는 원통막대모양의 플랜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와 테스트 핀은 상기 트랜스 포머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그 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이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테스트 버튼의 눌림에 의해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는 누전차단기능이 작동됨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는 상기 미들 베이스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상기 케이스 밖으로 전달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투명한 재질의 렌즈와; 상기 렌즈의 상부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3관통공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누전차단기능을 갖 는 2구용 콘센트는 최하층에 고정브라켓과 베이스를 갖는다. 이 베이스 내부에는 차단부 어셈블리와, 두 개의 전선삽입구가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 상부에는 미들베이스가 결합된다. 이 미들베이스 윗면에는 요홈들이 형성되어 칼받이와 접지칼받이, 리셋버튼 지지판, 리셋버튼이 각각 삽입 놓여진다. 상기 미들베이스 상부에는 두 개의 플러그삽입구를 가진 케이스가 차례로 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전선의 연결이 필요 없는 적층식 조립구조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미들베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가 네 모서리에서 고정나사에 의해 하나로 결합되어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패킹, 플레이트, 커버가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윗면에는 두 개의 전원터미널과, 트랜스 포머, 트립장치, 가동단자, 발광소자, 테스트 플레이트 및 테스트 핀이 각각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는 리셋 가이드가 얹혀져 하나의 블록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내부에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그 공간에는 리셋 가이드의 상하 작동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셋 가이드 안내면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와 상기 테스트 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는 고정의 안전성 측면에서 상기 트랜스 포머 측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셋 가이드는 그 하부가 2개의 다리가 돌출되고 그 다리 사이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를 상 기 베이스에 안착시 상기 리셋 가이드 다리 하단이 상기 베이스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들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베이스 내부의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를 고정할 수 있는 차단부 지지대가 밑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발광소자의 불빛을 상부 케이스 밖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상하로 긴 투명 막대 모양의 렌즈가 고정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2구용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2구용 콘센트는 매립형 콘센트로, 내부에 누전차단기능이 결합된 복합 구조로, 최하층에는 베이스(110)가, 베이스(110)의 내부 공간(112)에는 차단부 어셈블리(120)가, 그 위로는 미들베이스(130)가, 미들베이스 위로는 칼받이(134)와 접지 칼받이(136), 리셋버튼(138), 리셋버튼 지지 판(139), 렌즈(192)가 삽입, 고정되고, 그 위로는 케이스(140)와 패킹(152), 플레이트(154), 커버(156)가 차례로 얹혀 조립되는 적층식 조립구조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콘센트의 최하층에는 상자 모양의 베이스(110)가 있으며, 베이스(110)의 바깥 밑면에는 고정브라켓(111)가 고정된다. 이 고정브라켓은 벽면 매설박스에 고정된다. 베이스의 내부 공간(112)에는 베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홀(가려서 보이지 않음)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결합되는 두 개의 전선 삽입구(114)가 안착된다. 그리고 그 옆으로는 인쇄회로기판(121), 2개의 전원 터미널(125), 트랜스 포머(127), 2개의 가동단자(126), 테스트 플레이트(129a)와 테스터 핀(129b), 트립장치(128), 리셋가이드(122)가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단부 어셈블리(120)가 안착된다. 이들 부품 위로는 미들베이스(130)가 있어 베이스 윗면과 결합한다.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차단부 어셈블리(120)는 밑면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121) 위에 두 개의 전원 터미널(125), 트랜스 포머(127), 트립장치(128), 리셋 가이드(122), 두 개의 가동단자(126), 테스트 플레이트(129a) 및 테스트 핀(129b)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원 터미널(125)은 차단부 어셈블리(120)가 베이스(110) 내부에 안착될 경우 두 개의 전선 삽입구(114) 중 입력 전원측에 나란히 위치하여 두 가닥의 입력 전선을 베이스 밑면 홀(가려서 보이지 않음)에 꽂으면 전선은 전선 삽입구(114)와 전원 터미널(125) 사이에 고정되어 전원이 몸체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원통 모양의 트랜스 포머(127) 상부에는 두가닥의 가동단자(126)가 위치되는데, 이 가동단자(126)는 상기 트랜스 포머의 중심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 터미널(125)과 연결된다. 이처럼, 상기 가동단자는 인쇄회로기판상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 터미널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그들간의 전선 연결이 필요없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가동단자(126)는 중심축을 올라온 후로는 인쇄회로기판과 나란하도록 절곡된 후 그 끝단에 가동접점(126a)이 부착된 상태에서 리셋가이드(122)의 돌기(123b) 위에 놓여진다. 추후, 상기 리셋가이드(122)가 들어 올려짐으로 해서 상기 가동접점(126a)는 칼받이의 고정접점(135)와 접촉된다(도 8 참조).
상기 리셋 가이드(122)는 리셋버튼(138)이 삽입되는 버튼삽입구(123a)가 형성된 기둥형태의 몸통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몸통 중간 부위에는 좌우로 두 개의 돌기(123b)가 형성되어 있어 이 곳 위에 두 개의 가동단자의 가동접점(126a)가 각각 위치된다. 돌기 아래측에는 트립장치(128) 방향으로 상기 버튼삽입구와 연결되는 홈(123c)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곳에 얇은 판 모양의 래치(124) 한쪽 끝이 삽입된다. 래치(124)에는 리셋버튼의 끝단부가 록킹되는 홀(124a)이 형성된다. 상기 리셋버튼이 상기 래치의 홀(124a)에 록킹되면, 리셋버튼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리셋 가이드(122)는 들어올려지고, 들어올려진 리셋 가이드에 의해 가동단자의 가동접점(126a)이 칼받이(134)의 고정접점(135)에 접촉되는 것이다. 리셋 가이드(122)는 하부에 두 개의 다리(123d)가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 아래로 내려와 있 어, 차단부 어셈블리(120)가 베이스(110) 내부에 안착될 경우 다리 하단은 베이스 내부 바닥에 닿고, 리셋 가이드(122) 몸통은 베이스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리셋가이드 안내면(116)에 닿아 있음으로 해서 리셋 가이드(122)가 상하 동작 시 좌우 흔들림 없이 안정된 동작으로 접점을 탈착시키는 등 기구부 동작의 안정적인 메카니즘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립장치(128)는 전기 투입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원통모양의 솔레노이드(128a)와 그 중심축에 삽입되어 있는 원형 막대 모양의 플런저(128b)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런저(128a)의 한 끝은 솔레노이드 중심부에, 다른 끝은 래치(25)의 한 쪽 끝에 걸려 있다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29a)는 트랜스 포머(127)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그 하단이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부는 절곡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에서 돌출되어 있는 테스트 핀(129b) 위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이들은 테스트 버튼(146)의 눌림에 의해 접촉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베이스(130)는 차단부 어셈블리(120)의 덮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차단부 어셈블리(1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부 지지대(131)가 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미들 베이스는 윗면에 두 개의 칼받이(134)와 두 개의 접지 칼받이(136), 리셋버튼 지지판(139), 리셋버튼(138) 및 렌즈(192)가 안착된다. 두 개의 칼받이(134)에는 각각 하나씩 고정접점(135)이 결합되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미들 베이스 윗면 요홈에 삽입, 고정된다. 두 개의 접지 칼받이(136)는 미들베이스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안착 후 나사에 의해 최하층의 고정브라켓(111)에 연결, 고정된다. 즉, 상기 접지칼받이(136)는 고정브라켓(111)에 접지된다. 상기 렌즈(192)는 상하로 긴 막대 모양의 투명 재질로 미들베이스의 홈에 삽입, 안착되고, 그 하단부는 미들베이스(130)를 관통하여 하부의 인쇄회로기판(121) 위 발광다이오드(LED;190)와 접촉되고 상단부는 상부에 있는 케이스(140) 제3관통공(144c)에 삽입, 케이스 윗면으로 노출된다(도 9참조).
또한, 상기 미들 베이스(130) 위에 안착되는 리셋버튼 지지판(139)는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곳에 스프링(138a)이 결합된 막대 형태의 리셋버튼(138)이 관통하고, 리셋버튼(138)의 하단은 원형 둘레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리셋 가이드(122)의 버튼삽입구(123a)에 삽입되어 리셋 가이드 몸통 중심부에서 래치(124)의 홀(124a)과 결합되며, 리셋버튼 상단은 미들베이스 상부의 케이스(140)를 통과하여 케이스의 제1관통공(144a)을 통해 위로 돌출된다.
상기 미들 베이스(130)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140)에는 윗면에 두 개의 둥근 플러그 삽입구(142)와 각각의 삽입구 바닥에는 두 개의 작은 홀이 형성되어 있어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삽입구(142)에 꽂으면 플러그의 충전부는 삽입구(142) 바닥의 홀을 통해 아래의 칼받이(134)와 결합된다. 아울러 두 개의 플러그 삽입구(142) 사이에는 세 개의 작은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공들(144a,144b,144c)로는 리셋버튼(138) 상단부와 렌즈(192) 및 테스트 버튼(146)이 돌출된다. 상기 테스트 버튼(146)의 하단은 케이스(140) 및 미들베이스(130)를 관통하여 차단부 어셈블리(120)에 있는 테스트 플레이트(129a)에 닿아 있다.
상기 케이스(140)와 미들베이스(130), 그리고 베이스(110)에는 네 모서리 동일 위치에 각각 네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나사에 의해 이들 부품이 하나로 결합되어 본 제품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케이스 상부에는 패킹(152)과 플레이트(154), 커버(156)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물방울이 본 제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에서는 종래의 납땜이나, 전선 끼움형태가 아닌 TERMINAL(A,B)을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이 공급되며, 전류 붕괴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ZCT)(트랜스포머)와, 영상변류기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기전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도전류 감지회로와, 감도전류 감지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이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입력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크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용IC(IC1)와, 전용IC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사이리스터(Q1)와, 사이리스터로부터 공급되는 DC전압을 평활하는 평활회로(C5)와, 평활회로에 연결되어 AC전압을 DC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회로(D1~D4)와, 정류회로의 동작에 따라 전류를 도통하는 트립 코일(SOL)과, 전원 공급 TERMINAL(A,B)에 병렬 연결되어 서지 전압의 유입 시, 서지 전압을 바이패스시켜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보호회로(V1)구성된다. 한편, 누전차단기의 동작상태를 표하는 LED(L1)(190)를 사용하여, 차단기가 가동(RESET)시 점등하여 콘센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는 상기 리셋 버튼(132)이 눌러진 리셋 상태(누름 상태)에서만 누설전류를 감지한다. 상기 차단부 어 셈블리는 영상 변류기(ZCT)가 누설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는 전용IC에서 비교 판단하여, 누설전류 감지시 상기 트립장치의 솔레노이드(128a)를 자화시키는 방향으로 출력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트립장치는 누설전류가 감지되면 가동단자의 가동접점과 칼받이의 고정접점 간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리셋버튼(138)은 떨어져 있는 두 단자(가동단자와 칼받이)의 접점 간을 연결, 콘센트를 정상 통전 상태로 만드는 작동 조작 버튼으로, 리셋버튼(138)의 상단(케이스 위로 돌출된 부분)을 누르면 리셋버튼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138a)이 리셋버튼 지지판(139) 사이에서 압축되고 리셋버튼(138)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이 리셋 가이드(122) 버튼삽입구 내부에서 래치(124)의 홀(124a)와 결합된다. 상기 리셋버튼의 누름을 해지하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리셋버튼(138)과 래치(124)가 위로 올라가면서 리셋 가이드(122)와 동시에 가동단자(126)를 들어 올리고, 이때 가동단자 끝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접점(126a)이 칼받이(134)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접점(135)과 서로 밀착됨으로써 전류가 흐르는 정상 사용 상태의 메카니즘을 구성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LED에는 불이 켜지고, 그 빛은 렌즈(192)를 통해 상기 케이스 윗면의 렌즈(192) 상단까지 전달되어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불빛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정상 사용상태에서 누전차단 기능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40) 위 테스트 버튼(146) 상단 돌출부를 누르면 테스트 버튼(146) 하단은 테스트 플레이트(129a)의 일단을 눌러 테스트 플레이트(129a)와 테스트 핀(129b)이 맞닿아 강제 누전이 발생함에 따라 트립장치(128)가 래치(124)를 당겨 래치(124)에 걸려 있던 리셋버튼(138)은 스프링(138a) 복원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고 동시에 리셋 가이드(122)가 아래로 떨어져 가동단자(126)의 가동접점(126a)과 칼받이(134)의 고정접점(135)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전류가 차단된다.
실제 사용 상태에서 누전 발생시에는 트랜스 포머(127)에서 가동단자(126)에 흐르는 입출력 전류의 균형 파괴를 감지하게 되고 이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21)에서 판단하여 트립장치(128)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위와 동일한 메카니즘이 가동되어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정상 사용상태에서 켜져 있던 LED(190)의 불빛은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꺼짐으로써 사용자가 가전제품에서의 누전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어셈블리화되고, 조립 부품을 적층식으로 구성하여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을 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 공정 품질, 부품의 조달과 관리 등 제품 생산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제품 사용시의 안정된 성능과, 결함 발생시의 분해 및 확인, 조치 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누전차단기능이 작동됨으로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막대형상의 렌즈를 통해 케이스 밖으로까지 전달되어 사용상태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사용상의 편의를 그리고 작업자에게는 뛰어난 조립성 뿐만 아니라 제품의 조립현장에서 간략화된 구성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얻을 수는 것이다.

Claims (9)

  1. 내부 공간(112)을 가지고 고정브라켓(111)이 고정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공간(112)에 설치된 차단부 어셈블리(120)와 전선이 결합되는 두 개의 전선삽입구(114),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120)의 덮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윗면에는 플러그가 결합되는 두 개의 칼받이(134)와 두 개의 접지칼받이(136)와 콘센트를 통전 상태로 만드는 작동 조작 버튼인 리셋버튼(138)과 상기 리셋버튼 지지판(139)이 설치되는 미들베이스(130), 상기 두 개의 칼받이(134)는 일단에 각각 고정접점(135)이 설치되며 상기 미들베이스(130)의 윗면 요홈(132a)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접지 칼받이(136)는 나사에 의해 가장 아래에 배치된 상기 고정브라켓(111)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미들베이스(130) 상부에 결합되는 그리고 두 개의 플러그삽입구(142)와 상기 리셋버튼(138)이 돌출되는 제1관통공(144a) 그리고 테스트 버튼(146)이 설치되는 제2관통공(144b)을 갖는 케이스(140)를 포함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120)는 두 개의 전원터미널(122)과 트랜스 포머(123), 트립장치(128), 리셋 가이드(122), 두 개의 가동단자(126), 테스트 플레이트(129a) 및 테스트 핀(129b)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21)에 설치되되,
    상기 리셋 가이드(122)는 상기 리셋버튼(138)이 삽입되는 버튼삽입구(123a)가 형성된 기둥형태의 몸통으로 이루어지고, 이 몸통의 중간에 좌우로 두 개의 돌기(123b), 상기 돌기(123b) 아래에 상기 버튼삽입구(123a)와 연결되는 홈(123c), 상기 홈(123c)에 삽입되고 상기 리셋버튼(138)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홀(124a)을 갖는 얇은 판모양의 래치(124)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전원터미널(125)은 상기 두 개의 전선삽입구(114) 중 입력 전원측과 접촉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설치되어 전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으로 공급받고,
    상기 두 개의 가동단자(126)는 하단이 상기 트랜스 포머(127)의 중심축을 따라서 삽입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터미널(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단은 가동접점(126a)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셋가이드(122)의 돌기(123b)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트립 장치(128)는 전기공급시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128a)와, 그 중심축에 삽입되는 그리고 일단이 상기 래치(124)에 걸려지는 원통막대모양의 플랜저(128b)를 구비하고,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29a)와 테스트 핀(129b)은 상기 트랜스 포머(127)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그 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결합되고, 이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테스트 버튼(146)의 눌림에 의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120)는 누전차단기능이 작동됨을 표시하는 발광소자(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베이스(130)에는 상기 발광소자(190)의 빛을 상기 케이스(140) 밖으로 전달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투명한 재질의 렌즈(192)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40)에는 상기 렌즈(192)의 상부가 상기 케이스(140)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3관통공(144c)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4. 최하층에 고정브라켓(111)과 베이스(110)가 있고, 상기 베이스(110) 내부에는 누전차단기능 동작부가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단부 어셈블리(120)와, 두 개의 전선삽입구(114)가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는 미들베이스(130)가 결합되고, 상기 미들베이스(130) 윗면에는 요홈들이 형성되어 칼받이(134)와 접지칼받이(136), 리셋버튼 지지판(139), 리셋버튼(138)가 각각 삽입 놓여있고, 상기 미들베이스(110) 상부에는 두 개의 플러그삽입구(142)를 가진 케이스(140)가 차례로 결합되는 전선의 연결이 필요없는 적층식 조립구조를 갖으며,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미들베이스(130) 그리고 상기 케이스(140)가 네 모서리에서 고정나사에 의해 하나로 결합되어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40) 상부에는 패킹(152), 플레이트(154), 커버(156)가 각각 결합된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120)는 인쇄회로기판(121)을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1) 윗면에는 두 개의 전원터미널(125)과, 트랜스포머(127), 트립장치(128), 가동단자(126), 발광소자(190), 테스트 플레이트(129a) 및 테스트 핀(129b)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상부에는 리셋 가이드(122)가 얹혀져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내부에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12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112)에는 상기 리셋 가이드(122)의 상하 작동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셋 가이드 안내면(116)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29a)와 상기 테스트 핀(129b)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 상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29a)는 고정의 안전성 측면에서 상기 트랜스 포머(127) 측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가이드(122)의 하부에는 2개의 다리(123d)가 돌출되고, 상기 2개의 다리(123d) 사이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이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120)를 상기 베이스(110)에 안착시 상기 리셋 가이드(122) 다리(123d) 하단이 상기 베이스(110)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베이스(130)는 상기 베이스(11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베이스(110) 내부의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120)를 고정할 수 있는 차단부 지지대(131)가 밑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차단부 지지대(131)의 중심부에는 상기 발광소자(190)의 불빛을 상부 케이스(140) 밖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상하로 긴 투명 막대 모양의 렌즈(192)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KR1020040071782A 2004-09-08 2004-09-08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KR10060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82A KR100609439B1 (ko) 2004-09-08 2004-09-08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82A KR100609439B1 (ko) 2004-09-08 2004-09-08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78A KR20060022978A (ko) 2006-03-13
KR100609439B1 true KR100609439B1 (ko) 2006-08-09

Family

ID=3712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782A KR100609439B1 (ko) 2004-09-08 2004-09-08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4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94B1 (ko) * 2008-08-12 2010-07-05 (주) 천우티이엠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100967893B1 (ko) * 2008-08-12 2010-07-05 (주) 천우티이엠 방수기능을 갖는 멀티탭형 콘센트
KR200462112Y1 (ko) 2010-12-22 2012-08-27 정완석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46B1 (ko) * 2007-04-04 2009-02-1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KR102013257B1 (ko) * 2018-07-24 2019-10-21 정민산전(주) 분전반용 콘센트
KR102099213B1 (ko) * 2019-09-09 2020-04-09 김강후 온도감응형 산업용 멀티탭
KR102287486B1 (ko) * 2021-04-14 2021-08-0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회로기판을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CN116963385B (zh) * 2023-09-21 2023-11-24 荣耀终端有限公司 电路板组件和终端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845A (ko) * 2002-05-10 2003-11-15 강성화 누전차단기가 장착된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845A (ko) * 2002-05-10 2003-11-15 강성화 누전차단기가 장착된 콘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94B1 (ko) * 2008-08-12 2010-07-05 (주) 천우티이엠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100967893B1 (ko) * 2008-08-12 2010-07-05 (주) 천우티이엠 방수기능을 갖는 멀티탭형 콘센트
KR200462112Y1 (ko) 2010-12-22 2012-08-27 정완석 인출 전선의 연결이 용이한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78A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0574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against reverse connection error
US7525402B2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with indicator having function of auto-monitoring and multi-protecting circuit
US7317600B2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automatic end of life test
US7289306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containing a dual-function test button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7265956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containing a dual-function test button
US7195500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end of life indicators
US7538993B2 (en) Receptacle circuit interrupting devices providing an end of life test controlled by test button
US7295415B2 (en) Circuits for circuit interrupting devices having automatic end of life testing function
US7315227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s providing end of the life test
US7411766B1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end of life testing functions
US8154831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fire protection means
US5644464A (en) Resettable latch mechanism
US7859368B2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automatic components detection function
US7116191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US8164403B2 (en) Disconnect mechanism in a power receptacle with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ion functions
US20040027740A1 (en) Receptacle device having circuit interrupting and reverse wiring protection
US20080094765A1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automatic end of life test
US9640969B2 (en)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US20070018763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WO2007027908A2 (en) Gfci receptacle with single button for test-reset function
KR100609439B1 (ko)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2구용 콘센트
CN101958212B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CN201532918U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CN101246795B (zh) 接地故障线路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