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840B1 -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840B1
KR102330840B1 KR1020200000470A KR20200000470A KR102330840B1 KR 102330840 B1 KR102330840 B1 KR 102330840B1 KR 1020200000470 A KR1020200000470 A KR 1020200000470A KR 20200000470 A KR20200000470 A KR 20200000470A KR 102330840 B1 KR102330840 B1 KR 10233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purifier
humidifier
cas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343A (ko
Inventor
이창균
전하영
이승석
김성재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8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는 배터리 및 AC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부에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메인모듈,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메인모듈의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팬 및 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부에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모듈 및 가습기 케이스, 상기 가습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 케이스 내부에 제어부 및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일측에 공기배출구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습기 케이스 상부에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가습기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Modular air purifier}
본 발명은 테이블 위에 올려 두고 이용할 수 있는 모듈식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 및 습도 조절을 위한 가습기를 모듈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치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가 원활하지 못한 실내의 공기는 각종 세균과 먼지, 또는 담배연기와 같은, 각종 유해가스 등에 의해 항상 오염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실내 오염물질은 인체 내로 쉽게 침투하여 호흡기 질 환 등, 각종 질병 발생에 결정적인 유해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이러한 다양한 실내 오염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 또는 정화 처리하여 항상 쾌적하고, 청결한 실내환경을 유지토록 하고, 아울러 사용자의 건강 또한 보호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각종 공기정화기 등이 널리 개발,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내 공기정화기는, 그 설치 형태에 따라 크게 스탠드형과 천정 부착형으로 구분되는데, 스탠드형 공기정화기는 지정된 장소에 형태로 직립, 설치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탠드형 실내공기 정화기는 운반 내지 이동설치 등이 용이하지 못한 대용량의 부피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이에, 상대적으로 고가의 구입비용과 과다한 설치공간을 필요로 함은 물론, 선택적이고 자유로운 위치변경을 불가한 채, 고정된 설치장소에서만 이용해야 하는 제한된 사용 구조상의 문제가 존재하고, 그 기능 또한, 단순히 오염된 실내 공기를 살균 정화하는 기능에만 한정된 것으로, 제품의 활용성 측면에 있어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천정 부착형 공기 정화기를 살펴보면, 이는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홈과 같은 공간을 마련하고, 거기에 공기 정화기를 매입형 구조로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협소한 실내 등과 같이, 별도의 설치공간 마련이 어려운 장소 등에 적용되어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기는 하나, 이는 천정에 부착되는 설치특성에 따라 실내 조명기구 등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고, 이러한 실내조명기구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그 부착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지 못하게 되는 등 상당한 설치 구조상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스탠드형 공기 정화기와 같이, 자유로운 위치 변경이 불가한 채 고정된 설치장소에서만 이용 가능하고, 그 기능 또한 단순히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에만 한정되는 등 사용구조 및 기능상의 제약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공기청정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소형의 이동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고, 나아가 테이블 위에 올려두고 매우 협소한 공간에서만 이용 가능하도록 매우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테이블에서 업무나 공부 중에도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또한, 사무실이나 공부방 등은 일반적으로 건조한 환경이므로 탁상용 가습기를 많이 이용하는데, 공기청정기와 가습기를 책상 위에 올려두고 함께 이용하는 경우 책상 위의 환경이 복잡해지고 가습기와 공기청정기를 각각 별도의 전원에 연결하여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책상이나 식탁 등의 비교적 협소한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습기 및 공기청정기가 모듈형로 결합되는 모듈형 공기 정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6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듈화된 공기청정기와 가습기 등을 손쉽게 결합하여 테이블 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는 배터리 및 AC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부에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메인모듈,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메인모듈의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팬 및 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부에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모듈 및 가습기 케이스, 상기 가습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 케이스 내부에 제어부 및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일측에 공기배출구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습기 케이스 상부에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가습기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무드등 케이스, 상기 무드등 케이스 하부에 상기 가습기 모듈의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광원이 구비되며 내부에 히터를 구비한 무드등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습기 모듈과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위치가 상호 변경되어, 상기 가습기 모듈이 메인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이 상기 가습기 모듈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필터부는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의 외부 측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습기 모듈은 상기 가습기 모듈의 공기배출구와 결합되는 배출팬 및 상기 공기배출구 및 배출팬과 결합된 신축 가능한 배출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드등 모듈은 중심부에 아로마 히터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 정화기는 배터리 및 AC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부에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메인모듈,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메인모듈의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팬 및 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부에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모듈 및 가습기 케이스, 상기 가습기 케이스 하부에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 케이스 내부에 제어부 및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일측에 공기배출구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습기 케이스 상부에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가습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모듈,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 및 상기 가습기 모듈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의 상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전원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전원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접한 모듈은 원기둥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전원공급부 및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전원연결단자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원기둥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전극과 원기둥 하면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전극은 탄성체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전극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부의 전극은 상기 자성체에 의해 전류의 단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전극은 링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 정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하는 기능만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정화기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의 공기정화장치들이 모듈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장치만을 결합하여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전원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 정화기는 베이스 모듈에 메인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모듈에 다른 모듈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므로, 모듈별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전원만으로 복수의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전원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확장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정화기는 가습기, 공기청정기 뿐만 아니라 아로마 향 발생기, 스피커 등 테이블 위에서 자주 이용되는 장치들을 모듈로 구성하여 공기정화기와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무드등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단자 및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단자 및 전원공급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는 메인모듈(100), 공기청정기 모듈(200), 가습기 모듈(300) 및 무드등 모듈(400)을 포함한다.
도 2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모듈(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모듈(100)은 상기 메인모듈(100)에 연결되는 복수의 다른 모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모듈(100)은 배터리(101) 및 AC전원(10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모듈(100)은 AC전원(102)을 통해 충전된 배터리(101)를 이용하여 다른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AC전원(102)을 통해 인가받은 전원을 다른 모듈에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모듈(100)의 상부에는 전원공급부(103)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공급부(103)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도어(104)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103)는 다른 모듈과 결합되어 해당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104)는 슬라이딩 개폐 형태 또는 힌지에 의한 개폐 형태가 가능하고,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가 절개된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인모듈(100)에는 USB충전단자(110)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스피커(12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모듈(100)은 다른 모듈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USB충전단자(110)를 이용한 휴대폰의 충전 및 블루투스 스피커(120)로 이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공기청정기 모듈(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200)은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에 전원연결단자(20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원연결단자(201)는 메인모듈(100)의 전원공급부(103)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모듈(100)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연결단자(201)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103)는 상기 전원연결단자(201)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201)와 전원공급부(103)는 원기둥의 측면부와 단부에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201)와 전원공급부(103)가 회전하더라도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는 다른 모듈의 전원 연결단자가 삽입되어, 공기청정기 모듈(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공급부(202)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공급부(202)의 구성은 메인모듈(100)의 전원공급부(103)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모듈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모듈(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200)은 흡입팬(210) 및 필터부(220)를 포함한다. 흡입팬(210)은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200)의 일측면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부(220)를 거쳐 타측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220)는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220)는 헤파필터, 알레르기 필터 및 활성탄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220)는 케이스측면에서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케이스 측면에는 필터부(220)가 삽입되는 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통해 상기 필터부(22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필터부(220)를 케이스 측면에서 분리하여 세척 또는 신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가습기 모듈(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가습기 모듈(300)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하부에 전원연결단자(30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원연결단자(301)는 하부에 구비되는 모듈의 전원공급부에 결합된다. 하부에 구비되는 모듈은 메인모듈(100) 또는 공기청정기 모듈(200)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기 모듈(300)의 상부에도 전원공급부(302)가 구비되어, 상부에 결합되는 다른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습기 모듈(300)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310) 및 상기 몸체부(3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진동자(321)를 포함하는 수통(320)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3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수통(320)은 상기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상기 몸체부(310)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통(320)은 바닥면에 진동자(321)가 구비되는 한편, 측면에 수증기 배출홀(32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홀(322)에는 배출팬(323)이 구비되어 수통(320) 내부에서 진동자(321)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팬(323)은 상기 배출홀(322)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탈부착은 자석을 이용하거나 돌기-홈을 이용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팬(323)은 별도의 건전지를 결합하여 자체적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전원선이 체결부에 연결되어 체결에 의해 가습기 구동 전류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322)에는 자바라 형태의 신축 가능한 배출관(324)이 결합되어, 수증기의 배출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홀(322)은 수증기의 배출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팬(323)을 탈착한 후 상기 배출홀(322)을 통해 물을 주입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수통(320)에 물을 주입하는 경우 수통(320)을 몸체부(310)와 분리한 후, 상기 배출팬(323)과 상기 배출관(324)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홀(322)을 통해 물을 주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무드등 모듈(4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모드등 모듈(400)은 LED 조명(410)을 포함하고, 중심부에 아로마 향초를 장착할 수 있는 아로마히터(420)를 구비한다.
상기 아로마히터(420)는 아로마 액 및 향초를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아로마 향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드등 모듈(400)의 하부에는 상기 가습기 모듈(300) 및 공기 청정기 모듈(200)과 동일하게 전원 연결단자(401)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 연결단자(401)는 상기 무드등 모듈(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모듈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메인모듈(100), 공기청정기 모듈(200), 가습기 모듈(300) 및 무드등 모듈(400)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다른 기능을 구비한 모듈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순서에 특별한 제약이 없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100), 공기청정기 모듈(200), 가습기 모듈(300) 및 무드등 모듈(400)은 상기 메인모듈(100)의 배터리 또는 AC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이때 전원 공급부 및 전원연결부는 케이스 중심부에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모듈 방향을 사용자가 회전시켜 그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단자(201) 및 전원공급부(103)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전원연결단자 및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하나의 전극(①)과 연결된 제1전극(21), 다른 하나의 전극(②)과 연결된 제2전극(22), 탄성체(23) 및 자성체(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전극(21)은 원통형 전원연결단자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구비되되, 탄성체(23)에 지지되어 상기 홈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전극(21)에는 자성체가(2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전극(2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외주면이 경사지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전원공급부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전원공급부는 제3전극(11), 제4전극(12) 및 가동전극(13)을 포함한다.
상기 제3전극(11)은 도체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홈으로 형성된 전원공급부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전극(11)의 하부에는 가동전극(13)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전극(13)은 자석에 의해 이동 가능한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전극(11)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나의 전극(①)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4전극(12)은 링 형상으로 상기 원통형 홈의 내주면 벽에 설치되되 상기 제2전극(22)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전극(②)과 연결된다.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전원공급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상기 원통형 전원연결단자가 상기 원통형 홈 형상의 전원공급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제2전극(22)과 상기 제4전극(12)이 경사면을 통해 접촉되어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전극(21)은 상기 제3전극(11)에 접촉하되, 상기 탄성체(23)에 의해 신뢰성 있는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극(21)에는 자성체(24)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1전극(21)이 상기 제3전극(11)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자성체(24)에 의해 상기 가동전극(13)이 끌어올려져 상기 제3전극(11)과 상기 가동전극(13)이 접촉되면서, 상기 가동전극(13)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3전극(11)을 통해 상기 제1전극(2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전원연결단자가 상기 전원공급부에 삽입된 경우에만 전기가 공급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제3전극(11)과 제4전극(12)은 도체에 의해 상호 연결되더라도 전기가 통하지 않아 안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USB충전단자
101: 배터리
102: AC전원
103: 전원공급부
104: 도어
110: USB충전단자
120: 스피커
200: 공기청정기모듈
201: 전원연결단자
202: 전원공급부
210: 흡입팬
220: 필터부
221: 홈
300: 가습기 모듈
301: 전원연결단자
302: 전원공급부
310: 몸체부
320: 수통
321: 진동자
322: 배출홀
323: 배출팬
324: 배출관
400: 무드등 모듈
401: 전원 연결단자
410: LED 조명
420: 아로마히터

Claims (17)

  1. 배터리 및 AC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부에 함몰된 원통형 홈 형상을 갖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메인모듈;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하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모듈의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전원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팬 및 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 상부에 함몰된 원통형 홈 형상을 갖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모듈; 및
    가습기 케이스, 상기 가습기 케이스 하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 케이스 내부에 제어부 및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일측에 공기배출구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습기 케이스 상부에 함몰된 원통형 홈 형상을 갖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 가습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전원연결단자와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연결단자 각각은,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제1 경사면을 갖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의 전원공급부,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공급부, 및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전원공급부 각각은,
    상기 원통형 홈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제3 전극; 및
    상기 원통형 홈의 내주면 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제4 전극;을 포함하는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무드등 케이스, 상기 무드등 케이스 하부에 상기 가습기 모듈의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광원이 구비되며 내부에 히터를 구비한 무드등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 모듈과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위치가 상호 변경되어, 상기 가습기 모듈이 메인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이 상기 가습기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필터부는 상기 공기청정기 케이스의 외부 측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 모듈은,
    상기 가습기 모듈의 공기배출구와 결합되는 배출팬 및 상기 공기배출구 및 배출팬과 결합된 신축 가능한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드등 모듈은,
    중심부에 아로마 히터가 구비되는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전원연결단자와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연결단자 각각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 상에 배치된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의 전원공급부, 상기 공기청정기 모듈의 전원공급부, 및 상기 가습기 케이스의 전원공급부 각각은,
    상기 제3 전극 아래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전극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00000470A 2020-01-02 2020-01-02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KR10233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70A KR102330840B1 (ko) 2020-01-02 2020-01-02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70A KR102330840B1 (ko) 2020-01-02 2020-01-02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343A KR20210087343A (ko) 2021-07-12
KR102330840B1 true KR102330840B1 (ko) 2021-11-23

Family

ID=7685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470A KR102330840B1 (ko) 2020-01-02 2020-01-02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85B1 (ko) 2021-09-30 2023-10-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공기 살균기
KR102483776B1 (ko) * 2022-01-05 2023-01-03 주식회사 첨단랩 모듈식 구조를 가진 공기 정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81Y1 (ko) * 2001-06-28 2001-11-16 은성전자 주식회사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JP2016213032A (ja) * 2015-05-07 2016-12-15 敏道 高野 電気コネクタ、その電気コネクタを使用する電池パック及びその電池パックを用いた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299A (ko) * 2016-11-10 2018-05-18 코웨이 주식회사 전구열을 이용한 온풍 가습기
KR102527660B1 (ko) * 2017-12-26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KR101915659B1 (ko) 2018-03-16 2018-11-06 엠지엠씨(주) 소형 에어워셔 가습기
KR102040262B1 (ko) * 2018-04-20 2019-11-04 김경태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일체형 무드등
KR102188684B1 (ko) * 2019-10-22 2020-12-08 주식회사 휴롬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81Y1 (ko) * 2001-06-28 2001-11-16 은성전자 주식회사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JP2016213032A (ja) * 2015-05-07 2016-12-15 敏道 高野 電気コネクタ、その電気コネクタを使用する電池パック及びその電池パックを用いた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343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840B1 (ko) 모듈형 공기 정화 장치
US8414670B2 (en) Dust-sucking and air-cleaning composite structure
US4816973A (en) Portable night light and air freshener
JP2002373761A (ja) 空気清浄装置
KR20140119495A (ko) 탁상용 다기능 공기 정화기
CN212179095U (zh) 一种新型空气消毒净化设备
CN105627456A (zh) 具有手机app遥控的空气净化灯
TW200821000A (en) Air purifier
CN205481409U (zh) 具有手机app遥控的空气净化灯
CN208886959U (zh) 一种家用空气净化器
CN105042423A (zh) 具有空气净化器的和充放电插口的多功能照明灯
KR102416909B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CN110882407A (zh) 便携式空气消毒清洁装置
CN211166352U (zh) 一种多功能车载空气净化设备
US20200138997A1 (en) Air freshener pump
KR101798913B1 (ko)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 장치
CN111425961A (zh) 一种新型空气消毒净化设备
CN107461911A (zh) 一种小型空气净化器
CN212818717U (zh) 可便携式小型气流分滤器
CN102421458A (zh) 空气处理设备
CN205261309U (zh) 具有空气净化器的和充放电插口的多功能照明灯
CN205592852U (zh) 一种空气净化音乐灯
CN215723921U (zh) 吊顶灯净化机结构
JP3203986U (ja) 住宅用小型空気清浄化装置
JPH02184312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