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330A -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330A
KR20240007330A KR1020220084078A KR20220084078A KR20240007330A KR 20240007330 A KR20240007330 A KR 20240007330A KR 1020220084078 A KR1020220084078 A KR 1020220084078A KR 20220084078 A KR20220084078 A KR 20220084078A KR 20240007330 A KR20240007330 A KR 20240007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outlet
insertion hole
connec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겸
Original Assignee
김효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겸 filed Critical 김효겸
Priority to KR102022008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330A/ko
Publication of KR2024000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3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의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접속단자가 접촉하게 되도록 상기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 접속홈의 일측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가이드본체의 본체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접속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속홀과 중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로 상기 가이드본체를 더듬어서 상기 접속홀 안으로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Coupling guide device for outlet}
본 발명은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콘센트의 내측에 구비되어,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의 접속홀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종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기기에 연결된 플러그를 접속함에 따라 전원을 각종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며, 설치 형태에 따라 노출형 또는 매입형 콘센트로 구별된다.
상기 노출형 콘센트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천정이나 벽체 등에 고정되며, 사용자는 플러그를 잡고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콘센트의 접속홀로 삽입하면, 상기 접속단자는 접속구멍 하부의 전극단자와 접속하면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다만, 사용자가 콘센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거나 직접보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면, 플러그를 잡은 상태에서 플러그의 접속단자로 콘센트의 삽입부를 더듬으면서, 상기 접속홀을 찾아 삽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콘센트의 삽입부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급하게 전원을 공급받아야 할 상황에서 쉽게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상기 콘센트의 접속홀이 서로 결합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절전용 콘센트장치” 에 관한 것으로, 오랫동안 계속적으로 꽂아두는 부분과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꼽는 부분을 구분되게 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소비를 방지하여 절전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절전용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장치는 불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어 전기에너지의 절약에서 이점이 있지만, 앞서 전술한 대로 통상적인 콘센트장치로 형성되고 있어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시키는 경우, 용이하게 서로를 결합시킬 수 없다는 불편함이 남아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690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센트의 접속홈의 일측에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본체를 구비하여,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의 접속홀 안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는 플러그의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접속단자가 접촉하게 되도록 상기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 접속홈의 일측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가이드본체의 본체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접속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속홀과 중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로 상기 가이드본체를 더듬어서 상기 접속홀 안으로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삽입홀은,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단자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접속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플러그의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접속홈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플러그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콘센트가 서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삽입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삽입홀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삽입홀가이드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접속홀 안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는 가이드본체의 가이드부가 콘센트의 접속홈의 일측면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콘센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플러그로 가이드본체를 더듬어서 콘센트의 접속홀 안으로 접속단자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 장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의 접속홀로부터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본체가 콘센트의 고정홈에 결합되어, 가이드본체가 콘센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부 상에서 적어도 한 쌍의 삽입홀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방향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플러그로 삽입홀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1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에 플러그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1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1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에서 바라본 가이드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2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2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2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3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3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에서 바라본 가이드본체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1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에 플러그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1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1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에서 바라본 가이드본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2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2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2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3실시예의 가이드본체가 구비된 콘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제 3실시예의 가이드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에서 바라본 가이드본체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의 제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는 적어도 한 쌍의 접속단자(A1)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러그(A)와, 상기 플러그(A)에 대응하는 접속홈(B1)이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접속홈(B1)에는 상기 접속단자(A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홀(B11)이 형성되는 콘센트(B)에 구비되는 장치로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A)는 전기기기 등의 회선 및 회로를 연결하는 기구로 구비된다. 다른 말로하면 상기 플러그(A)는 접속단자(A1) 및 배선을 포함하는 접속 기구로서, 배선의 단부에 부착하여 소켓이나 잭에 꽂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A1)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센트(B)에는 내부에서 배선이 연결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플러그(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콘센트(B)는 건물의 내벽에 삽입되는 고정식과 복수 개의 상기 플러그(A)를 꽂을 수 있는 이동식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B)는 상술한 대로 상기 플러그(A)에 대응하는 접속홈(B1)이 상기 콘센트(B)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홈(B1)에는 상기 접속단자(A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홀(B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B)는 상기 접속홈(B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접속홈(B1)의 양단부에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접지단자(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단자(B2)는 전체적으로 ‘ㄱ’자로 모양으로 형성되되, 완만히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접지단자(B2)는 물론 상기 접속홈(B1)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B2)는 상기 플러그(A)가 상기 콘센트(B)로 결합되면서 상기 콘센트(B)에 형성된 접지부(도면 미도시)와 맞닿게 된다. 즉, 상기 접지단자(B2)는 상기 플러그(A) 및 콘센트(B)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지단자(B2)는 물론, 감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 회로를 도체로 땅에 연결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B)는 상기 접속홈(B1)의 양측에서 각각 복수 개로 돌출되는 콘센트돌출부(B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돌출부(B3)는 상기 접속홈(B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접속홈(B1)의 양단부에서 대칭으로 구비된다. 다만, 상기 콘센트돌출부(B3)는 상기 접속홈(B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접지단자(B2)가 구비된 방향과 수직을 이루게 구비된다. 다른 말로하면, 상기 콘센트돌출부(B3)는 상기 접속홀(B11)이 형성되고 있는 방향과 일직선을 이루는 상기 접속홈(B1)의 양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돌출부(B3)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콘센트돌출부(B3)는 상기 접속홀(B11)이 형성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콘센트돌출부(B3)의 사이공간으로 고정홈(B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B31)에는 후술할 돌출부(14)가 삽입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는 상기 플러그(A)의 접속단자(A1)가 접촉하게 되도록 상기 접속홈(B1)의 일측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본체(10)는 상기 접속홈(B1)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본체(10)의 본체로 형성되는 바디부(11), 상기 접속홈(B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속홀(B11)과 중첩되도록 상기 바디부(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홀(12) 및 상기 삽입홀(12)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상기 바디부(11)가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1)는 상기 가이드본체(10)의 본체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홈(B1)의 직경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1)는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2)은 상기 본체상단부(11)의 일측에서 상기 접속단자(A1)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2)은 상기 접속단자(A1)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상단부(11)로부터 상기 본체하단부(12)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2)은 상기 플러그(A)의 상기 접속단자(A1)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단자(A1)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삽입홀(12)은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접속단자(A1)의 개수와 동일한 수량으로 형성되고, 그 간격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본체상단부(11)와 상기 가이드본체(10)의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삽입홀(12)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된다. 다른 말로하면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삽입홀(12)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삽입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른 말로하면, 상기 가이드부(13)는 상기 본체상단부(11)로부터 상기 접속홈(B1)의 일측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10)의 하면 및 상기 가이드부(13)가 이루는 경사 각도는 약 15° 내지 25°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B)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A)로 상기 가이드본체(10)를 더듬어서 상기 삽입홀(12) 안으로 상기 접속단자(A1)가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B)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A)로 상기 가이드본체(10)를 더듬어서 상기 삽입홀(12)을 통과하여 상기 접속홀(B11) 안으로 상기 접속단자(A1)가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본체(10)는 사용자가 상기 콘센트(B)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플러그로 상기 콘센트와 연결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본체(10)는 상기 접속홈(B1)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플러그(B)의 고정홈(B31)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11)의 양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콘센트돌출부(B3) 사이공간으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B31)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11)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바디부(11)의 양측면에서 사각형의 모양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삽입홀(12)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가이드본체(10)가 상기 접속홈(B1)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홈(B31)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본체(10)가 상기 콘센트(B)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는 상기 바디부(11)의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20)는 상기 가이드본체(10)를 상기 접속홈(B1)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1)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접착부(20)는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부(11)의 모든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1)의 하면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20)는 예를들면 접착제 및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가이드본체(10A)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상기 가이드본체(10A)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본체(10A)는, 상기 삽입홀(12)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3A) 및 상기 삽입홀(12)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삽입홀가이드부(1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3A)는 상기 본체상단부(11)와 상기 가이드본체(10A)의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3A)는 상기 삽입홀(12)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된다. 다른 말로하면 상기 가이드부(13A)는 상기 삽입홀(12)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는 상기 본체상단부(11) 상에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삽입홀(12)을 둘러싸는 4방향 중 상기 삽입홀(12)과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향으로 형성된다. 다른 말로하면,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는 상기 돌출부(14)와 인접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는 상기 돌출부(14)와 인접한 방향을 제외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A1) 중에 어느 한쪽이 걸리게 되어 상기 접속단자(A1)가 움직이더라도 밀리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는 상기 삽입홀(12)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A1)가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접속홀(B11) 안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A)로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를 더듬어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접속홀(B11) 안으로 상기 접속단자(A1)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3A)는 상기 삽입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3A)는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의 단부에서 상기 접속홈(B1)의 일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3A)는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와 이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3A)는 상기 가이드부(13)에서 경사지는 각도보다 더욱 높은 각도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하단부(12) 및 상기 가이드부(13A)가 이루는 경사 각도는 약 35° 내지 45°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 2실시예와 가이드본체(10B)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상기 가이드본체(10B)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2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2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본체(10B)는, 상기 삽입홀(12)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3B), 상기 가이드부(13B)의 일측에 형성되는 방향가이드부(16) 및 상기 가이드부(13B)의 최외측부에 형성되는 단자굴곡부(17)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가이드본체(10B)는 상기 접속홈(B1)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홈(B1)의 직경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홈(B1)의 내주면 모양과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원형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본체(10B)는 상기 접속홈(B1) 전체를 덮을 수 있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3B)는 상기 본체상단부(11)와 상기 가이드본체(10B)의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3B)는 상기 삽입홀(12)이 형성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3B)는 상기 삽입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3B)는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의 단부에서 상기 접속홈(B1)의 일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3B)는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와 이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방향가이드부(16)는 상기 가이드부(13B)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방향가이드부(16)는 상기 가이드부(13B)보다 상기 삽입홀가이드부(15)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굴곡부(17)는 상기 방향가이드부(16)의 일단부와 이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3B)의 최외측부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굴곡부(17)는 상기 접지단자(B2)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본체(10B)의 중심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대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본체(10B)는 상기 접속홈(B1)의 전체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콘센트(B)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A)로 상기 접속홈(B1)의 내부를 더듬을 때, 상기 콘센트(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향가이드부(16)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B)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A)로 상기 가이드부(13B)와의 경사 차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홀(12)로 향하는 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플러그
A1 : 접속단자
B : 콘센트
B1 : 접속홈
B11 : 접속홀
B2 : 접지단자
B3 : 콘센트돌출부
B31 : 고정홈
10 : 가이드본체
10A : 가이드본체
10B : 가이드본체
11 : 바디부
12 : 삽입홀
13 : 가이드부
13A : 가이드부
13B : 가이드부
14 : 돌출부
15 : 삽입홀가이드부
16 : 방향가이드부
17 : 단자굴곡부
20 : 접착부

Claims (5)

  1. 플러그의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접속단자가 접촉하게 되도록 상기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 접속홈의 일측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가이드본체의 본체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접속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속홀과 중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로 상기 가이드본체를 더듬어서 상기 접속홀 안으로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단자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접속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플러그의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접속홈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플러그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콘센트가 서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삽입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삽입홀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가이드부는, 상기 삽입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삽입홀가이드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접속홀 안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KR1020220084078A 2022-07-08 2022-07-08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KR20240007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078A KR20240007330A (ko) 2022-07-08 2022-07-08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078A KR20240007330A (ko) 2022-07-08 2022-07-08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330A true KR20240007330A (ko) 2024-01-16

Family

ID=8971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078A KR20240007330A (ko) 2022-07-08 2022-07-08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3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07A (ko) 2000-03-31 2000-07-05 박순학 절전용 콘센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07A (ko) 2000-03-31 2000-07-05 박순학 절전용 콘센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15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9015602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364466B2 (en) Short-circuit preventive universal memory card connector
KR101815456B1 (ko)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TW201509008A (zh) 高速卡緣連接器及具有該高速卡緣連接器的高速卡緣連接器組件
CN104112946A (zh) 使用基板连接器的基板连接构造
US102433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20060126356A (ko) 엘아이에프소켓 커넥터
KR20240007330A (ko) 콘센트용 결합 가이드장치
US9325081B2 (en) Cable connector with low impedance
KR101020090B1 (ko) 플러그
CN205882239U (zh)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与连接器组件
KR101697264B1 (ko) Usb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구조, usb 플러그 커넥터, usb 플러그 케이블장치, 및 usb 커넥터 어셈블리
US6074252A (en) Electrical plug
CN106887740A (zh) 带侦测功能的大电流usb连接器
KR200483856Y1 (ko) 콘센트장치
CN211350986U (zh) 一种电线连接器
US6644994B1 (en) Connector with a function of getting rid of surges
CN216850379U (zh) 一种通用直通敞式连接器
CN216698896U (zh) 短体无缺口简牛连接器
CN220155889U (zh) 一种连接器插头
CN216850377U (zh) 一种通用电连接器
KR102650705B1 (ko)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KR200234469Y1 (ko)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