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103Y1 -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 Google Patents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103Y1
KR200183103Y1 KR2019990024712U KR19990024712U KR200183103Y1 KR 200183103 Y1 KR200183103 Y1 KR 200183103Y1 KR 2019990024712 U KR2019990024712 U KR 2019990024712U KR 19990024712 U KR19990024712 U KR 19990024712U KR 200183103 Y1 KR200183103 Y1 KR 200183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dapter
jack
switch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대
Original Assignee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대 filed Critical 김종대
Priority to KR2019990024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감압변환하여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전기아답터코드를 사용하는 전기기기에 있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자 할 때 전원플러그를 직접 뽑아야 하는 불편함을 덜기 위한 것으로, 전원플러그에 아답터와 DC잭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전기아답터코드에 있어서, 상기 DC잭의 일측에 아답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측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아답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원 인가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을 설치함으로써 기기와 연결되는 DC잭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 편리하게 전기아답터코드의 입출력 전원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임.

Description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Power Adapter Cable Having Switch on DC jack}
본 고안은 교류전원을 감압시킨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아답터코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DC잭에서 아답터의 입력전원 및 출력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인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낮은 전압의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제품들은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상용교류전원을 감압한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기기구는 대개 110V/220V 가 인가되어 있는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플러그, 교류전원을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감압하여 적정레벨의 직류전원으로 감압 및 정류하는 작용을 하는 아답터, 그리고 상기 아답터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부하로 공급하기 위해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DC잭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플러그와 아답터 및 DC잭을 코드로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의 구성부품중 플러그와 아답터가 일체로 형성된 것도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아답터코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원플러그(1)와 아답터(2) 및 DC잭(3)이 코드(4)(5)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전기아답터코드를 실제로 사용할 때 플러그(1)는 벽 또는 바닥등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접속하고 DC잭(3)은 부하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전기아답터코드를 노트북컴퓨터 등과 같은 전기제품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전기제품의 사용완료후에는 전기제품에 설치되어 있는 자체의 전원스위치를 오프시켜 그 전기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전기제품의 전원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DC잭을 뽑아두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체 전원스위치를 오프시켜 공급전원을 차단하더라도 아답터에 있는 감압용 트랜스의 일차측에는 계속 전류가 흘러 전력손실이 발생되기 때문에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아둘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답터의 과열에 의해 화재의 위험도 있고 번개등에 의한 과전류가 부하로 유입되어 기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전원플러그와 연결되는 콘센트는 대개 전기제품으로부터 멀리 있는 책상 밑이나 뒤와 같은 곳에 설치되어있고 또한 미관상 벽체나 바닥 등에서 구석진 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우거나 빼기가 매우 번거로우며, 멀티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는 경우 배선정리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면 자칫 다른 플러그를 뽑는 실수를 저질러 기기의 오작동 및 기기사용에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답터나 플러그에 전원스위치가 설치된 것이 있으나 이또한 플러그가 사용중인 전기제품으로부터는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관계로 스위치조작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제품의 전원입력단자에 연결되는 DC잭에 감압용 아답터의 일차측과 이차측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감압용 아답터의 일차측과 이차측의 전원인가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제품의 사용위치에서 편리하게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아답터코드의 일실시예시도,
도 2는 도 1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
도 4는 도 3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플러그, 12 -- 아답터,
14 -- DC잭, 16,18 -- 스위치,
20,22 -- 표시등.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플러그에 아답터와 DC잭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전기아답터코드에 있어서, 상기 DC잭의 일측에 아답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측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아답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원 인가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접속하게 될 전원플러그(10)에는 코드를 통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면서 부하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레벨로 감압하는 아답터(1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답터(12)의 출력단에는 코드를 통해 DC잭(14)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DC잭(14)의 일측에는 스위치(16)(18)와 표시등(20)(22)이 설치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6)는 전원플러그(10)에서 아답터(12)의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고, 스위치(18)는 아답터(12)의 출력단에서 DC잭(14)의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표시등(20)은 스위치(16)가 온상태로 접속되어 아답터(12)의 입력측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답터(12)의 입력측 양단에 연결되는 것이고, 표시등(22)은 아답터(12)의 출력단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18)와 DC잭(14)사이의 전원단 양단에 연결되는 것이다.
미설명된 12a는 고전압의 상용전원을 저전압으로 감압하는 트랜스포머이고, 12b는 감압된 저전압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이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전기아답터코드에 있어 전원플러그(10)를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꽂고 DC잭(14)을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부하의 전원입력단에 꽂아 사용하다가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부하 자체의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스위치(18)를 오프시키고 또한 스위치(16)를 오프시켜 아답터(12)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DC잭(14)이 노트북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콘센트가 구석진 곳에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노트북컴퓨터의 후단에서 손쉽게 노트북컴퓨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고 아답터(12)의 일차측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아답터의 과열 및 과열에 기인한 2차적인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스위치(16)나 스위치(18)가 온상태로 접속되었을 때 표시등(20) 또는 표시등(22)의 점등상태를 보고 전원이 아답터(12)의 입력단까지만 공급되고 있는지 또는 DC잭(14)까지 공급되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하게 된다.
한편, 아답터(12)의 입출력단에 스위치(16)와 스위치(18)를 각각 설치한 것은 예컨대 본고안의 전기아답터코드를 노트북컴퓨터에 사용하는 경우 부하측전원이 역류되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초기에 스위치를 온상태로 접속시킬 때 스파크로 인한 서지전압이 부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용교류전원을 감압하여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아답터와 DC잭이 구비되어 있는 전기아답터코드에 있어 상기 DC잭에 아답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원공급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수단과 표시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부하측 전원입력단자에 통상의 DC잭을 삽입연결시키면서 간단히 DC잭 일측에 있는 스위칭수단을 사용하여 DC잭에 연결되는 부하측에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의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손실 및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플러그에 아답터와 DC잭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전기아답터코드에 있어서, 상기 DC잭의 일측에 아답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측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아답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원 인가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KR2019990024712U 1999-11-11 1999-11-11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KR200183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712U KR200183103Y1 (ko) 1999-11-11 1999-11-11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712U KR200183103Y1 (ko) 1999-11-11 1999-11-11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103Y1 true KR200183103Y1 (ko) 2000-05-15

Family

ID=1959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712U KR200183103Y1 (ko) 1999-11-11 1999-11-11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1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791A1 (en) * 2009-08-04 2011-02-10 Sang Lee Power adaptor having power-saving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791A1 (en) * 2009-08-04 2011-02-10 Sang Lee Power adaptor having power-saving circu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7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terrupting power to a secondary device upon the extinguishing of power to a primary device
US111838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 and DC power co-distribution
US20110121662A1 (en)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ing system with remote power management function
KR20070114053A (ko) 변류식 전원 연결 회로 장치
JP2024507031A (ja) Dc電源アタッチメント装置
KR200183103Y1 (ko)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CN113206414A (zh) 一种直流连接器、交直流输入设备和交直流输入系统
KR101903850B1 (ko) 직류 전력을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 장치
WO2003065538A1 (en) A power board
JPH09115623A (ja) 商用電源供給タップ
US20230216258A1 (en) Power extension cord socket
KR200372972Y1 (ko) 전기설비 상시.절전콘센트 설치 시스템
CN210468885U (zh) 一种复合型电源切换装置
KR20010081216A (ko) 전원차단장치
KR200208135Y1 (ko) 절전용 차폐 스위치를 갖는 전원선
KR200278823Y1 (ko) 절전 스위치 내장 및 색상띠 표시형 교류 전원 프러그
CN219124108U (zh) 适配器扩展电路及接口扩展装置
CN217522331U (zh) 电源延长线插座
KR200151974Y1 (ko) 멀티형 콘센트
CN212752823U (zh) 智能开关
KR200355740Y1 (ko) 스위칭 전원콘센트
KR200285381Y1 (ko) 멀티탭이 구비된 어댑터
KR860000539Y1 (ko) 110v/220v 절환장치
KR200270331Y1 (ko) 부하 인지 파워 코드
KR200255382Y1 (ko)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