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747B1 -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747B1
KR102203747B1 KR1020190147891A KR20190147891A KR102203747B1 KR 102203747 B1 KR102203747 B1 KR 102203747B1 KR 1020190147891 A KR1020190147891 A KR 1020190147891A KR 20190147891 A KR20190147891 A KR 20190147891A KR 102203747 B1 KR102203747 B1 KR 10220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knob
switch
guide
rotat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주)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남 filed Critical (주)두남
Priority to KR102019014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에 구비되어서 상용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메인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의 부하로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의 개별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시 상용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브레이커스위치 기능을 메인스위치에 내재시키고, 스위치의 오프시 2극이 함께 오픈되도록 하여서 전기사고를 보다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는 상용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메인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의 부하로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의 개별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위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용전원을 상기 개별스위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승하강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푸시노브와, 상기 푸시노브가 눌리면, 푸시노브가 하강 또는 승강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승하강유도수단과,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에 구비되고, 가열시 휘어져서 상기 푸시노브가 승강되도록 상기 승하강유도수단을 작동시키는 바이메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SWITCH OF MULTI-CONCEN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에 구비되어서 상용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메인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의 부하로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의 개별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부하시 상용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브레이커스위치 기능을 메인스위치에 내재시키고, 스위치의 오프시 2극이 함께 오픈되도록 하여서 전기사고를 보다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수의 콘센트가 필요하게 되며, 대기 전력 손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ON/OFF 시킬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 흔히 말하는 멀티탭이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멀티 콘센트에는 전자기기의 플로그를 접속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원의 사용을 간편하게 온오프시키기 위해 메인스위치와 개별스위치가 구비된 것들이 있다. 메인스위치는 상용전원이 멀티 콘센트에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고, 개별스위치는 각각의 전자기기로 상용전원이 출력되는 것을 단속한다.
메인스위치와 개별스위치가 구비된 멀티 콘센트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813600호 "소켓별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는 과부하시 상용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사고를 예방하는 과부하스위치(브레이커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813600호는 과부하스위치가 메인스위치나 개별스위치에서 독립되어 구비된다. 그래서 과부하스위치를 위한 구성품이 늘어나고, 과부하스위치와 메인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선연결이 복잡해 지면서, 제조원가가 증가하고 생산성은 낮아진다.
등록특허 제10-1763340호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스위치의 노브가 좌우로 젖혀지는 로커방식의 스위치가 주로 사용된다.
로커방식의 스위치는 전원 오프시 두 극성의 단자에서 한 단자만을 오픈시켜서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로서, 오프시에도 한 단자에는 전원이 연결되어서 감전의 위험이 있고 적지만 전력소비가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콘세트용 스위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과부하시 상용전원을 차단하는 브레이커스위치 기능을 메인스위치에 내재시켜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인 멀티 콘세트용 스위치를 제공하고, 메인스위치와 개별스위치가 푸시방식으로 작동하여 전원 오프시 두 극성의 단자가 함께 개방되어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전력소비를 차단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멀티 콘세트용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는
상용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메인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의 부하로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의 개별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위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용전원을 상기 개별스위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승하강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푸시노브와,
상기 푸시노브가 눌리면, 푸시노브가 하강 또는 승강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승하강유도수단과,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에 구비되고, 가열시 휘어져서 상기 푸시노브가 승강되도록 상기 승하강유도수단을 작동시키는 바이메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유도수단은
상기 푸시노브가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단은 상기 푸시노브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수직핀과, 상기 수직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핀을 포함하는 가동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결합블럭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평핀이 삽입배치되고, 상기 푸시노브의 눌림에 따라 상기 수평핀의 운동을 가이드하여서, 상기 회전체와 좌우회전과 상기 푸시노브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홀과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체의 우측에는 상기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의 수평판에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가이드홀에는
상기 수평핀이 걸려서 상기 푸시노브가 더이상 승강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승강유지부와,
상기 승강유지부의 하부로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핀에 눌려서 상기 회전체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는 좌회전유도부와 우회전유도부,
상기 우회전유도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핀이 걸려서 상기 회전체가 좌측으로 회전한 상태 및 상기 푸시노브가 하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강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블럭의 가이드홈에는
승강된 상태의 푸시노브가 눌림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수평핀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회전유도부로 가도록 안내하는 1차좌이동유도턱과,
상기 회전체의 좌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핀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강유지부에 가도록 안내하는 1차우이동유도턱과,
하강된 상태의 푸시노브가 눌림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수평핀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우회전유도부로 가도록 안내하는 2차우이동유도턱과,
상기 회전체의 우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핀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승강유지부에 가도록 안내하는 2차좌이동유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는 과부하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브레이커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메인스위치에 그 기능을 내재시켜서, 과부하를 차단하는 안정성이 가지면서도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메인스위치와 개별스위치가 푸시방식으로 작동하여 전원 오프시 두 극성을 함께 오픈시켜서 감전에서 안전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차단하여 경제적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의 사시도.
도 2 는 메인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메인스위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부분절개도.
도 4는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하우징의 다른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및 승하강유도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는 승하강유도수단의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는 하나의 메인스위치(100)와 복수의 개별스위치(20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스위치(100)는 하우징(110), 커버(120), 푸시노브(130), 입력단자(140), 출력단자(150), 승하강유도수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다른 구성품들을 내장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를 덮어서 하우징(110)에 장착된 구성품들을 은폐시킨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푸시노브(1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보스(111)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노브(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 푸시노브(130)의 하부에는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121)과 일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140)의 수평판을 가압하는 가압봉(123)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입력단자(140)와 출력단자(150)는 수직판(141, 151)과, 수직판(141, 151)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판(143, 153)과, 수평판(143, 153)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접점(145, 1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단자(140)와 출력단자(150) 각각의 수직판(141, 151)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수평판(143, 153)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입력단자(140)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출력단자(150)는 상기 개별스위치(200)에 연결되어서 상용전원을 개별스위치(200)로 공급한다. 도면에서 좌측에 배치된 단자를 입력단자(140) 우측에 배치된 단자를 출력단자(150)로 지정하였지만, 우측의 단자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좌측의 단자는 개별스위치(200)에 연결되면 우측이 입력단자(140)가 되고 좌측이 출력단자(150)가 된다.
상기 입력단자(140)와 출력단자(150)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도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140)의 수평판(143)은 단부가 상부로 젖혀진 경사진 구조를 갖고, 내측에는 탄성을 제공하는 절곡부(144)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140)의 수평판(143)은 푸시노브(130)가 하강하는 경우 푸시노브(130)의 하부에 구비된 가압봉(123)에 눌려서, 입력단자(140)의 접점(145)과 출력단자(150)의 접점(155)이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이 온되고, 푸시노브(130)가 승강하면 입력단자(140)의 수평판(143)은 탄성력으로 위로 젖혀져 입력단자(140)의 접점(145)과 출력단자(150)의 접점(155)이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이 오프된다.
도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다른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140)와 출력단자(150)는 승하강유도수단(300)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온오프된다.
이하에서는 도2, 도3,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상기 승하강유도수단(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상기 승하강유도수단(30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 상하를 정한다.
상기 승하강유도수단(300)은 스프링(310), 가동핀(320), 바이메탈판(330), 회전체(340), 결합블럭(360), 가이드홀(350), 가이드홈(3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310)은 양단이 상기 하우징(110)과 푸시노브(130)를 지지하여서, 푸시노브(130)가 승강하는 힘을 받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가동핀(320)은 수직핀(321)과, 상기 수직핀(3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핀(323)으로 구성된다. 수직핀(321)의 상단은 상기 푸시노브(130)의 하부에 연결되고, 수평핀(323)은 상기 회전체(340)의 가이드홀(350)과 결합블럭(360)의 가이드홈(370)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사용자가 푸시노브(130)를 누르면, 상기 가동핀(320)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평핀(323)이 회전체(340)의 가이드홀(350)과 결합블럭(360)의 가이드홈(370) 구조에 따라 운동하여서 회전체(340)가 좌우로 회전하고 푸시노브(130)가 하강상태를 유지하거나 승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바이메탈판(330)은 입력단자(140)의 수평판(143)이에 구비된다. 수평판(143)에 'ㄷ'자 모양의 절개부(144)가 형성되고, 절개부(144)의 내측에 구비되는 수평판(143, 153)이 바이메탈판(33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바이메탈판(330)에는 접점(145)이 구비된다. 상기 바이메탈판(330)은 가열되면 위로 젖혀져서 상기 회전체(340)의 좌측 하부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회전체(340)는 회전축으로 상기 결합블럭(360)에 결합되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체(340)의 내측에는 가이드홀(350)이 형성되고, 우측에는 상기 입력단자(140)의 수평판(143, 153) 단부에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341)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340)의 가이드홀(350)에는
상기 수평핀(323)이 걸려서 상기 푸시노브(130)가 더이상 승강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승강유지부(351)와,
상기 승강유지부(351)의 하부로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핀(323)에 눌려서 상기 회전체(340)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는 좌회전유도부(353)와 우회전유도부(355),
상기 우회전유도부(355)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핀(323)이 걸려서 상기 회전체(340)가 좌측으로 회전한 상태 및 상기 푸시노브(130)가 하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강유지부(35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블럭(360)의 가이드홈(370)에는
상기 가이드홀(350)의 승강유지부(35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핀(323)이 걸려서 푸시노브(130)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승강제한부(371)와,
승강된 상태의 푸시노브(130)가 눌림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수평핀(323)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회전유도부(353)로 가도록 안내하는 1차좌이동유도턱(372)과,
상기 회전체(340)의 좌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핀(323)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강유지부(357)에 가도록 안내하는 1차우이동유도턱(373)과,
하강된 상태의 푸시노브(130)가 눌림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수평핀(323)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우회전유도부(355)로 가도록 안내하는 2차우이동유도턱(374)과,
상기 회전체(340)의 우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핀(323)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승강유지부(351)에 가도록 안내하는 2차좌이동유도턱(375)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6을 참조하여 승하강유도수단(3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6에서 점선은 가동핀(320) 수평핀(323)의 이동경로를 나타낸다.
도6의 [A]를 참조하면, 푸시노브(130)가 승강된 상태에서는 가동핀(320)의 수평핀(323)이 회전체(340)의 승강유지부(351)와 결합블럭(360)의 승강제한부(371)에 걸려있다.
도6의 [A]와 [B]를 참조하면, 승강된 푸시노브(13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푸시노브(130)와 가동핀(320)이 함께 하강을 시작한다. 하강하는 가동핀(320)의 수평핀(323)은 가이드홈(370)의 1차좌이동유도턱(372)에 접촉되어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하강이 지속되어 수평핀(323)이 1차좌이동유도턱(372)을 벗어나면 수평핀(323)은 가이드홀(350)의 승강유지부(351)로 올라간다. 승강유지부(351)에 올라간 수평핀(323)이 가이드홈(370)의 벽면을 타고 하강을 지속하면서 회전체(340)의 좌측을 아래로 눌러 회전체(340)를 좌로 회전시킨다. 좌로 회전하는 회전체(340)는 입력단자(140)의 수평판(143, 153)에 구비되는 바이메탈판(330)을 아래로 누르게 되고, 바이메탈판(330)은 아래로 휘어져서 두 점접이 접촉된다.
도6의 [B]와 [C]를 참조하면, 하강하는 수평핀(323)이 가이홈의 1차우이동유도턱(373)으로 들어가면 회전체(340)의 좌회전은 완료된다. 수평핀(323)이 1차우이동유도턱(373)에 들어가면 수평핀(323)은 1차우이동유도턱(373)을 따라서 우측으로 그리고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홀(350)의 하강유지부(357)에 걸린다. 입력단자(140)의 수평판(143, 153)은 복원력을 갖지만 서서히 복원된다. 그래서 좌측으로 회전한 회전체(340)는 서서히 우측으로 회전하여 복원되는데, 회전체(340)가 복원되기 전에 상기 수평핀(323)이 1차우이동유도턱(373)을 타고 이동하여서 가이드홀(350)의 하강유지부(357)에 안차되어 걸리게 된다. 가이드홀(350)의 하강유지부(357)는 우측에 치우쳐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핀(320)은 회전체(340)의 우측을 위로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체(340)는 좌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입력단자(140)와 출력단자(150)의 접점(145, 155)이 접촉되도록 하고, 두 접점(145, 155)의 접촉으로 회전체(340)는 좌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서 가동핀(320)은 그 위치에 고정되어서 푸시노브(130)가 하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6의 [C]와 [D]를 참조하면, 푸시노브(130)가 하강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푸시노브(130)를 누르면, 푸시노브(130)와 가동핀(320)이 하강을 더 하게된다. 하강하는 가동핀(320)의 수평핀(323)은 가이드홀(350)의 우회전유도부(355)를 눌러 회전체(340)가 우로 회전을 하도록 하며, 또한 하강하는 수평핀(323)은 가이드홈(370)의 2차우이동유도턱(374)에 걸려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푸시노브(130)를 누르던 힘이 소멸하면 스프링(310)의 탄성력으로 푸시노브(130)를 승강하게 된다. 푸시노브(130)의 승강시 상기 수평핀(323)은 상기 가이드홈(370)의 2차좌이동유도턱(375)을 타고 좌측으로 그리고 상부로 이동하여 승강제한부(371)로 가게되고, 입력단자(140) 수평판(143, 153)의 복원력에 의해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6의 [C]와 [E]를 참조하면, 푸시노브(130)가 하강하여 입력단자(140)와 출력단자(150)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온 상태가 되고, 과부하가 입력단자(140)가 가열되어 고온이 되면, 수평판(143, 153)에 있는 바이메탈판(330)이 위로 젖혀지면서 회전체(340)를 우로 회전시킨다. 회전체(340)가 우로 회전하면 수평핀(323)은 하강유지부(357)에서 분리되고, 그 순간 스프링(310)의 탄성력으로 푸시노브(130)는 승강하게 되고, 수평핀(323)은 승강하여 승강유지부(351)나 승강제한부(371)에 걸려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도7을 참조하여 상기 개별스위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별스위치(200)도 푸싱방식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로서 메인스위치(100)와 구조가 대동소이하므로, 유사한 구성품의 명칭은 동일하게 사용하되 앞에 제2를 붙여 구분한다.
상기 개별스위치(200)는 제2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10)의 측면을 감싸는 제2커버(220)와, 상기 제2하우징(210)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푸시노브(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하우징(210)과 제2커버(220) 사이에는 상기 메인스위치(100)의 출력단자(150)와 연결되는 입력라인판(260)이 개재된다. 상기 입력라인판(260)에는 제2입력단자(240)가 연결된다.
상기 제2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2출력단자(250)가 내장된다. 상기 제2출력단자(250)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구(270)가 연결된다. 상기 접속구(270)는 제2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2입력단자(240)와 제2출력단자(250)는 가동단자(280)가 온오프시킨다. 상기 가동단자(280)는 일단이 상기 제2입력단자(240) 또는 제2출력단자(2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출력단자(250) 또는 제2입력단자(240) 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2푸시노브(230)가 하강하면 상기 가동단자(280)의 타단을 눌러 제2입력단자(240)와 제2출력단자(250)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2푸시노브(230)는 제2스프링(291)으로 탄지되어 승강하려는 힘을 받는다. 상기 제2하우징(210)과 제2푸시노브(230)의 하부측 외면은 걸림고리(293)로 연결된다. 제2푸시노브(230)의 하부 외면에는 걸림고리(293) 단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승하강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되어서, 제2푸시노브(230)를 누를 때마다 제2푸시노브(230)는 하강 상태와 승강 상태를 반복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메인스위치 110 : 하우징
120 : 커버 130 : 푸시노브
140 : 입력단자 150 : 출력단자
200 : 개별스위치 300 : 승하강유도수단
310 : 스프링 320 : 가동핀
330 : 바이메탈판 340 : 회전체
350 : 가이드홀 360 : 결합블럭
370 : 가이드홈

Claims (4)

  1. 상용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메인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의 부하로의 공급을 단속하는 복수의 개별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위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용전원을 상기 개별스위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승하강에 따라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푸시노브와,
    상기 푸시노브가 눌리면, 푸시노브가 하강 또는 승강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승하강유도수단과,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에 구비되고, 가열시 휘어져서 상기 푸시노브가 승강되도록 상기 승하강유도수단을 작동시키는 바이메탈판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유도수단은
    상기 푸시노브가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단은 상기 푸시노브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수직핀과, 상기 수직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핀을 포함하는 가동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결합블럭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평핀이 삽입배치되고, 상기 푸시노브의 눌림에 따라 상기 수평핀의 운동을 가이드하여서, 상기 회전체와 좌우회전과 상기 푸시노브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홀과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우측에는 상기 상기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의 수평판에 끼움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가이드홀에는
    상기 수평핀이 걸려서 상기 푸시노브가 더이상 승강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승강유지부와,
    상기 승강유지부의 하부로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핀에 눌려서 상기 회전체가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는 좌회전유도부와 우회전유도부,
    상기 우회전유도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핀이 걸려서 상기 회전체가 좌측으로 회전한 상태 및 상기 푸시노브가 하강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강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럭의 가이드홈에는
    승강된 상태의 푸시노브가 눌림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수평핀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회전유도부로 가도록 안내하는 1차좌이동유도턱과,
    상기 회전체의 좌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핀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강유지부에 가도록 안내하는 1차우이동유도턱과,
    하강된 상태의 푸시노브가 눌림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수평핀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우회전유도부로 가도록 안내하는 2차우이동유도턱과,
    상기 회전체의 우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핀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승강유지부에 가도록 안내하는 2차좌이동유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KR1020190147891A 2019-11-18 2019-11-18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KR10220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91A KR102203747B1 (ko) 2019-11-18 2019-11-18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91A KR102203747B1 (ko) 2019-11-18 2019-11-18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747B1 true KR102203747B1 (ko) 2021-01-15

Family

ID=7412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891A KR102203747B1 (ko) 2019-11-18 2019-11-18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7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56Y1 (ko) * 2001-11-01 2002-01-23 김석순 과부하 차단기능을 갖는 스위치
KR200351819Y1 (ko) * 2004-03-18 2004-05-28 강상원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KR20120001519U (ko) *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
KR20170081521A (ko) * 2016-01-04 2017-07-12 주식회사 두남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56Y1 (ko) * 2001-11-01 2002-01-23 김석순 과부하 차단기능을 갖는 스위치
KR200351819Y1 (ko) * 2004-03-18 2004-05-28 강상원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KR20120001519U (ko) *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
KR20170081521A (ko) * 2016-01-04 2017-07-12 주식회사 두남 멀티형 콘센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7221B1 (en) Safety switch
US6552644B2 (en) Safety press-button switch
EP3046190A1 (en) Shift member fix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6400250B1 (en) Safety switch
US6525639B1 (en) Power source electrical switch
KR102203747B1 (ko) 멀티 콘센트용 스위치
JP565882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バー
EP1420433A1 (en) Thermal overload relay
JPS61264620A (ja) 遮断器付き給電装置ならびに同装置を内蔵する電気コンセント
US7236082B2 (en) Circuit breaker structure
KR102628345B1 (ko) 소형차단기
JP4149907B2 (ja) 電源コンセント
CN104538256A (zh) 一种交流接触器
CN209804553U (zh) 一种能量调节器
WO2014001755A1 (en) Controls
CN202026133U (zh) 双电源自动切换开关
KR200461084Y1 (ko)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
CN220672411U (zh) 一种安全型辅助开关
CN218957617U (zh) 温控器改进结构
KR102415972B1 (ko) 스위치
CN220509924U (zh) 一种分合闸结构及接触器
US2767281A (en) Thermal over-current circuit-breaker
JP7175572B2 (ja) 配線用遮断器
KR102295674B1 (ko) 보조 접점 동작을 지연시키기 위한 동작 지연 레버를 포함하는 래치 릴레이
JP630688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