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08Y1 - 절전용 콘센트장치 - Google Patents

절전용 콘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08Y1
KR200198508Y1 KR2020000009254U KR20000009254U KR200198508Y1 KR 200198508 Y1 KR200198508 Y1 KR 200198508Y1 KR 2020000009254 U KR2020000009254 U KR 2020000009254U KR 20000009254 U KR20000009254 U KR 20000009254U KR 200198508 Y1 KR200198508 Y1 KR 200198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terminal
power
plug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학
Original Assignee
박순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학 filed Critical 박순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 이상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한 콘센트를 가전제품마다 오랫동안 계속적으로 꽂아두는 부분과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꼽는 부분을 구분되게 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소비를 방지하여 절전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절전용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플러그단자접속구가 복수개이고 평행하게 구성된 단자를 가진 고정체에 커버를 체결하여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에 플러스, 마이너스로 이루어진 일측의 단자를 플러그단자접속구가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된 단자는 전선으로 스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커버에 구성된 복수개의 플러그접속부를 표시로서 서로 구분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지속적으로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가전제품과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을 하나의 콘센트에 사용하더라도 별도로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음에 따라 불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일반가정에 경제적 손실의 예방은 물론 나아가서는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절전용 콘센트장치{A OUTLET DEVICE OF POWER SAVING}
본 고안은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에서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플러그를 꽂는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한 콘센트를 가전제품마다 오랫동안 계속적으로 꽂아두는 부분과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꼽는 부분을 구분되게 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소비를 방지하여 절전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절전용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플러그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메인전원이 들어와 있는 콘센트에 꽂아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콘센트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며, 한 가지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 건축물 벽에 구성되는 콘센트가 있는 반면에 상기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수량은 대부분 2개로 한정되어 있어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고자 할 때 사용되는 보조콘센트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하나의 콘센트에는 가전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전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수 개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하고 있다.
일반생활 주변에 사용되는 가전제품들을 살펴보면, 냉장고, 온장고, 냉온수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가전제품들은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이 필요로 하는 가전제품인 반면에 텔레비전, 컴퓨터, 비디오 등과 같은 가전제품들은 사용할 때에만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것들이다.
이와 같이 하나로 구성된 콘센트에 지속적으로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가전제품과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을 같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한 후에는 텔레비전 자체의 전원만 끄고 콘센트를 뽑는 경우도 있지만 불편하다는 이유로 뽑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여 텔레비전 같은 모니터를 가진 가전제품의 특성상 콘센트를 뽑지 않으면 가전제품 자체내의 콘덴서에 계속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시청하지 않는 시간에도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으면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가전제품과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하나의 콘센트에 사용하더라도 서로 구분되게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을 사용한 후에는 비록 하나의 콘센트에 꽂혀 있더라도 플러그의 해체없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데 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플러그단자접속구가 복수개이고 평행하게 구성된 단자를 가진 고정체에 커버를 체결하여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에 플러스, 마이너스로 이루어진 일측의 단자를 플러그단자접속구가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된 단자는 전선으로 스위치에 연결하고, 상기 커버에 구성된 복수개의 플러그접속부를 표시로서 서로 구분되도록 한 콘센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콘센트 10. 커버
11. 플러그접속부 12. 플러그단자요입홈
20. 고정체 21,21a. 콘센트단자
22,22a. 플러그단자접속구 30.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첨부한 도면에 관련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구성된 콘센트의 분해사시도로서, 건축물 벽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를 예시한 것이며,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구성된 콘센트의 분해사시도로서, 메인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콘센트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 사용상태도로서, 지속적으로 전원이 필요로 하는 가전제품과 사용할 때에만 필요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구분되게 꽂아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는 통상과 같이 커버(10)와 단자(21,21a)를 가진 고정체(20)로 구분되며, 이들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콘센트(1)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20)에 있는 단자(21,21a)는 플러스(+), 마이너스(-)단자가 평행하게 구성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플러그단자접속구(22,22a)를 형성하고 있는 바, 본 고안에서는 양측의 단자21,21a)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복수개의 플러그단자접속구(22,22a)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하였다.
예컨대, 보조콘센트(1)의 플러그접속부(11)가 3개 이상일 경우에도 플러스단자이든, 마이너스단자를 임의로 선택하여 플러그단자접속구(22,22a)를 분리시키면 된다.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가전제품에 비해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제품이 훨씬 많다는 점을 감안하여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수량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체(20)에 체결되는 커버(10)에는 복수개의 플러그접속부(11)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를 선정하여 구분되게 하였다.
즉, 지속적으로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과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의 하나의 콘센트(1)에서 구분되게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10)에서 용도에 따라 구별하는 방법은 커버(10)의 전체에서 영역별이나 플러그접속부(11)에 서로 다른 색깔을 도색하여 구분지우거나 달리 커버(10)의 플러그접속부(11) 주위에 돌기부나 절전을 의미하는 표시와 같은 방법으로 커버(10)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가전제품과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육안으로 구별되게 꽂을 수 있도록 하였다.
예컨대, 메인선이 들어오는 전선은 통상과 같이 단자(21,21a)에 전선을 연결하고, 구별하기 위하여 분리된 단자(21,21a)에는 별도의 전선을 연결하여 그 전선의 선단에 스위치(30)를 연결하여 별도로 구분된 단자(21,21a)는 스위치(30)의 작동에 의해 전원의 공급과 중단이 실행되도록 하였다.
상기 스위치(30)에는 플러그단자접속구(22,22a)를 분리한 단자(21,21a)와 분리하지 않은 단자(21,21a)에 연결된 전선을 연결하여 분리된 단자(21,21a)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ON, OFF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콘센트(1)를 건축물의 벽에 설치하여 메인전선을 연결하면 통상과 같이 콘센트(1)로 사용할 수 있고, 한편 플러그를 꽂을 양에 비해 메인콘센트가 부족할 경우에는 일측에 플러그를 가진 보조콘센트를 메인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은 제품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전원의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메인선이 연결되는 측의 플러그접속부(11)를 사용하여 플러그를 꽂으면 되도록 하였고, 컴퓨터, 텔레비전 같은 모니터 있는 가전제품은 위의 플러그접속부(11)와 구분된 플러그접속부(11)에 플러그를 꽂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컴퓨터나 텔레비전을 사용자가 사용한 후에는 별도로 설치된 스위치(30)를 끄면 냉장고와 같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단자(21,21a)에는 지장없이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의 전원만이 차단되어 전원의 공급이 전부 중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가전제품과 그렇지 않고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을 하나의 콘센트(1)에 사용하더라도 콘센트(1)로부터 플러그를 뽑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스위치(30)의 작동으로 끌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콘센트(1)에서 가전제품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컴퓨터나 텔레비전 같이 모니터가 있는 제품의 특성상 콘덴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그 만큼 전기를 절약하고 나아가서는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있는 고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지속적으로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가전제품과 사용할 때에만 전원이 필요한 가전제품을 하나의 콘센트에 사용하더라도 별도로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음에 따라 불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일반가정에 경제적 손실의 예방은 물론 나아가서는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2)

  1. 커버와 단자를 가진 고정체와 결합되어 복수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단자중 프러스, 마이너스 구분없이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플러그단자접속구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단자에는 전선을 연결하여 스위치에 연결하고, 그 단자상에 위치하고 있는 커버의 플러그접속부에는 다른 플러그접속부와 구분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용 콘센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커버에 구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플러그접속부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도색하여 구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용 콘센트장치.
KR2020000009254U 2000-03-31 2000-03-31 절전용 콘센트장치 KR2001985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993A KR20000036907A (ko) 2000-03-31 2000-03-31 절전용 콘센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993A Division KR20000036907A (ko) 2000-03-31 2000-03-31 절전용 콘센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08Y1 true KR200198508Y1 (ko) 2000-10-02

Family

ID=196608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993A KR20000036907A (ko) 2000-03-31 2000-03-31 절전용 콘센트장치
KR2020000009254U KR200198508Y1 (ko) 2000-03-31 2000-03-31 절전용 콘센트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993A KR20000036907A (ko) 2000-03-31 2000-03-31 절전용 콘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0003690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69B1 (ko) 2008-03-05 2008-09-09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구 전원공급라인 수용대
KR100858974B1 (ko) 2008-03-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전기구의 플러그접속을 위한 실내 콘센트박스
KR100859168B1 (ko)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실내전기공급용 소켓
KR100859170B1 (ko) 2008-03-05 2008-09-19 (주)평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콘센트박스
KR100859169B1 (ko) 2008-03-05 2008-09-19 (주)성문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입선 보호형 콘센트
KR100859166B1 (ko)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플러그단자 보호용 콘센트박스
KR100859859B1 (ko) 2008-03-05 2008-09-24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설치용 멀티타입 콘센트
KR100860074B1 (ko) 2008-03-05 2008-09-24 (주)우인기술단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0860873B1 (ko) 2008-03-05 2008-09-29 (주)주원이엔지 안전사고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매설콘센트
KR100860855B1 (ko) 2008-03-05 2008-09-29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플러그 접속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0874000B1 (ko) 2008-03-05 2008-12-17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 내설용전선 아웃렛박스
KR100873995B1 (ko) 2008-03-05 2008-12-17 (주)세명이엔지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KR200456233Y1 (ko) * 2010-01-26 2011-10-20 중앙제어 주식회사 대기전력차단 및 상시전원 식별용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515A (ko) * 2000-11-24 2002-05-30 김희승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절약 방법
KR100857550B1 (ko) * 2008-03-05 2008-09-09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안전사고 방지용 매설형 콘센트
KR101725859B1 (ko) 2015-06-19 2017-04-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240007330A (ko) 2022-07-08 2024-01-16 김효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558Y1 (ko) * 1991-03-25 1993-11-05 박상은 당구공용 세척기
JPH04118580U (ja) * 1991-04-01 1992-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ツプ
JP2000106253A (ja) * 1998-09-29 2000-04-11 Jiasu:Kk コンセントおよび電源接続用タブ
KR200188318Y1 (ko) * 1999-12-22 2000-07-15 김창성 다공 콘센트의 결선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69B1 (ko) 2008-03-05 2008-09-09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구 전원공급라인 수용대
KR100858974B1 (ko) 2008-03-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전기구의 플러그접속을 위한 실내 콘센트박스
KR100859168B1 (ko)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실내전기공급용 소켓
KR100859170B1 (ko) 2008-03-05 2008-09-19 (주)평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콘센트박스
KR100859169B1 (ko) 2008-03-05 2008-09-19 (주)성문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입선 보호형 콘센트
KR100859166B1 (ko)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플러그단자 보호용 콘센트박스
KR100859859B1 (ko) 2008-03-05 2008-09-24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설치용 멀티타입 콘센트
KR100860074B1 (ko) 2008-03-05 2008-09-24 (주)우인기술단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0860873B1 (ko) 2008-03-05 2008-09-29 (주)주원이엔지 안전사고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매설콘센트
KR100860855B1 (ko) 2008-03-05 2008-09-29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플러그 접속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0874000B1 (ko) 2008-03-05 2008-12-17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 내설용전선 아웃렛박스
KR100873995B1 (ko) 2008-03-05 2008-12-17 (주)세명이엔지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KR200456233Y1 (ko) * 2010-01-26 2011-10-20 중앙제어 주식회사 대기전력차단 및 상시전원 식별용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907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8508Y1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US5116232A (en) Double plug assembly
US5803754A (en) Modified receptacle and plug for low voltage DC distribution
US20180301852A1 (en) Power-saving outlet
TWM525007U (zh) 可拆組式電源線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CN211958061U (zh) 一种自由组合的模块化插座
CN2283946Y (zh) 直流电源供应器
CN213845649U (zh) 一种带typc光感的智能插座
CN215955613U (zh) 一种带收纳功能的壁挂式充电插座
KR200223310Y1 (ko) 온/오프 스위치가 부착된 전기 플러그
CN209045925U (zh) 一种拼接式定时插线板
KR200185341Y1 (ko)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334743Y1 (ko) 110볼트와 220볼트를 동시에 사용가능한 멀티탭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KR200235260Y1 (ko) 콘센트
CN209045886U (zh) 一种组装式定时插线板
KR200198501Y1 (ko) 절전 콘센트
KR200218807Y1 (ko) 절전형 플러그
KR200239689Y1 (ko) 스위치가 있는 벽 내장형 콘센트
KR860002162Y1 (ko) 110v/220v 절환콘넥터
KR200305360Y1 (ko) 멀티탭
KR200248554Y1 (ko) 플러그로타리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