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663B1 -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663B1
KR101100663B1 KR1020110055648A KR20110055648A KR101100663B1 KR 101100663 B1 KR101100663 B1 KR 101100663B1 KR 1020110055648 A KR1020110055648 A KR 1020110055648A KR 20110055648 A KR20110055648 A KR 20110055648A KR 101100663 B1 KR101100663 B1 KR 10110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protrusion
wire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용
Original Assignee
김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용 filed Critical 김응용
Priority to KR102011005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상기 플러그부의 외측에는 소켓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부를 포함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의 돌부와 상기 소켓부의 삽입부에 있어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극삽입부와 -극삽입부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본 발명은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소켓부의 플러그삽입부와 플러그부의 돌부의 형상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 및 플러그부에 삽입되는 전선의 극성에 따라 그 단면형상을 달리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소켓부와 플러그부의 연결시 +,-극에 따라 안전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플러그의 형태를 취하는 수형 커넥터 몸체와, 페룰의 형태를 취하는 암형 커넥터 몸체를 포함한다. 사용시, 수형 커넥터 몸체는 암형 커넥터 몸체내에 삽입되어 둘사이에 전기적 및 기계적 결합이 실행된다. 전형적으로, 동축 케이블 형태를 취하는 안테나 케이블은 수형 커넥터와 같은 한쪽 커넥터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부착되며, 암형 커넥터와 같은 다른 커넥터는 다른 쪽 동축 케이블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수형커넥터는 인쇄회로 기판상의 회로와 같은 회로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부착된 무선 소켓에 직접 플러깅된다. 상술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 커넥터에 띄는 극성을 구분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적절하게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합선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소켓부 및 플러그부에 삽입되는 전선의 극성에 따라 그 단면형상을 달리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소켓부와 플러그부의 연결시 +,-극에 따라 안전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부(20)의 외측에는 소켓부(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부(22)를 포함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의 내측에는 배면의 전선삽입구(15)로부터 삽입된 전선(30)에 연결되는 핀부(13)와, 상기 핀부(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삽입부(12)를 포함하고, 외측에는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걸림부(2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부(20)의 돌부(22)와 상기 소켓부(10)의 삽입부(12)에 있어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극삽입부와 -극삽입부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삽입부(12)는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핀부(13)에서 띄고 있는 극성을 구별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이 되도록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부(20)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전선삽입부(26)를 포함하는 하우징(21)와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로고 형성된 돌부(22)와, 상기 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걸림턱(1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부(22)는 상기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부(22)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극성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부(20)의 외측에는 소켓부(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부(22)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의 내측에는 배면의 전선삽입구(15)로부터 삽입된 전선(30)에 연결되는 핀부(13)와, 상기 핀부(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삽입부(12)를 포함하고, 외측에는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걸림부(2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는 소켓부(10)와 플러그(20)의 결합시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선방지돌기(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부(20)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전선삽입부(26)를 포함하는 하우징(21)와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부(22)와, 상기 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걸림부(1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23)과,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 형성된 핀부(13)와 통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전부(24)를 포함하며,
상기 돌부(22)의 전면에는 상기 소켓부(10)의 핀부(13)가 삽입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전부(24)와, 상기 통전부(24)의 일측에 형성되며 합선방지돌기(15)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선방지삽입부(2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삽입부의 내측에 방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고무패킹(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는 소켓부와 플러그부로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에서 띄고 있는 극성과 상기 플러그부에의 띄고 있는 극성에 따라 안전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의 플러그삽입부와 플러그부의 돌부의 단면형상을 +극과 -극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여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소켓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에 대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소켓부에 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부에 관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소켓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방전등용 안정기(40)에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소켓부(10)와, 상기 소켓부(10)에 연결되는 플러그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부(20)의 외측에는 소켓부(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부(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플러그부(20)의 돌부(22)와 상기 소켓부(10)의 삽입부(12)에 있어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극삽입부와 -극삽입부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소켓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의 내측에는 배면의 전선삽입구(15)로부터 삽입된 전선(30)에 연결되는 핀부(13)와, 상기 핀부(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삽입부(12)를 포함하고, 외측에는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걸림부(2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삽입부(12)는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핀부(13)에서 띄고 있는 극성을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형상을 다르게 형성하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이 되도록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플러그삽입부(12)에 형성되는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과 반원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핀부(13)는 전기적 신호 접속을 위해 +, -극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30)와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핀부(13)는 상기 몸체(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측벽에 대해 이격되어 있어 상기 극성에 따라 각각의 +, -극이 정확하게 연결되어야 합선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4)은 상기 몸체(11)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걸림부(23)와 결합되어 상기 소켓부(10)가 플러그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부(20)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전선삽입부(24)를 포함하는 하우징(21)와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로고 형성된 돌부(22)와, 상기 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걸림턱(1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23)을 포함한다.
상기 돌부(22)는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 형성된 핀부(13)와 통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전부(24)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돌부(22)는 상기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상기 돌부(22)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극성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면, 사이 플러그삽입부(12)의 +극이 형성되는 곳의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었다면 상기 돌부(22)도 반원형으로 형성된 곳에 +극의 전선이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소켓부(10)의 걸림턱(14)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측에 형성된 걸림연결부(232)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연결부(232)의 일측 형상은 상기 걸림턱(14)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화살표와 같은 형성으로 형성된 고정부(231)와, 상기 걸림연결부(232)의 다른 일측은 외측으로 연장되며 탄력성을 지니고 있는 누름부(2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소와 같은 원리로 고정된 걸림연결부(232)을 중심으로 상기 누르부(233)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고정부(231)는 상측으로 들려 상기 소켓부(10)의 걸림턱(14)과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찹조하면, 본 발명의 소켓부(10)의 내측에는 전선(30)과 연결되어 +, - 극을 띄는 핀부(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핀부(13)가 플러그부(20)의 통전부(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인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부(20)의 돌부(22)는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돌부(22)와 플러그삽입부(12)의 단면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극성에 따라 그 단면의 형상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록 한다.
따라서, 상기 소켓부(10)에 형성된 핀부(13)와 플러그부(20)에 형성된 통전부(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핀부(13) 및 통전부(24)에 연결된 각각의 전선(30,30')를 통하여 전기신호가 전송될 수 있게 되며, 합선이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소켓부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플러그부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방전등용 안정기(40)에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소켓부(10)와, 상기 소켓부(10)에 연결되는 플러그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부(20)의 외측에는 소켓부(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부(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특징은 소켓부(10)의 내측에 합선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부에는 상기 합선방지돌기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선방지삽입부를 형성하여 합선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소켓부(10)는 몸체부(11)의 내측에는 배면의 전선삽입구(15)로부터 삽입된 전선(30)에 연결되는 핀부(13)와, 상기 핀부(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삽입부(12)를 포함하고, 외측에는 후술되는 플러그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는 소켓부(10)와 플러그(20)의 결합시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선방지돌기(15)를 더 포함함으로 상기 몸체부(11)의 형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몸체부와 달리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공간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의 상측에는 걸림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소켓부(10)에 삽입되는 플러그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1)는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형상으로 일측과 타측의 넓이를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측과 타측의 넓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 합선방지돌기(15)가 형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부(20)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전선삽입부(26)를 포함하는 하우징(21)와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부(22)와, 상기 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걸림부(1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23)과,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 형성된 핀부(13)와 통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전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돌부(22)는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부(22)의 전면에는 상기 소켓부(10)의 핀부(13)가 삽입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전부(24)와, 상기 통전부(24)의 일측에 형성되며 합선방지돌기(15)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선방지삽입부(25)를 형성한다.
상기 합선방지삽입부(25)는 상기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의 결합시 합선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합선방지돌기(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돌부(22)는 상기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돌부(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외주면을 따라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고무패킹(27)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고무패킹(2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며, 상기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의 사이에 발생되는 미세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수효과를 증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선삽입부(26)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선삽입부(26)의 내측에는 방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제2고무패킹(28)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소켓부 11 : 몸체
12 : 플러그삽입부 13 : 핀부
14 : 걸림턱 15 : 합선방지돌기
20 : 플러그부 21 : 하우징
22 : 돌부 23 : 걸림부
24 : 통전부 25 : 합선방지삽입부
26 : 전선삽입부 27,28 : 제1,2고무패킹
30 : 전선 40 : 방전등용 안정기

Claims (7)

  1. 플러그부(20)의 외측에는 소켓부(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부(22)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의 내측에는 배면의 전선삽입구(15)로부터 삽입된 전선(30)에 연결되는 핀부(13)와, 상기 핀부(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삽입부(12)를 포함하고, 외측에는 플러그부(20)의 걸림부(2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부(20)의 돌부(22)와 상기 소켓부(10)의 삽입부(12)에 있어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극삽입부와 -극삽입부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부(20)의 돌부(22)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고무패킹(27)과,
    상기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의 배면에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고무패킹(28)을 더 포함하여 방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삽입부(12)는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핀부(13)에서 띄고 있는 극성을 구별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이 되도록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0)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전선삽입부(24)를 포함하는 하우징(21)와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로고 형성된 돌부(22)와, 상기 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걸림턱(1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22)는 상기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부(22)의 단면 형상은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극성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5. 플러그부(20)의 외측에는 소켓부(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부(22)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1)의 내측에는 배면의 전선삽입구(15)로부터 삽입된 전선(30)에 연결되는 핀부(13)와, 상기 핀부(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그부(20)의 돌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삽입부(12)를 포함하고, 외측에는 플러그부(20)의 걸림부(2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는 소켓부(10)와 플러그(20)의 결합시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선방지돌기(15)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부(20)의 돌부(22)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고무패킹(27)과,
    상기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의 배면에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고무패킹(28)을 더 포함하여 방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0)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전선삽입부(24)를 포함하는 하우징(21)와 상기 하우징(21)의 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플러그삽입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부(22)와, 상기 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하며 상기 소켓부(10)의 걸림부(14)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23)과, 상기 플러그삽입부(12)의 내측에 형성된 핀부(13)와 통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전부(24)를 포함하며,
    상기 돌부(22)의 전면에는 상기 소켓부(10)의 핀부(13)가 삽입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전부(24)와, 상기 통전부(24)의 일측에 형성되며 합선방지돌기(15)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선방지삽입부(2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7. 삭제
KR1020110055648A 2011-06-09 2011-06-09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KR10110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48A KR101100663B1 (ko) 2011-06-09 2011-06-09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48A KR101100663B1 (ko) 2011-06-09 2011-06-09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663B1 true KR101100663B1 (ko) 2012-01-03

Family

ID=4561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648A KR101100663B1 (ko) 2011-06-09 2011-06-09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94B1 (ko) 2013-11-14 2014-03-20 신재식 전선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19Y1 (ko) * 2002-01-22 2002-05-17 대륭전자(주) 전자기기용 전원연결 접속구
KR20020075219A (ko) * 2001-03-21 2002-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트 라인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38988B1 (ko) * 2001-08-29 2004-07-07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어댑터
KR20100070892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US7749029B1 (en) * 2008-03-21 2010-07-06 Pontillo Ii James V High current electrical connector with flat connector pi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219A (ko) * 2001-03-21 2002-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트 라인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38988B1 (ko) * 2001-08-29 2004-07-07 주식회사 배산엔지니어링 어댑터
KR200275219Y1 (ko) * 2002-01-22 2002-05-17 대륭전자(주) 전자기기용 전원연결 접속구
US7749029B1 (en) * 2008-03-21 2010-07-06 Pontillo Ii James V High current electrical connector with flat connector pins
KR20100070892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94B1 (ko) 2013-11-14 2014-03-20 신재식 전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03673B (zh) 插座连接器
TWI594522B (zh) 插頭
WO2018068453A1 (zh) 电源插头和插座
CN106654648B (zh) 结构稳定的USB Type-C插座连接器
KR101100663B1 (ko)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US20180303002A1 (en) Electronic device for electrical socket
TWI691124B (zh) 磁性電連接器及其接頭
CN208939210U (zh) 连接器
TWI626804B (zh) 轉接器總成及轉接器
KR20140030709A (ko)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US9812830B1 (en) Extendible electrical socket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ocket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interconnected
JP5330948B2 (ja) 差込プラグ
KR200450463Y1 (ko) 양방향 수커넥터
JP5336975B2 (ja) 直流コンセント
CN210016058U (zh) 灯带连接器以及相应的灯带组件
KR20170043333A (ko) 콘센트
KR101533310B1 (ko) 전기 콘센트
KR20110123458A (ko) 커넥터
CN213026636U (zh) 磁吸无孔插座及插头连接器
CN215372194U (zh) 楼梯灯系统
JP2009212080A (ja) 電気コネクタ
TWM451694U (zh) 插頭連接器、插座連接器及其組合
US9991648B1 (en) Electrical plug for a safety grounded tree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CN218850021U (zh) 一种电压指示连接器及电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