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45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458A
KR20110123458A KR1020100042956A KR20100042956A KR20110123458A KR 20110123458 A KR20110123458 A KR 20110123458A KR 1020100042956 A KR1020100042956 A KR 1020100042956A KR 20100042956 A KR20100042956 A KR 20100042956A KR 20110123458 A KR20110123458 A KR 2011012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upply member
electrical supply
sock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선
Original Assignee
이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선 filed Critical 이호선
Priority to KR102010004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3458A/ko
Publication of KR2011012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1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for a plurality of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기공급부재간의 전기적 연결이 암수기능이 통합적으로 구성된 한 가지의 품목으로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연결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LED 형광등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공급부재에 결합되도록 몸체에 각각 원형형상의 플러그부와 소켓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구성된다. 플러그부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도전체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도전체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와 평행으로 위치되고, 다른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도록 몸체의 하부 밖으로 노출된다. 소켓부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수납부에 수납된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분에 장홈이 형성된 도전체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장홈은 소켓부에 형성된 홈과 연통되어 플러그의 도전체가 홈을 통해 장홈으로 삽입되어 도전체와 접촉되도록 한다. 몸체의 뒷부분은 그 내부가 플러그부의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도전체가 전기공급부재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소켓부는 도전체 부분이 전기공급부재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홈이 각각 형성되고, 소켓부 상부에는 사각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도전체가 소켓부의 수납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통공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쇠 역할을 하는 돌기가 형성되며, 좌우측부에는 두 개의 커넥터가 결합될 때 걸림역할을 하도록 록킹부가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형광등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는 커넥터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연결 및 분리동작에 의해 형광등의 전기적 연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며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LED 형광등 커넥터 등 전기회로에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인 전기전자분야의 커넥터는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과 신호를 공급받는 구성을 연결하여 양 구성간에 전기적신호의 흐름이 잘 전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의 예로는 각종 전자제품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가 있을 수 있고, 또 다른 예로는 전자 회로판, 즉 PCB를 여러 개 연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커넥터가 있으며, 조명 레벨 조절을 위해 복수 개의 형광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등이 있다.
구체적인 종래 커넥터를 형광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기공급부재(1)(2)의 가장자리 부분에 신호의 흐름이 행해지도록 도전체가 구성된 커넥터가 각각 장착되어 서로 연결되며, 전기공급부재(1)(2)에 접촉된 커넥터의 양단부를 와이어 등으로 납땜하여 연결시키는 방법이 애용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 커넥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공급부재(1)에 납땜 부착된 커넥터는 소켓(3a)(3b) 형식으로 구성되고, 다른 전기공급부재(2)에 납땜 부착된 커넥터는 플러그(4a)(4b) 형식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전기공급부재에 고정된 소켓(3a)(3b)에 다른 하나의 전기공급부재의 플러그(4a)(4b)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고장 발생시 납땜 고정된 커넥터를 억지로 분리해야만 하므로 수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명 암(소켓) 수(플러그)로 각각 제조되어 전기공급부재에 부착되므로 개발비용, 생산비용 및 관리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전기공급부재 연결구조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전기공급부재간의 전기적 연결이 암수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성된 한 가지의 품목으로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기공급부재에 결합되도록 몸체에 각각 원형형상의 플러그부와 소켓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부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도전체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도전체는 수납부에 수납되는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와 평행으로 위치되고, 다른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도록 몸체의 하부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켓부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수납부에 수납된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분에 장홈이 형성된 도전체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장홈은 소켓부에 형성된 홈과 연통되어 플러그의 도전체가 홈을 통해 장홈으로 삽입되어 도전체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몸체의 뒷부분은 그 내부가 플러그부의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도전체가 전기공급부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소켓부는 도전체 부분이 전기공급부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일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도전체의 삽입시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홈이 각각 형성되고, 소켓부 상부에는 사각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도전체가 소켓부의 수납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통공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쇠 역할을 하는 돌기가 형성되며, 좌우측부에는 두 개의 커넥터가 결합될 때 걸림역할을 하도록 록킹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전기공급부재간의 전기적 연결이 암수기능이 통합적으로 구성된 한 가지의 품목으로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연결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커넥터의 연결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하나의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하나의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공급부재 커넥터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몸체(10)에 각각 원형형상의 플러그부(11)와 소켓부(12)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부(11)와 소켓부(12)는 본래 몸체(10)에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이들 부분에 후술하는 도전체와 소켓이 각각 조립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플러그부(11)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13)가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ㄱ자 형상의 도전체(14)가 삽입 구성된다. 상기 도전체(14)는 수납부(13)에 수납되는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와 평행으로 위치되고, 다른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도록(납땜되도록) 몸체(10)의 하부 밖으로 노출된다.
소켓부(12)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15)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11)의 수납부(13)에 수납된 도전체(14)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분에 장홈(16a)이 형성된 도전체(16)가 삽입 구성된다. 상기 장홈(16a)은 소켓부(12)에 형성된 홈(15a)과 연통되어 플러그(11)의 도전체(14)가 홈(15a)을 통해 장홈(16a)으로 삽입되어 도전체(16)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소켓부(12)의 수납부(15)는 그 전체가 플러그부(11)의 수납부(13)에 삽입 가능하도록 수납부(13)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결합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플러그(11)의 수납부(13)의 직경에 비해 여유있게 작도록 설계한다.
몸체(10)의 뒷부분은 그 내부가 플러그부(11)의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도전체(14)가 전기공급부재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홈(50)이 형성되며, 소켓부(12)는 도전체(16) 부분이 전기공급부재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홈(5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홈(50)에는 일측면에 돌기(25)가 형성되어 도전체(16)의 삽입시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몸체(10)의 상부에는 소켓부(12)와 연통되는 사각형상의 통공(10a)이 형성되며, 도전체(16)의 상부에는 소켓부(12)의 수납부(15)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통공(10a)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쇠 역할을 하는 돌기(18)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0)의 좌우측부에는 두 개의 커넥터가 결합될 때 걸림역할을 하도록 록킹부(A)(B)가 각각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21은 전기공급부재에 납땜 부착되는 도전체(14)의 단부이고, 22는 전기공급부재에 납땜 부착되는 도전체(16)의 단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기공급부재의 가장자리에 납땜 부착하였을 경우 결합을 위해 근접시키면, 두 개의 커넥터에 각각 구성된 플러그부와 소켓이 서로 삽입 가능하도록 엇갈리게 대향되어 삽입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통하게 되어 하나의 전기공급부재로서의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이러한 커넥터를 전기공급부재의 양 가장자리에 부착시킬 경우 전기공급부재를 무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 : 몸체 11 : 플러그부
12 : 소켓부 13, 15 : 수납부
14, 16 : 도전체

Claims (4)

  1. 전기공급부재에 결합되도록 몸체(10)에 각각 원형형상의 플러그부(11)와 소켓부(12)가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11)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13)가 형성되어 도전체(14)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도전체(14)는 수납부(13)에 수납되는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와 평행으로 위치되고, 다른 부분은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도록 몸체(10)의 하부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2)는 일정직경을 갖는 수납부(15)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11)의 수납부(13)에 수납된 도전체(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분에 장홈(16a)이 형성된 도전체(16)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장홈(16a)은 소켓부(12)에 형성된 홈(15a)과 연통되어 플러그(11)의 도전체(14)가 홈(15a)을 통해 장홈(16a)으로 삽입되어 도전체(16)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뒷부분은 그 내부가 플러그부(11)의 전기공급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도전체(14)가 전기공급부재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홈(50)이 형성되며, 소켓부(12)는 도전체(17)의 뒷부분이 전기공급부재쪽으로 하향 위치되도록 일측면에 돌기(25)가 형성되어 도전체(16)의 삽입시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홈(51)이 각각 형성되고, 소켓부(12)의 상부에는 사각형상의 통공(10a)이 형성되어 도전체(16)가 소켓부(12)의 수납부(15)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통공(10a)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쇠 역할을 하는 돌기(18)가 형성되며, 좌우측부에는 두 개의 커넥터가 결합될 때 걸림역할을 하도록 록킹부(A)(B)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00042956A 2010-05-07 2010-05-07 커넥터 KR20110123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56A KR20110123458A (ko) 2010-05-07 2010-05-0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56A KR20110123458A (ko) 2010-05-07 2010-05-07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58A true KR20110123458A (ko) 2011-11-15

Family

ID=4539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956A KR20110123458A (ko) 2010-05-07 2010-05-0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3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3446A1 (en) * 2012-09-27 2014-04-02 Justing Technology (Taiwan) Pte Ltd. Connector of a light-emitting-diode lamp tub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3446A1 (en) * 2012-09-27 2014-04-02 Justing Technology (Taiwan) Pte Ltd. Connector of a light-emitting-diode lamp tub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773B2 (en) SATA connector capable of transmitting electric power
US8079879B2 (en) Receptacle connector for dual signal transmission protocol
US78375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necting module
CN104600454B (zh) 插座电连接器
US913665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ight pipe and LED with over molded opaque layer
CN103579820B (zh) 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
US20120252279A1 (en) Connector An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CN214100162U (zh) 一种混装连接器
TWM453258U (zh) 插座連接器
KR102233071B1 (ko)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지는 일회용 전기 커넥터
WO2012142606A3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11038311B2 (en) Multi-functional charger
US20120171898A1 (en) Modular jack with magnetic module od reduced profile
US9705266B2 (en) Cable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US20150044894A1 (en) Usb/mini usb convertible connector
TWM511148U (zh) 電連接器及其插入模組
KR20110123458A (ko) 커넥터
KR200450463Y1 (ko) 양방향 수커넥터
TWI415333B (zh) 電連接器
CN210806078U (zh) 电连接插座
US20130090018A1 (en) Cable connector
US9153922B2 (en) Multi-application connector
JP2015022974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9524827B (zh) 插座连接器
KR101100663B1 (ko) 방전등용 안정기의 결선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