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900Y1 -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 Google Patents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900Y1
KR200310900Y1 KR20-2003-0002458U KR20030002458U KR200310900Y1 KR 200310900 Y1 KR200310900 Y1 KR 200310900Y1 KR 20030002458 U KR20030002458 U KR 20030002458U KR 200310900 Y1 KR200310900 Y1 KR 200310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input
power
poles
outpu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to KR20-2003-0002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및 출력선과 접지선이 내장된 전원코드와, 2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메인 스위치와 브레이크 스위치를 상호 접속함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에 입,출력단자와 이를 온,오프시키는 접점을 2 극으로 장착하여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이들 2 극의 입,출력단자가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결선하고, 메인 스위치의 접점을 바이메탈로 형성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멀티탭과 그에 연결된 전기제품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사용시 2 극의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보다 완전한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SWITCH'S CONNECTION STRUCTURE FOR MULTITAP}
본 고안은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및 출력선과 접지선이 내장된 전원코드와, 2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메인 스위치와 브레이크 스위치를 상호 접속함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에 입,출력단자와 이를 온,오프시키는 접점을 2 극으로 장착하여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이들 2 극의 입,출력단자가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결선하고, 메인 스위치의 접점을 바이메탈로 형성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멀티탭과 그에 연결된 전기제품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사용시 2 극의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보다 완전한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개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멀티탭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 1 조로 된 플러그핀 삽입단자(1)(2)가 메인 스위치(3)의 입,출력단자(4)(5)와 연결되어 메인 스위치(3)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모두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는 메인 스위치가 2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1)(2) 중에서 어느 한 선만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오프되지 않은 다른 한 선은 통전 상태가 지속됨으로 인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되고, 또한 절전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폐단이 있었고, 브레이크 스위치가 별도로 장착됨으로 인하여 원가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는 입력 및 출력선과 접지선이 내장된 전원코드와, 2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메인 스위치와 브레이크 스위치를 상호 접속함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에 입,출력단자와 이를 온,오프시키는 접점을 2 극으로 장착하여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이들 2 극의 입,출력단자가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결선하고, 메인 스위치의 접점을 바이메탈로 형성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멀티탭과 그에 연결된 전기제품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사용시 2 극의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보다 완전한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멀티탭의 결선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선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결선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2 개 1 조로 된 플러그핀 삽입단자(11)(12)가 메인 스위치(13)의 입,출력단자(14)(15)와 연결되어 있고, 이 입,출력단자(14)(15)는 접점(16)(17)으로 또 다른 입,출력단자(14')(15')와 연결되어 입,출력선(20)(21)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스위치(13)의 접점(16)(17)이 바이메탈로 형성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접지선(23)에는 접지단자(24)가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핀 삽입단자(11)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는 플러그핀 삽입단자(11)(12)를 온,오프시키는 메인 스위치(13)의 2 극의 입,출력단자(14)(15)와 입,출력단자(14')(15') 사이에 2 개의 접점(16)(17)이 각각 장착되어 한번의 스위치 조작으로 연동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2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11)(12)에 공급되는 전원을 동시에 모두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멀티탭과 그에 연결된 전기제품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비사용시 2 극의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보다 완전한 절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스위치(13)의 접점(16)(17)이 바이메탈로 형성됨으로써, 과전류가 유입되면 출력선(21)을 차단하여 멀티탭에 접속된 전기 제품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에 의하면,플러그핀 삽입단자(11)(12)를 온,오프시키는 메인 스위치(13)의 2 극의 입,출력단자(14)(15)와 입,출력단자(14')(15') 사이에 2 개의 접점(16)(17)이 각각 장착되어 한번의 스위치 조작으로 2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11)(12)에 공급되는 전원을 동시에 모두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멀티탭과 그에 연결된 전기제품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비사용시 2 극의 전원을 완전 차단시켜 보다 완전한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접점(16)(17)이 바이메탈로 형성되어 브레이크 스위치 기능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2 개 1 조로 된 플러그핀 삽입단자(11)(12)가 메인 스위치(13)의 입,출력단자(14)(15)와 연결되고,
    상기 입,출력단자(14)(15)는 접점(16)(17)에 의하여 또 다른 입,출력단자(14')(15')와 2 극으로 연결되어 오프시 전원을 완전 차단케 하며,
    상기 입,출력단자(14')(15')는 다시 입,출력선(20)(21)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스위치(13)의 접점(16)(17)이 바이메탈로 형성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2003-0002458U 2003-01-25 2003-01-25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0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458U KR200310900Y1 (ko) 2003-01-25 2003-01-25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458U KR200310900Y1 (ko) 2003-01-25 2003-01-25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900Y1 true KR200310900Y1 (ko) 2003-04-21

Family

ID=4933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458U KR200310900Y1 (ko) 2003-01-25 2003-01-25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9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523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라인전선 독립된 출력부를 갖는 멀티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523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라인전선 독립된 출력부를 갖는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0900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2012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1368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0899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0901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US20120142204A1 (en) Electrical wall outlet
KR200310898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0902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ATE265749T1 (de) Elektrische steckdose
KR200401695Y1 (ko) 멀티탭
KR200351819Y1 (ko)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CN203242853U (zh) 带过热保护的电源插座
KR200328621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236530Y1 (ko) 스위치 전기코드
KR100871732B1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200219321Y1 (ko) 단락스위치가 부설된 멀티콘센트의 단자연결구조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208135Y1 (ko) 절전용 차폐 스위치를 갖는 전원선
KR200183108Y1 (ko) 전기절전용 어댑터스위치
EP1343183A3 (en) Circuit breaker
KR940000751Y1 (ko) 절전 및 안전장치가 구성된 개량형 플러그
KR200166530Y1 (ko) 플러그
CN2651989Y (zh) 用固态继电器作控制元件的计算机专用插座
KR19990034736U (ko) 코오드플러그절전좌우접속스위치
KR200296139Y1 (ko) 멀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