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244A -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244A
KR20180061244A KR1020187010992A KR20187010992A KR20180061244A KR 20180061244 A KR20180061244 A KR 20180061244A KR 1020187010992 A KR1020187010992 A KR 1020187010992A KR 20187010992 A KR20187010992 A KR 20187010992A KR 20180061244 A KR20180061244 A KR 2018006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contact
electric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오트르 코모르
Original Assignee
발스 엘렉트로테크니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스 엘렉트로테크니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발스 엘렉트로테크니크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6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보적인 플러그(2, 2')와의 전기 플러그-인 연결을 만들기 위한 리셉터클(1)(receptacle)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리셉터클은 플러그(2, 2')의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1a, 1b)을 구비하고, 이들 접촉부는 각각 리세터클(1)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1a, 1b)과 접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접촉 핀(2a, 2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은, 이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된 플러그(2, 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5)을 구비하며, 이 경우 식별 수단(5)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된 것으로서 식별된 플러그(2, 2')에 응답하여, 특히 리셉터클(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스위치-온 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전기 스위칭 수단(6)을 작동시키도록 그리고 예정된 타입으로서 식별된 플러그에 따라 식별 신호를 플러그(2) 내에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신호에 의해서는, 리셉터클(1)이 플러그(2)에 대하여 상기 예정된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의 리셉터클(1)로서 식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본 발명은, 상보적인 전기 플러그와의 전기 플러그-인 연결을 만들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receptacle), 그리고 전기 리셉터클 및 이에 대해 상보적인 전기 플러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클러치 또는 전기 소켓으로서도 지칭되는 전기 리셉터클 및 전기 플러그는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이고, 공지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공간 내에서 또는 야외에서 적용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전기 리셉터클 및 전기 플러그는, 전기 라인을 전기 장치 또는 고정된 전기 시설에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되거나, 2개의 특히 가요성 전기 라인 또는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플러그 및 리셉터클과 같은 플러그-인 연결부는 전기 장치 또는 시설과 리셉터클 간의 전기 접속을 위해서 이용되며, 이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인 연결부, 통상적으로는 플러그가 전기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일반적으로, 전원과 연결된 전기 라인에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이다.
리셉터클에 대해 상보적인 플러그 상에 2개의 상보적인 플러그-인 커넥터를 쌍으로 만들기 위해, 리셉터클과 플러그 사이에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리셉터클은 플러그의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을 구비하며, 이들 접촉부는 각각 리셉터클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과 접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접촉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전기 접촉 핀이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접촉을 위해 접촉 소켓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전기 장치 또는 시설 혹은 전기 사용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다시 더 상세하게 말해서 상기 장치 또는 시설 혹은 전기 사용자 장치에 할당되어 있거나 할당될 수 있는 리셉터클 내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어느 타입의 전기 리셉터클이 존재하는지가 공지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자주 제기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기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타입에 따라, 최대 전류 지속 부하 및/또는 존재하는 전압 또는 전압 유형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전기 안전 조치에 할당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타입에 따라, 예를 들어 리셉터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류 라인의 상이한 라인 횡단면에, 예를 들어 1.5 ㎟ 또는 2.5 ㎟의 라인 횡단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우와 관련하여, 1.5 ㎟의 라인 횡단면에 설치된 리셉터클은 추후에 2.5 ㎟의 라인 횡단면에 설치된 리셉터클과 다른 타입의 리셉터클에 할당되거나 할당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타입이 공지되어 있지 않고/않거나 안전하게 설치될 수 없는 리셉터클에 전기 사용자 장치가 접속되면, 이와 같은 접속 상황은 과부하 또는 오류 부하를 야기할 수 있거나 리셉터클 전위의 불충분한 이용을 야기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상기와 같은 상황은, 리셉터클에 접속된 전기 사용자 장치의 이용 가능성 및 안락감 측면에서 단점들을 야기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여주기 위한 한 가지 가능한 적용 예는 예를 들어 전기 리셉터클에서, 특히 가전제품에 통상적인 보호 접촉 리셉터클에서 스쿠터의 배터리 또는 축전지를 충전하는 경우이다.
리셉터클이 기본적으로는 축전지의 신속 충전을 위한 높은 지속 전류를 공급하도록 설치 또는 설계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 이와 같은 리셉터클의 타입이 공지되어 있지 않다면, 스쿠터의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 특히 충전 전자 장치,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차량-충전 플러그 및 집적된 제어 장치[IC-CPD 충전-컨트롤러("In-Cable Control and Protecting Device")]를 갖는 이동식 AC-충전 라인과 같은 스쿠터용 충전 케이블 부속품 또는 충전 라인의 충전 전자 장치는, 리셉터클 및/또는 충전 전자 장치 혹은 스쿠터가 안전하게 작동되어 파괴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낮은 충전 전류를 설정하도록 강요될 것이다.
FR 2 949 280호 및 WO 2007/072581호에는, 리셉터클 내에 삽입된 전기 플러그를 식별하는 리셉터클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플러그가 리셉터클 내에 삽입되는 있다는 플러그에 대한 정보가 리셉터클로 전송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플러그 형태로 삽입된 후에 또는 플러그가 삽입된 경우에 리셉터클의 전력 공급부가 활성화된다.
또한, US 2014/0120764 A1호에는, 신호를 플러그로 전송하는 것, 그리고 이 신호에 따라 플러그가 리셉터클 내로 삽입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 가지 단점은, 본 종래 기술이, 예정된 타입의 리셉터클을 플러그에 대하여 특히 명백히 식별하게 할 뿐만 아니라 리셉터클에 접속된 플러그까지도 식별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를 또한 리셉터클에 접속된 전기 장치에도 전송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정보가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위칭 수단 및/또는 전자 장치에 의한 추가 가공을 목적으로 플러그 측에 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측에도 존재하게끔 하는 이론을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한 가지 단점은, 플러그로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리셉터클이 항상 사용된 기술적인 전송 원리에 매칭되어야만 하고 그 역도 마찬가지로 충족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항상 특정의 리셉터클 및 특정의 플러그로 이루어진 시스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기술적인 전송 원리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광학 커플러-전송 장치/광학 커플러-판독 장치 또는 마그넷/리드(reed)-접속부와 같은 상응하는 기술적인 특징부들을 각각 구비하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의해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간단한 교환 가능성 또는 범용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단점들에 상응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플러그에 의해서 전기 리셉터클을 특히 타입과 관련하여 안전하게 그리고 명백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와 더불어 또한 리셉터클에 접속된 장치와 통신하기 위하여,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특히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해결하거나 개선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전기 리셉터클은 접속 후에 자체 전위를 완전히 활용한 상태에서, 리셉터클 및 플러그를 통해 리셉터클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가 파괴되지 않고/않거나, 사용자 장치의 이용 가능성이 악영향을 받지 않으며, 사용자 장치의 전위가 고갈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그리고 장기간 동안 작동될 수 있어야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은 또한 종래의 리셉터클과의 용이한 교환 가능성을 가능하게 해야만 하고, 또한 예를 들어 스위칭 신호용 전기 스위칭 회로의 폐쇄 등과 같은 추가의 스위칭 기능도 담당해야만 한다.
하지만, 더 나아가서는, 리셉터클이 이 리셉터클과 일치하는 타입을 전혀 갖지 않는 종래의 상보적인 모든 플러그를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원으로서 계속 사용 가능하거나 접촉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도 가능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은 예를 들어 제초기 등과 같은 임의의 사용자 장치를 위해서도 계속 이용 가능해야만 하고, 또한 예를 들어 요구되는 에어 갭 및 크리피지(creepage)와 관련해서도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장치에 상응하는 표준에 부합해야만 하며, 이와 더불어 스위칭 기능의 능력까지도 보유해야만 한다. 그에 상응하는 관련 표준들은 예를 들어 표준 IEC 6181-1, IEC 60884-1, VDE 0620, NF C61-314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 중 하나에 따른, 리셉터클에 의해서 그리고 상보적인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전기 플러그-인 연결을 만들기 위한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은 플러그의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을 구비하고, 이들 접촉부는 특히 각각 리셉터클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과 접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접촉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접촉 핀을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접촉을 위해 접촉 소켓 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페어링(pairing)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은, 이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플러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구비하며, 이 경우 식별 수단은, 한 편으로는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것으로서 식별된 플러그에 응답하여, 특히 리셉터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스위치-온 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른 한 편으로는, 예정된 타입으로서 식별된 플러그에 따라 식별 신호를 플러그 내에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신호에 의해서는, 리셉터클이 플러그에 대하여 상기 예정된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의 리셉터클로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들은, 사전에 확정된 리셉터클 타입에 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이 상기 리셉터클 타입에 명백하게 할당된 식별 수단을 구비한다는 사실로부터 드러난다.
그 결과, 식별 수단은 2중의 기능을 충족시킨다. 한 편으로, 식별 수단은, 오로지 예정된 타입의 리셉터클이 예정된 타입의 플러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더 상세하게 다시 말하자면 리셉터클이 상기 예정된 타입에 상보적인 타입의 리셉터클로서 식별되는 경우에만 식별 신호가 리셉터클에 상보적인 플러그 내에 결합되는 기능을 충족시킨다.
하지만, 추가로, 식별 수단은 또한 리셉터클 내에 삽입된 것으로서 식별된 플러그에 응답하여, 리셉터클의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기능도 충족시킨다. 따라서, 스위칭 수단의 작동은, 플러그, 다시 말해 소켓에 대해 상보적인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페어링이 이루어지자마자 그리고 특히 플러그의 타입과 무관하게 야기된다.
리셉터클의 스위칭 수단은 바람직하게 리셉터클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황을 야기한다. 이로 인해, 한 편으로는, 리셉터클 내에 플러그가 전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셉터클이 무전류 상태가 되도록 보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플러그가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의 제1 및 제2 접촉부에 이미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불꽃 형성 및 이와 연관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제1 및 제2 접촉부에서의 마모도 피해진다.
그 결과,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식별 수단은 또한 소위 "파일럿 기능"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식별 수단은 바람직하게, 플러그가 리셉터클 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 비로소 식별 수단이 스위칭 수단을 통한 플러그에 대한 전기 접속을 구성하도록, 그리고 플러그의 인출시에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제1 및 제2 접촉부 간의 전기 접속이 분리되기 전에 먼저 식별 수단이 스위칭 수단을 통한 상기 전기 접속을 분리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식별 신호가 전기 스위칭 수단에 의해서 스위칭 되고, 플러그 내로의 식별 신호의 결합이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활성화되는 것, 예를 들면 디지털 및/또는 코딩 신호의 형태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제1 및 제2 접촉부를 통한 전송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활성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또한 식별 신호의 형상이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것도 가능한데, 다시 말하자면 기술적인 전송 원리와 관련된 제약이 전혀 존재하지 않고, 기술적인 전송 원리와 관련된 범용성이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신호 시퀀스, 신호 곡선, 신호 강도 등이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예시적인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의 전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리셉터클, 및 이 리셉터클과 일치하는 타입의 상보적인 플러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아래로부터 사시도로 또는 측면으로부터 부분 단면 사시도로 그리고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c는 임의 선택적인 전자 장치 및 임의 선택적인 온도 측정 요소를 갖는 충전 케이블에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른 리셉터클, 및 이 리셉터클과 일치하는 타입의 상보적인 플러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아래로부터 그리고 측면으로부터 부분 단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따른 리셉터클, 및 이 리셉터클과 일치하는 타입의 상보적인 플러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아래로부터 그리고 측면으로부터 부분 단면 사시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상보적이지만 리셉터클과 일치하지 않는 타입의 플러그가 삽입된, 도 1에 따른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언급할 사실은,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 1에 따라 예시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은, 타입-E-리셉터클로서도 지칭되고 통상적으로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리셉터클이며, 이 경우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을 갖고 국내적으로 그리고 국제적으로 공지된 모든 유형의 또는 모든 타입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구성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형상의 접지 시스템 또는 접지 접촉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도 1에는,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리셉터클-타입 F로서 공지된 경우에서와 같은 접지 스프링도 아니고 리셉터클-타입 J로서 공지된 보호 접촉 리셉터클의 경우에서와 같은 접지 소켓 접촉부도 아닌 단 하나의 접지 핀(8)이 접지 접촉부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중국, 미합중국(USA) 또는 영국 연방 국가(UK)에도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리셉터클- 및/또는 리셉터클-/플러그-시스템 및/또는 접지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당연히 본 발명의 틀 안에 놓여 있다. 도 1은, 보호 커버(7)가 개방된 상태의 리셉터클을 정면도로 보여주며, 이로써 제1 및 제2 접촉 소켓(1a, 1b)에 대한 시각도 개방되어 있다. 이들 접촉 소켓은 상보적인 플러그의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와의 접촉을 위해서 그리고 리셉터클로부터 이 리셉터클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로, 다시 말해 전력 공급을 위한 전기 장치 또는 시설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리셉터클을 예를 들어 벽에 또는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해,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용의 4개의 보어(9, 9', 9" 및 9"')를 구비한다.
도 2a 내지 도 5b에 따라, 리셉터클(1)에 상보적인 플러그가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2a, 2b)를 구비하고, 이들 접촉부가 각각 리셉터클(1)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1a, 1b)과 접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접촉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전류가 사용자 장치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도면에는 플러그(2)에 접속될 수 있는 케이블도 사용자 장치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페어링을 위해, 다시 말해,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해, 접촉 핀(2a, 2b)이 상호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접촉을 위해 접촉 소켓(1a, 1b)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또한 예정된 타입의 리셉터클에 할당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리셉터클(1)은 스쿠터의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16 암페어 또는 3.7 KW의 전류 지속 부하를 위한 안전 장치를 구비하여 안전 조치가 취해졌고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은 예를 들어 2.5 ㎟의 라인 횡단면에도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예를 들어 1.5 ㎟의 라인 횡단면에 설치된 다른 타입의 리셉터클에도 할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리셉터클(1)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된 플러그(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5)(도 2a 내지 도 5b 참조)을 구비한다. 이로써, 예정된 타입으로서 식별된 플러그에 따라, 식별 신호가 플러그(2) 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식별 신호에 의해서 리셉터클(1)은 플러그(2)에 대하여 상기 예정된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의 리셉터클(1)로서 식별될 수 있다. 리셉터클과 일치하는 타입의 상보적인 플러그는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되어 있으며, 리셉터클과 일치하지 않는 타입의 상보적인 플러그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식별 수단(5)은 또한,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된 것으로서 식별된 플러그에 응답하여, 특히 리셉터클(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스위치-온 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전기 스위칭 수단(6)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스위칭 수단의 작동은, 상보적인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페어링이 이루어지자마자 그리고 특히 플러그의 타입과 무관하게 야기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식별 수단(5)은 바람직하게, 상보적인 플러그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될 때, 식별 수단(5)이 제1 위치로부터 스위칭 수단(6)의 작동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2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대하여, 플러그의 칼라 영역에서 또는 하우징의 전방 영역에서는 플러그의 식별 수단이 외부 신호 및 영향에 의해 조작되기가 어렵다는 장점도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리셉터클의 식별 수단의 관련 위치에 의해서만 식별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식별 수단은 또한 전체 플러그-인 연결부의 전자기적인 호환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2a 내지 도 5b에 따르면, 리셉터클은 또한 바람직하게,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플러그(2)의 타입이 일치하는 경우에 식별 신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러그(2)의 식별 스위칭 회로를 폐쇄하는 전기 전도성 식별 수단(5)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수단(5)은 바람직하게 2개의 접촉 면(51 및 52), 특히 접촉 핀을 갖는 그리고 특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위가 자유로운 전기 전도성 접촉 브리지를 형성하며, 이 경우 접촉 면들은 리셉터클(1)의 전면에서는 돌출하고, 후면에서는 연결부(53)에 의해 서로 전기 전도성으로, 예를 들어 전기 저항을 통해서도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접촉 면(51 및 52)이 리셉터클 하우징 위로 벗어나서 돌출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예컨대, 도면에 대한 개관을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기와 같은 저항의 미리 규정된 저항 값을 이용해서 조작 안전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코딩을 위한 식별 신호의 구체적인 전류 값, 전압 값 및/또는 신호 값이 규정될 수도 있다.
오히려, 각각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면(51 및 52)이 각각의 상보적인 플러그를 위해 리셉터클(1)의 전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접촉 면(51 및 52)이 리셉터클 하우징 내부에서 돌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리셉터클(1)과 일치하는 타입의 상보적인 플러그(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3 및/또는 제4 전기 접촉부(3, 4)를 리셉터클(1)의 식별 수단(5)과 상호 작용하는 식별 스위칭 회로의 부분으로서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접촉부 또는 접촉부들(3, 4)은 바람직하게, 식별 신호의 결합이 또한 식별 수단에 의한 스위칭 수단(6)의 작동까지도 야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4b에 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2)의 제3 및/또는 제4 전기 접촉부(3, 4)는 바람직하게 플러그(2)의 하우징(2c) 내에,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하우징의 전면에 대하여 함몰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c)의 전방 측에서 식별 수단(5)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제3 및/또는 제4 전기 접촉부(3, 4)가 플러그 내에,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의 하우징(2c) 내에 이동 가능하게, 특히 탄성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의 식별 스위칭 회로 내부로의 식별 신호의 결합은 바람직하게 연결부(53)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전기 전도성 접촉 브리지(5)의 2개의 접촉 면(51, 52)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대안적으로는, 예를 들어 1-극 신호로서의 식별 신호의 결합을 단 하나의 제3 또는 제4 접촉부(3, 4)를 통해서 야기하는 것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식별 수단에 의해서 스위칭 수단(6)의 작동까지 야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접촉 면(51 및/또는 52)과 접촉부(3 및/또는 4)의 접촉의 결과로, 또한 전체적으로 스위칭 수단(6)의 작동을 위한 식별 수단(5)의 이동도 야기된다.
따라서, 제3 및/또는 제4 접촉부에 의한 식별 신호의 전송으로 인해서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또한 식별 신호의 형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상황도 가능해지는데, 다시 말하자면 기술적인 전송 원리와 관련된 제약이 전혀 존재하지 않고, 기술적인 전송 원리와 관련된 범용성이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전기 저항에 의해 예를 들어 신호 시퀀스, 신호 곡선, 신호 강도 등이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식별 신호를 체크하거나 검증하기 위한 소스 및/또는 당연히 장치도 바람직하게 IC-CPD와 같은 전자 장치이거나 또 다른 전자 장치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예정된 타입의 플러그와 일치하는 타입의 리셉터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식별 신호의 코딩 및/또는 검증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2c는, 예를 들어 스쿠터에 접속된 바람직하게 하나의 충전 케이블(8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장치(70)에 바람직하게 접속된 전기 접촉부(3 및 4)를 구비하는 플러그(2)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접촉 핀(2a 및 2b)의 전기 접속 라인은 도 2c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c는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며,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PTC 또는 NTC와 같은 온도 측정 요소(10)도 플러그(2)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온도 측정 요소는 특히 플러그(2)의 온도를 모니터링 하고,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온도 신호를 충전 케이블(80)을 통해서 전자 장치(70)로 전송한다.
전자 장치(70)는 바람직하게 또한 적합한 로직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로직은 온도 측정 요소(10)에 의해서 모니터링 된 온도를 평가할 수 있고, 이 평가 결과에 따라, 플러그의 측정된 온도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거나 변경한다. 예를 들어, 온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식별 신호가 변경되거나 중단될 수 있고, 전자 장치가 스위치 오프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수신하게 되거나 스쿠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b는 또한, 상보적인 플러그(2)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되는 과정의 파형을 보여준다. 이 경우, 도 3a 및 도 3b는 부분적으로 삽입된 플러그(2)를 보여주고, 도 4a 및 도 4b는 최종 상태, 즉 완전히 삽입된 플러그를 보여준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플러그(2)가 리셉터클(1)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 경우에 이미 전기 전도성 접촉 브리지로서 형성된 식별 수단(5)의 접촉 면(51 및 52)이 플러그(2)의 전기 접촉부(3 및 4)에 접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식별 신호를 플러그(2) 내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러그(2)의 경우에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2)의 식별 스위칭 회로가 전기 연결부(53)(도 2a 참조)를 통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폐쇄된다.
그에 따라, 식별 신호는 바람직하게 플러그의 측면으로부터 전기 접촉부(3, 4)를 통해 전기 전도성 접촉 브리지로 전송되고, 그곳으로부터 다른 전기 접촉부(3, 4)를 통해 플러그 내로 결합 되거나 역-결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식별 스위칭 회로의 폐쇄는, 플러그(2)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 혹은 전기 장치 또는 시설 또는 그의 전자 장치가 더 높은 전류 및/또는 전압 및/또는 특정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의 인출 가능성을 검출하도록, 그리고 또한 실제로 인출하도록 야기한다.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비해, 식별 수단(5)이 바람직하게 2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에 상응하게, 플러그(2)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되는 동안에는, 식별 수단이 제1 위치(도 3a 및 도 3b 참조)로부터 스위칭 수단(6)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 위치(도 4a 및 도 4b 참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이동 동작은 예를 들어 연결부(53)에 의해 스위칭 수단(6)의 작동 요소(61)를 통한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실행된다. 그와 달리,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주며, 본 사시도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의 플러그(2')가 삽입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리셉터클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었지만 리셉터클의 타입과 일치하지 않고 이로써 일치하는 제3 및 제4 전기 접촉부(3, 4)를 전혀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플러그(2')가 삽입되어 있다.
하지만, 식별 수단(5)은 상기와 같은 플러그(2')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예컨대 식별 수단(5)이 플러그(2')의 벽 영역(2d)을 통해 접촉함으로써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적은 전력 소비로써 사용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6)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식별 수단(5)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된 것으로서 식별된 플러그(2 또는 2')에 응답하여, 삽입 과정의 최종 상태에서, 다시 말해 플러그가 리셉터클(1) 내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 이로써 스위칭 수단이 작동되거나 활성화되도록, 리셉터클의 전기 스위칭 수단(6)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스위칭 수단(6)의 작동 또는 활성화는 리셉터클(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의 스위치-온을 야기한다. 하지만, 대안적으로는,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 또는 전력 계측 장치의 활성화 또는 플러그(2) 내에 결합될 식별 신호의 활성화와 같은 다른 또는 추가의 스위칭 적용예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도 2b 내지 도 4b에 따른 플러그와 달리, 도 5a 및 도 5b에 따른 플러그(2')에서는 식별 신호가 플러그 내에 결합되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리셉터클(1)은 플러그(2')에 대하여 플러그(1)의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의 리셉터클로서 식별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반대의 경우에는, 예정된 타입의 리셉터클(1)과 일치하게 형성된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플러그(2)가,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의 상보적인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때 마찬가지로 리셉터클의 식별 및 식별 스위칭 회로의 폐쇄를 전혀 야기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1)의 경우에, 스위칭 수단(6)의 작동은 또한 식별 신호의 결합으로서, 예정된 타입으로 식별된 플러그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 부분에서 더 언급할 사실은, 전기 전도성 접촉 브리지로서 형성되지 않고/않거나 접촉 면을 전혀 구비하지 않거나 단 하나의 접촉 면만을 구비하는 식별 수단을 구비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셉터클의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틀 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식별 수단은 바람직하게, 리셉터클(1) 및 플러그(2)의 제1 및 제2 접촉부(1a, 1b, 2a, 2b)를 통해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재차 플러그 내에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플러그(2) 혹은 전자 장치에 접속된 사용자 장치의 플러그(2) 혹은 전자 장치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칭 수단(6)을 작동시키는, 리셉터클(1) 측에 있는 제어 전자 장치 또는 스위칭 전자 장치가 식별 수단으로서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식별 신호는 또한 전자식으로 코팅되어 플러그로부터 리셉터클로 그리고/또는 그 반대로 전송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식별 신호는 또한 디지털 프로토콜로서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서도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또는 리셉터클로부터 사용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전류 신호와 변조되거나 믹싱된다. 따라서, 예컨대 재차 미리 규정된 저항값을 갖는 전기 저항을 통해서는, 식별 신호의 구체적인 전류 값, 전압 값 및/또는 신호 값이 코딩을 위해 설정될 수 있거나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플러그의 전기적인 제3 및/또는 제4 접촉부 및/또는 식별 수단 혹은 전기 접촉 브리지 혹은 이 전기 접촉 브리지에 설치된 접촉 핀의 상이한 기하학적인 배열 상태 또는 형상에 의해,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시스템들을 상이하게 코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다만 예정된 제1 타입의 제1 리셉터클만 제1 플러그와 일치하는 한편, 예정된 제2 타입의 제1 리셉터클은 다만 제2 플러그와만 일치하고, 제1 리셉터클 혹은 제1 플러그는 제2 리셉터클 혹은 제2 플러그와 일치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플러그(2)의 제3 및/또는 제4 접촉부(3, 4) 및/또는 전기 접촉 브리지로서 형성된 식별 수단(5)의 접촉 핀(51, 52)이 바람직하게는 또한, 다른 무엇보다 예를 들어 코딩의 기술적인 구현을 위해, 특별하고 바람직한 기본 물질, 정련 및/또는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1: 리셉터클
1a: 제1 접촉 소켓
1b: 제2 접촉 소켓
2: 일치하는 타입의 플러그
2': 일치하지 않는 타입의 플러그
2a: 제1 전기 접촉부/접촉 핀
2b: 제2 전기 접촉부/접촉 핀
2c: 플러그의 하우징
2d: 플러그(2')의 벽 영역
3: 제3 전기 접촉부
4: 제4 전기 접촉부
5: 식별 수단, 전기 접촉 브리지
51, 52: 전기 접촉 브리지의 접촉 핀
53: 연결부
6: 스위칭 수단
61: 작동 요소
7: 보호 커버
8: 접지 핀
9, 9', 9", 9"': 보어
10: 온도 측정 요소
70: 전자 장치
80: 충전 케이블

Claims (10)

  1. 리셉터클이 플러그(2, 2')의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1a, 1b)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들이 각각 리세터클(1)의 제1 및 제2 접촉 소켓(1a, 1b)과 접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접촉 핀(2a, 2b)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상보적인 플러그(2, 2')와의 전기 플러그-인 연결을 만들기 위한 리셉터클(1)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1)은, 상기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된 플러그(2, 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5)을 구비하며, 상기 식별 수단(5)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된 것으로서 식별된 플러그(2, 2')에 응답하여, 특히 리셉터클(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스위치-온 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전기 스위칭 수단(6)을 작동시키도록 그리고 예정된 타입으로서 식별된 플러그에 따라 식별 신호를 플러그(2) 내에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신호에 의해서는, 리셉터클(1)이 플러그(2)에 대하여 상기 예정된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의 리셉터클(1)로서 식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플러그(2)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식별 수단이 제1 위치로부터 스위칭 수단(6)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2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는, 리셉터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5)은 전기 전도성이고, 일치하는 타입의 플러그(2)가 식별 신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러그(2)의 식별 스위칭 회로를 폐쇄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리셉터클(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5)은 2개의 접촉 면(51 및 52)을 갖는 전기 전도성의, 특히 전위가 자유로운 접촉 브리지를 형성하며, 상기 접촉 면들은 리셉터클(1)의 전면으로부터, 각각의 상보적인 플러그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리셉터클(1)의 후면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리셉터클(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에 대해 상보적인 플러그(1)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수단(5)은 전기 전도성이고, 식별 신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플러그(2)가 상기 플러그(2)의 식별 스위칭 회로를 폐쇄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5)은 2개의 접촉 면(51 및 52)을 갖는 전기 전도성 접촉 브리지를 형성하며, 상기 접촉 면들은 리셉터클(1)의 전면으로부터, 플러그에 대해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리셉터클(1)의 후면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플러그(2)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되는 과정의 제1 단계에서는, 제1 접촉 핀(2a)과 제1 접촉 소켓(1a) 사이의 전기 접촉부 및 제2 접촉 핀(2b)과 제2 접촉 소켓(1b) 사이의 전기 접촉부가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계에 후속하는 삽입 과정의 제2 단계에서는 식별 신호가 플러그(2) 내에 결합될 수 있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 후속하는, 플러그(2)가 리셉터클(1) 내로 삽입되는 과정의 제3 단계에서 스위칭 수단(6)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시스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용 플러그로서,
    상기 플러그(2)는 제3 및/또는 제4 접촉부(3, 4)를 식별 스위칭 회로의 부분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식별 수단(5)은 플러그(2)의 제3 및/또는 제4 접촉부(3, 4)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접촉부 또는 접촉부들(3, 4)은, 식별 신호의 결합이 또한 식별 수단에 의한 스위칭 수단(6)의 작동까지도 야기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플러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의 제3 및/또는 제4 접촉부(3, 4)는 플러그(2)의 하우징(2c)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c)의 전방 측에서 식별 수단(5)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플러그.
KR1020187010992A 2015-10-19 2016-10-17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KR201800612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7789.7 2015-10-19
DE102015117789.7A DE102015117789A1 (de) 2015-10-19 2015-10-19 Steckdose mit Identifikationsmittel
PCT/EP2016/074891 WO2017067886A1 (de) 2015-10-19 2016-10-17 Steckdose mit identifikationsmitt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244A true KR20180061244A (ko) 2018-06-07

Family

ID=571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992A KR20180061244A (ko) 2015-10-19 2016-10-17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65948A1 (ko)
KR (1) KR20180061244A (ko)
DE (1) DE102015117789A1 (ko)
WO (1) WO2017067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441B1 (ko) 2019-12-30 2020-11-16 나라전기 주식회사 방폭형 플러그 및 리셉터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7544A1 (en) * 2021-12-28 2023-07-05 Webasto Charging Systems, Inc. Method for determining a socket type and a charging mode for a battery, an electrical plug, a charging cordset and a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9226A3 (en) * 1989-07-21 1993-01-13 Hitachi, Lt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US20070149013A1 (en) 2005-12-22 2007-06-28 Bryant Eastham Electrical outlets and plugs with local power enabling and disabling
FR2943468B1 (fr) * 2009-03-23 2011-04-15 Schneider Electric Ind Sas Prise electrique et alimentation sans interruption equipee d'une telle prise
FR2949280A1 (fr) 2009-08-19 2011-02-25 Eric Broage Ouverture et fermeture d'un circuit electrique via reconnaissance rfid
WO2012160695A1 (ja) * 2011-05-26 2012-11-2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源プラグおよび電源プラグを備える電子機器
FR2977389B1 (fr) 2011-06-29 2015-07-17 Legrand France Prise electrique munie de moyens d'identification, fiche electrique et ensemble electrique associes.
TWI448022B (zh) * 2011-12-22 2014-08-01 Ind Tech Res Inst 智慧型插頭、插座及轉接器
JP2014003877A (ja) * 2012-05-24 2014-01-09 Sony Corp 給電装置、アダプタ、受電装置、および給電方法
DE102012106885A1 (de) * 2012-07-27 2014-01-30 Still Gmbh Flurförderzeug mit Traktionsbatterie
CN104409897B (zh) * 2014-11-12 2017-07-1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插头、插座、用户设备以及插座供电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441B1 (ko) 2019-12-30 2020-11-16 나라전기 주식회사 방폭형 플러그 및 리셉터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7886A1 (de) 2017-04-27
DE102015117789A1 (de) 2017-04-20
EP3365948A1 (de)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239B1 (ko) 에너지 공급 장치에서 저장식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 및 어댑터
EP3804049B1 (en) Cable power rating identification for power distribution over communications cabling
JP7057043B2 (ja) 危険領域において単極セットを使用してフィールドバス通信と電力を携帯メンテナンスツールから送信する方法、電気コネクタ組立体、可搬装置組立体、二極プラグ
US9493083B1 (en) Electrical plug adapter
JP6291047B2 (ja) 電気器具および電気アセンブリ
US70219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arcs in connectors feeding power loads and connector used
EP2621028A1 (en) Receptacle and plug
US7924541B2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function
JP5997270B2 (ja) 電気プラグ及び関連する電気組立体
CN105375206A (zh) 用于电动车辆的充电插头、充电缆线和充电方法
US10389205B2 (en) Motor programming tool
US8692634B2 (en) Switch device and connector
US8128434B1 (en) Electrical adapter with fuse
KR20110086578A (ko) 전기기구를 위한 다기능 파워 서플라이
SE0003894L (sv) Förbättrat elektriskt uttag samt stickpropp
US20120100733A1 (en) Multi-functional polarity-correcting plugging-coupling switching device
CN104071020A (zh) 供电控制装置
US7403372B2 (en) Multiple fused junction with blown fuse indication
CN105490098A (zh) 一种新型的安全智能插座
KR20180061244A (ko)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CN104078930A (zh) 供电控制装置
CN102939693A (zh) 用于电动设备的外壳
CN107449941A (zh) 具有法拉第罩的测试块
US2014027363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bar
WO2008125813A1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