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341Y1 -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341Y1
KR200185341Y1 KR2019990027774U KR19990027774U KR200185341Y1 KR 200185341 Y1 KR200185341 Y1 KR 200185341Y1 KR 2019990027774 U KR2019990027774 U KR 2019990027774U KR 19990027774 U KR19990027774 U KR 19990027774U KR 200185341 Y1 KR200185341 Y1 KR 200185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rd
power cord
switc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민병일
Original Assignee
박찬규
민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규, 민병일 filed Critical 박찬규
Priority to KR2019990027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전기제품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의 선단에 전원코드(2)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코드(2)의 외측은 일정형상을 갖는 코드 하우징(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드 하우징(3)의 전방에 다수의 접속단자(4)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플러그(5)의 암커넥터(6)에 상기 접속단자(4)가 삽입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한편, 상기 코드 하우징(3)의 외측에 온/오프 스위치(7)가 설치되되, 상기 온/오프 스위치(7)의 내측에 상기 접속단자(4)에 연결되는 전선(8)이 단락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 스위치(7)의 동작으로 접속단자(4)의 전선(8)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플러그에 삽입된 다수의 전원코드를 일일이 뽑아줄 필요없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이나 각종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전원코드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며, 기존 전원코드에 향상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구매력을 촉진시킬 수 있고, 특히 전기를 현저히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시책에도 부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An electric power ON/OFF device for a power-cord}
본 고안은 각종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코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에 삽입된 전원코드를 뽑아줄 필요없이 간단히 전원을 차단하거나 혹은 다시 전원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전원코드를 뽑아주거나 연결해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텔레비젼,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와 같은 각종 전기제품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바, 상기 전기제품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코드가 설치되어, 상기 전원코드를 플러그에 꽂아줌으로써 외부 전원을 전기제품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각종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기제품에서 인출된 전원코드를 개개의 플러그나 혹은 멀티탭에 꽂아줌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코드의 종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기제품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01)의 선단에 전원코드(102)가 설치되되, 상기 전원코드(102)의 전방에 다수의 접속단자(103)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플러그(104)의 암커넥터(105)에 상기 전원코드(102)의 접속단자(103)가 삽입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플러그(104)에 삽입되는 전원코드(102)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정량의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항상 누전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외출시에는 상기 전원코드(102)를 플러그(104)로부터 일일이 뽑아주어야 하지만 그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전원코드(102)는 뽑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그냥 방치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아까운 전기를 낭비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러그에 삽입된 전원코드를 뽑아줄 필요없이 간단히 전원을 차단하거나 혹은 다시 전원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전원코드를 뽑아주거나 연결해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전기제품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의 선단에 일정형상을 갖는 코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코드 하우징의 전방에 다수의 접속단자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플러그의 암커넥터에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전원코드에 있어서, 상기 코드 하우징의 외측에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되되,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내측에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전선이 단락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으로 접속단자의 전선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줄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소정위치에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커넥터가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나는 전선을 접속시키거나 단락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코드 하우징에 삽입되어 플러그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어뎁터의 외측에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어뎁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줄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즉,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전원코드나 케이블 및 어뎁터 등에 상기와 같은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전원코드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다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러그에 삽입된 다수의 전원코드를 일일이 뽑아줄 필요없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이나 각종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전원코드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며, 기존 전원코드에 향상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구매력을 촉진시킬 수 있고, 전기제품을 가동시키지 않더라도 항상 흐르고 있는 전기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원코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가 어뎁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블 2 : 전원코드
3 : 코드 하우징 4 : 접속단자
5 : 플러그 6 : 암커넥터
7 : 온/오프 스위치 8 : 전선
9 : 커넥터 10 : 어뎁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가 어뎁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각종 전기제품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의 선단에 전원코드(2)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코드(2)의 외측은 일정형상을 갖는 코드 하우징(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드 하우징(3)의 전방에 다수의 접속단자(4)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플러그(5)의 암커넥터(6)에 상기 접속단자(4)가 삽입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한편, 상기 코드 하우징(3)의 외측에 온/오프 스위치(7)가 설치되되, 상기 온/오프 스위치(7)의 내측에 상기 접속단자(4)에 연결되는 전선(8)이 단락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 스위치(7)의 동작으로 접속단자(4)의 전선(8)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줄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1)의 소정위치에 온/오프 스위치(7)가 구비된 커넥터(9)가 설치되어 케이블(1)을 지나는 전선(8)을 접속시키거나 단락시킬 수 있고, 상기 코드 하우징(3)에 삽입되어 플러그(5)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어뎁터(10)의 외측에 상기 온/오프 스위치(7)가 설치되어, 상기 어뎁터(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줄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의 특징은, 일반적인 전원코드(2)의 코드 하우징(3)이나 전원코드(2)에 연결된 케이블(1) 및 어뎁터(10) 등에 간단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위치의 작동으로 전원코드(2)에 공급되는 전류를 끊어주거나 다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전원코드(2)나 케이블(1) 및 어뎁터(10) 등에 상기와 같은 온/오프 스위치(7)를 설치함으로써 전원코드(2)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다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전원코드(2)의 경우에는 코드 하우징(3)의 일측에 온/오프 스위치(7)가 설치되어, 상기 온/오프 스위치(7)의 눌러짐에 따라 온/오프 스위치(7)에 연결된 전선(8)의 일부를 연결하거나 끊어줌으로써, 상기 전선(8)과 연결된 하나의 접속단자(4)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7)가 설치된 커넥터(9)를 전원코드(2)의 케이블(1)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1) 내부의 전선(8)을 단락시키거나 접속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원코드(2)가 뽑아주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 상기 케이블(1)의 커넥터(9)에 설치된 상기 온/오프 스위치(7)를 이용하여 손쉽게 전원코드(2)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기존의 전원코드(2)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전원코드(2)를 뽑지 않고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뎁터(10)를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 어뎁터(10)에 온/오프 스위치(7)를 설치하여 전원코드(2)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수의 전원코드(2)를 일일이 뽑아주지 않고도 간편하게 전원코드(2)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원코드(2)로 인한 각종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고, 전기제품을 가동시키기 위해 항상 예비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전기를 완전히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에 의하면, 플러그에 삽입된 다수의 전원코드를 일일이 뽑아줄 필요없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누전이나 각종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전원코드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며, 기존 전원코드에 향상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구매력을 촉진시킬 수 있고, 또한 각종 가전제품에 예비적으로 흐르는 전기를 차단하여 줌으로써 개인적이나 국가적으로 전기를 현저히 절약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절전을 강조하는 국가시책에 부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각종 전기제품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의 선단에 일정형상을 갖는 코드 하우징(3)이 구비되고, 상기 코드 하우징(3)의 전방에 다수의 접속단자(4)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플러그(5)의 암커넥터(6)에 상기 접속단자(4)가 삽입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전원코드에 있어서,
    상기 코드 하우징(3)의 외측에 온/오프 스위치(7)가 설치되되, 상기 온/오프 스위치(7)의 내측에 상기 접속단자(4)에 연결되는 전선(8)이 단락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 스위치(7)의 동작으로 접속단자(4)의 전선(8)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의 소정위치에 온/오프 스위치(7)가 구비된 커넥터(9)가 설치되어 케이블(1)을 지나는 전선(8)을 접속시키거나 단락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하우징(3)에 삽입되어 플러그(5)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어뎁터(10)의 외측에 상기 온/오프 스위치(7)가 설치되어, 상기 어뎁터(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KR2019990027774U 1999-12-10 1999-12-10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185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74U KR200185341Y1 (ko) 1999-12-10 1999-12-10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74U KR200185341Y1 (ko) 1999-12-10 1999-12-10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341Y1 true KR200185341Y1 (ko) 2000-06-15

Family

ID=1960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74U KR200185341Y1 (ko) 1999-12-10 1999-12-10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3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8508Y1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US20080248667A1 (en) Power strip for computer and related computer peripherals
KR200185341Y1 (ko)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CN113206414A (zh) 一种直流连接器、交直流输入设备和交直流输入系统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KR100511195B1 (ko) 전원 차단 장치가 구비된 전원 코드
KR200151974Y1 (ko) 멀티형 콘센트
CN219458245U (zh) 转换接头
KR200278823Y1 (ko) 절전 스위치 내장 및 색상띠 표시형 교류 전원 프러그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CN216720465U (zh) 一种电源转换装置
KR200183103Y1 (ko)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KR200285381Y1 (ko) 멀티탭이 구비된 어댑터
KR200189829Y1 (ko) 스위치를 형성한 콘센트
KR200192551Y1 (ko) 절전스위치가 붙어있는 어댑터 플러그
KR200208135Y1 (ko) 절전용 차폐 스위치를 갖는 전원선
KR19990034736U (ko) 코오드플러그절전좌우접속스위치
KR200219321Y1 (ko) 단락스위치가 부설된 멀티콘센트의 단자연결구조
KR200310900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19990034735U (ko) 코오드플러그절전좌.우스위치
KR20030023842A (ko) 멀티탭
KR19980024818U (ko) 스위치가 부설된 매입형 콘센트
KR200310899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166586Y1 (ko) 전원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 플러그
KR200209893Y1 (ko)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