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94Y1 - 전기콘센트 - Google Patents

전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94Y1
KR200183094Y1 KR2019990023535U KR19990023535U KR200183094Y1 KR 200183094 Y1 KR200183094 Y1 KR 200183094Y1 KR 2019990023535 U KR2019990023535 U KR 2019990023535U KR 19990023535 U KR19990023535 U KR 19990023535U KR 200183094 Y1 KR200183094 Y1 KR 200183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erminal
cord
plug
outl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현
Original Assignee
손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현 filed Critical 손종현
Priority to KR2019990023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드분리형의 집적방식으로 마련되고 필요한 개수만큼의 콘센트분리유닛을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단자설치공간(14a)을 갖는 절연몸체(12a,12b)가 마련되며 이 절연몸체(12a,12b)의 단자설치공간(13a)에 각각 하나의 플러그용 단자(16a)와 암/수단자(29,18a)를 갖는 복수개의 콘센트분리유닛 (10a,10b)으로 분리된 콘센트몸체(10); 이 콘센트몸체(10)의 코드연결용 단자(18a)와 접속되도록 한쪽끝단에 암단자(24)를 갖는 제1접속부(2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끝단에 전원플러그(28)를 갖는 제2접속부(26)가 형성된 코드(20)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콘센트{Electric concentric plug}
본 고안은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분리형의 집적방식으로 마련되고 필요한 개수만큼의 콘센트분리유닛을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된 전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일반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정용품의 하나로서 그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을 갖추어야 하며, 다양한 형식의 콘센트가 제공되어왔다. 이러한 콘센트에는 하나의 플러그에서 여러 개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가 있으며 이 콘센트 중 여러 개의 플러그 삽입단자를 갖는 멀티콘센트라 한다.
이러한 멀티콘센트는 플러그에서 길게 코드가 연장되어 있고 이 코드의 끝단에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단자를 갖는 콘센트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새로운 가전기기를 건축물의 벽면으로부터 설치하고자 할 때, 멀티콘센트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벽면의 콘센트에 멀티콘센트의 플러그를 끼워 연결하고 콘센트몸체의 플러그 삽입단자에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끼워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멀티콘센트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를 설치할 때 실내의 기존 설치물이 설치된 좁은 틈새 사이로 통과시켜야 할 때가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멀티콘센트의 콘센트몸체가 통과되지 않으면 가전기기의 설치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콘센트를 분해하여야 하거나 설치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상존하였다.
이러한 가전기기는 콘센트몸체의 플러그 삽입단자에 접촉불량 상태로 잘못 연결되는 경우 그 접촉부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되거나 합선됨으로써 위험이 뒤따르게 된다.
특히, 시중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멀티콘센트는 1 내지 4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한정된 형상을 지니는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개수만큼의 플러그 삽입단자를 갖는 콘센트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플러그를 추가하여야 하는 경우 별도의 콘센트를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 및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한 것으로서, 콘센트몸체와 코드부분을 분리하고 상기 콘센트몸체를 복수의 콘센트분리유닛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콘센트분리유닛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콘센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전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몸체와 코드는 물론 콘센트분리유닛의 연결이 안전하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전기기의 초보자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콘센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기콘센트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기콘센트에 대한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센트몸체 10a,10b: 콘센트분리유닛
12,12a,12b: 절연몸체 14: 단자설치공간
16: 플러그용 단자 18,18a: 코드연결용 단자
20: 코드 22: 제1접속부
24: 암단자 26: 제2접속부
28: 전원플러그 29: 소켓형 단자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단자설치공간을 갖는 장방형의 절연몸체가 마련되며 이 절연몸체의 단자설치공간에 전원플러그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플러그용 단자를 갖고 그 한쪽끝단에 코드연결용 단자가 장착된 콘센트몸체; 이 콘센트몸체의 코드연결용 단자와 접속되도록 한쪽끝단에 암단자를 갖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끝단에 전원플러그를 갖는 접속부가 형성된 코드로 분리되어 있는 전기콘센트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몸체는 절연몸체의 단자설치공간에 각각 하나의 플러그용 단자와 암/수단자를 갖는 복수개의 콘센트분리유닛으로 분리된 전기콘센트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전기콘센트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콘센트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센트몸체(10)는 단자개수에 적합한 단자설치공간(14)을 갖는 장방형의 절연몸체(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절연몸체(12)의 단자설치공간(14)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전원플러그를 수용하는 플러그용 단자(16)가 형성되고 이 플러그용 단자(16)의 한쪽끝단에는 이 플러그용 단자(16)와 일체로 코드연결용 단자(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센트몸체(10)의 코드연결용 단자(18)에는 별도로 마련된 코드(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코드(20)에는 한쪽끝단에 암단자(24)를 갖는 제1접속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끝단에 전원플러그(28)를 갖는 제2접속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몸체(12)에는 그 내부의 단자설치공간(14)내에 설치된 플러그용 단자(16)와 상응하는 단자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센트몸체(10)의 플러그용 단자(16)와 코드(20)의 암단자(24)는 전원플러그나 코드연결용 단자(18)가 잘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통상의 록킹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콘센트는 콘센트몸체(10)의 코드연결용 단자(18)에 코드(20)를 이루는 제1접속부(22) 내부의 암단자(24)가 접속되도록 끼워 통상의 멀티콘센트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상기 콘센트몸체(10)의 플러그용 단자(16)에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의 전원플러그를 끼우면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전기콘센트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서, 콘센트몸체 (10)를 복수개의 콘센트분리유닛(10a,10b)으로 분리형성하고 이 콘센트분리유닛 (10a,10b)은 절연몸체(12a,12b)의 단자설치공간(14a)에 각각 하나의 플러그용 단자(16a)와 코드연결용 단자(18a) 및 소켓형 단자(29)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콘센트분리유닛(10a,10b)의 플러그용 단자(18a)와 코드연결용 단자 (18a) 및 소켓형 단자(29)는 필요에 따라 콘센트분리유닛(10a,10b)을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콘센트몸체(10a,10b)와 코드(20)의 연결은 도 1,2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콘센트분리유닛(10a,10b)의 코드연결용 단자(18a)와 소켓형 단자(29)를 끼워 연결하고 상기 콘센트분리유닛(10a,10b)중 가장자리에 위치된 콘센트분리유닛(10a,10b)의 수단자(18a)를 코드(20)측 제1접속부(22)의 암단자(24)와 접속 연결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하나 이상의 콘센트분리유닛(10a,10b)이 필요하면 그 콘센트분리유닛(10a,10b)만을 구입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콘센트분리유닛(10a,10b)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전기콘센트는 복수개의 콘센트분리유닛(10a,10b)으로 이루어진 콘센트몸체의 경우 제1접속부(22)를 수용하는 형상의 콘센트분리유닛(10a)이 아닌 수단자(18a)에 절연몸체(12b)에서 돌출된 형상의 콘센트분리유닛(10b)을 코드(20)의 제1접속부(22)에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고안의 콘센트분리유닛(10a,10b)들은 직선형으로 접속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다각형이나 입체적인 형태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콘센트는 콘센트몸체와 코드가 일체로 형성된 종래의 전기콘센트와는 달리 콘센트몸체와 코드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콘센트몸체를 복수의 콘센트분리유닛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콘센트분리유닛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콘센트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콘센트몸체와 코드는 물론 콘센트분리유닛의 연결이 안전하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전기기의 초보자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단자설치공간(14)을 갖는 장방형의 절연몸체(12)가 마련되며 이 절연몸체(12)의 단자설치공간(14)에 전원플러그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플러그용 단자(16)를 갖고 그 한쪽끝단에 코드연결용 단자(18)가 장착된 콘센트몸체(10);
    이 콘센트몸체(10)의 코드연결용 단자(18)와 접속되도록 한쪽끝단에 암단자(24)를 갖는 제1접속부(2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끝단에 전원플러그(28)를 갖는 제2접속부(26)가 형성된 코드(20)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2. 내부에 단자설치공간(14a)을 갖는 절연몸체(12a,12b)가 마련되며 이 절연몸체(12a,12b)의 단자설치공간(13a)에 각각 하나의 플러그용 단자(16a)와 암/수단자(29,18a)를 갖는 복수개의 콘센트분리유닛(10a,10b)으로 분리된 콘센트몸체(10);
    이 콘센트몸체(10)의 코드연결용 단자(18a)와 접속되도록 한쪽끝단에 암단자(24)를 갖는 제1접속부(2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끝단에 전원플러그(28)를 갖는 제2접속부(26)가 형성된 코드(20)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KR2019990023535U 1999-10-29 1999-10-29 전기콘센트 KR200183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35U KR200183094Y1 (ko) 1999-10-29 1999-10-29 전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35U KR200183094Y1 (ko) 1999-10-29 1999-10-29 전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094Y1 true KR200183094Y1 (ko) 2000-05-15

Family

ID=1959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35U KR200183094Y1 (ko) 1999-10-29 1999-10-29 전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589A (ko) * 2002-06-21 2004-01-07 주식회사 텔리넷 접속 콘센트
KR100843665B1 (ko) 2006-12-22 2008-07-04 박창연 가변형 멀티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589A (ko) * 2002-06-21 2004-01-07 주식회사 텔리넷 접속 콘센트
KR100843665B1 (ko) 2006-12-22 2008-07-04 박창연 가변형 멀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5374A (en) Fuse-plug adapter for electrical cord
US6227883B1 (en) Electric combination socket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US6769939B2 (en) Terminal block for connecting data and power supply conductors to an electrical device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WO2017007420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device
US4019797A (en) System including household connector plug for split wire receptacle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US6270370B1 (en) Anti-loose midway electric receptacle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CN217522328U (zh) 一种吊框接线式二次接插件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KR100340447B1 (ko) 안전 콘센트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JP3297681B2 (ja) 「コンセント」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CN211017606U (zh) 一种防爆19芯接插件
KR200243844Y1 (ko) 다중콘센트
KR200299285Y1 (ko) 콘센트
US3057981A (en) Electric socket adapter with fuse plug
KR970005590Y1 (ko) 확장콘센트
KR200177031Y1 (ko) 과부하방지용 콘센트
KR20230120824A (ko) 콘센트 겸용 전원 플러그
KR200346977Y1 (ko) 공간절약형 전원 콘센트
KR0118136Y1 (ko) 전원플러그의 코드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