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819Y1 -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 Google Patents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819Y1
KR200351819Y1 KR20-2004-0007524U KR20040007524U KR200351819Y1 KR 200351819 Y1 KR200351819 Y1 KR 200351819Y1 KR 20040007524 U KR20040007524 U KR 20040007524U KR 200351819 Y1 KR200351819 Y1 KR 200351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blocking member
case
pow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원
Original Assignee
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원 filed Critical 강상원
Priority to KR20-2004-0007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미사용시/과전류 인가시 2극 모두 전원을 차단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는, 멀티탭 케이스(1)에 탈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에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전원선(P1,P2)과 플러그핀 삽입단자(3,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3개의 접속단자(120,130,140)와; 과전류시 상기 접속단자 중 제1플러그핀 삽입단자(4)가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130)와 전원선(P2)을 차단하는 과전류 차단부재(150)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출몰 가능하면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에 연결되어 과전류 인가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출몰되는 과전류 표시봉(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접속단자(120)는 제1전원선(P1)과 제1플러그핀 삽입단자(3)에 각각 연결되며, 제2접속단자(130)는 제1플러그핀 삽입단자(4)에 연결되고, 제3접속단자(140)는 제2전원선(P2)에 연결되면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를 통해 제3접속단자와 연결된다.

Description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OVERCIRCUIT BREAKER FOR MULTI-TAB}
본 고안은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사용시 2극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함과 아울러, 과전류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멀티탭에는 2개가 1조로 된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메인 스위치의 입/출력단자와 연결되어 메인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모두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220V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면서 접지선을 함께 연결하여 전원의 접지선에 전기기구를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교류전원은 두 개의 전원선과 하나의 접지선을 갖는 단상 3선식으로서 전원선으로는 220V의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두 개의 전원선과 접지선으로는 각기 110V의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접지선에 전기기구의 접지점을 연결할 경우 전기기구가 접지되어 감전사고의 발생 및 전자기파의 누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지선을 전원 콘센트에 구비되어 있는 접지단자에 연결하고, 전기기구의 전원선에는 전기기구의 접지가 연결되는 접지선을 구비함과 아울러, 전원플러그에 전기기구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구비하여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끼울 경우 전원콘센트의 접지단자 및 전원플러그의 접지단자가 상호간에 접속되면서 전기기구가 접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탭에 따르면, 메인 스위치가 2개의 플러그핀삽입단자 중에서 어느 한 선만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오프되지 않은 다른 한 선은 통전 상태가 지속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또한 절전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사용시/과전류시 2극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함과 아울러, 과전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가 적용된 멀티탭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가 적용된 멀티탭의 전기 결선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멀티탭, 3,4 : 플러그핀 삽입단자
10 : 플러그, 11,12 : 플러그 핀
100 : 과전류 차단기, 110 : 케이스
120,130,140 : 접속단자, 150 : 과전류 차단부재
160 : 과전류 표시봉, 171 : 발광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는, 멀티탭 케이스에 탈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전원선과 플러그핀 삽입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3개의 접속단자와; 과전류시 상기 접속단자 중 제2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와 전원선을 차단하는 과전류 차단부재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출몰 가능하면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에 연결되어 과전류 인가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출몰되는 과전류 표시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속단자는 제1전원선과 제1플러그핀 삽입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제2접속단자는 제2플러그핀 삽입단자에 연결되고, 제3접속단자는 제2전원선에 연결되면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를 통해 상기 제2접속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를 설명하기 전에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가 적용되는 멀티탭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멀티탭(1)은, 케이스(2), 이 케이스(2)에 형성되며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12)이 꽂히는 플러그 삽입단자(3,4)(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100)는, 케이스(110), 접속단자(120,130,140), 과전류 차단부재(150)(도 2참조) 및 과전류 표시봉(160)을 구성요소로 한다.
케이스(110)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형 본체(111) 및 이 본체(111)의 일측 개구부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112)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1)의 양측에는 멀티탭 케이스(2)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편(113)이 각각 형성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접속단자는 두 개의 전원선 중 하나의 전원선(P1)과 제1플러그핀 삽입단자(3)가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120), 제2플러그핀삽입단자(4)가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130) 및 제2전원선(P2)이 연결되는 제3접속단자(14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케이스(110)의 일측(도면 기준 하측)에 예컨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 차단부재(150)는, 멀티탭(1)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과전류시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며, 그 구조의 일 예로, 대략 반원형의 곡선형으로 벤딩되며 그 일단은 케이스(110)에 고정되는 제1차단부재(151) 및 직선형이면서 그 일단(제1차단부재(151)의 일단과 원거리의 단부)은 제3접속단자(140)에 연결되면서 제1차단부재(151)의 일단과 마주보는 타단은 제1차단부재(151)와 끼움방식 등으로 연결되면서 제2접속단자(130)에 온/오프 접점되는 제2차단부재(152)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차단부재(151,152) 중 하나 이상은 바이메탈로 이루어져 평상시(정격전류 인가시)에는 제2접속단자(130)에 온접점(부착)되어 제2 및 제3접속단자(130,140)를 통해 제2전원선(P2)과 제2플러그 삽입단자(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다가 과전류 인가시에는 제2접속단자(130)로부터 오프접점(이격)됨으로써 멀티탭(1)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한다.
과전류 차단부재(150)의 구조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과전류 인가시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구조의 것이 가능하다.
과전류 표시봉(160)은, 과전류 인가시 과전류 차단부재(150)와 연동하여 케이스(110)의 외부로 출몰되어 과전류를 표시함과 아울러, 과전류를 해소한 후 케이스(110)에 원상태로 삽입됨으로써 기기를 초기화하는 것이며, 케이스(110)의 상면에 접하는 헤드부(161) 및 이 헤드부(16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과전류 차단부재(150)에 연결되는 연결부(16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가 통하지 않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한다.
과전류 표시봉(160)은 과전류 차단부재(15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163)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63)는 판상이면서 그 상하부에 각각 홈이 형성되어 과전류 표시봉(160)의 연결부(162)와 과전류 차단부재(150)(예컨대, 제2차단부재(152))에 끼움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100)에는 정격전류의 외부 전원이 인가될 때 점등되는 한편 과전류시 소등되어 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더 갖추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표시수단은 케이스(110)의 일면(예컨대, 상면)에 부착되며 적색 등의 유색을 띠는 표시창(170), 케이스(110)에 내장되어 외부 전원인가시 점등되는 한편 과전류시 과전류 차단부재(150)와 연동하여 소등되는 발광부재(171)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71)는 그 양단이 제 1 및 제2접속단자(120,130)에 각각 연결되어, 정격전류 인가시 과전류 차단부재(150)가 제2접속단자(130)에 온접점(부착)되면 점등되고, 과전류 차단부재(150)가 제2접속단자(130)에서 오프접점(이격)되면 소등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A는 접지선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와 같이, 멀티탭(1)에 정격전류(과전류 차단부재(150)에 전도되는 열이 과전류 차단부재(150)의 팽창을 유발할 정도의 전류) 이하의 전류가 인가되면과전류 차단부재(150)가 제2접속단자(130)에 온접점(접촉)되어 외부 전원이 멀티탭(1)에 정상적으로 인가되며, 이에 따라 발광부재(171)가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된다.
한편, 멀티탭(1)에 과전류가 인가되면,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과전류 차단부재(150)에 전도되는 열에 의해 과전류 차단부재(150)가 팽창되어 제2접속단자(130)에서 떨어짐에 따라 인가되던 외부 전원이 차단되고, 이와 연동하여 과전류 표시봉(160)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고, 또한, 점등상태의 발광부재(171)가 소등된다. 이렇게 되면,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절전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안전성이 확보된다.
사용자가 멀티탭(1)에 인가된 과부하를 해소한 후 과전류 표시봉(160)을 누르면, 과전류 차단부재(150)에 전도된 열이 소멸되어 과전류 차단부재(150)가 도 2처럼 원상태로 복원되어 제2접속단자(130)에 온접점(접촉)됨에 따라 멀티탭(1)에 전원이 다시 인가되고, 발광부재(171)가 점등되어 이를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에 의하면, 과전류 인가시 2극 모두 전원이 차단되어 절전이 완전히 이루어짐과 아울러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멀티탭 케이스(1)에 탈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에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전원선(P1,P2)과 플러그핀 삽입단자(3,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3개의 접속단자(120,130,140)와;
    과전류시 상기 접속단자 중 제2플러그핀 삽입단자(4)가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130)와 전원선(P2)이 연결되는 제3접속단자(140)를 차단하는 과전류 차단부재(150)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출몰 가능하면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에 연결되어 과전류 인가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출몰되는 과전류 표시봉(1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120)는 제1전원선(P1)과 제1플러그핀 삽입단자(3)에 각각 연결되며, 제2접속단자(130)는 제2플러그핀 삽입단자(4)에 연결되고, 제3접속단자(140)는 제2전원선(P2)에 연결되면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를 통해 상기 제2접속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는, 곡선형으로 벤딩되어 그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제1차단부재(151) 및 직선형이면서 그 일단이 상기 제3접속단자에 접속되며 타단이 상기 제1차단부재에 연결되면서 상기제2접속단자에 온/오프 접점되는 제2차단부재(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차단부재 중 하나 이상은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표시봉은 비통전체이면서 연결부재(163)를 통해 상기 제2차단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유색의 표시창(170)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정격전류시 점등되고 과전류시 상기 과전류 차단부재와 연동하여 소등되는 발광부재(17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KR20-2004-0007524U 2004-03-18 2004-03-18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KR200351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24U KR200351819Y1 (ko) 2004-03-18 2004-03-18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24U KR200351819Y1 (ko) 2004-03-18 2004-03-18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819Y1 true KR200351819Y1 (ko) 2004-05-28

Family

ID=4943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524U KR200351819Y1 (ko) 2004-03-18 2004-03-18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8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95B1 (ko) 2009-02-07 2011-08-12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2 극 바이메탈 스위치의 단자 연동 구조
KR101849304B1 (ko) * 2016-11-30 2018-04-16 대한민국 전기차단장치
KR101932150B1 (ko) * 2017-05-04 2018-12-24 주식회사 스필 과부하 차단 바이메탈 콘센트
KR102203747B1 (ko) * 2019-11-18 2021-01-15 (주)두남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95B1 (ko) 2009-02-07 2011-08-12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2 극 바이메탈 스위치의 단자 연동 구조
KR101849304B1 (ko) * 2016-11-30 2018-04-16 대한민국 전기차단장치
KR101932150B1 (ko) * 2017-05-04 2018-12-24 주식회사 스필 과부하 차단 바이메탈 콘센트
KR102203747B1 (ko) * 2019-11-18 2021-01-15 (주)두남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RU2467440C2 (ru) Модульный разъе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SE9800588L (sv) Anordningar vid elektriska anslutningar mellan apparater innehållande elektriska kretsar
KR200351819Y1 (ko)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US8152544B1 (en) Energy-saving socket structure
DE59813905D1 (de) Steckerbrücke für einen elektrischen Gerätestecker mit integrierter Sicherung
KR20140030709A (ko)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ES2267479T3 (es) Dispositivo de precableado que permite realizar una funcion logica entre varios contactores multipolares.
CN207530166U (zh) 一种具有可扩展替换件的电线插头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KR200310899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310900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296139Y1 (ko) 멀티콘센트
KR200185346Y1 (ko) 전원 플러그용 소켓
GB2113481A (en) Electrical terminal provided with a built-in lead fixing element
KR200311368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0902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10898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900003686Y1 (ko) 안전콘센트 및 플러그
KR200301787Y1 (ko) 콘센트겸용 전원플러그
KR200333679Y1 (ko) 감전 방지용 콘센트
KR200310901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