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82Y1 -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82Y1
KR200255382Y1 KR2020010024528U KR20010024528U KR200255382Y1 KR 200255382 Y1 KR200255382 Y1 KR 200255382Y1 KR 2020010024528 U KR2020010024528 U KR 2020010024528U KR 20010024528 U KR20010024528 U KR 20010024528U KR 200255382 Y1 KR200255382 Y1 KR 200255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erminal
outlet
main line
line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성 filed Critical 김유성
Priority to KR2020010024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82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매립되는 콘센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제1인출선(20-1) 및 제2인출선(20-2)에 연결되는 제1콘센트단자(20)와, 제3인출선(21-1) 및 제4인출선(21-2)에 연결되는 제2콘센트단자(21)는 각각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콘센트단자(20) 또는 제2콘센트단자(21)에 접지선(32)이 연결되되, 상기 제1인출선(20-1)은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50)가 연결된 보조메인선(43)과 연결되고, 이 보조메인선은 제1메인선(41)과 연결되며, 상기 제2인출선(20-2)은 제2메인선(42)과 연결되고, 상기 제3인출선(21-1)과 제4인출선(21-2)은 각각 제1메인선(41) 및 제2메인선(42)에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콘센트단자(20)는 스위치(50)를 단락시켜 사용하지않는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제1콘센트단자(20)에는 TV,세탁기,오디오 등과 같은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제2콘센트단자(21)에는 항상 플러그를 꼽은 상태로 사용하는 냉장고와 같은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콘센트단자(2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위치(50)를 매개로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해서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plug sock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cut-off of waiting power}
본 고안은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가정용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콘센트단자는 스위치, 개폐기 및 차단기를 갖추어서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메인선으로 연결되고, 제2콘센트단자는 상시전원과 연결되는 또 다른 메인선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콘센트(100,100')는 벽면에 매립설치되는 것으로, 그 형태 및 설치구조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극성으로 서로 연결된 제1,2콘센트단자(200,210)가 각각 제1,2,3,4인출선(201,202,211,212)으로 연결되고, 이 인출선이 제1,2메인선(410,420)에 각각 연결되어 통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콘센트단자(200)의 제1인출선(201)은 제1메인선(410)에 연결되고, 제2인출선(202)은 제2메인선(420)에 연결되는 것이고, 또한 제2콘센트단자(210)의 제3인출선(211)은 제1메인선(410)에 연결되고, 제4인출선(212)은 제2메인선(4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 또는 전자제품의 프러그를 상기 제1콘센트단자(200) 또는 제2콘센트단자(210)에 끼워넣어 연결하게 되면, 제1,2메인선에서 통전되는 전류가 제품으로 인입되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요즘은 현관에 전원유니트 및 개폐장치와 연결된 마스터스위치를 설치하여 가족 구성원이 집을 비우고 외출할 때, 이 마스터스위치에 의해 전체 조명과대기전원을 한번의 동작으로 오프(OFF)하여 낭비되는 전기료를 절감하는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상황이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는 차단기, 개폐기 및 스위치를 연결하여 개별 또는 그룹으로 온,오프(ON,OFF)할 수는 있으나, 제1콘센트단자(200)와 제2콘센트단자(210)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차단기, 개폐기 및 스위치가 연결되어 작동될 경우, 상기 단자 모두가 동시에 온 또는 오프되기 때문에, 냉장고와 같이 항상 플러그를 꼽은 상태로 사용되는 상시전원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해서, 상기와 같이 대기전원을 차단할 목적으로 적용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콘센트단자는 스위치, 개폐기 및 차단기를 갖추어서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메인선으로 연결되고, 제2콘센트단자는 냉장고와 같이 항상 플러그를 꼽은 상태로 사용되는 상시전원과 연결되는 또 다른 메인선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배선도,
도 4는 종래의 기술로서, 도 1에 대응되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로서, 도 2에 대응되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기술로서, 도 3에 대응되는 설치배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기전원차단용 콘센트, 20 ---제1콘센트단자,
21 --- 제2콘센트단자, 31 --- 메인접지선,
41 --- 제1메인선, 42 --- 제2메인선,
43 --- 보조메인선, 50 ---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면에 매립되는 콘센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제1인출선 및 제2인출선에 연결되는 제1콘센트단자와, 제3인출선및 제4인출선에 연결되는 제2콘센트단자는 각각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콘센트단자 또는 제2콘센트단자에 접지선이 연결되되, 상기 제1인출선은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가 연결된 보조메인선과 연결되고, 이 보조메인선은 제1메인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2인출선은 제2메인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3인출선과 제4인출선은 각각 제1메인선 및 제2메인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콘센트단자는 스위치를 단락시켜 사용하지 않는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콘센트(10)는 공지된 2구형 일반콘센트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그 내부에 콘센트단자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가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출선(20-1) 및 제2인출선(20-2)에 연결되는 제1콘센트단자(20)와, 제3인출선(21-1) 및 제4인출선(21-2)에 연결되는 제2콘센트단자(21)는 각각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콘센트단자(20)와 제2콘센트단자(21)는 한 라인만이 접지선(32)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인출선(20-1)은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50)가 연결된 보조메인선(43)과 연결되고, 이 보조메인선은 제1메인선(41)과 연결된다. 또한 제2인출선(20-2)은 제2메인선(42)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3인출선(21-1)과 제4인출선(21-2)은 각각 제1메인선(41) 및 제2메인선(42)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TV,세탁기,오디오 등과 같은 전기제품은 상기 제1콘센트단자(20)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고, 냉장고와 같이 항상 플러그를 꼽은 상태로 사용되는 전기제품은 상기 제2콘센트단자(21)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제1콘센트단자(20)를 단락시키는 수단으로 스위치(50)를 사용하였으나, 개폐기, 차단기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는 제2인출선(20-2)과 제4인출선(21-2) 사이에 상기 접지선(32)이 연결되고, 이 접지선은 메인접지선(31)과 연결되어 접지된다. 이는 건물 내선 공사시 콘센트에도 접지공사를 하도록 된 전기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고, 전기제품의 외관이 금속체이거나 도전성일 때, 그 제품의 누전에 의한 감전 사고 방지를 위하여 그 표면은 접지를 필수적으로 하도록 된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대기전원 차단용 제1콘센트단자(20)의 색상과, 상시전원용 제2콘센트단자(21)의 색상을 구분이 되도록 서로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설정됨은 물론이다. 가령, 제1콘센트단자(20)의 색상을 적색으로 하고, 제2콘센트단자(21)의 색상을 녹색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콘센트(10')는 공지된 3구형 일반콘센트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그 내부에 콘센트단자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 및 작용은 상기에 기술된 2구형 콘센트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콘센트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콘센트단자(20)에서 일측은 제1인출선(20-1)으로 연결되고, 이 제1인출선은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50)와 연결시키고, 이 스위치는 제1메인선(41)에 연결된다. 이어 제1콘센트단자(20)에서 또 다른 일측은 제2인출선(20-1)으로 연결되고, 이 제2인출선은 제2메인선에 연결된다. 한편, 제2콘센트단자(21)에 제3인출선(21-1) 및 제4인출선(21-2)이 연결되고, 이들은 각각 제1메인선(41) 및 제2메인선(42)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콘센트단자(20)에는 TV,세탁기,오디오 등과 같은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제2콘센트단자(21)에는 항상 플러그를 꼽은 상태로 사용하는 냉장고와 같은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콘센트단자(2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위치(50)를 매개로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해서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콘센트단자는 스위치, 개폐기 및 차단기를 갖추어서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메인선으로 연결되고, 제2콘센트단자는 냉장고와 같이 항상 플러그를 꼽은 상태로 사용되는 상시전원과연결되는 또 다른 메인선에 연결되어, 하나의 콘센트에서 선택적으로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벽면에 매립되는 콘센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제1인출선(20-1) 및 제2인출선(20-2)에 연결되는 제1콘센트단자(20)와, 제3인출선(21-1) 및 제4인출선(21-2)에 연결되는 제2콘센트단자(21)는 각각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콘센트단자(20) 또는 제2콘센트단자(21)에 접지선(32)이 연결되되, 상기 제1인출선(20-1)은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50)가 연결된 보조메인선(43)과 연결되고, 이 보조메인선은 제1메인선(41)과 연결되며, 상기 제2인출선(20-2)은 제2메인선(42)과 연결되고, 상기 제3인출선(21-1)과 제4인출선(21-2)은 각각 제1메인선(41) 및 제2메인선(4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센트단자(20)는 스위치(50)를 단락시켜 사용하지 않는 대기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 차단용 제1콘센트단자(20)의 색상과, 상시전원용 제2콘센트단자(21)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구분하여,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KR2020010024528U 2001-08-13 2001-08-13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KR200255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28U KR200255382Y1 (ko) 2001-08-13 2001-08-13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28U KR200255382Y1 (ko) 2001-08-13 2001-08-13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82Y1 true KR200255382Y1 (ko) 2001-12-13

Family

ID=7306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528U KR200255382Y1 (ko) 2001-08-13 2001-08-13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21A2 (en) 2007-11-20 2009-05-28 Byong Ho Kim Standby power cut-off swi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921A2 (en) 2007-11-20 2009-05-28 Byong Ho Kim Standby power cut-off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1548A1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CN104466736A (zh) 一种具有多种用电保护功能的智能家用配电装置
KR200392807Y1 (ko)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구조
CN104600527A (zh) 建筑室内用强电分电器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US20080248667A1 (en) Power strip for computer and related computer peripherals
EP3254347A1 (en) Consumer units, receptacles for consumer units and consumer unit systems
KR200255382Y1 (ko)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CN103477565A (zh) 电源插座和连接装置
KR20050120316A (ko)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CN211296296U (zh) 一种箱式变电站的应急供电装置
JP2004152740A (ja) 一括操作スイッチ付き節電リモコンコンセントの基本ユニット、節電リモコンコンセントの増設ユニット、及び節電用設備機器
CN213581778U (zh) 智能开关电路、智能开关控制系统及智能开关
KR200372972Y1 (ko) 전기설비 상시.절전콘센트 설치 시스템
KR200355740Y1 (ko) 스위칭 전원콘센트
KR200260852Y1 (ko) 절전형 전기설비
KR101516943B1 (ko) 직병렬 접속 스위치 구조를 갖는 멀티탭
GB2421366A (en) Electronic dimmer control through two-way switching
KR200198501Y1 (ko) 절전 콘센트
CN109888726B (zh) 一种漏电保护开关
CN210181444U (zh) 一种应用于家庭照明的智能控制装置
KR100759226B1 (ko) 전자제품용 전원선 차단장치
GB2385215A (en) Socket adaptor with branching spur
KR200183103Y1 (ko) 전원스위치부착 전기아답터코드
CN110635554A (zh) 一种箱式变电站的应急供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