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709A -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709A
KR20140030709A KR1020120097204A KR20120097204A KR20140030709A KR 20140030709 A KR20140030709 A KR 20140030709A KR 1020120097204 A KR1020120097204 A KR 1020120097204A KR 20120097204 A KR20120097204 A KR 20120097204A KR 20140030709 A KR20140030709 A KR 20140030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safety
conne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현
Original Assignee
강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현 filed Critical 강용현
Priority to KR102012009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709A/ko
Publication of KR2014003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 및 플러그가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전자 제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젓가락이나 수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몰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전선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며,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해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중앙에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안전부재와, 상기 안전부재 양측으로 플러그가 삽입 접촉되는 접촉공과, 상기 접촉공 내측에 자석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연결수단이 구비되는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와 접속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플러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Magnet Use Safety Outlet And Plug}
본 발명은 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 및 플러그가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전자 제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젓가락이나 수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벽면 등에 매입 설치되어 전자제품,기기 등의 전원선에 연결된 콘센트를 콘센트의 전원접속공에 삽입함으로서 전원이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존 콘센트와 플러그는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함은 물론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콘센트는 주로 벽면 등에 매입설치되어 콘센트의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부에 탄력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전기가 통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콘센트의 접속공을 통해 외부에서 어린아이 등이 젓가락 등을 접속공에 삽입할 경우 감전은 물론 합선 등에 의해 심각한 전기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또한, 콘센트의 접속공을 통해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등의 경우에는 합선 등으로 인한 스파크 등으로 매우 위험한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에도 매우 다양한 고안들이 이미 다수 안출되어 있는 바, 이하 대표적인 몇 가지 예를 통해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센트의 접속공을 별도의 개폐구나 개폐수단으로 개폐시키거나 그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 등의 고안은 접속공을 일일이 개폐조작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있다.
그리고, 접속공을 통해 이물 등이 삽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개폐구조가 복잡하여 그 실용성이 저조하다.
특히, 개폐수단을 어린아이 등이 쉽게 조작하여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본래 목적의 실효성을 거둘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표 예;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6-002040호, 동공보 제1986-012468호, 동공보 제1986-013887호, 동공보 제1992-003446호, 동공보 제1992-10478호, 동공보 제1995-021568호, 동공보 제1997-056145호, 동공보 제1996-035662호 등)
또한, 콘센트의 케이스나 접속공을 통해 수분이나 물 등이 침입되어 누전, 합선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피복 또는 실링하여 방수처리 또는 방수액 등을 내부에 도착 처리하여 수분의 침투 등에 의한 누전,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콘센트의 케이스와 전원접속부 등을 피복, 실링처리하는 데에 따른 제작상의 난점은 물론 피복, 실링 처리한 방수처리부분이 탈피 또는 쉽게 훼손되어 이 역시 그 실용적 효과가 불확실하다.
(대표 예;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6-032832호, 동공보 제1998-56982호, 동공보 제1995-21592호, 실용신안공고공보 제2000-185343호 등)
한편, 콘센트에 휴즈를 내장하거나 스위치, 타이머등을 구비시킴으로서 과전류를 차단하거나 전원콘드(플러그)를 뽑지않은 상태에서 전원의 단락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안전은 물론 절전 효과 등을 도모한 고안 등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에 별도의 휴즈 또는 스위치, 타이머등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안 되는 불편함이 있다.
(대표 예;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5304호, 동공보 제1987-13975호, 동공보 제1988-7030호, 동공보 제1988-13718호 동공보 제1988-3425호, 동공보 제1987-7768호, 동공보 제1990-10344호 등)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센트 및 플러그가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전자 제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젓가락이나 수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는 벽체에 매몰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전선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며,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해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중앙에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안전부재와, 상기 안전부재 양측으로 플러그가 삽입 접촉되는 접촉공과, 상기 접촉공 내측에 자석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연결수단이 구비되는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와 접속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플러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전면 중앙에 내측으로 함물 연장되어 상기 안전부재가 삽입되는 안전홈과, 상기 안전홈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접속공과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자석이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전면 중앙에 내측으로 함물 연장되어 상기 안전부재가 삽입되는 안전홈과, 상기 안전홈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접속공과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자석이 내부에 구비되고, 배면에 일반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접속부재와 상호 연결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수단은 상기 플러그와 상호 접속되기 위해 상기 접속공에 함몰되게 고정되는 접속봉과, 플러그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속봉과 상호 접점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전원의 인가시 발광하는 발광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는 플러그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콘센트와 용이하게 탈부착 되며, 접속고정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가 빠진 콘센트는 외부에서 습기 또는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여도, 접속봉에 의해 내부가 밀봉되고, 연결부재가 떨어진 상태임으로 전원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누전과 같은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자력을 가진 물체가 상기 콘센트에 접촉하더라도, 삽입홈에 돌출된 안전부재에 걸려 완전한 삽입을 할 수 없어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막대자석과 같은 긴 물체가 콘센트의 삽입홈에 삽입되어도 안전부재에 의해 하나의 연결부재만 연결될 뿐 다른 하나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러그에 연결홈을 더 구비하여 기존의 일반 플러그가 용이하게 사용됨으로 기존 제품의 플러그를 교체할 필요자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및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콘센트에 플러그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콘센트에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콘센트 및 플러그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 및 플러그(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전선(2)에 의해 전원이 연결되고, 플러그(30)가 삽입 결합 되는 콘센트(10)와, 상기 콘센트(10)에 삽입 결합 접속되고, 내부에 자석(36)이 구비되는 플러그(30)로 구비된다.
상기 콘센트(10)는, 플러그(30)가 삽입되기 위해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2) 중앙에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안전부재(14)가 구비되며, 상기 안전부재(14) 양측으로 플러그(20)가 삽입 접촉되는 접촉공(16)이 구비된다.
상기 안전부재(14)는 봉으로 형성되어 돌출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촉공 내측에 상기 플러그(30)의 자석(36)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연결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연결수단(20)은 상기 플러그(30)와 상호 접속되기 위해 상기 접속공(16) 내측으로 함몰되게 고정되는 접속봉(22)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플러그(30)에 구비되는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접속봉(22)과 각각 접점되는 연결부재(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4)의 복귀를 위해 상기 콘센트(10)의 내측면(18)과 연결부재(24) 사이에 탄성부재(26)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봉(22) 및 연결부재(24)는 전원이 용이하게 전달되는 금속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26)는 상기 콘센트(10) 내측면(18)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부재(26) 전면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봉(16)과 상호 접촉되지 않게 고정된다.
물론 상기 콘센트(10)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보편적으로 합성수지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연결수단(20)은 콘센트(10) 내측면에 구비되는 밀폐공간(미부호)에 구비되어 외부습기에 밀폐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30)는 상기 콘센트(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는 전면 중앙에 내측으로 함몰연장되어 상기 안전부재(14)가 삽입되는 안전홈(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홈(32)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접속공(16)과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재(34)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재(34)는 전원이 용이하게 전달되는 금속재질의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머리부분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재(34)에 의해 플러그(30) 내측에 고정되는 자석(36)이 구비된다.
상기 자석(36)은 중공 된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접속부재(34)에 끼워져 플러그(30)의 내측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석(36)을 고정하고, 전선(2)이 연결되는 고정부재(38)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재(38)는 금속재질의 너트 또는 고정 링으로 구비되어 접속부재(34)와 상호 고정되어 자석(36)이 중간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플러그(30)는 전원의 인가시 발광하는 발광부재(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광부재(39)는 엘이디로 구비되어 플러그(30)의 외부에서 발광되어 전원연결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물론, 상기 발광부재(39)는 상기 고정부재(38)에 연결되는 전선(2)과 상호 접속되어 전원 연결시만 발광 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콘센트(10) 및 플러그(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속하여 플러그(30)에 전원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연결하게 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에 고정된 콘센트(10)의 삽입홈(12)에 플러그(30)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콘센트(10)의 삽입홈(12)에 봉으로 형성된 안전부재(14) 플러그(30)에 구비된 안전홈(32)이 끼워져 콘선트(10)와 플러그(30)가 삽입홈(12)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가 콘센트(10)의 삽입홈(12)이 삽입되면 플러그(30)의 접속부재(34)가 콘센트(10)의 접속공(16)에 대응되게 결합 된다.
물론, 상기 콘센트(10)와 플러그(30)의 접속공(16) 및 접속부재(34)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봉으로 형성된 안전부재(14)를 중심으로 플러그(30)를 회전시켜 상기 접속공(16) 및 접속부재(34)가 용이하게 수정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접속부재(34)의 머리부분이 접속공(16)에 함몰되게 고정된 전원연결수단(20)의 접속봉(22)과 상호 접속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접속부재(34)를 통해 전달되는 자석(36)의 자력은 접속봉(22)으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자력에 의해 연결부재(24)가 각각의 접속봉(22)과 접점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26)는 연결부재(24)에 의해 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부재(24)에 연결된 전선(2)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접속봉(22)을 통해 플러그(30)의 접속부재(34)에 전달되고, 접속부재(34)에 고정된 고정부재(38)와 연결된 전선(2)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38)에 연결된 전선(2)에 의해 발광부재(39)가 발광되어 외부에서 전원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의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콘센트(10)에서 이탈하면 플러그(30)에 구비된 자석(36)의 자력이 끈기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플러그(30)의 자석(36)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접점 된 콘센트(10)의 연결부재(24)는 탄성부재(26)의 복귀력에 의해 원위치 되어 떨어짐으로 콘센트(10)는 외부로 연결되는 전원이 안전하게 끈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플러그가 빠진 상태에서 외부 습기 또는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여도, 연결부재가 떨어진 상태 임으로 전원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누전과 같은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자력을 가진 물체가 상기 콘센트에 접촉하더라도, 삽입홈에 돌출된 안전부재에 걸려 완전한 삽입을 할 수 없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막대자석과 같은 긴 물체가 콘센트의 삽입홈에 삽입되어도 안전부재에 의해 하나의 연결부재만 연결될 뿐 다른 하나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배면이 평면을 이루고, 일반 플러그(4)의 접속단자(6)가 삽입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홈(40)은 플러그(30)의 접속부재(34)에 고정된 고정부재(38)와 상호 연결되게 구비되어 일반 플러그(4)가 배면에 간편하게 연결되게 구비된다.
물론, 상기 연결홈(40)은 일반 플러그(4)와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연결홈(40) 내에 상기 고정부재(38)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일반 플러그(4)의 접속단자(6)와 상호 접촉되는 접속핀(42)이 소정의 탄성을 지니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플러그에 의해 기존의 전자.전기 제품의 일반 플러그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안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안전부재(14)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대동소이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에 구비되는 안전부재(14-1)가 상.하가 이격된 안전벽으로 구비되어 삽입홈(12)을 가로지르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부재(14-1)이 삽입되는 플러그(30)의 삽입홈(32-1) 또한 장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30)에 안전벽으로 돌출된 안전부재(14-1)가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플러그와 콘센트는 안전벽으로 구비된 안전부재와 이에 대응되는 안전홈의 결합으로 정확한 위치에 플러그와 콘센트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벽으로 구비된 안전부재에 의해 상기 콘센트에 구비된 접속공 및 전원연결부재가 각각 독립되게 되어 더욱 안전하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는 도면에 도시되기를 벽에 매몰된 콘센트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보편적인 멀티 콘센트 또는 여러 일반적인 콘센트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콘센트 12: 삽입홈
14: 안전부재 16: 접속봉
18: 내측면 20: 전원연결수단
22: 접속봉 24: 연결부재
26: 탄성부재 30: 플러그
32: 안전홈 34: 접속부재
36: 자석 38: 고정부재
40: 발광부재 42: 접속핀

Claims (5)

  1. 벽체에 매몰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전선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며,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해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중앙에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안전부재와, 상기 안전부재 양측으로 플러그가 삽입 접촉되는 접촉공과, 상기 접촉공 내측에 자석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연결수단이 구비되는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와 접속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플러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전면 중앙에 내측으로 함물 연장되어 상기 안전부재가 삽입되는 안전홈과, 상기 안전홈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접속공과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자석이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콘센트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전면 중앙에 내측으로 함물 연장되어 상기 안전부재가 삽입되는 안전홈과, 상기 안전홈 양측에 돌출되어 상기 접속공과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자석이 내부에 구비되고, 배면에 일반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접속부재와 상호 연결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수단은 상기 플러그와 상호 접속되기 위해 상기 접속공에 함몰되게 고정되는 접속봉과, 플러그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속봉과 상호 접점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5. 제 2 항에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전원의 인가시 발광하는 발광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으로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KR1020120097204A 2012-09-03 2012-09-03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KR20140030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204A KR20140030709A (ko) 2012-09-03 2012-09-03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204A KR20140030709A (ko) 2012-09-03 2012-09-03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709A true KR20140030709A (ko) 2014-03-12

Family

ID=5064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204A KR20140030709A (ko) 2012-09-03 2012-09-03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07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6922A (zh) * 2014-06-03 2014-08-20 常州汇森电子有限公司 磁性插头
WO2016080782A1 (ko) * 2014-11-21 2016-05-26 서동진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KR102086101B1 (ko) * 2018-11-21 2020-03-06 황준우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CN112186424A (zh) * 2020-09-23 2021-01-05 麻蓉蓉 一种电子显示屏用防脱落数据连接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6922A (zh) * 2014-06-03 2014-08-20 常州汇森电子有限公司 磁性插头
CN103996922B (zh) * 2014-06-03 2016-01-27 常州展华机器人有限公司 磁性插头
WO2016080782A1 (ko) * 2014-11-21 2016-05-26 서동진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KR20160061013A (ko) * 2014-11-21 2016-05-31 서동진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CN107004976A (zh) * 2014-11-21 2017-08-01 徐东禛 利用磁铁的连接器
KR102086101B1 (ko) * 2018-11-21 2020-03-06 황준우 직류 전원공급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플러그
CN112186424A (zh) * 2020-09-23 2021-01-05 麻蓉蓉 一种电子显示屏用防脱落数据连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US9493083B1 (en) Electrical plug adapter
CN104064916A (zh) 一种安全插座
JP2009146880A (ja) コンセント
KR20140030709A (ko)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JP6291047B2 (ja) 電気器具および電気アセンブリ
US3493915A (en) Safety plug for electrical devices
KR20160061013A (ko)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KR101265584B1 (ko) 플러그형 콘센트 커버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KR20180000452A (ko)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CN205029067U (zh) 一种接线端子连接器
TWI691124B (zh) 磁性電連接器及其接頭
US3210717A (en) Safety connector plug
CN204144565U (zh) 一种具有开关功能的矩形密封连接器
CN111244672A (zh) 一种可以在水下操作的防水插座和插头
KR20180061244A (ko)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KR200468109Y1 (ko)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CN203180254U (zh) 智能报警安全插头、插座、壁插或转接头
KR200252581Y1 (ko)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CN208015013U (zh) 一种智能家用防漏电墙壁插座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CN104836085A (zh) 一种插座
KR101100663B1 (ko)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CN218850021U (zh) 一种电压指示连接器及电器设备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