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581Y1 -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581Y1
KR200252581Y1 KR2020010019495U KR20010019495U KR200252581Y1 KR 200252581 Y1 KR200252581 Y1 KR 200252581Y1 KR 2020010019495 U KR2020010019495 U KR 2020010019495U KR 20010019495 U KR20010019495 U KR 20010019495U KR 200252581 Y1 KR200252581 Y1 KR 200252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magnet
conne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목
허인호
Original Assignee
은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9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5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581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가 접속되는 콘센트를 밀폐형으로 구성하여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접속공이 없이 플러그를 결합하여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서 콘센트에 젓가락이나 수분 등이 들어가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 누전, 합선 등의 전기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등 사용안전성 등을 극대화한 안전플러그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전선(17)이 연결되고 스프링(15)으로 케이스(13) 외측으로 탄력결합되어 내향으로 압축 이동되는 접속단자(14,14')를 가지며, 자석(16)이 내장된 플러그(12)와, 플러그(12)가 결합되는 결합공(3)이 형성된 케이스(2)에 플러그(12)의 자석(16)에 상응하는 자석(7)이 구비된 가동단자(5)가 설치되어, 전원선(11)이 연결된 가동단자(5)의 접점(8.8')이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가 접속되는 결합공의 도전체(Conductor)로 된 접속부(4) 일면에 접속, 탈락되는 콘센트(1)로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Safety concent and plug}
본 고안은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접속되는 콘센트를 밀폐형으로 구성하여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접속공없이 플러그를 결합하여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서 콘센트에 젓가락이나 수분 등이 들어가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 누전, 합선 등의 전기안전사고의 발생우려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등 사용안전성 등을 극대화한 안전플러그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벽면 등에 매입 설치되어 전자제품,기기 등의 전원선에 연결된 콘센트를 콘센트의 전원접속공에 삽입함으로서 전원이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존 콘센트와 플러그는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함은 물론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이하에 기존 콘센트와 플러그의 문제점에 대하여 우선 살펴본 다음, 본 고안과 특히 비교될 수 있는 주요 선행고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종래의 콘센트는 주로 벽면 등에 매입설치되어 콘센트의 접속공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부에 탄력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전기가 통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콘센트의 접속공을 통해 외부에서 어린아이 등이 젓가락 등을 접속공에 삽입할 경우 감전은 물론 합선 등에 의해 심각한 전기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또한, 콘센트의 접속공을 통해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등의 경우에는 합선 등으로 인한 스파크 등으로 매우 위험한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에도 매우 다양한 고안들이 이미 다수 안출되어 있는 바, 이하 대표적인 몇 가지 예를 통해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센트의 접속공을 별도의 개폐구나 개폐수단으로 개폐시키거나 그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 등의 고안은 접속공을 일일이 개폐조작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과 함께 접속공을 통해 이물 등이 삽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개폐구조가 복잡하여 그 실용성이 저조하고 특히, 개폐수단을 어린아이 등이 쉽게 조작하여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본래 목적의 실효성을 거둘 수 없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대표 예;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6-002040호, 동공보 제1986-012468호, 동공보 제1986-013887호, 동공보 제1992-003446호, 동공보 제1992-10478호, 동공보 제1995-021568호, 동공보 제1997-056145호, 동공보 제1996-035662호 등)
또한, 콘센트의 케이스나 접속공을 통해 수분이나 물 등이 침입되어 누전, 합선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피복하거나 실링하여 방수처리 또는 방수액 등을 내부에 도착 처리하여 수분의 침투 등에 의한 누전,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 등은 콘센트의 케이스와 전원접속부 등을 피복, 실링처리하는 데에 따른 제작상의 난점은 물론 피복, 실링 처리한 방수처리부분이 탈피 또는 쉽게 훼손되어 이 역시 그 실용적 효과를 제대로 도모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대표 예;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6-032832호, 동공보 제1998-56982호, 동공보제1995-21592호, 실용신안공고공보 제2000-185343호 등)
한편, 콘센트에 휴즈를 내장하거나 스위치, 타이머등을 구비시킴으로서 과전류를 차단하거나 전원콘드(플러그)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의 단락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안전은 물론 절전 효과 등을 도모한 고안 등도 알려져 있다.
(대표 예;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5304호, 동공보 제1987-13975호, 동공보 제1988-7030호, 동공보 제1988-13718호 동공보 제1988-3425호, 동공보 제1987-7768호, 동공보 제1990-10344호 등)
이하에는 본 고안과 특히 비교될 수 있는 주요 고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용신안등록 제1990-0003686호(공개번호1989-0016745호)는 자석을 이용하여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단속토록 함으로서 접속공에 젓가락 등을 삽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전기안전사고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콘센트의 접속부가 가동접점되게 구성하고 여기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접속부의 접점이 단락되도록 하여 자석을 구비한 플러그가 콘센트의 접속공을 통해 끼움되면 플러그의 자석이 콘센트의 접속부에 설치된 자석을 작동시켜 접속부가 접점되게 함으로서 젓가락 등이 접속공을 통해 삽입되더라고 전기안전사고를 발생될 우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탄력끼움결합되는 접속부가 이중 구성되어 접점단속이 이루어짐으로서 콘센트 접속부의 합선 우려 등이 높은 것이고, 특히 접속공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거나 접동단자 상호간이 수분이나 습기 등에 쉽게 노출되므로 플러그의 접점단자가 끼움접점될 시에 누전이나 합선 등의 사고발생 우려가 매우 높은 것이었다.
특히, 물이나 수분 등의 침투 등에는 기타의 종래 제품들과 같이 무방비 상태일 수 밖에 없어 사용상의 안전성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한 것이었다.
이 밖에 플러그와 콘센트에 자석을 구비시켜 접속상태에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높인 선행 고안 등이 있으며,(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88-016865호, 동공보 제1997-008030호, 동공보 1997-025954호 등)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25984호에 플러그를 두 개의 케이스로 분리구성하여 자석을 내장하고, 콘센트에는 자석에 연동하는 단절판을 내장하여 플러그의 자석에 의하 단절판이 전원을 접점, 단락시키게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플러그를 이중구조로 제작하고 전원선을 단락시키는 단절판이 자석에 연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단절판에 합선 등의 전기안전사고의 발생이 크게 염려되고, 단절판의 복잡한 구조로 전원연결이 원만히 이루지기도 곤란한 문제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기존 콘센트와 플러그가 가지는 문제점과 단점을 일소하여 사용편이성의 향상은 물론 안전사고발생우려를 현저히 개선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콤팩트한 구조로서 콘센트에 접속공이 없는 상태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에 접속, 결합되어 전원연결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접속공을 통해 이물이나 수분 등의 삽입, 침투되어 발생될 수 있는 감전, 합선 등의 심각한 전기안전사고 우려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며, 이로부터 내구성 향상 등의 잇점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중 플러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중 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요부 저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중 콘센트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콘센트 2;케이스
3;결합공 4;접속부(Conductor)
5;가동단자 6;접동판
7;자석 8,8';접점
9;탄력부재 10,10';가동편
11;전원선
12;플러그 13;케이스
14,14';접속단자 15;스프링
16;자석 17;전원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중 플러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중 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요부 저면도로서,
본 고안은 접속단자(14,14')를 갖는 플러그(12)와,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가 접속공을 통해 삽입되어 콘센트(1)의 접속부에 접속됨으로서 전원이 연결, 공급되는 통상의 콘센트(1)와 플러그(12)에 있어서,
콘센트(1)는 도 1, 2와 같이 접속공이 없이 플러그(12)의 결합,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고, 플러그(12)의 결합시에 콘센트(1)의 접속부가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에 가동 접속되어 전원이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12)는 전선이 연결된 접속단자(14,14')가 케이스(13) 내부에서 스프링(15)에 외측으로 탄력지지되어 내향으로 압동될 수 있게 결합되며, 케이스(13)에는 접속단자(14,14')측에 자석(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2)가 접속되는 콘센트(1)는 케이스(2)에 플러그(12)가 결합되는 결합공(3)이 형성되고, 결합공(3)에는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가 접속되는 접속부(4)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4)는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와는 달리 전도체(conductor)로 구성된다.
그리고 접속부(4) 이면, 즉, 콘센트(1)의 케이스(2) 내측에는 가동단자(5)가 형성되는 바, 상기 가동단자(5)는 도 3 및 도 4a, 4b와 같이 접속부(4)의 저면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점(8,8')이 형성된 접동판(6)이 케이스(2)에 일단이 고정된 주로 판스프링 등의 탄력부재(9)에 결합되어 상향으로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되며, 또한, 접동판(6)에는 플러그(12)의 자석(16)에 상응하는 자석(7)이 구비되어 플러그(12)가 콘센트(1)의 결합공(3)에 삽입되면 자력에 의해 가동단자(5)가 상향으로 작동되어 가동단자(5)의 접점(8,8')이 접속부(4)에 접속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접동판(6)의 접점(8,8')은 역시 일단이 케이스(2)에 고정된 판스프링 등의 가동편(10,10')에 연결되며, 여기에는 당연히 전원선(11)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8,8')은 도시한 예와 같이 융기형으로 형성하여 접속부(4)에 접속되게 하는 바, 상기 접속부(4)는 상하면을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와 콘센트(1)의 가동단자(5)의 접점(8,8')이 비교적 원활하게 고른 접촉면으로 접속되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콘센트(1) 케이스(2)의 외장 케이스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센트(1)에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가 삽입되는 접속공이 없어 접속공을 통해 콘센트(1) 내부에 젓가락 등이 삽입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사고는 물론 콘센트(1)가 폐쇄구성되어 콘센트(1)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할 수 없게 됨으로서 누전이나 합선 등의 각종 전기안전사고의 발생을 해소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자기기나 전기제품 등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12)를 콘센트(1)를 결합하여 연결하는 바, 본 고안에서는 플러그(12)를 결합공(3)에 살짝 끼움하는 동작만으로 매우 안정되고 견고하게 전원연결을 위한 접속이 가능하다.
플러그(12)를 결합공(3)에 끼움하게 되면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가 결합공(3)의 접속부(4) 일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플러그(12)에 내장되어 있는 자석(16)의 자력이 콘센트(1)의 가동단자(5)에 있는 자석(7)을 끌어당기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동단자(5)를 상향으로(접속부(4)측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것은 가동단자(5)의 접동판(6)에 자석(7)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동판(6)의 자석(7)이 결합공(3)을 통해 콘센트(1)에 결합되는 플러그(12)의 자석(16)에 의해 당겨지게 됨으로서 판스프링 등의 탄력부재(9)로 일단이 고정된 접동판(6)이 상향으로 가동되어 접동판(6)의 접점(8,8')이 접속부(4)에 접속되는 것이며, 이때 양 접점(8,8')은 도전체로 된 접속부(4)에 밀착되어 전원선(11)으로부터 접속부(4)를 통해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에 전원을 통전시키게 된다.
즉, 전원선(11)이 연결된 가동단자의 접점은 도 5에서와 같이 도전체인 접속부를 통해 여기에 접속된 접속부를 통해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는 케이스(13) 내측에서 스프링(15)에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플러그(12)와 콘센트(1)에 내장된 자석(16,7)이 서로 당기는 자력에 의해 접속부(4)를 중심으로 매우 강하게 접속상태가 유지되므로 도 5에서 도시한 예와 같이 접속단자(14,14')가 스프링(15)을 다소 압축한 상태로 내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속부(4)측에 밀착되면서 접속되어 결합공(3)에 견고히 결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플러그(12)를 콘센트(1)의 결합공(3)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콘센트(1)의 가동단자는 접동판(6)을 상향 접속부(4)로 강제 당기고 있는 힘(자력)이 상실되므로 접점(8,8')의 가동편(10,10')과 탄력부재(9)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접속부(4)로부터 이탈되어 전원 공급이 끊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공(구멍)이 없이 콘센트(1)를 통해 전원이 연결됨으로서 전원연결을 위한 접속공을 통해 젓가락이나 수분 등의 이물이 삽입되거나 침투되어 감전이나 누전, 합선 등의 전기안전사고 발생우려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연결을 위한 플러그(12)와 콘센트(1)간의 접속이 매우 원만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이를 통한 각종 전자, 전기제품, 기기 등의 편리한 사용성과 안전성 등을 높일 수 있고 이들 제품의 내구성 향상과 사용수명보장 등의 여러 잇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안전콘센트(1)와 플러그(12)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선(17)이 연결되고 스프링(15)으로 케이스(13) 외측으로 탄력결합되어 내향으로 압축 이동되는 접속단자(14,14')를 가지며, 자석(16)이 내장된 플러그(12)와,
    플러그(12)가 결합되는 결합공(3)이 형성된 케이스(2)에 플러그(12)의 자석(16)에 상응하는 자석(7)이 구비된 가동단자(5)가 설치되어, 전원선(11)이 연결된 가동단자(5)의 접점(8.8')이 플러그(12)의 접속단자(14,14')가 접속되는 결합공의 도전체(Conductor)로 된 접속부(4) 일면에 접속, 탈락되는 콘센트(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와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1)는 자석(7)이 구비된 가동단자(5)의 접동판(6)이 케이스(2)에 일단이 고정된 탄력부재(9)에 결합되어 플러그(12)가 결합되는 결합공(3) 이면의 접속부(4)측으로 탄력적으로 밀착, 이탈되고, 접점(8,8')은 일단이 케이스(2)에 고정된 가동편(10,10')이 전원선(11)과 연결되고 상기 접동판(6)에 결합되어 접속부(4)에 접속, 탈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1)와 플러그(12).
KR2020010019495U 2001-06-28 2001-06-28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KR200252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95U KR200252581Y1 (ko) 2001-06-28 2001-06-28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95U KR200252581Y1 (ko) 2001-06-28 2001-06-28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581Y1 true KR200252581Y1 (ko) 2001-11-16

Family

ID=7310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495U KR200252581Y1 (ko) 2001-06-28 2001-06-28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5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844B1 (ko) 2004-12-08 2006-06-14 주식회사 팬택 순간 단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이어잭 장치
KR101569023B1 (ko) * 2014-10-21 2015-11-13 박건찬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
KR20210087343A (ko) * 2020-01-02 2021-07-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844B1 (ko) 2004-12-08 2006-06-14 주식회사 팬택 순간 단락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이어잭 장치
KR101569023B1 (ko) * 2014-10-21 2015-11-13 박건찬 콘센트 및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
KR20210087343A (ko) * 2020-01-02 2021-07-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KR102330840B1 (ko) * 2020-01-02 2021-11-23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51207A8 (en) Improved electrical socket and plug
JPH09147734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US5378165A (en) Plug detection electrical receptacle
CN109818177A (zh) 一种防盗电功能的磁性安全插座
EP1284526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nt for hot mating and unmating
KR200252581Y1 (ko)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CN212434520U (zh) 一种可强制断电的漏电保护器
CN110571071B (zh) 插入式触点开关、插座组件及电梯
US7070435B2 (en) Electrical safety plug and socket
CN207116857U (zh) 一种带自短路机构的连接器
AU2020453094B2 (en) Safety socket module, and power strip and mobile cable reel comprising safety socket module
CN109524856A (zh) 一种防触电式安全插座
KR20000015207A (ko)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KR20180000452A (ko)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CA2346757A1 (en) Plug connector
CN219458091U (zh) 一种车用电连接器
CN214706397U (zh) 防水机械开关
CN215299155U (zh) 一种便于接线的漏电保护器
KR200185346Y1 (ko) 전원 플러그용 소켓
CN217405745U (zh) 一种电源插座
CN213520424U (zh) 三孔安全插座
KR200301787Y1 (ko) 콘센트겸용 전원플러그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161774Y1 (ko) 전기플러그의 중간커넥터
KR200275386Y1 (ko) 과부하 차단기능을 갖는 매립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